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839B1 -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839B1
KR100574839B1 KR1020040005125A KR20040005125A KR100574839B1 KR 100574839 B1 KR100574839 B1 KR 100574839B1 KR 1020040005125 A KR1020040005125 A KR 1020040005125A KR 20040005125 A KR20040005125 A KR 20040005125A KR 100574839 B1 KR100574839 B1 KR 10057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sensor
sensor
pneumatic cylinder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181A (ko
Inventor
최성배
안형언
Original Assignee
최성배
안형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배, 안형언 filed Critical 최성배
Priority to KR102004000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8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하거나 진동측정 시 진동센서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진동센서 압착장치로서, 진동구조물의 일측에 공압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센서를 구조물에 압착함으로써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구조물의 이상유무판단이나 혹은 진동계측을 위해 진동구조물상에 직접 진동계가 접착되어 진동이 측정되는 진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공압실린더, 로드, 압착, 진동센서

Description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An automatic device for attaching of vibration pickup and a monitoring device for vibrating structures}
도 1은 종래 가속도계부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를 도시한 장치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에서의 위치조절기구의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동구조물 110 : 진동센서
120 : 공압실린더 123 : 완충고무
122, 124 : 공압라인 125 : 솔레노이드
126 : 절연링 127 : 스프링
130 : 로드 131 : 고정구
132 : 피스톤 133 : 커플링
140 : 진동분석기 150 : 위치조절기
151 : 고정대 160 : 제어기
본 발명은 진동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하거나 진동측정시 진동센서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진동센서압착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구조물의 일측에 공압장치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압착장치이다.
최근에 차량과 같이 파워트레인부를 비롯하여 수많은 부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거나 진동구조물은 생산시의 제품이상 유무의 판단이나 혹은 정비 시 이상유무의 확인은 소음진동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부품에 대한 근접음 측정이나 진동부위에서의 진동신호의 측정은 해당부품의 이상 유무를 판 단하는 데 있어 많은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214944호에는 엔진 진단장치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조립엔진을 차체에 조립하기 전에, 시운전에 의해 각종 이음이나 이상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회전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이음을 인간의 청각에 의해 식별해 양부를 판별하기도 하고 혹은 주파수 검사를 통해 양부를 판별하기도 한다. 간단하게는 해당부품에서의 위치에 마이크로폰을 근접하여 설치하고 음압신호로부터 엔진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게 되나, 마이크에 의한 신호해석은 폭발음 및 엔진의 회전음과 같은 음압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각종 이음과 같이 음압레벨이 작은 소음은 검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진동의 직접적인 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엔진이나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대개 해당부품에 가속도계를 붙여 진동을 측정하는 방식이나 혹은 광학식 센서를 이용하게 되는데 광학식 센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진동구조물에 반사테이프를 도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가속도계를 부착하는 방식에서는 순간접착제에 의한 부착이나 혹은 접착왁스를 가속도계의 저면과 진동구조물 사이에 도포압착하게 된다. 이 때 측정부위가 오일로 오염되어 있거나 진동구조물의 온도나 습도조건이 악화되면 진동센서의 부착은 쉽지 않다. 또한 대량 생산라인에서의 제품의 불량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진동측정이 요구되나 가속도계 부착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으로 이의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가속도계 부착을 위한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1-29116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측정표면과 가속도계의 측정축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피팅하는 기구가 제안되 었다. 이러한 기구는 진동구조물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방향의 진동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한 기구로서 피팅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접착제등으로 가속도계를 부착해야 하므로 진단이나 측정을 신속하게 해야 하거나 다채널 측정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국특허공보 4,780,963에서는 접촉 측정을 하기 위한 프로브가 공개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자유로운 끝단(17)을 진동구조물(13)에 접촉하고 스타일러스(16)를 고정하는 홀더(15)에 진동이 전달된다. 