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102A -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 Google Patents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102A
KR20170055102A KR1020150157833A KR20150157833A KR20170055102A KR 20170055102 A KR20170055102 A KR 20170055102A KR 1020150157833 A KR1020150157833 A KR 1020150157833A KR 20150157833 A KR20150157833 A KR 20150157833A KR 20170055102 A KR20170055102 A KR 2017005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rtition
air
ring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15015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102A/ko
Publication of KR2017005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통로가 있는 격벽과 좌우측에 통로가 있는 격벽을 교대로 배열한 격벽부(30)와 격벽부(30)의 전후면에 장착되는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 그리고 케이스(10, 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15, 25)을 통해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케이스(10, 20) 내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요철부(13)와 요철부(13)와 접하도록 장착되는 양전하로 대전된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링거주사세트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링거액이나 혈액을 링거주사세트를 통해 투입할 때에, 링거액이나 혈액에 포함된 공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부피가 작고 저렴하며, 손쉽게 링거주사세트에 장착이 가능하고, 출입구의 위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입구부(11)와 출구부(12)가 형성되며 배면에 각각 다수개의 통기공(15)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홈(14)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배면케이스(10)와 상기 배면케이스(10)와 동일한 구조의 전면케이스(20)가 서로 접착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중앙에 통로(33)가 있는 격벽과 좌우측에 통로(33)가 있는 격벽을 교대로 배열한 격벽부(30)가 삽입되며, 격벽부(30)의 전후면에는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에어필터(41)가 부착된다. 케이스의 입구부로 유입된 링거액은 격벽부(3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가 에어필터(41)를 통해 케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15, 25)으로 배출된다. 격벽부(30)를 통과한 링거액은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13)를 통과하는데, 상기 요철부(13)는 다수개의 홈으로 구성되며, 전면케이스(20)와 배면케이스(10)에 각각 형성된다. 전면케이스(20)에 형성된 요철부와 배면케이스(10)에 형성된 요철부(13) 사이에는 흡착필터(42)가 부착되는데, 흡착필터(42)는 양전하로 대전 되어있어서,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전기 효과에 의해서 걸러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거액이나 혈액에 포함된 공기와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링거주사세트의 어느 위치에라도 장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구부나 출구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기와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사용시 상하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부피가 작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Air eliminate filter installated in saline drip}
본 발명은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통로가 있는 격벽과 좌우측에 통로가 있는 격벽을 교대로 배열한 격벽부와 격벽부의 전후면에 장착되는 공기만 통과하는 필터 그리고 케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을 통해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케이스 내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요철부와 요철부와 접하도록 장착되는 양전하로 대전된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링거주사세트를 통해 링거액을 인체에 주입할 때에는 링거액에 용존되어 있는 기체가 발생하게 되어, 기체가 수액세트를 타고 인체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인체의 혈액에 주입된 공기는 혈액응고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링거주사세트에 손쉽게 장착하면서도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영양제나 화학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은 약물복용과 주사방법이 있다. 환자에게 주사하는 방법으로는 피하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주사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중 정맥주사는 장시간 동안 혈관 내에 주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술시의 혈액의 공급이나 링거액을 투여하는 경우에 정맥주사가 사용되며, 정맥주사는 점적주사세트나 수혈세트를 보통 이용한다.
