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682A -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682A
KR20170054682A KR1020150157128A KR20150157128A KR20170054682A KR 20170054682 A KR20170054682 A KR 20170054682A KR 1020150157128 A KR1020150157128 A KR 1020150157128A KR 20150157128 A KR20150157128 A KR 20150157128A KR 20170054682 A KR20170054682 A KR 2017005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fermentation
fermented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147B1 (ko
Inventor
조계만
이동훈
이병원
강상수
황정은
이희율
안민주
이유영
박지영
심은영
이춘우
김병주
김욱한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1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로 발효되고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탄수화물 및 지방 가수분해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Soybean fermented composition having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y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alleviating climacteric or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로 발효되고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탄수화물 및 지방 가수분해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 및 의학기술 발전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각종 성인병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갱년기 및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 감소에 의한 다양한 증상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대사질환 (비만,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등)은 약 60%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갱년기 증상은 남성 호르몬 또는 여성 호르몬의 분비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난소의 노화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에 의해 폐경을 전후로 약 2 내지 10년에 걸쳐 나타나는 증상으로 고열, 안면홍조, 땀, 비만, 불면증, 우울증, 요실금, 통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증상이 유발된다.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하여,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 치료법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호르몬 대체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을 장기 투여하는 경우에는 발암 위험성, 두통, 체중 증가와 같은 부작용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의 갱년기 및 폐경기 증상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87608호, 등록특허 제1272602호).
콩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35 ~ 45%) 식품일 뿐만 아니라 지방질(10 ~ 15%), 탄수화물(10%) 및 무기질(5%)의 균형적인 급원으로 특히 한국인에게는 두부, 장류, 두유, 콩기름 등의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 콩은 영양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포닌, 이소플라본, 레시틴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고시형 원료로서 폐경기 이후 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일일 섭취권장량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aglycone, 아글리콘) 형태로 약 24 ~ 27 ㎍/g 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콩 속의 이소플라본은 배당체인 β-글리코사이드가 25%, 말로닐-β-글리코사이드가 70 ~ 80%, 아세틸-β-글리코사이드가 5%이고, 비배당체인 아글리콘(aglycone)이 2% 정도만 존재한다 (Penalvo et al. 2004; Kim et al. 2005; Rostagno et al. 2004). 특히 콩의 다양한 생리활성은 대부분 콩에 함유된 아글리콘 형태(daizenin, gycitein, genistein의 3가지)의 이소플라본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글리콘 형태 중 제니스테인(genistein)은 항산화활성 뿐만 아니라 유방암 및 전립선암 등에 효과적이며 다이드제인(daidzein)은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콩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진시키고자 콩 품종, 재배 환경, 발아, 가공 처리 기술의 개발이 지속하여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아울러 비배당체인 아글리콘 형태로의 전환 기술 개발도 시도되고 있으나, 여전히 더 요구되고 있다(등록특허 1161231호, 등록특허 1302376호).
종래 기술에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연구를 지속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선행 연구에서 발굴하여 분리/동정하였던, 생균제제에 적합하고 공액리놀레산 생산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균주를 이용하여 콩을 발효할 경우, 놀랍게도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에 필요한 생리활성 즉,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탄수화물 및 지방 가수분해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증진된 발효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균주로 발효되어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콩 발효조성물에서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로 발효되어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균주'로는 본 발명자들이 분리, 동정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에 2013년 8월 13일에 기탁한(수탁번호: KACC 91848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발효'는 콩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를 접종하여 20 ~ 40 ℃에서 12시간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균주 접종은 1.0 ~ 10.0%(v/v)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콩은 생콩 또는 증자콩이 사용될 수 있으나, 100 ~ 120 ℃에서 30 ~ 60분간 증자된 증자콩이 바람직하다. 또한 콩은, 발효 전에,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및/또는 에스테라제의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콩 가수분해물로 제조한 후,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가수분해 효소의 처리량은 1 ~ 10 unit가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효소처리에 의해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리활성'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탄수화물 및 지방 가수분해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 등을 포함한다 (실험예 2~7). 이들 생리활성의 증진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갱년기 및 폐경기 증상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은 콩제품 (두유, 두부, 콩고기, 콩스택, 콩과자), 유제품 (우유, 치즈), 발효유 (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발효식품 (김치류, 장류, 피클), 발효 음료, 기타 가공품(환, 과립, 분말)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콩 발효조성물에서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콩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를 접종하여 20 ~ 40 ℃에서 12시간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공한다.