시트요소(19,20)는 하우징(11)에 안착되고 센서(22)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끝단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트랙(24)에 설치된 캐리지(12)는 상기 센서유닛을 측정할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끝단과 스타일러스를 통해 진동이 전달되므로 전달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센서계가 전체 진동체의 동특성을 변형시켜 본래 진동 구조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접촉은 접촉부에서의 단락이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고주파수 영역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부품이나 진동구조물의 불량여부를 해당부품의 진동측정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진동센서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진동센서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채널 진동 측정장치에 있어서, 진동센서의 부착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진동측정시험을 단순화 시키고 정확한 측정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센서 부착장치는 자동차 차량부품, 엔진, 그 밖의 진동구조물의 생산라인에서의 제품의 이상유무나 혹은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에서는, 진동구조물의 이상유무판단이나 혹은 진동계측을 위해 진동구조물상에 직접 진동계가 접착되어 진동이 측정되는 진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하좌우 및 전후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부착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압실린더의 양 끝단에는 완충고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진동센서의 압착시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공압실린더의 일측에 스프링(127)과 절연링(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센서와 진동구조물과의 압착은 진동센서하부에 형성된 탐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진동구조물의 다채널 진동계측을 위해 진동구조물상에 직접 진동계를 접착되어 진동이 측정되는 진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대는 상하좌우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진동구조물의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진동계측에 의해 이상유무판단하는 진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 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진동분석기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어 진동구조물의 이상이 없을 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다른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센서 부착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계 자동고정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구조물(100)에 진동센서(110)을 부착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압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가속도계와 같은 진동센서는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는데, 압착된 진동센서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진동센서는 일반적으로 가속도계가 많이 사용되며 다시 가속도계는 피에조타입, 혹은 스트레인게이지 타입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계의 타입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가속도계의 부착방식에 따라 분석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나사부에 의한 접촉이 5∼7 kHz 의 주파수 대역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압착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1∼2 kHz까지 낮아지나 본 발명에 따른 공압에 의한 접착은 균일한 가압으로 인하여 3 kHz까지의 대역에서 측정가능하다.
측정된 진동신호는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140)에 연결된다. 상기 진동분석기는 차지타입가속도계의 경우 차지앰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압타입이나 다른 종류의 가속도계인 경우 해당 앰프 혹은 신호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분석기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어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진단 혹은 분석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한 알로리듬이 내장된다. 많은 경우 진동분석기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된 주파수분석기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해당 진동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센서(110)은 공압실린더(120)의 로드(130)에 작용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진동센서(110)을 진동구조물상에 압착하게 된다.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은 공압작동부(128)에 의해 작동되며 이는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기는 컴퓨터상에 내장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기(160)는 상기 진동분석기(140)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도3에서는 진동센서(110)와 로드(130)와 공압실린더(120)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의 진동센서쪽 일단은 진동센서를 고정하는 고정구(1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구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나사의 회전에 의해 센서를 고정할 수도 있고, 혹은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분석 주파수범위를 고려한다면 나사에 의한 고정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속도계가 진동구조물과 압착되는 사이에 는 끝단이 뾰족한 탐침(11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진동구조물과의 접촉은 점점촉으로 하기 위함인데, 만일 면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촉되는 부분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개 탐침은 가속도계 제작업체에서 함께 공급되는데 진동구조물과의 접착방식에 따라 탐침, 너트부, 혹은 자석부등이 공급된다. 상기 탐침과 가속도계의 부착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공압에 의해 가압하게 된다.
