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688A -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688A
KR20170058688A KR1020150162593A KR20150162593A KR20170058688A KR 20170058688 A KR20170058688 A KR 20170058688A KR 1020150162593 A KR1020150162593 A KR 1020150162593A KR 20150162593 A KR20150162593 A KR 20150162593A KR 20170058688 A KR20170058688 A KR 2017005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prepaid
fare
destination
securit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울
Original Assignee
양한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한울 filed Critical 양한울
Priority to KR102015016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688A/ko
Publication of KR2017005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탑승티켓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승객의 목적지를 전송하여 택시선불요금을 결제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하는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승객으로부터 제공된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는 택시기사 단말기;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면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결제를 받은 후, 택시선불요금이 할당된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 단말기,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prepayment of taxi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으로서, 택시를 이용시에 택시 요금을 지불하는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화 추세에 따라 각 나라마다 이동이 빈번해지고 관광객 수요 또한 꾸준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을 방문했을 때 방문나라에서 이동시 주요 운송수단 중에 하나가 택시이지만 문제는 택시요금에 대한 불안요소가 많다. 흔히 둘러간다거나 바가지 요금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택시 운행 체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도착지 도착시점에서야 운행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출발전에 도착지까지의 요금을 알 수 없다. 즉, 거리, 예상소요시간, 경로등을 택시 출발시점에 알 수 가 없기 때문에, 도착후의 요금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바가지 요금 시비가 끊이지 않고 발생한다.
특히, 공항을 통해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들의 경우, 택시 이용시에 바가지 요금의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관광 한국의 이미지에 심각한 훼손을 입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외국인의 경우 택시기사에게 목적지를 한국말로 전달하지 못하고, 택시기사 역시 외국인 승객의 영어를 못 알아 듣는 경우, 외국인 승객과 택시 기사 간에 목적지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5460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택시를 이용시에 택시 요금의 바가지가 없도록 합리적인 택시 요금 지불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승객과 택시 기사가 서로 언어가 달라도 승객의 목적지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하는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탑승티켓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승객의 목적지를 전송하여 택시선불요금을 결제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하는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승객으로부터 제공된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는 택시기사 단말기;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면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결제를 받은 후, 택시선불요금이 할당된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 단말기,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판매자 단말기별로 저장한 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교통상황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상황 정보 수신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 단말기, 및 교통관제센터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택시선불요금 산출부; 상기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행받는 결제 처리부; 결제가 완료되면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탑승티켓 발권부; 및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탑승티켓의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정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의 택시선불요금 산출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월별을 하나 이상 포함한 기간별 교통이력에 따라 교통 막힘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가 부과된 교통 막힘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각각 할당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판매자 단말기가, 택시를 탑승하려는 승객으로부터 목적지를 제공받아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목적지 전송 과정;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여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수신한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택시선불요금 결제 과정; 상기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는 탑승티켓 발권 과정;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탑승티켓 정보 전송 과정;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수신한 탑승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하는 탑승티켓 출력 과정; 탑승티켓을 제공받은 택시기사의 사용 단말기인 택시기사 단말기가, 제공받은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는 택시요금 청구 과정; 및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추출하여, 추출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택시요금 정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 이전에,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 정보를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교통상황정보 수신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금액에 추가적으로, 목적지 도달까지의 통행료와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전송 과정은,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목적지와 함께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택시선불요금과 별도로 산출하고, 상기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미리 설정된 제3자에게 청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할당되어 미리 저장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택시 요금 정산 과정은,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호객행위 및 바가지 요금 등의 불법행위 단절하여 국가이미지 제고하여 관광 한국의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사도 고객도 서로의 언어를 몰라도 무방하여 목적지 명칭만 창구에 접수하면 되기 때문에 언어 장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운송수단 이용에 따른 지불은 접수창구에서 이루어지므로 기사가 부담하던 카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 '제로'를 이룰 수 있어 카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사는 미터기 기계만큼 정확한 금액을 받을 수 있으며, 승객에 부담되던 부당금액 지불 원천 차단하여 운송 비용 현실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불제 택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용 창출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편의점과 선불제 택시 티켓팅의 업무 협약을 체결 시에 편의점 수익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에서 출력된 탑승티켓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탑승티켓의 보안코드를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표시한 택시기사 단말기의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100), 판매자 단말기(200), 택시기사 단말기(400),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판매자 단말기(200), 택시기사 단말기(400),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0)는, 탑승티켓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승객의 목적지를 전송하여 택시선불요금을 결제한다. 편의점, 기차역, 터미널, 호텔 등의 공공장소에 판매자 단말기(200)가 마련되어, 택시를 승차하려는 승객으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목적지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판매자 단말기(200)는,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부터 택시선불요금을 수신하여, 해당 택시선불요금에 대하여 승객의 카드결제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승객은 택시를 타고 목적지까지의 택시요금을 선불 형태로 결제하게 된다.
