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262A -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262A
KR20170056262A KR1020150159710A KR20150159710A KR20170056262A KR 20170056262 A KR20170056262 A KR 20170056262A KR 1020150159710 A KR1020150159710 A KR 1020150159710A KR 20150159710 A KR20150159710 A KR 20150159710A KR 20170056262 A KR20170056262 A KR 2017005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nit
mixing
mixing chamb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무
박병태
Original Assignee
(주) 삼명이엔지
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명이엔지, 박병태 filed Critical (주) 삼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5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262A/ko
Publication of KR2017005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B01F15/00253
    • B01F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에 혼합실(110)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혼합실(110)과 연결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펠릿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4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폐기물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10)와, 내부에 모터(221)와 연결되어 수직회전하며 투입된 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220)와, 상기 제1파쇄부(220)의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수평회전하며 제1파쇄부(220)로부터 이동된 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제2파쇄부(230)와, 상기 제2파쇄부(230)의 하부에 파쇄된 폐기물이 모여지되, 설정된 중량만큼 도달 시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혼합실(110)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중량투입부(240)로 구성되는 작동부(200)들; 상기 혼합실(110) 상에 구성되되 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며 각각의 작동부(200)들에서 파쇄되어 낙하된 폐기물을 혼합하는 혼합스크류(300);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구성되어 혼합된 폐기물을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시켜 펠릿을 형성하는 성형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동부(200), 혼합스크류 및 성형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로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폐기물을 각각 투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투입 후 건조 및 파쇄된 후 설정된 중량만큼만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형태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어 정부가 요구하는 품질기준을 충족시킬 수가 있으며, 혼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혼합하되 밀림시켜 신속 정확한 혼합이 가능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달리하여 혼합하여 농업용, 난로용 등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Solid waste fuel pellet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투입부로 각각의 폐기물(생활용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연속적인 파쇄를 한 후, 파쇄된 각각의 폐기물을 7:2:1중량부로 혼합되도록 하여 펠릿을 형성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는 여러 분야에서 폐기물의 재활용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보다 쉽고 용이하게 폐기물 고형연료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성형장치들은 하나의 폐기물만을 투입 또는 다수의 폐기물을 한 번에 동시에 투입하여 혼합시키는 장치로 분류되어 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성형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펠릿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개별적 또는 부분별한 재료의 투입 및 혼합비율과 성형방법의 미흡으로 인하여 정부가 요구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품질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일부가 산업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성형장치에는 압축열배출구 및 냉각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성형장치 내부에 압축열 폭발 및 고형연료의 끊어짐과 배출과정에서 처짐 또는 흘러내림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913928호(특) 그 내부에 스크류와 압출성형부를 구비하여 가연성 폐기물의 분쇄물을 압출 하여 펠릿 형상의 고형연료로 성형하는 고형연료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고형연료 성형기는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물공급부와; 상기 분쇄물공급부의 하류에 위치되며 분쇄물이 압축되면서 혼합되는 제1,2혼합부와; 상기 제1혼합부와 제2혼합부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방사상으로 막대 형상의 전기히터가 설치된 압출성형판과; 상기 제2혼합부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혼합된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물공급부와 제1혼합부의 하부에는 분쇄물 속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혼합부의 상부 내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고형연료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1001987호(특) 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성형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스크류에 의하여 압축 및 이송되는 폐기물이 투입되고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를 구비한 성형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로서,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은 상기 폐기물을 상기 성형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폐기물유도부; 상기 폐기물 유도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도부에서 받쳐진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폐기물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폐기물이 폐기물 고형연료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폐기물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의 외주면에 절삭된 