공압작동부(150)에서 공압라인(124)를 통해 실린더부로 공압이 공급된다. 상기 공압작동부는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펌프와 공압제어에 필요한 작동기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12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인가전압에 따라 밸브의 개폐도가 제어되는데, 상기 밸브개폐의 제어는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는 것이다. 가속도계를 구조물에 압착할 때에는 초기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안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공압제어의 일 구성요소이며 밸브개폐제어와 관련된 종래의 많은 기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공압실린더의 양끝단에는 방진완충재(123)가 개재되어 있는데, 이는 공압실린더에 피스톤이 충돌할 경우를 대비해서 완충재를 두는 것이다. 진동센서가 진동구조물에 압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의 일측면에서 가압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피스톤은 실린더 중간에 존재하게 되어 자유체(Free body)상태에 있게 된다. 즉, 공압은 정압으로써 일정하게 진동센서를 구조체에 압착하게 되고 상기 진동센서는 구조물에 압착되어 자유상태로 진동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가속도계를 부착할 때와 같은 조건으로서 비록 센서를 압착한다고 하나 진동구조체에는 로드외에 부가적인 질량이나 부가적인 스프링계가 없이 진동구조물의 변경 없이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인 질량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상기 로드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중이 낮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착을 보다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공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도4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공압실린더 내부의 일단에 스프링(127)과 절연링(126)을 개재한 것이다. 이는 진동센서가 압착상태에 있을 때 절연링은 수축된 스프링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속도계의 압착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구조물의 진동에 축방향외에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진동변위가 클 때 자유상태에 놓인 로드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으로서 도5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비록 진동센서는 축방향의 진동을 하지만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진동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클 때 축방향 이외의 진동이 실린더의 내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로드의 중단부에 축방향이외의 방향의 진동을 절연시킬 수 있는 커플링(133)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커플링은 축방향이외의 강성은 매우 작아 측방향의 진동절연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구조물의 임의 위치에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 차원 임의위치에 진동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기구(150)에 상기 공압실린 더(120) 및 진동센서(110)이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조절기구는 상하 좌우 전후 등 진동센서를 3 차원 임의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관절 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위치조절기구의 다관절은 모터에 의해 제어가능하며 이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구조물(100)의 측정위치(101)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는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공압실린더;와 상기 다수개의 공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대(151); 상기 다수개의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제2실시 예에서는 앞서 기술한 위치조절기구(15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다채널 진동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혹은 구조물의 모우드해석을 위해 진동신호를 다채널로 검출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공압라인(122)을 통해 다수의 공압실린더에 공압이 작용되고 상기 다수개의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으로 다수개의 진동센서가 동시에 구조물에 압착된다. 이 때의 진동분석기는 다채널 분석이 가능한 분석기이다. 상기 고정대가 일렬로 실린더를 고정시켰지만 다수개의 실린더가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위치의 선정에 따른 고정대에 고정된 실린더의 위치는 당해업계의 종사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하는 것 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진동센서와 일단에는 진동센서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이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는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로드의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진동분석기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어 진동구조물의 이상이 없을 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다른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를 제안한다. 제3실시 예에서는 대량생산라인에 적용되는 진단장치로서 본 발명의 주요구성인 진동센서 자동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라인에 따라 생산되는 진동구조물의 불량판정 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동분석기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어 진동구조물의 이상이 없을 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다른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기에 진동신호에 따른 불량판별 알고리듬을 내장시켜, 상기 제어기에 불량 신호가 접수되면 경고장치 혹은 생산품제거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진동신호에 이상이 없을 시는 다른 진동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진단하는 장치이다. 이는 진동구조물의 위치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진동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압착장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데 있어 센서부착이 어려운 지점에서의 진동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채널 진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진동센서의 부착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진동측정시험을 단순화 시키고 정확한 측정결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 부착장치는 자동차 차량부품, 엔진, 그 밖의 진동구조물의 생산라인에서의 제품의 이상유무나 혹은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진단하고자 할 때 소음계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흡차음공간 및 시설의 설치가 필요하였으나 이를 손쉽게 진동신호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특히 공압실린더의 단순한 설계변경, 고정구의 피스톤 및 진동센서 고정방식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8)

  1. 진동구조물의 이상유무판단이나 혹은 진동계측을 위해 진동구조물상에 직접 진동계가 접착되어 진동이 측정되는 진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100)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140)에 연결되는 진동센서(110);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131)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132)이 형성된 로드(130);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120);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작동부(128);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1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하좌우 및 전후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기구(150)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진동센서의 압착시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공압실린더의 일측에 스프링(127)과 절연링(1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의 양 끝단에는 완충고무(12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와 진동구조물과의 압착은 진동센서하부에 형성된 탐침(11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
  6. 진동구조물의 다채널 진동계측을 위해 진동구조물상에 직접 진동계를 접착되어 진동이 측정되는 진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진동센서(110);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131)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132)이 형성된 로드(130);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120);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1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하좌우 및 전후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기구(150)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진동센서의 압착시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공압실린더의 일측에 스프링(127)과 절연링(1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동센서 자동고정장치.