또한 택시요금에 대하여 선불 결제가 이루어지고 난 후 판매자 단말기(200)는,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탑승티켓을 종이 형태로 출력한다. 따라서 판매자 단말기(200)는 프린터모듈을 구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종이 형태의 인쇄물로 출력한다. 또는 판매자 단말기(200)는, 종이 형태의 인쇄물의 탑승티켓이 아니라 전자파일 형태의 탑승티켓을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NFC,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전송하여, 승객의 스마트폰에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있는 탑승티켓이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 단말기(200)는 편의점에서 계산 단말기의 POS 단말기(Point Of Sales termin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밖에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200)는, 승객으로부터 목적지 이외에 승객이 승차하려고 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제공받아 목적지와 함께 부가 옵션 정보도 함께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택시의 차량종류는, 승용 택시, 밴택시, 일반택시, 모범택시 등의 택시의 형태를 말하며, 짐의 개수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짐의 개수를 말하며, 통행료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택시 이동시에 도로 통행료를 말하며, 택시기사 등급은 일반 운전자, 모범 운전자 등의 등급을 말한다.
택시기사는, 승객을 태운후 승객으로부터 탑승티켓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탑승티켓에 표시된 목적지를 확인하고 운행을 한다. 운행을 마친 후, 승객으로부터 직접 택시요금을 받지 않고, 탑승티켓에 표시된 보안코드를 판독하여 택시 선불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정산받는다.
이를 위해 택시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인 택시기사 단말기(400)는, 승객으로부터 제공된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한다. 보안코드의 추출은 보안코드의 형태에 따라 카메라, 바코드 판독기, QR코드 판독기 등의 다양한 판독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코드가 이미지인 경우 카메라를 통해 판독하며, 보안코드가 바코드 형태인 경우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하며, 보안코드가 QR코드인 경우 QR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한다. 참고로, 도 4는 판독된 QR코드의 보안코드를 택시기사 단말기(400)의 표시창에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택시기사 단말기(400)는,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한다. 승객을 목적지까지 태워준 후 승객으로부터 요금을 받지 않고, 승객이 제시한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여,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부터 택시요금을 수령받는다.
참고로, 택시기사는, 승객을 태운후 승객으로부터 제출된 탑승티켓의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보안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목적지까지의 운행을 할 수 있다.
참고로, 택시기사 단말기(400)는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택시기사 단말기(4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선불제 택시요금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구글마켓이나 애플스토어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실행하여, 실행된 선불제 택시요금 어플리케이션이 탑승티켓의 보안코드 판독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면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결제를 받은 후, 택시선불요금이 할당된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며,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400)로부터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한다. 이를 위해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310), 교통상황 정보 수신부(320), 서버 통신부(330), 택시선불요금 산출부(340), 결제 처리부(350), 탑승티켓 발권부(360), 및 정산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교통 막힘 가중치 데이터베이스(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31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200)별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탑승티켓 제1판매자 단말기(200)가 제1편의점에 설치된 경우 제1편의점의 주소가 탑승티켓 제1판매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로 저장되며, 탑승티켓 제2판매자 단말기(200)가 제2편의점에 설치된 경우 제2편의점의 주소가 탑승티켓 제2판매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로 저장되며, 탑승티켓 제3판매자 단말기(200)가 서울역에 설치된 경우 서울역의 주소가 탑승티켓 제3판매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31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교통상황 정보 수신부(320)는,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교통상황정보를 수신한다. 교통관제센터 서버는 시경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도로별 교통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교통 흐름 등의 교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이다.