면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면서,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이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0998793호(특) 생활폐기물의 MT(Mechanical-(Biological)Waste Treatment)공정에서 매립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를 연계하는 통합공정으로서, S-A1) 반입한 생활폐기물을 제1 파봉파쇄기로 파봉, 파쇄하고 제1 선별장치를 통과시킨 후 생활폐기물 가연성물질을 분리하는 제1선별공정; S-B1) 상기 생활폐기물과 별도로 반입한 매립폐기물을 제2 파봉파쇄기로 파봉, 파쇄하고 제2 선별장치를 통과시킨 후 매립폐기물 가연성 물질을 분리하는 제2선별공정; S-C1) 상기 제1선별공정 및 제2선별공정을 통해 분리된 생활폐기물 가연성물질과 매립폐기물 가연성 물질을 통합하여 제3선별장치를 통해 상기 혼합된 가연물을 분쇄 가연물 혼합 저장조에 저장하는 가연물혼합저장공정; 및, S-C2) 상기 분쇄 가연물 혼합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생활폐기물 가연성 물질 및 상기 매립폐기물 가연성 물질을 PLC에 의해 제어하여 소석회와 혼합하는 PLC 제어공정을 포함하는 혼합제어공정;을 포함하는 생활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혼합 고형연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들을 보면 대체적으로 투입된 폐기물을 혼합하여 하나의 펠릿 형태로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즉, 혼합을 함에 있어서 그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지 못하고, 최초 투입 시 그 혼합비율을 작업자의 폐기물 투입량에 따라 결정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성된 펠릿의 성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폐기물일 경우 동일한 성질을 갖는 펠릿을 성형할 수 있으나, 각각의 폐기물을 개별적으로 성형하여야 함으로써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 또는 각각의 성형장치들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저하되고, 다수의 폐기물을 경우 작업자의 폐기물 투입량에 따라 제조되는 펠릿의 성질이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다수의 생활용 폐기물을 혼합하되, 각각의 폐기물투입구를 구성하고 투입된 생활용 폐기물을 건조 및 분쇄시킨 후,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중량만큼 모여질 시 모여진 폐기물을 혼합실로 낙하시켜 설정된 혼합비율로 혼합시켜 펠릿을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성질을 갖는 생활용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를 통해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달리 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 난로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펠릿을 제조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혼합실(110)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혼합실(110)과 연결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펠릿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4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생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10)와, 내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수직회전하며 투입된 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220)와, 상기 제1파쇄부(220)의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수평회전하며 제1파쇄부(220)로부터 이동된 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제2파쇄부(230)와, 상기 제2파쇄부(230)의 하부에 파쇄된 폐기물이 모여지되, 설정된 중량만큼 도달 시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혼합실(110)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중량투입부(240)로 구성되는 다수의 작동부(200); 상기 혼합실(110) 상에 구성되되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각각의 작동부에서 파쇄되어 낙하된 폐기물을 혼합하는 혼합스크류(300);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구성되어 혼합된 폐기물을 배출시켜 펠릿을 형성하는 성형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동부(200), 혼합스크류 및 성형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작동부(200)에는 상기 제1파쇄부(210)의 일측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하나 또는 다수의 열풍발생부(25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스크류(300)는 다수개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방향으로 구성되어 폐기물을 밀림시키면서 혼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혼합실(110)의 내부에는 각각의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다수의 이동홀(130)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실(110)의 벽면에는 가열부(115)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폐기물을 각각 투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투입 후 건조 및 파쇄된 후 설정된 중량만큼만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형태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어 정부가 요구하는 품질기준을 충족시킬 수가 있으며, 혼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혼합하되 밀림시켜 신속 정확한 혼합이 가능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달리하여 혼합하여 농업용, 난로용 등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3과 도 5의 b와 b`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은 도 5의 c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성형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투입부로 각각의 생활용 폐기물(생활용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연속적인 파쇄를 한 후, 파쇄된 각각의 폐기물을 7:2:1중량부로 혼합되도록 하여 펠릿을 형성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는 본체부(100), 작동부(200), 혼합스크류(300), 성형부(400), 제어부(500)로 대분 구성된다.
①본체부(100)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기될 작동부(200)에서 파쇄된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낙하되어 상호 혼합되는 혼합실(110)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혼합실(110)과 연결되어 혼합된 성형물을 배출하여 성형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한편, 혼합실(110)의 내부에는 각각의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이동홀(130)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스크류(300)에 의해 혼합되면서 진행방향으로 폐기물이 진행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이동홀(130)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게 된다.
