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02A -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02A
KR20170060602A KR1020160157787A KR20160157787A KR20170060602A KR 20170060602 A KR20170060602 A KR 20170060602A KR 1020160157787 A KR1020160157787 A KR 1020160157787A KR 20160157787 A KR20160157787 A KR 20160157787A KR 20170060602 A KR20170060602 A KR 2017006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area
patent document
drop
dro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499B1 (ko
Inventor
윤정호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트인텔리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트인텔리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트인텔리전스
Publication of KR2017006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02A/ko
Priority to KR102018011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특허문헌을 빠르고 쉽게 기술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음으로써, 특허분석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for patent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많은 특허를 빠르고 쉽게 분류할 수 있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보호의 수단으로서 지적재산권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특허 출원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관련 기술분야나 경쟁사 등에 대한 전세계 특허에 대한 분석업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정보의 데이터화로 인하여 많은 특허에 대한 분석업무가 가능해졌으나, 급증하고 있는 수많은 특허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여전히 쉬운 업무가 아니다.
종래의 특허를 분류하거나 저장할 때마다 팝업이나 레이어 등을 호출하는 방식으로는 분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빠르게 많은 특허를 검토하여 원하는 위치에 저장하거나, 원하는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특허문헌을 빠르고 쉽게 기술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음으로써, 특허분석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팝업이나 레이어 등으로 특허문헌을 저장하고 분류하는 방식은 새로운 브라우저의 실행이나 로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하나의 폴더에만 저장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특허문헌을 원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업무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새로운 화면에서 저장이나 분류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자는 한 번에 1개의 분류밖에 분류할 수 없고, 1개의 분류에 해당하는 특허 외의 특허문헌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화면에 특허문헌의 정보영역과 폴더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면서도 드래그 앤 드롭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오분류나 오저장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특허 문헌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기술파악의 정확성도 높아질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많은 특허문헌을 다양한 기술분야로 분류하고 저장해야 하는 특허분석의 특성을 고려하여, 많은 폴더가 존재함에도 드래그 앤 드롭의 오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역간의 경계나 폴더 표시, 좌표 설정 등으로 구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면서 업무효율은 극대화시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폴더표시단계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고,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좌표결정단계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영역을 드래그한 커서가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이 색(color) 또는 폰트(font)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폴더 영역은 상기 폴더표시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폴더의 적어도 1단계 이상의 상위 폴더명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웹 상에서 구현되며, 상기 저장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에 드롭하는 경우에는 그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저장을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부;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부;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부;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부;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표시부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고, 상기 좌표결정부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특허문헌을 빠르고 쉽게 기술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음으로써, 특허분석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특허문헌을 원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업무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한 화면에 특허문헌의 정보영역과 폴더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면서도 드래그 앤 드롭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오분류나 오저장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특허 문헌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기술파악의 정확성도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많은 특허문헌을 다양한 기술분야로 분류하고 저장해야 하는 특허분석의 특성을 고려하여, 많은 폴더가 존재함에도 드래그 앤 드롭의 오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역간의 경계나 폴더 표시, 좌표 설정 등으로 구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면서 업무효율은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의 화면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로드단계(S10); 폴더생성단계(S20); 특허문헌표시단계(S30); 폴더표시단계(S40); 및 저장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로드단계(S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단계이다. 상기 특허문헌은 발명의 명칭, 요약, 청구항, 명세서, 도면뿐만 아니라, 서지정보와 관련정보 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지정보는 국가, 출원인, 출원일, 발명자, 권리자, 특허분류코드 등 특허에 관한 모든 서지(bibliography)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관련정보는 인용정보, 패밀리정보, 법적상태, 심판정보, 라이센스 여부 등의 요약, 청구항 또는 명세서 중 적어도 하나와 서지정보를 제외한 해당 특허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폴더생성단계(S20)는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폴더는 특별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저장공간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아이콘이나 영역의 형태이면 무방하다.