균주 접종, 콩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콩은, 발효 전에,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및/또는 에스테라제의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콩 가수분해물로 제조한 후,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효소처리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콩 발효조성물은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현저히 증진된다 (표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성물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에 필요한 생리활성인,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탄수화물 및 지방 가수분해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증진되어 있어서, 항산화, 체중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고지혈증 개선, 동맥경화 완화, 당뇨병 완화, 혈액순환 개선, 면역력 개선, 안면홍조 개선 및 골다공증 개선 등의 여성호르몬 불균형에 따른 갱년기 및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콩 발효조성물은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이 현저히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점유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도 3b: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도 3c: 하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 도 3d: FRAP 환원력).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소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도 4b: 알파-아밀라아제 저해 활성, 도 4c: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
도 5는 3T3-L1 지방세포주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농도별 처리 9일후 지방축적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3T3-L1 지방세포주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농도별 처리 9일후 TG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3T3-L1 지방세포주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농도별 처리 9일후 유전자 LPL (도 7a), C/EBP-α (도 7b), adiponectin (도 7c), aP2 (도 7d), FAS (도 7e) 및 ACC (도 7f)의 mRNA 발현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참고예 1 : 접종 균주 준비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를 위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 (수탁번호: KACC 91848P)를 MRS 액체배지 (Difco사, USA)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발아맥아 100 g에 5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00℃에서 6시간 추출하여 거즈로 여과하여 제조한 맥아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혼합 배양하여 접종을 위한 종균으로 준비하였다.
제조예 : 콩 발효조성물 제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에서 2014년 수확하여 공급받은 대원콩 1kg을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세척하고 콩 무게의 약 3배 분량의 물을 첨가하여 25 ℃에서 6시간 수침한 후 100 ℃에서 30분간 증자하여 50 ~ 55 ℃에서 2 ~ 3일간 건조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증자콩 분말 500 g에 설탕 5%(25 g)와 물 5 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간 살균하였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및 에스테라제 (Sigma-Aldrich 사)를 최종 10 unit 되게 첨가하여 37 ℃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콩 가수분해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콩 가수분해물 5 L에 참고예에서 준비된 실시예 종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 배양액을 5%(v/v)로 접종한 후, 약 37℃에서 72시간 정치 발효시켜 콩 발효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1. 콩 발효조성물의 이화학적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에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냈다.
pH는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산도 측정은 콩 발효조성물 1 ml를 0.1N-NaOH 용액으로 pH 8.4±2까지 중화시키는데 소요된 0.1N-NaOH의 소비 ml수를 구하고 젖산(lactic acid)양으로 환산하여 %로 총산을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은 콩 발효조성물 1 ml를 멸균생리식염수에 단계별로 희석하여 MRSA 배지에 도말하고 30 ℃에서 48시간 배양 후 나타난 젖산균 특유의 콜로니를 측정하여 생균수(log cfu/g)로 나타내었다.
발효시간 평가항목
pH 산도
(%, 젖산 기준)
생균수
(log cfu/g)
0 시간 6.01±0.30 0.43±0.03 9.21±0.46
72 시간 4.17±0.21 1.12±0.06 9.21±0.4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시작 전에는 pH가 6.01, 산도는 0.43%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에는 젖산 생성에 기인하여 pH는 4.17로 감소하고 산도는 1.12%로 상승하였다. 생균수 역시 발효 전에 9.21 log cfu/g이었고 발효 후에는 10.49 log cfu/g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효조성물은 발효식품에 적합한 이화학적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참고예 2 : 생리활성 분석시료 준비
제조예에서 발효 전 (발효 0시간), 발효 후 (발효 72시간)에 각각의 콩 발효조성물을 500 ml씩 취하여 -70℃에서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였다.
