KR100622109B1 -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109B1
KR100622109B1 KR1020040115068A KR20040115068A KR100622109B1 KR 100622109 B1 KR100622109 B1 KR 100622109B1 KR 1020040115068 A KR1020040115068 A KR 1020040115068A KR 20040115068 A KR20040115068 A KR 20040115068A KR 100622109 B1 KR100622109 B1 KR 10062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late
shim
horizontal
pro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594A (ko
Inventor
최재원
박범순
Original Assignee
새론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론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론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1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패드의 조립상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판에 대하여 수평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이송판에 대하여 상,하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로 동작하는 전면이송판을 구비하여, 이 전면이송판의 전면에서 제1,제2프로브수단인 제1,제2레일을 따라서 좌,우로 동작하는 제1,제2이송아암에 제1,제2프로브를 장착하여 브레이크패드에서 패드고정체, 노이즈쉼, 커버쉼 및 브레이크센서 등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로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에 대하여 높이값이 맞는 지를 판단하므로 오 조립 여부를 자동화공정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검사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수평이송수단, 수직이송수단, 제1,제2프로브수단, 제어부

Description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 Device For Inspection The Assembling State Of Brake Pad }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프로브로 패드어셈블리의 높이 측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 : 지지대
14 : 베이스판 16 : 수평가이드레일
18 : 암나사부재 20 : 수평이송수단
22 : 수평나사축 24 : 수평이송판
26 : 배면이송판 30 : 수직이송수단
32 : 상,하실린더 38 : 솔레노이드밸브
40 : 에어공급부 42 : 수직가이드레일
44 : 실린더축 50 : 완충수단
56 : 스프링 60 : 전면이송판
62 : 중간지지대 70 : 제1프로브수단
72 : 제1이송레일 74 : 제1나사고정판
80 : 제1이송아암 84 : 제1프로브
90 : 제2프로브수단 92 : 제2이송레일
94 : 제2나사고정판 100 : 제2이송아암
104 : 제2프로브 110 ; 제어부
120 : 표시부 A : 패드어셈블리
200 : 브레이크패드 300 : 노이즈쉼
400 : 커버쉼 402 : 커버쉼
본 발명은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이송판의 전면에서 제1,제2프로브수단인 제1,제2레일을 따라서 좌,우로 동작하는 제1,제2이송아암에 제1,제2프로브를 장착하여 브레이크패드에서 패드고정체, 노이즈쉼, 커버쉼 및 브레이크센서 등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로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에 대하여 높이값이 맞는 지를 판단하여 오 조립 여부를 자동화공정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검사하도록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상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바퀴에 설치되어져서 자동차의 진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제동장치인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드럼에 마찰패드를 접촉하여 제동하는 드럼식 브레이크(Drum Type Brake)와, 디스크에 마찰패드를 접촉하여 제동하는 디스크형 브레이크(Disc Type Brake)가 있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패드로 양측으로부터 조여주어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디스크를 강하게 조이는 패드는 피스톤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는 데, 패드와 피스톤은 캘리퍼 라는 부품에 의하여 외측에서 감싸지듯이 수용되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도 이다.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살펴보면, 원판형상의 디스크(2)와; 상기 디스크(2)의 외측에서 디스크(2)를 잡아주어서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브레 이크패드(200)와; 상기 브레이크패드(200)에 외측으로 설치되어 수평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피스톤(6)과; 상기 피스톤(6)에 압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브레이크파이프(8)와; 상기 브레이크파이프(8), 피스톤(6) 및 브레이크패드(200)를 외측에서 고정하도록 하는 캘리퍼(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패드(200)는, 금속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 패드고정체(202)와; 상기 패드고정체(202)에 일체로 부착되어져 디스크(2)에 가압력을 가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패드부(2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드고정체(202)의 외측에는 차량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노이즈쉼(300)을 부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쉼(300)의 외측에는, 패드고정체(202)에 형성된 걸림홈(206)에 걸림턱(402)이 걸려져서 조립되는 커버쉼(400)을 부착하는 것으로서, 이 커버쉼(400)은, 상기 피스톤(6)이 접촉되어져서 노이즈쉼(300)을 통하여 패드고정체(202)로 전달되어지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이즈쉼(300)은, 금속판에 외측으로 연질을 수지재로서 노이즈가 피스톤(6)을 통하여 캘리퍼(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면지를 분리하고서 내측에 형성되는 접착제로 노이즈쉼(300)을 패드고정체(202)에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패드고정체(202)에는, 끼움돌기(208)가 형성되어져서 노이즈쉼(300)에 형성된 끼움공(302)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쉼(400)은, 녹이 쓸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드고정체(202)에는 금속재 판재를 구부려서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패드부(204)의 측면부에서 패드고정체(202)로 부터 약간 돌출 형성되는 브레이크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져서 상기 패드고정체(202)의 