링거액이나 혈액은 평상시 부패나 이물질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며, 일반적으로 링거액이나 혈액 등의 보관 온도는 인체에 투입될 때 20℃ 이하인 상태이다. 따라서 링거액이나 혈액 등이 인체에 투입될 경우 인체의 온도가 보통 37℃이므로 링거액이나 수혈하는 혈액의 온도도 인체의 온도까지 상승한다. 이 경우 링거액이나 혈액의 온도가 인체의 온도까지 상승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환자의 상승한 신진대사율에 의해 공급되어 진다. 이 열적 부하는 평상시의 신진대사율과 비교해 볼 때 결코 약한 것이 아니므로 체온을 떨어뜨리고 피부의 냉각점을 자극하여 링거액의 투입이나 수혈이 환자에게 냉통각을 일으키게 하거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링거액이나 혈액 등이 인체에 투입되기 전에 링거액이나 혈액을 인체의 온도에 맞추도록 하는 각종 의료용 가온 장치를 통하여 체온 정도로 가온하여 주입하는데, 이때 기체가 발생한다. 발생한 기체가 링거주사세트를 통해 환자의 몸에 주입되면, 혈관을 가로막아서 혈액의 원활한 유통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막힌 혈관 부위에서 종종 염증을 비롯한 부작용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에어필터를 사용하거나 점적통을 통해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였다. 링거액을 주입할 때는 에어필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입자가 큰 혈액을 인체에 투입할 때는 에어필터를 사용할 수 없고 똑같은 원리로 혈액용 에어필터를 제작하는 데는 부피가 크고 고가이며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혈시에는 점적통을 사용하는데, 점적통은 입구와 출구가 정해져 있으므로 점적통의 출구가 입구보다 항상 높게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많은 주의를 요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경우 혈액을 가온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입구의 위치를 맞추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가 없지만, 혈액을 체온 정도로 가온해서 신체에 주입하는 경우에는 가온기에서 환자까지 들어가는 사이에 가온된 혈액의 온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피할 수가 없다.
환자에게 링거액이나 혈액을 링거주사세트를 통해 투입할 때에, 링거액이나 혈액에 포함된 공기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부피가 작고 저렴하며, 손쉽게 링거주사세트에 장착이 가능하고, 출입구의 위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입구부와 출구부가 형성되며 전면과 배면에 각각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배면케이스와 전면케이스가 서로 접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의 입구부와 출구부는 링거주사세트의 어느 위치에라도 장착이 가능하며, 입구부로 유입된 링거액은 본 발명의 내부를 통과하여 출구부로 토출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중앙에 통로가 있는 격벽과 좌우측에 통로가 있는 격벽을 교대로 배열한 격벽부가 삽입되며, 격벽부의 전후면에는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에어필터가 부착된다. 즉, 에어필터는 배면케이스와 격벽부 사이 그리고 격벽부와 전면케이스 사이에 각각 부착된다. 케이스의 입구부로 유입된 링거액은 격벽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가 에어필터를 통해 케이스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으로 배출된다.
격벽부를 통과한 링거액은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과하는데, 상기 요철부는 다수개의 홈으로 구성되며,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에 각각 형성된다.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요철부와 배면케이스에 형성된 요철부 사이에는 흡착필터가 부착되는데, 흡착필터는 양전하로 대전 되어있어서,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전기 효과에 의해서 걸러낸다. 요철부를 통과한 링거액은 비로소 출구부를 통해 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거액이나 혈액에 포함된 공기와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링거주사세트의 어느 위치에라도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구부나 출구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기와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사용시 상하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부피가 작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a) 정면도, (b) 좌측면도.
도 3.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서 배면케이스와 격벽부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본 발명에서 배면케이스의 사시도.
도 6. 본 발명에서 격벽부의 정면도.
도 7. 본 발명에서 격벽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관은 직사각 형태의 전면케이스(20)와 배면케이스(10)로 구성되는데, 전면케이스(20)의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22)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25)이 형성된다.
배면케이스(10)는 전면케이스(20)와 동일한 구조로서, 전면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12)가 형성되며 배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15)이 형성된다.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는 초음파 융착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접착한다.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는 동일한 구조이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전면과 배면으로 구분하였다.
도시한 바에서, 입구부(11, 21)는 케이스(10, 2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고 출구부(12, 22)는 케이스(10, 20)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방향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제 본 발명을 사용할 때에는 입구부(11, 21)와 출구부(12, 22)의 구분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링거액 흐름에 있어서, 방향성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실제 사용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 격벽부(30), 두 개의 에어필터(41) 그리고 흡착필터로 구성된다. 배면케이스(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배면케이스(10)의 내면 하부에는 요철부(13)가 형성되는데, 요철부(13)는 상하로 형성된 다수 개의 홈(14)으로 구성된다. 전면케이스(20)의 내면 하부에도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에 형성된 요철부(13) 사이에는 흡착필터(42)가 장착된다.