동결건조된 분말 시료 10 g에 50% 메탄올 200 ml을 가한 후 20℃, 300 rpm에서 12시간 추출한 후 여과지로 1차 여과한 후 0.45 μm 여과필터로 2차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 시료를 하기 총 페놀릭스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이소플라본 함량의 측정에 사용하였다.
동결건조된 분말 시료 20 g에 50% 메탄올을 200 ml 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이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은 후 여과지(No. 2, Whatman, Tokyo Roshi Kaisha, Ltd., Tokyo, Japan)로 여과하여 모은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기(EYELA,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 후 제조하였다. 농축된 시료는 추출용매로 녹여 각각 0.25, 0.50 및 1.0 mg/ml 농도별 분석 시료를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50% 메탄올 추출물을 건조시켜 제공된 분말 시료를 DMSO에 녹여 100, 500 및 1,000 ㎍/ml 농도별 분석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생성 억제능, TG 생성량 감소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페놀릭스 함량은 Folin Denis법(1912)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각각의 여과액 시료를 시험관에 0.5 ml 분주하고 여기에 25% Na2CO3 용액 0.5 ml를 첨가하여 3분간 정치시켰다. 다시 2N-Folin-Ciocalteu 페놀 시약 0.25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30 ℃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페놀릭스 함량은 갈산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여 갈산에 상당하는 양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발효시간 평가항목
총 페놀릭스 함량(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0 시간 6.30±0.38 0.18±0.01
72 시간 7.79±0.47 0.49±0.03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였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법(1999)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각각의 여과액 시료 0.5 ml를 음성대조구와 측정용액으로 나누어 두 개의 시험관에 취하고 여기에 디에틸렌 글리콜 1.0 ml 및 1 N-NaOH 0.01 ml를 가하여 미리 예열해놓은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방치시켰다. 그 후 분광광도계(Spectronic 2D)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루틴(ru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 검량곡선으로부터 값을 산출하여 상기 표 2에 나타냈다.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페놀릭스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가하였고, 72시간 발효 후 총 페놀릭스 함량은 약 24% 증가하였고 특히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2.7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이소플라본 함량 분석
이소플라본 함량은 Cho 등(2011)의 방법에 따라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 컬럼은 Lichrophore 100 RP C18 컬럼 (4.6 × 250 mm, 5 μm, Merck, Germany)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용매는 0.2% 글라시얼 아세트산 수용액 (A)와 0.2%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B)으로 분석하였다. 이동상 조건으로는 A 용매 기준으로 0분-100%, 15분-90%, 25분-80%, 35분-75%, 45분-65% 및 50분-65%로 유지시켰다.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각각의 여과액 시료 20 ㎕를 주입하였으며 이동상 속도는 30℃에서 1 ml/min로 유지하였다. 검출기는 디오드 어레이 디텍터 (Agilent 1200 series, Agilent Co.)를 사용하였으며 흡광도 254 nm에서 정량하여, 각각의 결과를 도 1, 도 2 및 표 3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크로마토그램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콩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후, 공통적으로 9종류의 이소플라본 유도체(daidzin, glycitin, genistin, malonyldaidzin, malonylglycitin, malonylgenistin, 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전에 검출된 주요 유도체로는 배당체 형태의 다이드진(daidzin), 글라이시틴(glycitin) 및 제니스틴(genistin) (피크 1, 2 및 3)이 높은 함량으로 측정되었으나, 발효 후에는 이러한 배당체 형태가 대부분 감소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비배당체 형태의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 (피크 9 및 12)이 크게 증가하여 주요 이소플라본 유도체로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이소플라본 함량
(㎍/g)
발효시간
0 시간 72 시간
Glycosides
Daidzin 264.68±15.88 54.34±3.26
Glycitin 165.96±9.96 26.66±1.60
Genistin 371.77±22.31 12.10±0.73
소계 802.41±48.14 93.11±5.59
Malonylglycosides
Daidzin 1.18±0.07 tr
Glycitin 12.17±0.73 10.19±0.61
Genistin 10.84±0.65 10.80±0.65
소계 24.19±1.45 20.99±1.26
Acetylglycosides
Daidzin tr nd
Glycitin nd nd
Genistin nd nd
소계 tr nd
Aglycones
Daidzein 17.69±1.06 164.86±9.89
Glycitein 40.10±2.41 10.63±0.64
Genistein 15.12±0.91 164.09±9.85
