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32B1 -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632B1
KR102001632B1 KR1020170118380A KR20170118380A KR102001632B1 KR 102001632 B1 KR102001632 B1 KR 102001632B1 KR 1020170118380 A KR1020170118380 A KR 1020170118380A KR 20170118380 A KR20170118380 A KR 20170118380A KR 102001632 B1 KR102001632 B1 KR 10200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hanced
bellflower
epicatechin
acid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50A (ko
Inventor
조계만
황정은
강민철
장미정
김수철
Original Assignee
(주)자연애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애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자연애팜
Priority to KR102017011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8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1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13
    • A23Y2220/67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로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의 함량이 현저히 증진되어 있고, 더불어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가져서,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의약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Platycodon radix composition containing high protocatechuic acid, epicatechin, and oleic acid and enhanced inhibition activities of alpha-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로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라지를 증숙,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의 혼합종균으로 발효, 및 숙성하여 제조된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길경, 길경채, 질경 또는 산도라지라고 하며 산과 들에서 자라고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으며 높이는 40 ∼ 100cm이다. 도라지는 당질을 약 90% 이상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이 약 2.5%, 지질 약 0.1%로 보고되어있다.
도라지는 latycodin D,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 형태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이들 사포닌이 항암, 뇌신경세포 보호작용,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도라지 활성성분과 관련하여 사포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그 외의 활성성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732036호, 등록특허 10-0915860호). 따라서 사포닌 이외의 도라지 활성성분의 강화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은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갖는 주요 폴리페놀이며, 항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에피카테킨은 천연 페놀이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 주요 플라보놀이다. 올레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혈압 강하 및 유방암 발병 감소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과 같은 활성성분이 강화된 도라지의 제조방법이 알려진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증숙, 특정 유산균 혼합종균 발효 및 고온 숙성 기술을 접목하여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동시에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증진된 도라지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ⅰ) 도라지를 증숙하는 단계;
ⅱ) 증숙된 도라지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의 혼합종균으로 발효하는 단계; 및
ⅲ) 발효된 도라지를 고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단계 ⅰ): 증숙
도라지를 증숙(steaming process)한다.
본 발명에서 도라지는 2년근 이상을 사용한다. 도라지를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증숙한다.
증숙은 통상의 찜기와 같은 증숙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100℃에서 30~120분간 수행한다.
증숙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증숙이 진행되지 않아 발효 또는 숙성과 같은 후속 단계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잡균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120분 초과하여 증숙될 경우는 오랜 열처리로 도라지의 영양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단계 ⅱ): 혼합종균 발효
증숙된 도라지를 혼합종균으로 발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혼합종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혼합종균을 구성하는 하나의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는 본 발명자가 분리동정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에 2013년 8월 13일자로 기탁한 균주(수탁번호 KACC91848P)로서 생균제제능이 우수하고 생리활성물질 생산성이 우수하나, 동형유산발효(homo-lactic acid fermentation) 유산균으로 단독 발효 시 유산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이를 감세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 혼합종균을 구성하는 또 다른 하나의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BMK184 균주는 또한 본 발명자가 분리동정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6년 12월 12일에 기탁한(수탁번호 KACC 92156P) 균주로, 가바(GABA)의 생산성 및 생리활성물질의 생산성이 탁월하나 이형유산발효(hetero-lactic acid fermentation) 유산균으로 단독 발효 시 유산 생성이 미흡하였으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와 혼합종균으로 사용시, 상기 2종의 균주의 발효 특성이 상호 보완되어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특허출원 2017-0068747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는 맥아엑기스 액체배지에서 종균으로 배양하며, 배양 전 또는 후 1: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종균을 제조한다.
발효는 상기 혼합종균 배양액을 증숙된 도라지에 2 ∼ 10%(v/w) 농도로 접종하여 25 ~ 40℃에서 2 ~ 7일간 발효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혼합종균 접종량이 2%(v/w) 미만 일 경우에는 발효 속도가 지연될 수 있고 발효 온도가 25℃ 미만일 경우 발효기간이 길어져 잡균의 오염을 초래하고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균주의 생육이 정지될 수 있고 발효 기간이 2일 미만일 경우 발효 기간이 충분하지 않아 생리활성물질 등의 생성이 저조하게 될 수 있으며, 7일 초과일 경우 역시 과 발효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될 수 있다.