상기 폴더는 사용자가 임의로 폴더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기술분야, 기업명, 과제명, 고객명, 제품명 또는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 입력함으로써, 저장, 분류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는 특허문헌 전부 또는 일부,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기 위한 식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영구적 저장형태로 저장하거나, 일시적으로 분류만을 위하여 캐시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는 사용자가 미리 즐겨찾기 형식으로 저장한 폴더를 불러오는 형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특허문헌표시단계(S30)는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이는 특허를 이해하고 판별하기 위한 특허문헌의 다양한 구별항목, 즉, 발명의 명칭, 요약, 청구항, 명세서, 도면뿐만 아니라, 서지정보와 관련정보 일체를 말한다.
다만, 사용자의 빠른 특허분류 및 검토를 위하여, 한 화면에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청구항을 독립항만 표시하고, 펼치기 형태로 종속항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구별항목의 중요도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구별하고, 그 중요도별로 표시하는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고, 구획을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정보에 추가로 해당 특허문헌의 등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사용자 설정등급을 사용자가 해당 특허문헌을 폴더에 저장할 때에 같이 폴더에 저장되도록 구성하여, 기술분류 뿐만 아니라, 특허문헌별 중요도도 한 번에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폴더표시단계(S40)는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에 사용자가 드롭함으로써, 해당 특허가 저장되거나 분류되는 것이다.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분류시에 많은 폴더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많은 폴더를 드래그 앤 드롭으로 구별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오저장을 막기 위하여, 폴더별 경계부분을 드롭 불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실제로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빠르게 드래그 앤 드롭을 수행하면서도 오저장 확률을 현저히 낮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정보 영역을 드래그한 커서가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이 색(color) 또는 폰트(font)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어떠한 폴더에 저장하는 지를 시각적으로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오저장이나 오분류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폴더표시단계(S40)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을 수 있다. 즉, 드래그 앤 드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폴더별 최적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좌표결정단계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선순위는 폴더의 생성순서, 알파벳이나 한글, 숫자의 오름/내림차순 또는 사용자 설정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폴더를 행과 열로 구분함으로써, 폴더 수가 많아지더라도 최소한의 폴더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특허문헌의 더 많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래그 앤 드롭 이동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S30)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더 영역과 정보 영역이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폴더에 설정된 단축키와 같은 번호나 문자를 입력하여 바로 해당 폴더에 분류 또는 저장되므로 업무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더 영역은 상기 폴더표시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폴더의 적어도 1단계 이상의 상위 폴더명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한 화면에서 다양한 폴더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이동할 수 있어서 계층적 기술분류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저장단계(S50)는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드래그 가능영역은 서지정보가 기재된 영역이나 아이콘 형식의 별도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문헌정보의 가독성이나 스크랩 등에 대한 사용자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폴더 영역과의 거리르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웹 상에서 구현되며, 상기 저장단계(S5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에 드롭하는 경우에는 그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저장을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보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오저장이나 오작동 확률을 현저히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10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드부(10); 폴더생성부(20); 특허문헌표시부(30); 폴더표시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역할을 하며,
로드부(1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폴더생성부(20)는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특허문헌표시부(30)는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며, 폴더표시부(40)는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50)는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더표시부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고, 상기 좌표결정부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100)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특허 라이센스 대상기업 예측시스템
10: 데이터 저장부
20: 입력부
30: 기준 데이터모델 생성부
40: 예측 데이터모델 생성부
50: 출력부
60: 경쟁기업 데이터 생성부

Claims (13)

  1.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표시단계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결정단계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영역을 드래그한 커서가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이 색(color) 또는 폰트(font)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영역은 상기 폴더표시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폴더의 적어도 1단계 이상의 상위 폴더명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웹 상에서 구현되며, 상기 저장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폴더의 드롭 가능영역에 드롭하는 경우에는 그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저장을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리는 액션이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10.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부;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부;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부;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부;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영역과 상기 폴더 영역은 분리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각각이 자신만의 드롭 가능영역을 확보하고, 상기 폴더 영역은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거나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롭 가능영역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의 일정 영역에서는 드롭 불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드롭 가능영역과 드롭 비가능영역이 공존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롭 비가능영역을 상기 폴더 각각의 드롭 가능영역간의 경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표시부는, 상기 폴더 각각은 상기 폴더 영역 내에서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에 따라 배열되는 좌표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좌표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갖고,