서버 통신부(330)는, 판매자 단말기(200), 택시기사 단말기(400), 및 교통관제센터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330)는, 판매자 단말기(200), 택시기사 단말기(400), 및 교통관제센터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3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택시선불요금 산출부(34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의 거리가 5km 이내라면 기본 요금이 책정되며, 5km 증가될 때마다 기본요금×0.5의 제1추가금액이 기본요금에 추가된다. 그리고,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이 20km/h의 서행 구간에서는 1km 단위마다 기본요금×0.1의 제2추가금액이 기본요금에 추가되어, 택시선불요금은 기본요금+제1추가요금+제2추가요금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상기의 예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밖에,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다양한 산출 알고리즘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택시선불요금은,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한 후, 목적지 도달까지의 통행료와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산출한 택시선불요금이 1만5천원이고, 통행료 1천원,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가 1천원인 경우,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은 1만7천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택시선불요금 산출부(340)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택시의 경우에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 그대로 적용되며, 모범택시의 경우에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에 모범 사용료가 별도로 추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짐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에 추가되어 산출될 수 있다.
결제 처리부(350)는,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행받는다. 예를 들어, 서울 광화문에서 서울 강남역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이 1만7천원으로 산출된 경우 1만7천원의 택시선불요금을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결제받는다. 승객의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결제받는 것이다.
탑승티켓 발권부(360)는, 결제가 완료되면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예컨대, 1만7천원의 택시선불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고유의 보안코드를 생성한 후, 보안코드에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의 금액 1만7천원을 기재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참고로, 보안코드는, 이미지 형태, 바코드 형태, QR코드 형태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암호화된 코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산 처리부(370)는, 택시기사 단말기(400)로부터 탑승티켓의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한다. 선불제 택시 이용이용 수수료는 선불제 택시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수수료로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의 운영을 위한 수수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산출한 택시사용료가 1만5천원이고, 통행료 1천원,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가 1천원이 되어,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은 1만7천원으로 결정된 경우,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되는 금액은 택시선불요금 1만7천원에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 1천원을 차감한 1만6천원이 송금 이체된다.
한편,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월별을 하나 이상 포함한 기간별 교통이력에 따라 교통 막힘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가 부과된 교통 막힘 가중치 데이터베이스(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의 택시선불요금 산출부(340)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각각 할당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 및 퇴근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는 교통 막힘 가중치가 0.1이 부여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오후 7시에서 택시 선불제를 위한 탑승티켓이 발권되는 경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의 10%가 가산요금으로 추가된다. 이는 택시기사가 운행하여 수입을 가장 많이 벌어들일 수 있을때를 보상해주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판매자 단말기(200)가, 택시를 탑승하려는 승객으로부터 목적지를 제공받아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목적지 전송 과정(S602)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편의점에 설치된 탑승티켓 제1판매자 단말기(200)가 승객으로부터 목적지인 '강남역'을 입력받는 경우, 목적지인 '강남역'과 탑승티켓 제1판매자 단말기(200)가 설치된 제1편의점의 식별정보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밖에 목적지 전송 과정(S602)은,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목적지와 함께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여,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 정보를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수신(S604)한다. 이러한 교통상황 정보의 수신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의 산출은, 공지된 다양한 네비게이션 길안내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여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S604)하여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S606)을 가진다.
택시선불요금의 산출(S604)은, 판매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택시선불요금산출 과정은,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는 시점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될 수 있다.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택시선불요금은,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한 후, 목적지 도달까지의 통행료와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산출한 택시선불요금이 1만5천원이고, 통행료 1천원,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가 1천원인 경우,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은 1만7천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택시이용 수수료를 1천원으로 하였지만, 택시이용 수수료는, 택시요금의 20%를 기본으로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 횟수 등을 고려하여 감소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택시선불요금 산출(S604)은,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택시의 경우에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 그대로 적용되며, 모범택시의 경우에는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에 모범 사용료가 별도로 추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짐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에 추가되어 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차량의 종류는 일반 택시, 모범 택시 및 벤 택시(대형택시) 등을 포함한다. 짐의 개수는 2개 이상 시 짐 2개당 1인이 추가되는 것을 반영되는 것으로 하고, 일반 택시는 3인, 모범 택시는 4인, 콜밴은 6인 이하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다만, 3인이 6개의 짐을 가지고 탈 경우, 4인이 8개의 짐을 가지고 탈 경우 한 등급 위의 운송수단으로 한다. 여기에서 짐이란, 20inch 이상의 가방 혹은 비슷한 크기의 물건으로 할 수 있다. 택시요금은 인천공항 이용료를 포함한 금액이며, 유료도료 이용료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 옵션 정보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택시선불요금은,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에 추가되어 산출될 수 있지만, 이밖에,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택시선불요금과 별도로 산출하고,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미리 설정된 제3자에게 청구될 수 있다.