소계 72.91±4.37 339.58±20.37
총계 899.51±53.97 453.68±27.22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였음
**tr: trace(<0.002 ㎍/g)
***nd: 검출되지 않음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인 아글리콘의 함량 (339.58 ㎍/g)은 발효 전 (72.91 ㎍/g)에 비하여 약 4.7배 증가하였고, 특히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 (genistein)의 함량은 발효 전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발효 전, 후의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점유율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당체인 글리코사이드 이소플라본은 발효 전 89.21%이었던 것이 발효 후 20.52%로 감소하였고 비배당체인 아글리콘 이소플라본은 발효 전 8.11%였던 것이 74.85%로 점유율이 크게 증가한 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에 의해 아글리콘으로의 전환이 매우 높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콩 발효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FRAP)의 4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 D9132, FW 393.4, C18H12N5O6)는 매우 안정한 라디칼로서 525 nm에서 특정 흡광도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PPH 용액 0.8 ml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0.2 ml를 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암실에서 30분간 방치시켰으며 반응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 실험은 시료 대신에 PBS 완충액(NaCl 8.76 g, NaH2PO4 0.11 g, Na2HPO4 0.596 g)을 사용하였고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값을 구하여 아래와 같은 식에 대입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음성대조구 흡광도 ÷ 실험구 흡광도)] × 100
도 3a에 의하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 후에, 분석 시료의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2-azino-bis의 색을 띤 라디칼의 감소정도에 따라 항산화능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즉 이 방법은 시료와 표준물질(Trolox, 6-hydroxy -2,5,7,8-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의 값과 비교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시료의 항산화력에 의해 ABTS 양이온(ABTS)이 소거되어 청록색으로 탈색되는데, 이때 ABTS 양이온(ABTS)의 제거 정도를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알 수 있고, 탈색반응이 1분 내에 종료되므로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7 mM ABTS+ 5 ml과 2.45 mM K2S2O8 5 ml를 섞어 암실에서 12∼16시간 방치시켜 ABTS+ 라디칼을 형성시켰다. 이후 732 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0.9 ml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1.0 ml를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켜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 실험은 시료 대신에 PBS 완충액(NaCl 8.76 g, NaH2PO4 0.11 g, Na2HPO4 0.596 g)을 사용하였고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값을 구하여 아래와 같은 식에 대입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b에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
[1-(음성대조구 흡광도 ÷ 실험구 흡광도)] × 100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발효 전과 비교했을 때 발효 후에 훨씬 증가하였고 특히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0.25 mg/g 농도의 시료 처리시 51.30%를, 1.0 mg/g의 고농도 처리 시 67.30%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10 mM FeSO4 .7H20-EDTA 0.2 ml, 10 mM 2-데옥시리보스 0.2 ml, 10 mM H2O2 0.2 ml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1.4 ml를 혼합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이 혼합액에 1% 티오바르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증류수와 2.8%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richloroaceric acid)/증류수를 각각 1 ml를 가하여 100 ℃에서 20분간 가열하여 발색시키고 적당히 냉각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 실험은 시료 대신에 PBS 완충액(NaCl 8.76 g, NaH2PO4 0.11 g, Na2HPO4 0.596 g)을 사용하였고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를 도 3c에 도시했다.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전에는 처리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이 큰 차이 없이 유사하였으나, 발효 후에는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이 0.25 mg/g 농도에서 46.68%, 1.0 mg/g 농도에서 57.23%로 농도의존적으로 크게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FRAP 환원력>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환원력 분석은 화합물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Fe3+를 Fe2+로 환원시키는 힘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Fe-TPTZ(ferric tripyridyl triazine)가 시료의 환원력에 의하여 푸른색의 Fe-TPTZ(ferrous tripyridyl triazine)으로 환원될 때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FRAP 환원력 분석에서 반응액으로는 30mM 아세테이트 완충액(pH 3.6), 40 mM 염산에 녹인 10 mM 2,4,6-트리피리딜-s-트리아진(TPTZ, T1253, C18H12N6, MW312.33) 및 20mM FeCl3(F7134, MW 162.20, in DW)를 준비하였으며, 아세테이트 완충액, TPTZ 용액 및 FeCl3 용액을 10:1:1 (v/v/v)로 혼합하여 37 ℃에서 15분간 예비반응을 시켜두었다.