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961A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9961A KR20170059961A KR1020170065231A KR20170065231A KR20170059961A KR 20170059961 A KR20170059961 A KR 20170059961A KR 1020170065231 A KR1020170065231 A KR 1020170065231A KR 20170065231 A KR20170065231 A KR 20170065231A KR 20170059961 A KR20170059961 A KR 201700599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tasteride
- composition
- weight
- oil
- surfact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 A61K47/4821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52—Proteins, e.g. albumin
- A61K9/5057—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알파 환원 효소 억제제인 두타스테라이드의 난용성을 개선하고 경구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제제의 크기가 작고 안정성 및 생체 이용률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제에 관한 것이다.
아자 스테로이드계 화합물은 중요한 제약학적 활성 화합물 중 하나로, 그 중 특히 5-알파 환원 효소 억제제인 하기 화학식 1의 두타스테라이드(화학명: 17β-N-(2,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4-아자-5α-안드로스트-1-엔-3-온)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및 남성형 탈모증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5565467호 참조).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9/0069364호에서는 두타스테라이드의 용해도가 에탄올에서 4.4g/100g, 이소프로판올에서 3.06g/100g, 캅물 MCM NF(Capmul MCM NF)에서 2.75g/100g, 프로필렌글리콜에서 1.34g/100g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두타스테라이드는 현재 상품명 아보다트(AVODART®)로 시판되고 있으며, 아보다트는 0.5mg의 두타스테라이드를 349.5mg의 카프릴/카프르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오일과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HT)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연질캡슐 안에 충전한 제품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및 남성형 탈모증 치료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부형제의 양이 활성성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아 연질 캡슐의 부피가 커져 복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일에 약물을 단순히 녹인 아보다트보다 부피가 작으면서도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자가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활성성분인 두타스테라이드에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구성하면 수용액 상에서 활성성분이 유화되어 안정한 에멀젼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가용화가 크게 향상되어 적은 양의 부형제를 사용하여도 기존의 아보다트보다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액 상에서 안정하게 유화되어 안정한 에멀젼 상태로 존재하고 더 적은 부형제의 사용으로도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1 내지 1중량%, 오일 50 내지 95중량% 및 계면활성제 4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 시스템(Self-emulsifying drug system)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 시스템 조성물은 두타스테라이드 제제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제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복용편리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수용액 상에서 안정하게 유화되어 안정한 에멀젼 상태로 존재하여 우수한 생체 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 및 대조군의 경구 투여시 비글 견의 생체 이용률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4의 조성물 및 대조군의 경구 투여시 랫트의 생체 이용률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4의 조성물 및 대조군의 경구 투여시 랫트의 생체 이용률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은 물과 혼합하여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됨으로써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1 내지 1중량%, 오일 50 내지 95중량% 및 계면활성제 4 내지 40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3 내지 0.6중량%, 오일 70 내지 85중량% 및 계면활성제 14 내지 28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되는 두타스테라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타스테라이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부형제의 양이 증가하여 캡슐의 질량이 커져 복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성분의 용해가 어렵고 연질캡슐로 만들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타스테라이드는 1회 투여량이 0.5 mg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계면활성제와 잘 혼화되고 수중에서 유화되어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며 활성성분인 두타스테라이드에 대한 충분한 용해도를 갖는 것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오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① 지방산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카프릴/카프르산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류(상품명: Capmul MCM)
②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중급의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분별된 코코넛 오일(상품명: 카프리올)
③ 지방산과 1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20개의 지방산과 탄소수 2 내지 3개의 1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리놀리에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 및