또한 택시선불요금 산출(S604)은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할당되어 미리 저장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 및 퇴근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는 교통 막힘 가중치가 0.1이 부여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오후 7시에서 택시 선불제를 위한 탑승티켓이 발권되는 경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에 의해 산출된 택시선불요금의 10%가 가산요금으로 추가된다. 이는 택시기사가 운행하여 수입을 가장 많이 벌어들일 수 있을 때를 보상해주기 위함이다.
택시선불요금 결제 과정(S608)은, 판매자 단말기(200)가, 수신한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결제는 승객의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며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가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는 탑승티켓 발권 과정(S610)을 가진다.
탑승티켓 발권 과정이 있은 후,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탑승티켓 정보 전송 과정(S612)을 가진다.
그리고, 판매자 단말기(200)가, 수신한 탑승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S614)한다. 탑승티켓의 출력은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방식, 또는 승객의 스마트폰으로 탑승티켓의 전자파일을 근거리 무선 전송하여 주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탑승티켓을 제공받은 승객은 택시에 탑승하여 탑승티켓을 제출(S616)하게 되고, 택시기사는 탑승티켓에 기재된 목적지를 알게되어 해당 목적지까지 운행하게 된다.
즉, 택시기사는 택시 이용을 위해 승차한 승객으로부터 탑승티켓을 확인한다. 탑승티켓에 표시된 보안코드를 판독하여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탑승티켓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탑승티켓의 확인 후에는, 탑승티켓에 표시된 목적지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 검색하여, 승객이 선택한 유료도료 유무 및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최적의 경로를 통해 운행한다. 선불제 택시의 운전자는 승객이 선택한 유료도로 이외의 사항은 자신의 수익과 고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승객이 목적하는 도착지로 운행하여 이동서비스를 완료하게 된다. 다만,
목적지까지 택시의 운행이 완료된 후, 탑승티켓을 제공받은 택시기사의 사용 단말기인 택시기사 단말기(400)가, 제공받은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S618)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S620)한다.
택시요금의 청구를 받은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300)가, 택시기사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추출하여, 추출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택시요금 정산 과정(S622)을 가진다. 이러한 택시 요금 정산 과정은,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판매자 단말기
300: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310: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
320:교통상황 정보 수신부
330:서버 통신부
340:택시선불요금 산출부
350:결제 처리부
360:탑승티켓 발권부
370:정산 처리부
380:교통 막힘 가중치 데이터베이스
400:택시기사 단말기

Claims (12)

  1. 탑승티켓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승객의 목적지를 전송하여 택시선불요금을 결제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하는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승객으로부터 제공된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는 택시기사 단말기;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면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결제를 받은 후, 택시선불요금이 할당된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 단말기, 및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판매자 단말기별로 저장한 판매자 위치 정보 저장부;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교통상황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상황 정보 수신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 택시기사 단말기, 및 교통관제센터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택시선불요금 산출부;
    상기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행받는 결제 처리부;
    결제가 완료되면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고,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탑승티켓 발권부; 및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탑승티켓의 보안코드가 수신된 경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정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의 택시선불요금 산출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월별을 하나 이상 포함한 기간별 교통이력에 따라 교통 막힘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가 부과된 교통 막힘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부는,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각각 할당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5. 판매자 단말기가, 택시를 탑승하려는 승객으로부터 목적지를 제공받아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목적지 전송 과정;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여 목적지까지의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수신한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택시선불요금 결제 과정;
    상기 택시선불요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고유한 보안코드를 생성하며, 결제된 택시선불요금을 생성한 보안코드에 할당하여 저장하는 탑승티켓 발권 과정;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포함된 탑승티켓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탑승티켓 정보 전송 과정;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수신한 탑승티켓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및 보안코드가 표시된 탑승티켓을 출력하는 탑승티켓 출력 과정;