  7. 삭제
  8. 진동구조물의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진동계측에 의해 이상유무판단하는 진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구조물(100)의 측정위치에 압착되어 진동신호를 검출하며 진동신호 분석을 위해 진동분석기에 연결되는 진동센서(110);와 일단에는 진동센서가 고정되는 고정구(131)와 타단에는 공압이 작용하는 피스톤(132)이 형성된 로드(130);와 공압에 의해 이동되도록 피스톤을 안내하는 공압실린더(120);와 상기 공압실린더에 작용하는 공압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에 압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1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하좌우 및 전후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기구(150)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진동센서의 압착시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공압실린더의 일측에 스프링(127)과 절연링(126)이 형성되되, 상기 진동분석기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어 진동구조물의 이상이 없을 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다른 진동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KR1020040005125A 2004-01-27 2004-01-27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KR10057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25A KR100574839B1 (ko) 2004-01-27 2004-01-27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25A KR100574839B1 (ko) 2004-01-27 2004-01-27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81A KR20050077181A (ko) 2005-08-01
KR100574839B1 true KR100574839B1 (ko) 2006-05-02

Family

ID=3726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125A KR100574839B1 (ko) 2004-01-27 2004-01-27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362B1 (ko) * 2013-08-13 2014-05-12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센서 홀딩 장치
KR20220142871A (ko) * 2021-04-15 2022-10-24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고정용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7218A (zh) * 2021-05-28 2021-08-17 安徽鑫洋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实时监控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362B1 (ko) * 2013-08-13 2014-05-12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센서 홀딩 장치
KR20220142871A (ko) * 2021-04-15 2022-10-24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고정용 홀더
KR102530242B1 (ko) 2021-04-15 2023-05-09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고정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81A (ko)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1065B2 (ja) 取り付け動作を監視する手段を有する取り付け工具
US7869971B2 (en) Safety valve testing
JP5751867B2 (ja) 切換え可能なバックラッシ制御装置を有する結合強度試験装置
EP1859184B1 (en) Safety valve testing
JPS6134613B2 (ko)
CN104266749A (zh) 一种车用发电机nvh下线检测装置及其方法
CN105334052A (zh) 一种主减速器总成质量检测方法
JP200552774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摩耗部分および/または機能部分の機能性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574839B1 (ko)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KR20090126484A (ko) 진동신호를 이용한 엔진 조립불량 검출방법 및진동측정장치
US5728937A (en) Arrangement for testing the material of formed parts
WO2007107725A1 (en) Sensor determination of safety valve condition rating
JP2013029422A (ja) 運動体の異常診断装置
CN212059855U (zh) 多磁体粘接力检测装置
KR100418117B1 (ko) 차량 진동구조물의 이상 진단장치
KR20060099793A (ko)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와 방법
CN220339622U (zh) 一种用于卡钳钳体与导向销法向刚度检测的装置
CN106289779A (zh) 一种轴承试验机中振动传感器安装装置
KR101888591B1 (ko) 소음 측정장치
CN117968957A (zh) 一种高压加氢站的阀门快速检测系统和检测方法
JPH08210909A (ja) 電気機器の動作異音検出装置
CN214749317U (zh) 一种试验机远端智能控制预警平台
JP6356471B2 (ja) ガススプリングの充填状態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219588735U (zh) 油气管道漏点无损检测仪
JP7356956B2 (ja) 異常予兆診断装置およびその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