흡착필터(42)는 합성수지 재질로써,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양전하로 대전시킨다. 링거액은 요철부(13)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14)을 통해 흡착필터(42)에 근접하게 흐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양전하로 대전된 흡착필터(42)의 정전기 효과에 의해서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이다. 흡착필터(42)를 양전하로 대전시키는 과정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격벽부(30)는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상부 내면에 장착되며, 격벽부(30)와 배면케이스(10) 그리고 격벽부(30)와 전면케이스(20) 사이에는 각각 에어필터(41)가 장착된다. 에어필터(41)는 링거액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터를 사용하며, 에어필터(41)의 재질은 통상 "나일론66"을 사용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격벽부(30)의 구조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배면케이스와 격벽부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배면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격벽부의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격벽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부(30)는 다수개의 제1격벽(31)과 제2격벽(32)으로 구성되는데, 제1격벽(31)은 링거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좌우측에 형성되고, 제2격벽(32)은 링거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중앙에 형성된다. 즉, 제1격벽(31)의 좌우측에 형성된 통로(33)와 제2격벽(32)에 형성된 통로(33)를 통해 링거액이 흐르기 때문에, 링거액은 격벽부(3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된다.
링거액이 격벽부(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격벽부(30)의 좌우측 말단부는 링거액이 지체하는 공간으로 작용하는데, 이 부분에서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격벽(31)과 제2격벽(32)으로 형성되는 공간 중에서 좌우측 말단부 공간에 해당하는 곳에 배면케이스(10)의 배면과 전면케이스(20)의 전면에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장착된 에어필터(41)를 통해 공기가 다수 개의 통기공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가 통기공으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제1격벽(31)과 제2격벽(32)으로 형성되는 공간 중에서 좌우측 말단부 공간에 링거액이 지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격벽(31)의 중앙부분은 제1격벽(31)의 좌우측 말단부에 비하여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격벽(31)에 형성된 통로(33)의 중앙 부분은 서로 연결되는데, 이는 격벽부(3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위함과 동시에 링거액의 흐름에 대해서 지체현상을 가중시키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부(11)를 통해 유입된 링거액은 격벽부(30)에 형성된 제1격벽(31)의 상부를 따라 좌우로 갈라져서 흐르고, 좌우측 말단부에서 케이스(10, 20)에 형성된 통기공(15, 25)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링거액은 제1격벽(31)의 통로(33)를 통과하여 제2격벽(32)의 상부를 따라 중앙으로 모이며, 다시 제2격벽(32)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로(33)를 통해 아래로 흘러간다. 이 과정에서 제1격벽(31)과 제2격벽(32)의 좌우측 말단부에 공기가 포집되고, 포집된 공기는 에어필터(41)를 통해 케이스(10, 20)에 형성된 통기공(15, 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링거액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과정은 링거액의 흐름의 방향과는 상관이 없다. 즉, 본 발명의 입구부(11, 21)와 출구부(12, 22)는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일 뿐, 실제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어느 쪽으로 링거액을 투입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분한 것이며, 서로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실제 사용할 때에 본 발명의 전면과 배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상관이 없다. 결국, 본 발명은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에어필터(41)와 흡착필터(42)를 케이스(10, 20)에 부착하는 방법은 초음파 융착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통상의 기술로써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격벽부(30)를 케이스(10, 2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과 격벽부(30)를 에어필터(41)에 부착하는 방법도 통상의 기술로써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10...배면케이스 11, 21...입구부
12, 22...출구부 13...요철부
14...홈 15, 25...통기공
20...전면케이스 30...격벽부
31...제1격벽 32...제2격벽
33...통로 41...에어필터
42...흡착필터

Claims (4)

  1.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12)가 형성되며, 배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15)이 형성되고, 내면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14)으로 구성되는 요철부(13)가 형성되는 배면케이스(10);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22)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25)이 형성되고, 내면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접합되는 전면케이스(20);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내면 상단부에 부착되어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에어필터(41);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요철부에 부착되는 흡착필터(42); 및