패드부(204)가 기준치이상 마모되는 경우, 브레이크센서가 디스크(2)에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마찰음을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패드에셈블리(A)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고정체(202)에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 및 브레이크센서(미도시)를 장착하고 난 후에 장착이 제대로 이루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구분하여 불량품을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조되는 패드어셈블리(A)의 개수가 많은 경우, 검사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려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판에 대하여 수평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이송판에 대하여 상,하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로 동작하는 전면이송판을 구비하여, 이 전면이송판의 전면에서 제1,제2프로브수단인 제1,제2레일을 따라서 좌,우로 동작하는 제1,제2이송아암에 제1,제2프로브를 장착하여 브레이크패드에서 패드고정체, 노이즈쉼, 커버쉼 및 브레이크센서 등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로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에 대하여 높이값이 맞는 지를 판단하여 오 조립 여부를 자동화공정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검사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패드부를 부착하는 금속재질의 패드고정체와; 상기 패드고정체에 접착되어 차량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노이즈쉼과; 상기 노이즈쉼을 통하여 패드고정체로 전달되어지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커버쉼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받침판에 결합된 지지대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놓여진 수평이송판을 수평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수평이송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하로 절개되는 안내홈을 형성하는 배면이송판과; 상기 배면이송판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이송판을 수직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는 수직이송수단과; 상기 전면이송판에 고정되어져서 패드안치판에 안치된 패드어셈블리의 노이즈쉼, 커버쉼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로 좌,우 양측에서 측정하여 조립 상태의 정확성을 검사하도록 각각 수평으로 동작하는 제1,제2프로브수단과; 상기 제1,제2프로브를 사용하여 노이즈쉼과 커버쉼의 높이가 패드고정체에 대하여 기준치이상인 지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부로 알려주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수평이송판에 결합되어져서 회전하는 수평나사축과; 상기 수평나사축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 되어지는 암나사부재와; 상기 수평나사축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져서 암나사부재에 대하여 수평나사축이 회전하여 상기 수평이송판을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조절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수단은, 배면이송판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진 실린더고정부재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재에 고정되어져서 실린더축을 상,하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하실린더와; 상기 상,하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하부에어공급관에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실린더축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배면이송판의 안내홈을 따라서 승강하여 전면이송판을 상,하로 동작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상기 실린더축 사이에서 설치되어져 상기 제1,제2프로브가 패드어셈블리에 접촉되어지면서 받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실린더축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져서 상기 연결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은, 상기 전면이송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제2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의 안내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제1,제2프로브고정부에 제1,제2프로브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1,제2이송아암과; 상기 제1,제2이송아암에 나사 결합되어져서 수평 동작시키는 제1,제2나사축과; 상기 제 1,제2나 사축을 지지하여 주는 제1,제2나사고정판 및 중간지지대와; 상기 제1,제2나사고정판의 외측에서 상기 제1,제2나사축을 회전시켜주는 제1,제2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의 제1,제2프로브는, 상기 패드어셈블리의 노이즈쉼과 커버쉼에 접촉되도록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씩 양측에서 모두 4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패드어셈블리에 브레이크센서(미도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센서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프로브를 1개 더 부가하여 모두 5개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일반적인 패드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프로브로 패드어셈블리의 높이 측정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의 구성은,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패드부(204)를 부착하는 금속재질의 패드고정체(202)와; 상기 패드고정체(202)에 접착되어 차량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노이즈 쉼(300)과; 상기 노이즈쉼(300)을 통하여 패드고정체(202)로 전달되어지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커버쉼(400)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패드(10)에 있어서, 받침판(10)에 결합된 지지대(12)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14)과; 상기 베이스판(14)에 놓여진 수평이송판(24)을 수평가이드레일(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송수단(20)과; 상기 수평이송판(24)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하로 절개되는 안내홈(46)을 형성하는 배면이송판(26)과; 상기 