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50 ㎕와 FRAP 시약 950 ㎕를 시험관에 분주한 후 약 15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Biorad 3055, Sweden)를 사용하여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d에 나타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AP 환원력도 발효 전(0.13)과 비교했을 때 발효 후(0.58)에 훨씬 증가하였고 특히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환원력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1.0 mg/g의 고농도 처리시 환원력이 약 3배 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크게 증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콩 발효조성물의 소화효소 저해 활성 검정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은 당뇨병 개선효과의 지표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활성,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저해활성, 및 비만 개선효과의 지표인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의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50 ㎕, 알파-글루코시다아제 (0.5 U/ml) 효소용액 50 ㎕,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예비반응 하였다. 이후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인 p-NPG (5 mM) 100 ㎕를 가하여 다시 37℃에서 10분 반응시켰으며 반응액에 Na2CO3 (100 mM) 0.75 ml를 가해 최종 반응을 정지시킨 후 420 nm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에 추출용매를 취하였으며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결과를 도 4a에 나타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은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 후에 증가하였고, 특히 0.50 mg/g 농도 처리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은 발효 전에는 23.57%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41.22%로 약 2배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알파-아밀라제 저해 활성>
알파-아밀라제 저해 활성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50 ㎕를 시험관에 분주한 후 α-아밀라제(1.0 U/ml) 효소용액 50 ㎕와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 50 ㎕를 첨가하여 37 ℃에서 10분간 예비 반응을 시켰다. 반응액에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인 1% 전분용액을 0.25 ml를 가하여 다시 37 ℃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나서 0.5 N-NaOH 및 30%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을 용해한 48 mM DNS 시약을 0.25 ml 첨가하여 100 ℃에서 20분간 끓여 발색 및 냉각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에 추출용매를 취하였으며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아밀라제 저해 활성도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 후에 증가하였고, 특히 발효 전에는 저농도 처리시 저해활성이 없었으나 발효 후에는 저농도에서도 저해활성을 보였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0.50 mg/g 처리 시 50.63% 및 1.0 mg/g 처리 시에는 59.41%로 알파-아밀라제 저해 활성은 크게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 각각의 분석 시료 50 ㎕, 췌장 리파아제 (1.0 U/ml) 효소용액 50 ㎕, 및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 ℃에서 10분간 예비반응시켰다. 반응 후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에 녹인 p-NPB(5 mM) 100 ㎕를 가하여 동일하게 10분간 반응시킨 후 100 mM Na2CO3 0.75 ml를 가해 반응을 종결시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에 추출용매를 취하였으며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결과를 도 4c에 나타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은 발효 전에는 저해활성이 없거나 낮은 저해활성(최대 11.5%)을 나타낸 반면에, 발효 후에는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 리파아제 효소 저해활성이 증가하였으며, 0.25 mg/g 농도 처리시 37.49%, 0.50 mg/g 농도 처리시 54.56%, 1.0 mg/g 농도 처리시 62.82%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콩 발효조성물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은 약 6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이 크게 증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지방 생성 억제능 검정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지방 생성 억제능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측정하였다.