④ 유리지방산류,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오일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주성분을 충분히 녹이지 못하여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제제의 유화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Capmul MCM 오일을 이용하여 두타스테라이드의 용해도를 조사해본 결과, 두타스테라이드 0.5mg을 녹이는데 필요한 최소의 오일의 양이 32mg으로 측정되었으며 전체 사용되는 오일의 양은 50mg을 초과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연질캡슐의 크기를 고려할 때 100mg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두타스테라이드 0.5mg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오일의 함량은 50mg 내지 100mg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는 오일 성분을 수중에서 안정하게 유화시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트윈(tween)류, 스판(Span)류, 라브라솔(Labrasol), Brij, Myrj, 폴리옥실 캐스터 오일과 같은 캐스터 오일류, 크레모포어(Cremophor) 또는 수소화된 크레모포어와 같은 치환된 캐스터 오일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플루로닉(Pluronic))류, 카프릴/카프르산 모노- 또는 디-글레세라이드(상품명: 임비톨(Imwitor))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캐스터 오일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류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류는 폴록사머(Poloxamer) 407, 폴록사머 188 또는 폴록사머 124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치환된 캐스터 오일류는 수소 치환된 캐스터 오일인 HCO-50(PEG50 Hydrogenated caster oil) 또는 폴리옥시에틸 치환된 캐스터 오일(Polyoxyethylated castor oil)인 크레모포어® EL(Cremophor® E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4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4중량% 미만이면 에멀젼의 형성능력이 떨어지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되는 양에 비해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구성성분의 비율은 중량비율로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계면활성제가 1: 100-500: 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 160: 60이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은 성상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상 안정화제는 활성 성분에 대해 제제화에 적합한 용해도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성상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어, 제제의 보존 중에도 층분리 및 침전의 발생을 막고 조성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성상 안정화제는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상품명: 트랜스큐톨(transcutol)), 디메틸 이소소르비드(상품명: 아라졸브(Arlasolve)),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에서 성상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구 투여용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항산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로는 친유성인 토코페롤 및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친수성인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및 피로아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은 두타스테라이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1일 투여량(성인의 경우, 1회 0.5 mg씩 1일 1회 투여가 통상적이다)이 투여되도록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적절히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 및 교반함으로써 균질하게 용해시켜 액상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기에 성상 안정화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캡슐 제제는 본 발명의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조공정에 따라 캡슐, 바람직하게는 연질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은, 0.5mg의 두타스테라이드를 349.5mg의 카프릴/카프르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오일과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HT)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제조한 큰 부피를 갖는 기존의 아보다트와 비교해볼 때, 0.5mg의 두타스테라이드를 110mg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제조하여도 수용액 상에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여 높은 용출률을 나타냄으로써 제제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켜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혹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면서 기존의 아보다트보다 향상된 생체 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의 두타스테라이드를 Capmul MCM 오일에 용해시킨 후, 표 1에 기재된 나머지 성분을 가해 녹여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자가유화에멀젼제)을 얻었다.
성 분 | 함량 (mg/제제) |
두타스테라이드 | 0.5 |
Capmul MCM | 80 |
HCO-50 | 30 |
상기에서 제조된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연질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젤라틴, 가소제 등을 함유하는 연질캡슐의 제조 성분(1캡슐(65mg)당 젤라틴 41mg, 글리세린 23mg 및 글라이신 0.5mg)을 이용하여 통상의 피막 제조방법에 따라 피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타리식 자동 충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전방법으로 2 라운드(round)에 리본(ribbon) 두께 0.65mm로 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충전하고, 이를 성형한 후 건조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을 이용하여, 두타스테라이드를 Capmul MCM 오일에 용해시킨 후, 나머지 성분을 가해 녹여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자가유화에멀젼제)을 얻었다.
성 분 | 함량 (mg/제제) |
두타스테라이드 | 0.5 |
Capmul MCM | 90 |
HCO-50 | 20 |
상기에서 제조된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연질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그에 해당하는 함량을 이용하여 두타스테라이드를 Capmul MCM 오일에 용해시킨 후, 나머지 성분을 가해 녹여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자가유화에멀젼제)을 얻었다.
성 분 | 함량 (mg/제제) |
두타스테라이드 | 0.5 |
Capmul MCM | 80 |
Cremophor EL | 30 |
상기에서 제조된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연질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8
하기 표 4에 기재된 함량을 이용하여, 두타스테라이드를 Capmul MCM 오일에 용해시킨 후, 나머지 성분을 차례로 가해 녹여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자가유화에멀젼제)을 얻었다.