배면이송판(26)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이송판(60)을 수직가이드레일(42)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는 수직이송수단(30)과; 상기 전면이송판(60)에 고정되어져서 패드안치판(64)에 안치된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 커버쉼(400)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84)(104)로 좌,우 양측에서 측정하여 조립 상태의 정확성을 검사하도록 각각 수평으로 동작하는 제1,제2프로브수단(70)(90)과;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를 사용하여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높이가 패드고정체(202)에 대하여 기준치이상인 지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부(120)로 알려주는 제어부(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수단(20)은, 상기 수평이송판(24)에 결합되어져서 회전하는 수평나사축(22)과; 상기 수평나사축(22)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베이스판(14)에 설치되어지는 암나사부재(18)와; 상기 수평나사축(22)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져서 암나사부재(18)에 대하여 수평나사축(22)이 회전하여 상기 수평이송판(24)을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조절핸들(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수단(30)은, 배면이송판(26)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진 실린더고정부재(31)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재(31)에 고정되어져서 실린더축(44)을 상,하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하실린더(32)와; 상기 상,하실린더(32)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하부에어공급관(34)(36)에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3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8)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공급부(40)와; 상기 실린더축(44)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배면이송판(26)의 안내홈(46)을 따라서 승강하여 전면이송판(60)을 상,하로 동작하는 연결축(58)과; 상기 연결축(58)과 상기 실린더축(44) 사이에서 설치되어져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가 패드어셈블리(A)에 접촉되어지면서 받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50)은, 상기 실린더축(44)에 고정되는 체결부재(52)와; 상기 체결부재(52)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축(58)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58)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체(54)와; 상기 고정체(5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져서 상기 연결축(58)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은, 상기 전면이송판(6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제2이송레일(72)(92)과; 상기 이송레일(72)(92)의 안내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제1,제2프로브고정부(82)(102)에 제1,제2프로브(84)(104)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1,제2이송아암(80)(100)과; 상기 제1,제2이송아암(80)(100)에 나사 결합되어져서 수평 동작시키는 제1,제2나사축(78)(98)과; 상기 제 1,제2나사축(78)(98)을 지지하여 주는 제1,제2나사고정판(74)(94) 및 중간지지대(62)와; 상기 제1,제2나사고정판(74)(94)의 외측에서 상기 제1,제2나사축(78)(98)을 회전시켜 주는 제1,제2핸들(76)(9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의 제1,제2프로브(84)(104)는, 상기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에 접촉되도록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씩 양측에서 모두 4개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패드어셈블리(A)에 브레이크센서(미도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센서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프로브를 1개 더 부가하여 모두 5개를 설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가 4개 또는 5개가 설치된다는 것은, 실시예로 보여주는 것이고, 프로브(84)(10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는, 자체적으로 스프링을 보유하여 탄성적으로 압축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어셈블리(A)는, 상기 패드안치판(64)에 하나씩 공급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공급하여 측정하여 검사한 후, 자동으로 이송하도록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조립상태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게 되면, 상기 패드어셈블리(A)를 구성하기 위하여 패드부(204)가 고정 설치된 패드고정체(202)의 일측에 이면지를 떼어낸 노이즈쉼(300)의 접착부분을 패드고정체(202)에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고정체(202) 노이즈쉼(300)을 접착한 후, 노이즈쉼(300)의 외측면에 커버쉼(400)의 상,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402)을 걸어주어서 조립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된 패드어셈블리(A)를 패드안치판(64)에 안치하고서 패드고정체(202)에 설치된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조립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본 검사장치의 수평위치와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 패드어셈블리(A)는 차량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사이즈가 다양하므로 어떤 차량에 적용되는 패드어셈블리(A)를 검사하는 지 여부에 따라 미리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패드어셈블리(A)에서 조립 시, 발생되는 불량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노이즈쉼(300) 또는 커버쉼(400)을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에서 이면지를 분리하고서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이 한 개 이상씩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이 오 조립 됐는지 여부, 패드고정체(202)에 센서(미도시)가 오 조립 됐는지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오 조립이 발생되어진다.