여기서, 하기될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폐기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개수에 맞춰 상기 이동홀(13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스크류(300)가 2개로 구성되며, 이동홀(130) 또한 2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하나의 혼합스크류(300)의 끝부와 근접한 위치에 하나의 이동홀(13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혼합스크류(300)의 끝부와 근접한 위치에 다른 하나의 이동홀(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실(110)의 벽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가열부(115)가 구성되어, 혼합하는 과정에서 가열과 동시에 혼합되게 됨으로써, 혹시 잔존할 수 있는 수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토록 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부(115)는, 열선 등과 같은 통상의 구성으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1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펠릿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40)가 구성되어, 종래에 배출되는 과정에서 고형의 성질을 갖지 못하여 발생하는 처짐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혼합되어 배출되는 펠릿이 고형의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혼합실(110)과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압축열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상기 혼합실(110)에서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과열로 장치의 과부하 및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혼합실(110) 내부에 압축열이 채워져 있고, 수시로 폭발현상이 발생하여 펠릿의 절단이 있으나, 상기 압축열배출구(130)를 구비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압축열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폭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②작동부(200)
상기 작동부(200)는, 도 1,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폐기물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10)와, 내부에 모터(221)와 연결되어 수직회전하며 투입된 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220)와, 상기 제1파쇄부(220)의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수평회전하며 제1파쇄부(220)로부터 이동된 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제2파쇄부(230)와, 상기 제2파쇄부(230)의 하부에 파쇄된 폐기물이 모여지되, 설정된 중량만큼 도달 시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혼합실(110)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중량투입부(240)로 구성되되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파쇄부(220, 230)의 수직, 수평구조는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의 투입 후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파쇄 시, 완전한 파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여 완전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1파쇄부(220)는 수평회전하는 모터(221)와 연결되되 베벨기어방식으로 수직회전 하도록 구성되며, 기어방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정확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파쇄부(230)는 수평회전되는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수평회전하게 되는데,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되어 파쇄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다시 말해, 한쪽에 구성되는 회전날(231)이 오른쪽방향으로 회전 시, 다른 한쪽에 구성되는 회전날(231)이 왼쪽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동중량투입부(240)는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각각의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되면, 수직, 수평회전하는 1,2파쇄부(220, 230)에 의해 파쇄되며, 파쇄된 각각의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낙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중량투입부(240)는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된 중량에 도달될 경우 일측으로 개폐되어 상기 혼합실(110)로 낙하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어부(500)에 최초 설정된 설정값이, 폐비닐 7중량부, 폐지 2중량부, 야자열매껍질 1중량부로 각각의 자동중량투입부(240)에 설정하게 되면, 각각의 자동중량투입부(240)는 파쇄된 각각의 폐기물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작동부(200)에는 상기 제1파쇄부(210)의 일측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하나 또는 다수의 열풍발생부(250)가 구성되어,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토록 하여, 상기 제1,2파쇄부(220, 230)에서 원활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③혼합스크류(300)
상기 혼합스크류(300)는 도 1, 3,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되 혼합실(110) 상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각각의 작동부(200)에서 파쇄되어 낙하된 폐기물을 혼합하게 구성되는데, 다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폐기물을 밀림시키면서 혼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혼합스크류(300)는 낙하되는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혼합되면서 진행되게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혼합스크류(300)는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혼합스크류(300)에서 혼합되어 낙하되는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이 낙하된 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혼합되며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회전으로 혼합과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이동홀(130)을 통해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하기될 성형부(400)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스크류(300)는 본 발명에서 2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④성형부(400)
상기 성형부(400)는, 도 1, 3,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되 혼합실(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혼합스크류(300)에 의해 낙하되는 혼합된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성형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부(400)는 상기 혼합스크류(3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혼합시킴과 동시에 본체부(100)의 배출구(120)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구(120)의 형상에 맞춰 성형되며 상기 냉각부(140)에 의해 냉각되어 고형의 펠릿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부(400) 또한 다수개로 구성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⑤제어부(500) 상기 제어부(500)는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자동정량투입부(240)의 설정 및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자동정량투입부(240)에 7중량부, 2중량부, 1중량부로 설정해놓게 되면, 최초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각각의 폐기물이 열풍건조와 1,2차분쇄를 통해 분쇄된 폐기물이 자동정량투입부(240)에 노여진 상태에서 상기 중량부만큼 중량이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자동정량투입부(24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500)의 구성으로, 서로 다른 폐기물(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투입할 시에도, 설정된 중량에 도달할 시 혼합실(110)로 낙하되게 함으로써, 항상 균일한 성질을 갖는 펠릿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 단독 또는 다수의 폐기물을 상호 혼합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장치들이 많이 있었지만, 펠릿의 성질의 균일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폐기물을 개별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각각의 작동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작동부(200)에서 낙하되는 각각의 폐기물의 중량이 항상 동일하게 낙하되어, 혼합되어 균일한 성질을 갖는 펠릿을 제조하게 됨으로써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혼합되는 중량비율을 달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보면,