함량 (mg/제제)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두타스테라이드 | 0.5 | 0.5 | 0.5 | 0.5 | 0.5 |
Capmul MCM | 100 | 100 | 100 | 100 | 100 |
폴록사머 407 | 10 | - | - | 10 | 10 |
폴록사머 188 | - | 10 | - | - | - |
폴록사머 124 | - | - | 10 | - | - |
물 | 3 | 3 | 3 | - | - |
에탄올 | - | - | - | 3 | - |
글리세린 | - | - | - | - | 3 |
상기에서 제조된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연질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 및 그에 해당하는 함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슐 제제를 제조하였다.
함량 (mg/제제)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두타스테라이드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Capmul MCM | 80 | 80 | 80 | 80 | 80 | 80 | 80 |
Labrasol | 30 | - | - | - | - | - | - |
Tween 80 | - | 30 | - | - | - | - | - |
Span 20 | - | - | 30 | - | - | - | - |
Imwitor | - | - | - | 30 | - | - | - |
Brij | - | - | - | - | 30 | - | - |
Myrj | - | - | - | - | - | 30 | - |
Arlasolve | - | - | - | - | - | - | 30 |
시험예 1: 입자 크기 측정 시험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의 입자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얻어진 자가유화에멀젼 예비농축액을 증류수에 100배 희석한 후 입자측정기인 Nanophox(Sympatec, 독일)을 사용하여 유체 내에서의 입자의 유동을 광학적인 방법으로 관찰하는 교차식 광자상관분석(Photon Cross Coreelation spectroscopy, PCCS) 원리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입자 크기(nm) | |
실시예 1 | 14.3 ± 2.1 |
실시예 2 | 17.2 ±1.9 |
실시예 3 | 18.5 ± 2.4 |
비교예 1 | 248.7 ± 17.0 |
비교예 2 | 230.7 ± 15.9 |
비교예 3 | 228.7 ±11.9 |
비교예 4 | 168.9 ± 8.8 |
비교예 5 | 80.9 ± 7.4 |
비교예 6 | 85.3 ± 6.8 |
비교예 7 | 218.8 ± 16.1 |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이 비교예들에 비해 훨씬 작은 입자 크기를 나타내어 입자경이 작은 에멀젼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용출 비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3, 및 비교예 1, 3 및 5에서 제조된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에 대한 용출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하기 조건에 따라 두타스테라이드의 HPLC(HITACHI, Model 2000, 일본) 분석 및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용출률(%)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아보다트(Avodart)를 이용하였다.
<HPLC 조건>
컬럼: Zorbax SB-phenyl 컬럼(4.6mm x 15mm, 3.5μm)
유속: 1.0 mL/분
컬럼 온도: 40℃
이동상: 아세토니트릴 : 정제수 = 6 : 4 (v/v)
주입량: 100μL
분석파장: 210nm
<용출시험 조건>
시험 방법: 대한약전 8개정의 용출시험법 제2법
시험액: 정제수
시험액 온도: 37.5 ℃
교반속도: 50rpm
실시예 1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3 | 비교예 5 | 아보다트 | |
15분 | 81.6 | 80.2 | 2.3 | 1.9 | 24.4 | 0 |
30분 | 88.6 | 86.3 | 3.1 | 2.1 | 31.4 | 0 |
45분 | 91.2 | 90.2 | 4.5 | 3.0 | 34.4 | 0 |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이 우수한 용출률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난용성 약물인 두타스테라이드를 가용화시켜 용해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높은 생체이용률을 나타낼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3 :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가혹 조건(50℃ 및 75%) 하에 보관시킨 후 색의 변화 및 층의 분리, 침전의 생성여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두타스테라이드의 유연물질 발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 후 1개월 및 2개월 후에 일정량의 시료를 취한 뒤 90% 아세토니트릴(ACN)로 희석한 후 하기 조건에 따라 HPLC(HITACHI, Model 2000, 일본) 분석을 수행한 후, 주성분 대비 미지 유연물질의 피크의 백분율을 측정함으로써 두타스테라이드의 유연 물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HPLC 조건>
컬럼: Zorbax SB-C18 컬럼(4.6mm x 25mm, 5μm)
유속: 1.0mL/분
컬럼온도: 40℃