상기한 오 조립은, 상기 패드고정체(202)에 조립된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이 좌우 양측에서 제1,제2프로브(84)(104)로 측정하여 기준치에 해당하는 값이 벗어난 높이를 가지면,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오 조립이라는 것을 제어부(110)에서 판단하여 알림부(120)에서 작업자에게 스피커와 같은 음성장치 혹은 모니터와 같은 디스프레이장치로 오 조립을 알려주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패드어셈블리(A)에 대하여 제1,제2프로브수단(70)(9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수평이송수단(20)인 조절핸들(21)을 회전하여 암나사부재(18)에 대하여 수평나사축(22)을 회전하면, 나사결합에 의하여 수평나사축(22)이 일체로 고정된 수평이송판(24)을 수평가이드레일(16)을 따라 베이스판(14)에 대하여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어셈블리(A)에 대하여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의 너비를 조절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인 제1,제2핸들(76)(96)를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 횟수 회전하도록 하면, 제1,제2나사고정판(74)(94)에 대하여 제1,제2,나사축(78)(98)이 회전하면서, 이 제1,제2나사축(78)(98)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제1,제2이송아암(80)(90)이 제1,제2이송레일(72)(92)을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제2나사축(78)(98)은, 중간지지대(62)에 대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별도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제2이송아암(80)(90)은, 별도로 분리되어져서 개별적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수단(20) 및 제1,제2프로브수단(70)(90)으로 제1,제2프로브(84)(104)의 패드어셈블리(A)에 대한 위치를 맞추어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안치판(64)에 안치된 패드어셈블리(A)에 대하여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오 조립의 검사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수직이송수단(30)인 에어공급부(40)에서 에어를 공급하여 솔레노이드밸브(38)에 서 상부에어공급관(34)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하실린더(32)의 실린더축(32)을 하부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축(32)에 결합된 완충수단(50)의 고정체(54)에 고정된 연결축(58)이 배면이송판(26)의 안내홈(46)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 연결축(58)이 고정된 전면이송판(60)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이송아암(80)(100)에 고정된 제1,제2프로브(84)(104)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고정체(202)에 조립된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에 각각 하나씩 좌,우 양측으로 모두 4개가 동시에 접촉되어지면서, 제어부(110)에서 기준치에 대하여 수치가 정확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부(120)에서 모니터의 화면 혹은 스피커의 음성 등으로 작업자에게 오류 여부를 알려주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패드어셈블리(A)에서 조립 시, 발생되는 불량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노이즈쉼(300) 또는 커버쉼(400)을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에서 이면지를 분리하고서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이 한 개 이상씩 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이 오 조립 됐는지 여부, 패드고정체(202)에 브레이크센서(미도시)가 오조립 됐는지 여부,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일부분이 오 조립 됐는지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상태의 오 조립이 발생되어지고, 이 오 조립 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제2프로브(84)가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에 접촉되면서 받는 충격은 상기 연결축(58)이 완충수단(50)인 고정체(54)를 따라서 상승하여 스프링(56)을 압축하여 완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높이를 측정한 후에 다른 패드어셈블리(A)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을 상승하고자 한다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8)에서 하부에어공급관(36)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축(44)를 상승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오 조립을 자동적으로 검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조립상태 검사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베이스판에 대하여 수평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이송판에 대하여 상,하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로 동작하는 전면이송판을 구비하여, 이 전면이송판의 전면에서 제1,제2프로브수단인 제1,제2레일을 따라서 좌,우로 동작하는 제1,제2이송아암에 제1,제2프로브를 장착하여 브레이크패드에서 패드고정체, 노이즈쉼, 커버쉼 및 브레이크센서 등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로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에 대하여 높이값이 맞는 지를 판단하므로 오 조립 여부를 자동화공정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검사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6)

  1.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패드부(204)를 부착하는 금속재질의 패드고정체(202)와; 상기 패드고정체(202)에 접착되어 차량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노이즈쉼(300)과; 상기 노이즈쉼(300)을 통하여 패드고정체(202)로 전달되어지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커버쉼(400)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패드(10)에 있어서,
    받침판(10)에 결합된 지지대(12)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판(14)과;
    상기 베이스판(14)에 놓여진 수평이송판(24)을 수평가이드레일(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송수단(20)과;
    상기 수평이송판(24)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하로 절개되는 안내홈(46)을 형성하는 배면이송판(26)과;
    상기 배면이송판(26)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이송판(60)을 수직가이드레일(42)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는 수직이송수단(30)과;