    링거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좌우측에 형성된 제1격벽(31)과 중앙 부분에 통로(33)가 형성된 제2격벽(32)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된 에어필터(41) 사이에 삽입되는 격벽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30)의 제1격벽(31)은 좌우측 통로(33) 사이의 중앙 부분이 말단 부분보다 두꺼우며 중앙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통로(33) 중앙을 따라 좁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통기공(15, 25)은 그 위치가 내부에 장착되는 격벽부(30)의 제1격벽(31)과 제2격벽(32)이 형성하는 공간 중에서 좌우측 말단부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4.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12)가 형성되며, 배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15)이 형성되고, 내면 하부에는 상하로 형성된 다수 개의 홈(14)으로 구성되는 요철부(13)가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배면케이스(10);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출구부(22)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분의 좌우측에 다수개의 통기공(25)이 형성되고, 내면 하부에는 상하로 형성된 다수 개의 홈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케이스(1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접합되는 전면케이스(20);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내면 상단부에 부착되어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에어필터(41);
    양전하로 대전 되며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요철부에 부착되는 흡착필터(42); 및
    링거액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좌우측에 형성되고 좌우측 통로(33) 사이의 중앙 부분이 말단 부분보다 두꺼우며 중앙 부분과 말단 부분 사이의 통로(33) 중앙을 따라 좁게 연결된 제1격벽(31), 중앙 부분에 통로(33)가 형성된 제2격벽(32)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면케이스(10)와 전면케이스(2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된 에어필터(41) 사이에 삽입되는 격벽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KR1020150157833A 2015-11-11 2015-11-11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KR20170055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33A KR20170055102A (ko) 2015-11-11 2015-11-11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33A KR20170055102A (ko) 2015-11-11 2015-11-11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02A true KR20170055102A (ko) 2017-05-19

Family

ID=5904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833A KR20170055102A (ko) 2015-11-11 2015-11-11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1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60A1 (ko) * 2017-06-21 2018-12-27 이상빈 수액 필터 어셈블리
KR102171711B1 (ko) 2020-04-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라인용 공기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60A1 (ko) * 2017-06-21 2018-12-27 이상빈 수액 필터 어셈블리
KR102171711B1 (ko) 2020-04-17 2020-10-29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라인용 공기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7444B (zh) 过滤针
US9968725B2 (en) Priming system and method of dialysis systems
TWI453043B (zh) 靜脈過濾器
EP0995460B1 (en) Filtered access port with filter bypass for accessing body fluid samples
US7819835B2 (en) Hyperthermia, system, method and components
CN203777404U (zh) 滴注室装置和静脉注射组件
CN103484358B (zh) 过滤器装置
KR100893365B1 (ko) 주사액 주입장치의 말단접속구,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액 주입장치
RU2008122063A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ей
CN108601892B (zh) 用于向患者输送流体和/或从患者抽取流体的流体接口装置
US20180333295A1 (en) Hyperthermia, system, method and components
US20160346528A1 (en) Co-injection member
KR20170055102A (ko)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공기제거 필터
CN103402560B (zh) 用于血液处理系统的腔室、腔室用途、血液导管系统和血液处理系统
KR200475695Y1 (ko)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KR20190001420U (ko) 원 웨이 밸브를 포함한 수액필터
EP3266477B1 (en) Air trap chamber
US9833580B2 (en) Medical heating device having means for blocking flow of fluid
JPS6290171A (ja) 薬学的に受入れ可能な物質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
KR20170067076A (ko) 링거주사세트 장착용 필터
KR20190010976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140065198A (ko) 수액세트
KR102171711B1 (ko) 수액라인용 공기제거기
KR200476102Y1 (ko) 표면적이 증가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KR100713719B1 (ko) 공기주입방지수액세트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