이동상: 이동상 A(인산이수소칼륨을 1.3609g을 1,000mL HPLC용 초순수에 용해한 후 10% 인산용액을 사용하여 pH 3.0으로 맞춘 것)와 이동상 B(아세토니트릴: 정제수 = 9 : 1 (v/v))를 농도구배(gradient)법으로 사용
주입량: 10 μL
분석파장: 210 nm
실시예 1 | 비교예 1 | |
층분리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침전발생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색 변화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유연물질 (주성분대비 미지 유연물질의 백분율) |
1개월 : 없음 3개월 : 없음 |
1개월 : 0.2% 3개월 : 0.5% |
상기 표 8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혹 조건 하에서도 안정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변화는 없었으나, 시간에 지남에 따라 미지의 유연물질이 증가하여 안정성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두타스테라이드의 생체 이용률 비교 평가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캡슐 제제 및 대조 제제로서 현재 시판되는 연질 캡슐 제제인 아보다트(Avodart) 0.5mg을 사용하여 두타스테라이드의 혈중 농도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동물로는 비글 견을 각 군당 5마리씩 총 1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전날 14시간 동안 미리 절식된 비글견에 두타스테라이드로서 0.5mg/개체 및 음수 40ml/개체를 경구로 투여시켰다. 경구 투여 후 0.5, 1, 2, 3, 4, 6, 8, 24, 48, 72, 144, 192 및 240시간 경과 시점에서 채혈하고, 2ml의 혈액을 항응고제(1000 IU/ml, 헤파린, 5 μl)가 들어간 튜브에 요측피정맥으로부터 반복적으로 취하였다. 수득한 혈액 시료는 원심분리(12000 rpm, 2분, Eppendorf)하고, 혈장을 분석시까지 -20℃의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액을 하기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MS 조건>
컬럼 : Water Kinetex C18 (2.1 x 50mm, 2.6μm)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1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0.1% FA) = 85/15(v/v%)
주입용량 : 5 μl
검출 : 터보 이온 분사 이온화 모드(Turbo ion spray ionization mode, positive)
두타스테라이드의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pharmacokinetic parameter)를 분석하였다. 최대 혈중농도(Cmax)와 최대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Tmax)은 혈중농도 그래프로부터 직접 구하였으며,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혈중농도 곡선 하 면적(AUC)은 사다리꼴 공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AUC *1 | Cmax *2 | Tmax *3 |
실시예 1 | 11017.98 ± 2834.30 | 148.30 ± 42.73 | 0.70 ± 0.27 |
대조 제제 | 11204.96 ± 4238.70 | 122.22 ± 43.41 | 1.90 ± 2.30 |
*1 :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혈중농도 곡선 하 면적 *2 : 최대 혈중 농도 *3 : 최대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 |
상기 표 9와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제는 대조 제제인 아보다트에 비해 제제의 크기는 더 작으면서, 약 20% 정도 증가된 생체 이용률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침전 형성 시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제제의 정제수, 인공위액(pH 1.2) 및 인공장액(pH 6.8)에 접촉시 침전 생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제제 0.1g을 정제수, 인공위액 및 인공장액 각각 10ml에 희석한 후 침전 생성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 정제수 | 인공위액 | 인공장액 |
실시예 4 | 침전 생성 않음 | 침전 생성 않음 | 침전 생성 않음 |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제는 생체 수용액과 접촉 시 침전을 일으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비교흡수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제제 및 대조 제제로서 현재 시판되는 연질 캡슐 제제인 아보다트 0.5mg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시 랫트의 생체 이용률 비교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 동물로는 스프라그-다우리계 웅성 랫트(체중 280g, 9주령)를 검체당 각각 4마리씩 사용하였으며, 이때 랫트는 우리 속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4일 이상 일정한 통상적인 랫트용 고체사료 및 물을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랫트는 48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절식 시에는 물을 자유롭게 마실 수 있게 하였다.