    상기 전면이송판(60)에 고정되어져서 패드안치판(64)에 안치된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 커버쉼(400)의 높이를 제1,제2프로브(84)(104)로 좌,우 양측에서 측정하여 조립 상태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제1,제2프로브수단(70)(90)과;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를 사용하여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의 높이가 패드고정체(202)에 대하여 기준치이상인 지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작업 자에게 알림부(120)로 알려주는 제어부(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20)은, 상기 수평이송판(24)에 결합되어져서 회전하는 수평나사축(22)과; 상기 수평나사축(22)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베이스판(14)에 설치되어지는 암나사부재(18)와; 상기 수평나사축(22)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져서 암나사부재(18)에 대하여 수평나사축(22)이 회전하여 상기 수평이송판(24)을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조절핸들(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수단(30)은, 배면이송판(26)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진 실린더고정부재(31)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재(31)에 고정되어져서 실린더축(44)을 상,하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하실린더(32)와; 상기 상,하실린더(32)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하부에어공급관(34)(36)에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3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8)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공급부(40)와; 상기 실린더축(44)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배면이송판(26)의 안내홈(46)을 따라서 승강하여 전면이송판(60)을 상,하로 동작하는 연결축(58)과; 상기 연결축(58)과 상기 실린더축(44) 사이에서 설치되어져 상기 제1,제2프로브(84)(104)가 패드어셈블리(A)에 접촉되어지면서 받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완충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50)은, 상기 실린더축(44)에 고정되는 체결부재(52)와; 상기 체결부재(52)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축(58)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58)의 상, 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체(54)와; 상기 고정체(5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져서 상기 연결축(58)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은, 상기 전면이송판(6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제2이송레일(72)(92)와; 상기 이송레일(72)(92)의 안내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제1,제2프로브고정부(82)(102)에 제1,제2프로브(84)(104)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1,제2이송아암(80)(100)과; 상기 제1,제2이송아암(80)(100)에 나사 결합되어져서 수평 동작시키는 제1,제2나사축(78)(98)과; 상기 제 1,제2나사축(78)(98)을 지지하여 주는 제1,제2나사고정판(74)(94) 및 중간지지대(62)와; 상기 제1,제2나사고정판(74)(94)의 외측에서 상기 제1,제2나사축(78)(98)을 회전시켜주는 제1,제2핸들(76)(9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프로브수단(70)(90)의 제1,제2프로브(84)(104)는, 상기 패드어셈블리(A)의 노이즈쉼(300)과 커버쉼(400)에 접촉되도록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 씩 양측에 모두 4개를 설치하여 검사하거나, 브레이크센서를 설치하는 경우, 1개를 더 부가하여 5개를 설치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KR1020040115068A 2004-12-29 2004-12-29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KR10062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68A KR100622109B1 (ko) 2004-12-29 2004-12-29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68A KR100622109B1 (ko) 2004-12-29 2004-12-29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594A KR20060076594A (ko) 2006-07-04
KR100622109B1 true KR100622109B1 (ko) 2006-09-18

Family

ID=3716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068A KR100622109B1 (ko) 2004-12-29 2004-12-29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30B1 (ko) * 2009-07-20 2015-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변위센서를 이용한 개스킷 조립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655723B1 (ko) * 2016-03-04 2016-09-2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슈 높이 측정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51B1 (ko) * 2007-04-27 2008-08-06 김영종 자동차용 이씨유 하우징의 성형 검사장치
KR100976403B1 (ko) * 2008-05-23 2010-08-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오일펌프의 검사장치
KR101395555B1 (ko) * 2013-10-15 2014-05-16 엘오엘 주식회사 다이캐스팅 핸들 높낮이 측정용 디지탈 검사구
KR102404980B1 (ko) * 2021-08-12 2022-06-07 주식회사 이노컨텍 안정적인 제품안착구조를 포함하는 제품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30B1 (ko) * 2009-07-20 2015-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변위센서를 이용한 개스킷 조립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655723B1 (ko) * 2016-03-04 2016-09-2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슈 높이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594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284B2 (en) Configurable welding table and force indicating clamp
TWI513970B (zh) 剪切試驗設備
JP6326676B2 (ja) ボンド試験機及び複数の試験ツールを含むボンド試験機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CN101176967A (zh) 轴承压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622109B1 (ko)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CN103868667B (zh) 一种汽车用板件约束模态测试夹具及方法
KR20110053679A (ko) 자동차 브레이크패드용 마찰편 공급장치
CN212180262U (zh) 一种汽车轮毂轴承综合刚度测量试验装置
KR101549050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CN109932190B (zh) 制动盘端跳检测设备
KR20080054449A (ko) 호빙머신용 지그 측정장치
KR101682012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CN112212759A (zh) 一种汽车前纵梁检测台
TWI673134B (zh) 校正裝置及校正方法
CN105067460A (zh) 自适应硬度测量机
CN109855506B (zh) 汽车驾驶舱检测检具
KR20100008974A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212806821U (zh) 一种检测用安装支架及使用其的汽车零部件检具
CN109443131B (zh) 发动机右悬置软垫组件检具
CN210625560U (zh) 一种用于机械手臂加工部件的同心度检测装置
CN111218738B (zh) 用于调节皮带张紧罗拉的接触压力的调节装置和方法
CN204374054U (zh) 一种盘式制动块消音片剥离强度试验用夹紧及固定装置
KR20010066062A (ko) 브레이크 드럼과 허브의 정밀도 측정장치
CN219495287U (zh) 一种工量具检验装置
CN210293026U (zh) 一种应用于汽车中通道的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