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383A - 배럴 도금 장치 - Google Patents

배럴 도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383A
KR20170056383A KR1020150159996A KR20150159996A KR20170056383A KR 20170056383 A KR20170056383 A KR 20170056383A KR 1020150159996 A KR1020150159996 A KR 1020150159996A KR 20150159996 A KR20150159996 A KR 20150159996A KR 20170056383 A KR20170056383 A KR 2017005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thode
barrel container
ho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필수
Original Assignee
설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필수 filed Critical 설필수
Priority to KR102015015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383A/ko
Publication of KR2017005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1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closed containers
    • C25D17/20Horizontal barr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럴 도금 장치가 개시된다. 배럴 도금 장치는 전해액이 채워진 배럴도금조; 제1 및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액 내에 침지되도록 상기 배럴도금조 내에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배럴용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럴용기를 상기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배럴도금조와 상기 배럴용기 사이 중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1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1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음극을 포함하는 음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극은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배럴용기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음극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럴 도금 장치{BARREL PLATING DEVICE}
본 발명은 배럴 도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방지하여 균일한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럴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plating)은 물질의 표면 상태를 개선할 목적으로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로 된 박막을 피복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도금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원재료의 내식성 부족을 보완하고자 특정한 환경 속에서도 견딜 수 있는 금속 박막을 입히는 방식,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원재료보다 단단한 금속 박막을 입히는 표면 경화, 원재료의 표면에 귀금속 또는 색채가 아름다운 금속 합금의 박막을 붙이는 표면 미화, 빛 또는 열의 반사율을 높인다든지 또는 평활한 표면과 광택을 위해 금속 박막을 붙이는 표면의 평활화 및 반사율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도금의 종류로는 크게 전해도금, 무전해도금에 의한 도금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해도금은 전기 분해의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의 표면에 다른 금속의 얇은 막을 입히는 것으로서 전기도금이라고도 하며, 무전해도금은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금속염 수용액 중의 금속이온을 환원제의 힘에 의해 자기 촉매적으로 환원시켜 피처리물의 표면 위에 금속을 석출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전해도금은 도금조 내부에 전해 용액을 충전시킨 다음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도금체)을 음극(캐소드)으로 하고,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피도금물)을 양극(애노드)으로 하여,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전해용액속에 넣고, 통전하여 전해함으로써 바라는 금속이온이 피도금물의 표면에 전해 석출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전해도금의 종류로는 대개 자동차 펌퍼나 토스터 같이 상당한 크기의 부품을 도금 탱크에서 랙(rack)에 걸어 도금하는 랙 방식과 배리스터(Varistor), 칩인덕터(Chip Inductor), 적층세라믹캐패시터(Multi Layer Ceramic : MLCC)와 같이 크기가 작은 부품들과 전도성 매체를 회전 배럴용기 내에 채워넣고 도금조 내에서 회전하면서 도금하는 배럴 방식이 있다.
특히, 배럴 방식을 채택한 전해 도금장치는 피도금물을 대량으로 도금하기에 적합하여 랙 방식에 비해 인건비, 단위 시간당 생산성 면에서 큰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배럴 방식의 경우 배럴 용기 내에서 피도금물이 회전하면서 도금되기 때문에 피도금물과 배럴 용기가 서로 접촉하는 표면에 도금이 잘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통 배럴 용기 양 측면에서 배럴 용기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음극선이 하나로 이루어져 음극선과 피도금물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극선을 복수 개로 구성하고 음극선의 길이를 달리하여, 피도금물과 음극선이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배럴용기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하고 있어 복수 개의 피도금물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배럴 도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는 전해액이 채워진 배럴도금조; 제1 및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액 내에 침지되도록 상기 배럴도금조 내에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배럴용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럴용기를 상기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배럴도금조와 상기 배럴용기 사이 중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1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1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음극을 포함하는 음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극은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배럴용기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음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양극부는 상기 배럴도금조와 상기 배럴용기 사이 중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2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양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극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2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음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음극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배럴용기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음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복수 개의 제1 음극선의 길이는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음극선의 길이도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배럴용기는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는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제1 음극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정류기; 및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제2 음극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정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는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을 상기 배럴용기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음극이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용기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음극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볼 베어링;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을 상기 배럴용기에 전달하고, 상기 제2 음극이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용기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음극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극선을 복수 개로 구성하고 음극선의 길이를 달리하여, 피도금물과 음극선이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켜 피도금물의 도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도금물이 서로 겹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럴용기가 회전하여도 복수 개의 음극선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1000)는 배럴도금조(100), 배럴용기(200), 회전수단(300), 양극부(400), 음극부(500), 제1 정류기(600), 제2 정류기(700), 제어부(800) 및 설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도금조(100) 내부에는 금속 성분이 포함된 전해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배럴도금조(10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배럴도금조(100)의 내부에 전해액뿐만 아니라 배럴용기(200) 및 양극부(400)가 침지될 수 있도록 배럴도금조(100)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럴용기(200)는 내부에 수용되는 피도금물 표면에 도금이 수행되는 공간이며, 배럴도금조(100)의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럴도금조(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럴용기(200)는 전해액에 침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배럴용기(200)는 내부에 피도금물이 수용되어야 하므로 내부 공간이 충분히 형성된 원통, 육각통, 팔각통 등의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배럴용기(200)는 육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용기(200)는 제1 및 제2 관통홀(210, 220)이 각각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배럴용기(200)는 좌우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측판프레임(123)에 설치되는 부싱축(124)과 부싱축(12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부쉬(12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부싱축(124)은 일정크기의 구멍이 관통형성된 즉, 제1 관통홀(210) 또는 제 2관통홀(220)이 형성된 축부재이고, 부쉬(125)는 배럴용기(200)의 좌우 양측 내부면에 일체로 조립되어 배럴용기(200)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이다.