    탑승티켓을 제공받은 택시기사의 사용 단말기인 택시기사 단말기가, 제공받은 탑승티켓을 판독하여 보안코드를 추출하며, 추출한 보안코드를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택시요금을 청구하는 택시요금 청구 과정; 및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가, 상기 택시기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에 할당된 택시선불요금을 추출하여, 추출한 택시선불요금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택시요금 정산 과정;
    을 포함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 이전에,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는,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 정보를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교통상황정보 수신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판매자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이동경로의 거리, 이동경로 상의 교통상황정보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금액에 추가적으로, 목적지 도달까지의 통행료와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택시선불요금으로서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전송 과정은, 승차요청되는 택시의 차량종류, 짐의 개수, 통행료, 택시기사 등급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부가 옵션 정보를 목적지와 함께 상기 선불제 택시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부가 옵션 정보를 적용하여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택시선불요금과 별도로 산출하고, 상기 부가옵션 이용요금을 미리 설정된 제3자에게 청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택시선불요금 산출 과정은,
    상기 이동경로의 거리 및 이동경로상의 교통상황정보 이외에 택시 운행되는 시간대, 일자, 요일, 월에 할당되어 미리 저장된 기간별 교통 막힘 가중치를 적용하여 택시선불요금을 산출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택시 요금 정산 과정은,
    택시선불요금에서 미리 설정된 선불제 택시이용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택시기사의 금융계좌로 송금하는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방법.
KR1020150162593A 2015-11-19 2015-11-19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58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593A KR20170058688A (ko) 2015-11-19 2015-11-19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593A KR20170058688A (ko) 2015-11-19 2015-11-19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16A Division KR101856631B1 (ko) 2017-08-29 2017-08-29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688A true KR20170058688A (ko) 2017-05-29

Family

ID=5905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593A KR20170058688A (ko) 2015-11-19 2015-11-19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6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358B1 (ko) * 2020-06-15 2021-01-28 신문식 골프장 캐디 피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2447863B1 (ko) * 2021-07-29 2022-09-27 주식회사 비에스아이티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358B1 (ko) * 2020-06-15 2021-01-28 신문식 골프장 캐디 피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2447863B1 (ko) * 2021-07-29 2022-09-27 주식회사 비에스아이티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1792B (zh) 用于在交通网络中售检票及验票的方法和系统
WO2009158569A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for transit application
KR101856631B1 (ko)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09098813A1 (ja) 路線バス料金精算システム
KR20160145410A (ko) 주차 할인권처리 및 주차요금 정산방법
MX2015001257A (es) Sistemas y metodos para proporcionar, recargar y finiquitar tarjetas de valor almacenado usadas en aplicaciones de transito.
JP6743544B2 (ja) 割引情報表示装置、サーバ装置及び料金割引システム
KR20170058688A (ko) 선불제 택시 요금 운영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83992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JP7083859B2 (ja) 公共交通システム
KR101033006B1 (ko) 업무 택시 카드 서비스 시스템
KR101680311B1 (ko) 택시 바우처 발권 장치
KR101344509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별 마일리지 충전 시스템
KR102014420B1 (ko) 선불의 교통요금을 충전하는 임대기반의 교통카드 운영방법
JP2004005499A (ja) 情報管理サーバ及び情報管理方法
KR20070112936A (ko) 도로 운행차량의 보험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272536B2 (ja) 交通機関の利用料金算定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136879A (ko)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및 서버와, 이를 이용한 발렛 서비스 제공 방법
JP7342216B2 (ja) 車両決済支援装置
JP7390538B2 (ja) センターバリュー型バス運賃決済システム
JP2021117796A (ja) 店舗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店舗装置の動作制御プログラム
KR101830098B1 (ko) 대중교통이용에 따른 주차장미사용 혜택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8543A (ko) 택시쿠폰 제공방법, 택시쿠폰 제공단말, 택시쿠폰 제공시스템 및 택시쿠폰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3119303A (ja) 料金算出装置および料金算出システム
Suresh et al. E-TICKET (ELECTRONIC TI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