    상기 좌표결정부에서, 상기 폴더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폴더를 기준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폴더는 행과 열과 구분되어 좌표가 결정되며,
    상기 좌표값 각각에 상이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허문헌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특허문헌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폴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13.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특허문헌을 로드하는 로드단계;
    상기 특허문헌을 저장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폴더생성단계;
    상기 특허문헌 내 구별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특허문헌표시단계;
    상기 폴더를 폴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폴더표시단계; 및
    상기 정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래그 가능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폴더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드롭 가능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57787A 2015-11-24 2016-11-24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95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381A KR102622260B1 (ko) 2016-11-24 2018-09-27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5089 2015-11-24
KR1020150165089 2015-11-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381A Division KR102622260B1 (ko) 2016-11-24 2018-09-27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02A true KR20170060602A (ko) 2017-06-01
KR101954499B1 KR101954499B1 (ko) 2019-03-06

Family

ID=5922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787A KR101954499B1 (ko) 2015-11-24 2016-11-24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968A (ko) 2020-08-26 2022-03-07 (주)한림아이피에스 특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671A (ja) * 2003-05-19 2004-01-08 Nec Electronics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50086052A (ko) * 2004-02-24 2005-08-30 (주)윕스 인터넷을 이용한 특허검색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033261A (ko) * 2005-07-13 2008-04-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리치 드래그 드롭 사용자 인터페이스
JP4222039B2 (ja) * 2003-01-29 2009-02-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文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文書管理装置
KR101500294B1 (ko) * 2014-02-14 2015-03-11 엠앤에스시스템 주식회사 특허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5076064A (ja) * 2013-10-11 2015-04-2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憶媒体
KR20150063898A (ko) * 2013-12-02 2015-06-10 조성민 문서 파일 분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2039B2 (ja) * 2003-01-29 2009-02-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文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文書管理装置
JP2004005671A (ja) * 2003-05-19 2004-01-08 Nec Electronics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50086052A (ko) * 2004-02-24 2005-08-30 (주)윕스 인터넷을 이용한 특허검색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033261A (ko) * 2005-07-13 2008-04-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리치 드래그 드롭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5076064A (ja) * 2013-10-11 2015-04-2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憶媒体
KR20150063898A (ko) * 2013-12-02 2015-06-10 조성민 문서 파일 분류방법
KR101500294B1 (ko) * 2014-02-14 2015-03-11 엠앤에스시스템 주식회사 특허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499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193B2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US10275152B2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JP4936753B2 (ja) 単語または文字の境界ベースのスクラッチアウトジェスチャ認識
US9501219B2 (en) 2D line data cursor
US20080111826A1 (en) Displaying resources using multiple visualization dimensions
US8963873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program
JP6426417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547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values from multiple interface elements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8634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put-proximate and context-based menus
KR101954499B1 (ko)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23138764A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KR102023334B1 (ko) 특허분류방법 및 시스템
US20180052589A1 (en) User interface with tag in focus
EP3156883A1 (en) Input device, document input system, document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180109799A (ko) 특허 필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6252296B2 (ja) データ識別方法、データ識別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識別装置
JP671120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40229867A1 (en) User interface (ui) creation support system, ui cre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CN115004262B (zh) 处理手写中列表的方法和计算装置
JP5402936B2 (ja) Gui評価システム、gui評価方法およびgui評価用プログラム
KR101964838B1 (ko) 작업 정보 제공 장치, 작업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US9489369B2 (en) Spread sheet application having multidimensional cells
JP2009288994A (ja) 帳票出力管理装置及び帳票出力管理方法
JP7496699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