회전수단(300)은 배럴용기(2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일 예로 제1 관통홀(210)과 제2 관통홀(220)을 연결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배럴용기(200)가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수단(300)으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수단(300)에 의하여 배럴용기(200)는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배럴용기(200)의 회전은 회전수단(300)의 구동기어(131)와 배럴용기(20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피동기어(132)의 맞물림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력이 배럴용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양극부(400)는 배럴도금조(100)의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정류기(600)의 양극(+) 및 제2 정류기(700)의 양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극부(400)는 배럴도금조(100)의 전해액에 침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부(400)는 배럴도금조(100)와 배럴용기(200) 사이 중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양극()을 포함하고, 배럴도금조(100)와 배럴용기(200) 사이 중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2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부(500)는 배럴도금조(100)의 전해액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정류기(600)의 음극(-) 및 제2 정류기(700)의 음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극부(500)는 상기 제1 관통홀(210)을 관통하고 제1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음극(50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홀(220)을 관통하고 제2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음극(5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극(505)은 제1 관통홀(210)로부터 배럴용기(200)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을 포함하고, 제2 음극(507)은 제2 관통홀(220)로부터 배럴용기(200)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음극선(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음극선(510) 및 제2 음극선(520)은 유연하면서도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양의 전압, 제1 음의 전압, 제2 양의 전압 및 제2 음의 전압의 크기는 도금 공정이 수행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과 복수 개의 제2 음극선(520)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은 길이가 서로 다르고, 복수 개의 제2 음극선(520)의 길이도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럴용기(200)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피도금물들이 채워지게 되며 배럴용기(200)의 회전에 의하여 피도금물들이 뒤섞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음극선이 배치된 영역과 근접한 곳에서 회전하는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는 음극선이 배치된 영역에서 먼 곳에서 회전하는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보다 두꺼워 지는 편차가 발생한다. 이는 피도금물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을 사용함으로써 무작위적으로 회전하는 피도금물과 근접한 곳에 음극선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피도금물에 공급되는 전류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음극선(520)도 상기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럴용기(200)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럴용기(200) 내부면에는 엠보싱(embossing)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피도금물은 자체적으로 무게를 가지며, 가벼운 피도금물부터 무거운 피도금물까지 다양한 피도금물이 배럴용기(200) 내부에 채워져 도금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도금물의 경우 배럴용기(200)의 내부면 중 바닥면에 접착된 표면에는 도금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바닥면에 접착되지 않은 피도금물의 표면의 도금 두께와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럴용기(200) 내부면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여 피도금물의 표면이 배럴용기(200)의 내부면과 접착되는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복수 개의 피도금물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제1 정류기(600)는 양극부(400) 및 제1 음극선(51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정류기(700)는 양극부(400) 및 제2 음극선(52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럴용기(200) 내에 배치되는 제1 음극선(510) 및 제2 음극선(520)에 각각 정류기를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정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음극선(510) 및 제2 음극선(520)의 전기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음극선(510) 및 제2 음극선(520)의 전기 전도율이 향상되면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정류기(600) 및 제2 정류기(70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럴 도금 장치(1000)는 제1 볼 베어링(920) 및 제2 볼 베어링(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볼베어링(920)은 외륜(10), 볼(20) 및 내륜(30)으로 구성되고, 외륜(1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내륜(30)은 외륜(10)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외륜(10)은 제1 관통홀(210) 내면에 접촉하고, 제1 음극선(510)은 내륜(30)의 내부홀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베어링(92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 음극선(510)은 배럴용기(20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에 의하여 서로 꼬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볼베어링(94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 음극선(520)도 배럴용기(20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에 의하여 서로 꼬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볼 베어링(940)과 제2 음극선(520)은 제1 볼베어링(920) 및 제1 음극선(510)에 대응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800)는 회전수단(30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800)는 회전수단(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수단(300)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전기 컨트롤 박스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수단(300)이 회전하는 방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럴용기(200) 내의 복수 개의 피도금물이 골고루 섞여질 수 있게 할 수 있어 피도금물들의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도금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피도금물의 도금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설정부(900)는 회전수단(30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부(900)는 전기 컨트롤 박스에 배치되어 있는 버튼일 수 있고, 이러한 버튼은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버튼,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버튼, 모터의 회전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수단(300)의 온/오프를 동작시킬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배럴 도금 장치 100: 배럴도금조
200: 배럴용기 300: 회전수단
400: 양극부 500: 음극부
600: 제1 정류기 700: 제2 정류기
800: 제어부 900: 설정부