시험 제제 또는 대조 제제를 랫트 체중 1kg 당 두타스테라이드 5mg의 양으로 경구투여용 기구를 이용하여 물과 함께 밀어 넣어 투여하였고, 투여전과 투여후 0.25, 0.5, 1, 1.5, 2, 3, 4, 6, 10, 24, 48 및 72시간이 경과된 때에 각각 채혈하였다. 이어, 채혈한 혈액 200μl에 내부 스탠다트(Internal standart)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500ppb와 메틸3차-부틸에테르(Methyl tertiary-butyl ether, MtBE) 1ml을 넣은 뒤, 5분간 볼텍싱(vortex)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액을 13,000 rpm에서 30초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한 뒤 80% 아세토니트릴에 녹여서 하기 조건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 : Water Kinetex C18 (2.1 x 50mm, 2.6μm)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10 mM 암모늄 포르메이트(0.1% FA) = 85/15(v/v%)
주입용량 : 5 μl
검출 : 터보 이온 분사 이온화 모드 (positive)
최대 혈중농도(Cmax)와 최대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Tmax)은 혈중농도 그래프로부터 직접 구하였으며,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혈중농도 곡선 하 면적(AUC)은 사다리꼴 공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AUC *1 | Cmax *2 | Tmax *3 |
실시예 4 | 20371.12± 4650.13 | 937.30± 487.13 | 2.13± 1.03 |
대조 제제 | 15855.15± 6421.90 | 380.13± 98.63 | 20.50± 7.0 |
*1 :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혈중농도 곡선 하 면적 *2 : 최대 혈중 농도 *3 : 최대 혈중 농도에서의 시간 |
상기 표 11과 도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제는 대조 제제인 아보다트에 비해 제제의 크기는 더 작으면서, 약 30% 정도 증가된 생체 이용률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8)
-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1 내지 1중량%, 오일 50 내지 95중량% 및 계면활성제 4 내지 4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이 두타스테라이드: 오일: 계면활성제를 1: 100-500: 1-1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소 치환된 캐스터 오일류, 폴리옥실 캐스터 오일류, 폴리옥시에틸 치환된 캐스터 오일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두타스테라이드는 단위제형당 0.5 mg 포함되는 것인,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1 내지 1중량%, 오일 70 내지 95중량% 및 계면활성제 4 내지 28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두타스테라이드 0.3 내지 0.6중량%, 오일 70 내지 85중량% 및 계면활성제 14 내지 28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성상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지방산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과 1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유리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성상 안정화제가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연질 캡슐 제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사이즈는 2 라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연질 캡슐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7399 | 2012-01-25 | ||
KR1020120007399 | 2012-01-25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490A Division KR101976137B1 (ko) | 2012-01-25 | 2013-01-09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961A true KR20170059961A (ko) | 2017-05-31 |
Family
ID=492137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490A KR101976137B1 (ko) | 2012-01-25 | 2013-01-09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0170065231A KR20170059961A (ko) | 2012-01-25 | 2017-05-26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490A KR101976137B1 (ko) | 2012-01-25 | 2013-01-09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97613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13695A (zh) * | 2019-10-23 | 2019-12-27 | 人福普克药业(武汉)有限公司 | 一种度他雄胺软胶囊及其制备方法 |
KR20200077676A (ko) * | 2018-12-20 | 2020-07-0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자가미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실데나필 유리염기의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
JP2022506944A (ja) * | 2018-11-08 | 2022-01-17 | ヴァーソナ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の局所製剤及びそれらの使用 |
WO2024144084A1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유영제약 | 주 1회 투여를 위한 정제 형태의 고함량 두타스테리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072B1 (ko) * | 2014-12-23 | 2016-01-29 | 한미약품 주식회사 |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자가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
KR102382963B1 (ko) * | 2015-01-14 | 2022-04-05 |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 안정성이 개선된 정제형태의 두타스테리드 조성물 |
KR101679380B1 (ko) * | 2015-09-10 | 2016-11-25 | 주식회사 유유제약 | 두타스테리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제형 |