3T3-L1 지방 전구세포는 미국세포은행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을 통하여 구입하여 10% 소태아혈청(FBS, Gibco Co., USA)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 Co., USA)이 첨가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를 이용하여 37 ℃,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하기 위하여 60cm 플레이트에 5×105cells/plate로 분주하고 이틀에 한번씩 배지를 교환하면서 세포가 완전히 융합상태가 될때까지 배양하였다. 융합상태시 첫날에는 1.5 ㎍/ml 인슐린, 1μM 덱사메타손, 500 μM IBMX, 와 1μM 로시글리타존 (3T3-L1 분화키트, Biovision, CA, USA)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고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분화 시작시 참고예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100, 500 및 1,000㎍/ml) 각각의 분석 시료를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 3일 후, 시료와 1.5㎍/ml 인슐린이 포함된 DMEM으로 이틀에 한 번씩 교환해 주면서 6일간 더 배양하였고, 총 9일후 오일 레드 염색법으로 염색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대조구는 추출 시료 대신에 시료를 녹인 용매 DMSO를 처리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전의 분석 시료를 처리한 경우에는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지 않고 지방이 생성되어 축적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발효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분석 시료를 처리한 경우는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고 지방 축적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TG) 생성 억제 검정
실험예 5에서와 같이,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100, 500 및 1,000㎍/ml) 각각의 분석 시료를 처리하여 9일 배양되어 준비된 3T3-L1 지방 전구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3번 세척 후 러버 폴리스만(rubber policeman)을 이용하여 세포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에 적당량의 TG 표준희석액 (Triglyceride colorimetric 분석 키트, cayman chemicals, Ann Arbor, MI, USA)을 첨가하여 현탁시킨 후, 초음파 (1초, 20×)로 처리하고 12,000 rpm 으로 1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에 있는 TG를 Triglyceride colorimetric 분석 키트(cayman chemicals, Ann Arbor, MI, USA)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대조구를 100으로 준해서 계산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전의 분석 시료를 처리한 경우에는 3T3-L1 지방세포의 TG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분석 시료를 처리한 경우는 3T3-L1 지방세포의 TG 생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mRNA 발현 억제 검정
실험예 5에서와 같이, 참고예 2에서 준비된 발효 전후 농도별(100, 500 및 1,000㎍/ml) 각각의 분석 시료를 처리하여 9일 배양되어 준비된 3T3-L1 지방 전구세포에서 트리졸(Trizol) (Ambion, Carisbad, CA, USA)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고 총 RNA는 정량 후,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LPL, C/EBP-α, adiponectin, aP2, FAS 및 ACC의 mRNA 발현변화를 하기 표 4에 나타낸 PCR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 및 qPCR로 상대정량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7a ~ 도 7f에 나타내었다. cDNA 합성과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M-mlV Reverse transcriptase kit (Enzynomics, Daejeon, Korea), Maxime RT-PCR PreMix Kit (Intron Biotechnology, Seoul, Korea)과 ToprealTM qPCR 2×PreMIX PCR kit(Enzynomics, Daejeon, Korea)을 이용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염기서열 (RT-PCR) 프라이머 염기서열 (qPCR)
정방향 역방향 정방향 역방향
LPL tccaaggaagcctttgagaa tatttgtggaaacctcgggc tccaaggaagcctttgagaa ccatcctcagtcccagaaaa
C/ EBP tggacaagaacagcaacgag tcctctgggtctccagcc tggacaagaacagcaacgag tcactggtcaactccagcac
adiponectin aaggacaaggccgttctct tatgggtagttgcagtcagttgg aaggacaaggccgttctct tccagatggaggagcacaga
aP2 tgggaacctggaagcttgtc gtggtcgactttccatccca tgggaacctggaagcttgtc gctgatgatcatgttgggcttg
FAS cccttgatgaagagggatc ccgtcaatgcagtggtcta cccttgatgaagagggatc actccacaggtgggaacaag
ACC ggaccactgcatggaatgttaa ccaggctaccatgccaatct ggaccactgcatggaatgttaa tgagtgactgccgaaacatctc
β-actin caccccagccatgtacgt tccagggaggaagaggatgc caccccagccatgtacgt gtccagacgcaggatggc
도 7a ~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전의 분석 시료(BF)를 처리한 경우에는 유전자 LPL, C/EBP-α, adiponectin, aP2, FAS 및 ACC의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 반면에, 발효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의 분석 시료(AF)를 처리한 경우는 유전자 LPL, C/EBP-α, adiponectin, aP2, FAS 및 ACC의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생성의 억제효과가 크게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예들의 검정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과 같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848P 20130813

Claims (8)

  1. 수탁번호 KACC9184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균주로 발효되고 증진된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항산화 활성, 소화효소 저해활성, 지방생성 억제활성, 및 비배당체-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함량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2. 제 1항에 따른 콩 발효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콩제품, 유제품, 발효유, 발효식품 및 발효음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콩제품은 두유, 두부, 콩고기, 콩스낵, 및 콩과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5. 제 2항에 있어서,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안면홍조, 비만, 불면증, 우울증,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6. 콩 발효조성물에서 비배당체-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콩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를 접종하여 20~ 40 ℃에서 12시간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콩은 100 ~ 120 ℃에서 30 ~ 60분간 증자된 증자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발효조성물에서 비배당체-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콩은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콩 가수분해물로 제조한 후 발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발효조성물에서 비배당체-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20150157128A 2015-11-10 2015-11-10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182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28A KR101824147B1 (ko) 2015-11-10 2015-11-10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28A KR101824147B1 (ko) 2015-11-10 2015-11-10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682A true KR20170054682A (ko) 2017-05-18