각각의 상기 투입구(210)에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선별한 후 투입하는 투입단계(S100); 상기 투입된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수회에 걸쳐 파쇄하는 파쇄단계(S200); 상기 파쇄단계(S200) 후 파쇄되어 상기 자동정량투입부(240)로 낙하된 각각의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설정된 중량이 될 시 혼합실로 낙하시키는 낙하단계(S300); 상기 낙하된 각각의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을 혼합한 후, 배출시켜 펠릿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400);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쇄단계(S200)에서 열풍건조기(250)로 열풍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낙하단계(S300)에서 자동정량투입부(240)는 각각의 폐비닐, 폐지, 야자열매껍질의 7중량부, 2중량부 1중량부가 되면 작동하게 하여, 항상 균일한 성질을 갖는 펠릿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폐기물을 투입하도록 개별적으로 작동부(200)들이 구성되어, 별도의 세척이 전혀 필요 없어 사용 시 편리성을 부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폐기물을 각각 투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투입 후 건조 및 파쇄된 후 설정된 중량만큼만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형태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어 정부가 요구하는 품질기준을 충족시킬 수가 있으며, 혼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혼합하되 밀림시켜 신속 정확한 혼합이 가능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을 선택적으로 달리하여 혼합하여 농업용, 난로용 등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혼합실 115 : 가열부
120 : 배출구 130 : 압축열배출구 140 : 냉각부
200 : 작동부
210 : 투입부 220 : 제1파쇄부 211 : 모터
230 : 제2파쇄부 231 : 회전날
240 : 자동정량투입부 250 : 열풍발생부
300 : 혼합스크류 400 : 성형부 500 : 제어부

Claims (3)

  1. 내부에 혼합실(110)이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혼합실(110)과 연결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펠릿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4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폐기물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10)와, 내부에 모터(221)와 연결되어 수직회전하며 투입된 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제1파쇄부(220)와, 상기 제1파쇄부(220)의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어 수평회전하며 제1파쇄부(220)로부터 이동된 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제2파쇄부(230)와, 상기 제2파쇄부(230)의 하부에 파쇄된 폐기물이 모여지되, 설정된 중량만큼 도달 시 자동적으로 개폐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혼합실(110)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중량투입부(240)로 구성되는 작동부(200)들;
    상기 혼합실(110) 상에 구성되되 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며 각각의 작동부(200)들에서 파쇄되어 낙하된 폐기물을 혼합하는 혼합스크류(300);
    상기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구성되어 혼합된 폐기물을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시켜 펠릿을 형성하는 성형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동부(200), 혼합스크류 및 성형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동부(200)에는 상기 제1파쇄부(210)의 일측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하나 또는 다수의 열풍발생부(2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스크류(300)는 다수개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되어 폐기물을 밀림시키면서 혼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혼합실(110)의 내부에는 각각의 혼합스크류(300)의 하부에 다수의 이동홀(130)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실(110)의 벽면에는 가열부(11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KR1020150159710A 2015-11-13 2015-11-13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KR20170056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10A KR20170056262A (ko) 2015-11-13 2015-11-13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10A KR20170056262A (ko) 2015-11-13 2015-11-13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62A true KR20170056262A (ko) 2017-05-23

Family

ID=5905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10A KR20170056262A (ko) 2015-11-13 2015-11-13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69B1 (ko) * 2018-12-13 2019-08-01 주식회사 부림친환경에너지 혼합효율성을 향상시킨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펠릿 성형방법
CN110285647A (zh) * 2019-06-19 2019-09-27 沈阳鑫博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打散机内壁粘料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69B1 (ko) * 2018-12-13 2019-08-01 주식회사 부림친환경에너지 혼합효율성을 향상시킨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펠릿 성형방법
CN110285647A (zh) * 2019-06-19 2019-09-27 沈阳鑫博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打散机内壁粘料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352A (ko) 폐기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CN103934923A (zh) 废旧混合塑料回收分离装置及方法
EP2418075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llets aus Biomasse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CN106862232A (zh) 生活垃圾无害化处理方法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JP2020063626A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
KR20170056262A (ko) 폐기물 고형연료 펠릿 성형장치
KR20190001351A (ko) 폐지 및 폐기물의 혼합압축처리장치
CN105436189B (zh) 生活垃圾无害化生产线
KR10115166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KR20220145966A (ko)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CN112878143B (zh) 一种沥青再生设备
CN208812518U (zh) 一种双口桶的成型系统
KR101301165B1 (ko)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JP5537614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70064183A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구비된 파쇄시스템.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45352B1 (ko) 폐 퍼라이트 재생 장치
RU275247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из вспененных полимеров
CA286906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ving slabs
CN205951094U (zh) 一种多功能塑料破碎机
CN108582392A (zh) 一种塑木垃圾箱的生产工艺
KR20200093795A (ko)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구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