Claims (7)

  1. 전해액이 채워진 배럴도금조;
    제1 및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액 내에 침지되도록 상기 배럴도금조 내에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배럴용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럴용기를 상기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배럴도금조와 상기 배럴용기 사이 중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1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양극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1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음극을 포함하는 음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극은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배럴용기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음극선을 포함하는, 배럴 도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상기 배럴도금조와 상기 배럴용기 사이 중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제2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양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극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2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음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음극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배럴용기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음극선을 포함하는, 배럴 도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음극선의 길이는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음극선의 길이도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럴 도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용기 내부면에는 엠보싱(embossing)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배럴 도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제1 음극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정류기; 및
    상기 양극부 및 상기 제2 음극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정류기를 더 포함하는, 배럴 도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럴 도금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을 상기 배럴용기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음극이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용기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음극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볼 베어링;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을 상기 배럴용기에 전달하고, 상기 제2 음극이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럴용기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음극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배럴 도금 장치.
KR1020150159996A 2015-11-13 2015-11-13 배럴 도금 장치 KR20170056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96A KR20170056383A (ko) 2015-11-13 2015-11-13 배럴 도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96A KR20170056383A (ko) 2015-11-13 2015-11-13 배럴 도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383A true KR20170056383A (ko) 2017-05-23

Family

ID=5905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96A KR20170056383A (ko) 2015-11-13 2015-11-13 배럴 도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3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87B1 (ko) * 2018-03-26 2018-10-16 방남석 배럴형 도금장치
KR20210017191A (ko) * 2019-08-07 2021-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배럴 도금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전극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87B1 (ko) * 2018-03-26 2018-10-16 방남석 배럴형 도금장치
KR20210017191A (ko) * 2019-08-07 2021-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배럴 도금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전극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554B1 (ko) 동박 제조용 전기 도금장치
CN104499035A (zh) 新型电镀滚筒
JP5467374B2 (ja) 軸体に電気めっき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めっき皮膜を有する軸体の製造方法および軸体上に亜鉛系めっき皮膜を形成するためのめっき液
KR20170056383A (ko) 배럴 도금 장치
KR20180092999A (ko) 전극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금속박의 제조 방법
CN102534733B (zh) 电镀装置以及电镀方法
JP4579306B2 (ja) 円形めっき槽
CN201924097U (zh) 电镀装置
JP6528939B2 (ja) 電解アルミニウム箔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141053B1 (ko) 롤러 도금장치
US4822468A (en) Barrel plating apparatus
JP2004211116A (ja)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の陽極酸化処理装置
JP2012527524A (ja) 薄層の制御された電解処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528054B (zh) 一种pcb板不停槽电沉积镍的装置和方法
KR102404317B1 (ko) 배럴 도금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전극 구조체
KR100773893B1 (ko) 표면개질이 가능한 복수 배럴 장착형 도금장치
KR102068252B1 (ko) 전기도금기용 전원인가장치
CN104846421A (zh) 多功能电镀滚筒
KR20130121512A (ko) 배럴 도금 장치
KR101761187B1 (ko) 양극 이동식 도금 장치
KR200381299Y1 (ko) 전해 연마 장치
CN217733330U (zh) 一种电镀滚筒及电镀设备
KR101379121B1 (ko) 수직형 드럼 회전 전해주조 장치
KR200228330Y1 (ko) 소형제품 전기도금용 바렐
KR20150001080A (ko) 회전형 도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1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02

Effective date: 20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