KR101824147B1 KR101824147B1 (ko) 2018-01-31

Family

ID=5904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128A KR101824147B1 (ko) 2015-11-10 2015-11-10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1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647A (ko) 2018-05-14 2018-12-05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9646A (ko) 2018-05-14 2018-12-05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2208A (ko) * 2017-06-02 2018-12-1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20190020381A (ko) * 2017-08-21 2019-03-04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바, 공액리놀레산 및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이용되는 복합 생균제제 및 이 콩 발효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식품
KR20190096130A (ko) * 2018-02-08 2019-08-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드키위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CN110870878A (zh) * 2018-08-31 2020-03-10 生物节律有限公司 用于防止或缓解女性更年期症状的乳杆菌益生菌制剂
WO2020091166A1 (ko) * 2017-11-02 2020-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20230164597A (ko) * 2022-05-25 2023-12-04 천현수 콩 및 상추 발효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288A (ko) 2022-07-18 2024-0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에스트로겐 분비저하에 의한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08A (ko) * 2017-06-02 2018-12-1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20190020381A (ko) * 2017-08-21 2019-03-04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바, 공액리놀레산 및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이용되는 복합 생균제제 및 이 콩 발효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식품
WO2020091166A1 (ko) * 2017-11-02 2020-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11554146B2 (en) 2017-11-02 2023-01-17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Lactic acid bacteria and use thereof
KR20190096130A (ko) * 2018-02-08 2019-08-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드키위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180129647A (ko) 2018-05-14 2018-12-05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9646A (ko) 2018-05-14 2018-12-05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0870878A (zh) * 2018-08-31 2020-03-10 生物节律有限公司 用于防止或缓解女性更年期症状的乳杆菌益生菌制剂
KR20230164597A (ko) * 2022-05-25 2023-12-04 천현수 콩 및 상추 발효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29356A3 (ko) * 2022-05-25 2024-04-25 천현수 콩 및 상추 발효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147B1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47B1 (ko)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콩 발효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US9029110B2 (en)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microbially fermented tea extract containing polyphenol derivative
KR102323969B1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5059B1 (ko)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파바톤 콩잎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갱년기 증후군 개선 유효성분 강화 콩잎 조성물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6865A (ko)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KR10197472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102044602B1 (ko) 가바, 공액리놀레산 및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이용되는 복합 생균제제 및 이 콩 발효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식품
KR101889596B1 (ko) 우수한 풍미와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혼합곡물의 송이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식품에서의 이용
CN102648284A (zh) 多酚衍生物及其制造方法
KR101664380B1 (ko)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홍삼을 함유하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KR20200087900A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26271B1 (ko)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진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진피 발효 추출물
KR101341263B1 (ko)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을 이용한 발효울금의 제조방법
KR101839970B1 (ko) 우수한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성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632B1 (ko)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2236A (ko) 신규 유산균 및 이를 이용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0963684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cm-10839p 균주를 이용한분리대두단백발효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45670B1 (ko) 청국장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102482910B1 (ko)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올레산 및 니아신이 증진된 파바톤 콩잎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3196B1 (ko) 청국장 분리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암기능성 발효두유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437929B1 (ko) 파바톤 콩잎 추출물과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2200B1 (ko)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199387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데리야끼 소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