KR102352888B1 (ko) * | 2020-01-15 | 2022-01-18 |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 두타스테리드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102300005B1 (ko) | 2021-03-05 | 2021-09-08 | 주식회사 스트라토아이티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표현하는 각각의 그래픽 객체 간의 연결 조작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어시스트 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220156153A (ko) | 2021-05-18 | 2022-11-25 | 주식회사 스트라토아이티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상태 변화 및 메시지 교환의 시각적인 표현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369521B (en) | 1993-09-17 | 1999-09-11 | Smithkline Beecham Corp | Androstenone derivative |
US20030236236A1 (en) * | 1999-06-30 | 2003-12-25 | Feng-Jing Ch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dosage forms for administration of hydrophobic drugs |
ATE534373T1 (de) | 2003-10-10 | 2011-12-15 | Antares Pharma Ipl Ag | Transdermale pharmazeutische formulierung zur minimierung von rückständen auf der haut |
WO2010092596A1 (en) * | 2009-02-10 | 2010-08-19 | Genepharm India Private Limited | A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dutasteride |
-
2013
- 2013-01-09 KR KR1020130002490A patent/KR1019761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5-26 KR KR1020170065231A patent/KR201700599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2506944A (ja) * | 2018-11-08 | 2022-01-17 | ヴァーソナ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の局所製剤及びそれらの使用 |
EP3876935A4 (en) * | 2018-11-08 | 2022-08-17 | Varsona Therapeutics, Inc. | TOPICAL FORMULATIONS OF 5-A REDUCTASE INHIBITORS AND THEIR USES |
KR20200077676A (ko) * | 2018-12-20 | 2020-07-0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자가미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실데나필 유리염기의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
CN110613695A (zh) * | 2019-10-23 | 2019-12-27 | 人福普克药业(武汉)有限公司 | 一种度他雄胺软胶囊及其制备方法 |
WO2024144084A1 (ko) * | 2022-12-26 | 2024-07-04 | 주식회사 유영제약 | 주 1회 투여를 위한 정제 형태의 고함량 두타스테리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6551A (ko) | 2013-08-02 |
KR101976137B1 (ko)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6137B1 (ko) |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자가 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3045165B1 (en) | Self micro-emulsifying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hydrophilic dru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EP1303261B1 (en) | 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 for extremely water-insoluble, lipophilic drugs | |
US20220280479A1 (en) | Self-emulsifying formulations of dim-related indoles | |
SK286178B6 (sk) | Farmaceutická kompozícia obsahujúca makrolid a kyselinu, spôsob stabilizácie makrolidu proti degradácii a použitie kyseliny na jeho stabilizáciu | |
KR101590072B1 (ko) | 두타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자가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 |
ES2326783T3 (es) | Composiciones de n-benzoilestaurosporina espontaneamente dispersables. | |
JP2006501134A (ja) | 高い生物学的利用能を有する、経口活性タキサン誘導体の医薬組成物 | |
WO2017196148A1 (en) | Composite formulation of dutasteride and tadalafil comprising glycerol fatty acid ester derivative or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 derivative and oral capsule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 |
JP2003500454A (ja) | 実質的にオイルフリーのシクロスポリン組成物 | |
KR20070046819A (ko) | 지질 부형제의 자가 유화 혼합물의 갈레노스 용도 | |
KR100678829B1 (ko) | 타크로리무스의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 |
US6316497B1 (en) | Self-emulsifying systems containing anticancer medicament | |
KR101679380B1 (ko) | 두타스테리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제형 | |
CZ83498A3 (cs) | Přípravek obsahující cyklosporin a způsob jeho přípravy | |
KR20050083607A (ko) | 시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적 조성물 | |
CN112168781B (zh) | 他克莫司的自微乳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AU2007293032A1 (en) | Liqui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a CGRP antagonist | |
KR100712823B1 (ko) | 가용성 코엔자임 큐10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
WO2018219804A1 (en) | 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 | |
KR101745425B1 (ko) | 두타스테라이드 및 타다라필을 포함하는 경구용 복합제제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WO2010047361A1 (ja) | 腸管吸収性を改善する医薬組成物 | |
KR100435141B1 (ko) | 난용성 항진균제의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040047056A (ko) |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의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조성물 | |
JPH0892088A (ja) | 経口投与用油性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