ⅲ) 숙성
발효된 도라지를 고온에서 숙성시킨다.
숙성은 60 ∼ 80℃의 고온에서 5 ∼ 10일간 숙성시킨다.
숙성 온도가 60℃ 미만이거나 숙성 기간이 5일 미만일 경우 숙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숙성온도가 80℃ 초과하거나 숙성 기산이 10일 초과일 경우 생산된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되어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숙성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발효된 도라지를 밀폐 용기에 담아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도라지는 유산 생성이 적정하게 이루어져 기호성이 유지되면서도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과 같은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될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이 현저히 증진되었다 (시험예 3 및 4).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상기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도라지를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거나, 과립, 환, 음료, 젤리 등의 형태의 제품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비하여,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의 함량 및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현저히 증진된 도라지를 생산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의 함량 이 현저히 증진되어 있고, 더불어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가져서,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의약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식품은 우수한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을 가져서, 지방생성 억제효과, 체중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고지혈증 개선, 동맥경화 완화, 당뇨병 완화, 혈액순환 개선, 면역력 개선용으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의 일례와 각 단계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c는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의 소화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제조예 . 도라지 제조
2년∼5년근 도라지 1kg을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3회 세척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찜 솥에 적당량의 물과 함께 100℃에서 1시간 쪄서 증숙 도라지를 제조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는 맥아엑기스 액체배지에서 종균으로 배양하고, 배양 전 또는 후 1:1 비율로 혼합한 혼합종균을 5%(v/w)로 증숙 도라지에 접종하고 30℃에서 7일간 발효시켜 발효 도라지를 제조하고, 발효 도라지를 밀폐용기에 담고 70℃에서 7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실시예)를 완성하였다 (도 1).
제조된 도라지의 pH는 pH 미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총산도는 중화적정법을 통해 수행하여 젖산으로 환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pH 총산도(%, 젖산 기준)
실시예 도라지 3.71 0.64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는 pH와 총산도는 각각 3.71과 0.64%로 혼합종균 사용시 적정한 산도가 생성되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단독 발효 시에는 산이 과다가 생성되며, 반대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단독 발효 시에는 산 생성력이 약하다. 과다 산이 생성되면 신맛이 강화하여 기호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산 생성력이 약할 경우 잡균 등의 오염 기회가 높아진다.
시험예 1. 도라지의 올레산 함량 분석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실시예)와, 비교를 위하여 각 단계의 도라지 즉, 세척된 원재료 도라지 (비교예 1), 증숙 단계까지만 거친 증숙 도라지 (비교예 2), 및 발효 단계까지만 거친 발효 도라지 (비교예 3) 각각의 올레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시료는 각각의 도라지를 55℃에서 약 3일간 건조시키고 분말화를 통해 분말을 제조 후, 각각의 분말 1g에 0.5 N 메탄올성 NaOH 3ml를 가하고 100℃에서 10분간 가온하여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에 이어 삼불화붕소(BF3) 2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30분간 다시 가온 과정을 거쳐 지방산의 메틸에스테르화를 진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이소옥탄 1ml를 첨가하고 격렬히 흔든 후 이소옥탄층만을 회수하여 무수아황산나트륨과 함께 탈수한 뒤 0.45㎛ 막필터 (Dismic-25CS)로 여과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함량 (mg/100 g)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C18:1n9c Oleic acid 19.3 6.0 36.5 63.4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라지는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도라지의 생리활성성분 함량 분석
생리활성성분인 총 플라보노이드, 갈변도, 페놀릭산 및 플라보놀을 분석하였다.
<분석시료 준비>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도라지 분말 10g에 50% 발효주정 10 ml를 첨가하여 상온(20±5℃)에서 24시간 추출하고 3,000 rpm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페놀릭산 및 플라보놀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추출물을 6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 후, 0, 0.25, 0.5, 1.0 mg/ml 농도로 제조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항산화 활성과 소화효소 저해활성 분석을 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갈변도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시료 0.1 ml에 1 N NaOH 0.01 ml를 첨가한 후 디에틸렌글리콜 1.0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 후 42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루틴(rutin)의 최종 농도를 0.25, 0.5, 1.0 mg/ml로 제조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고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각각의 도라지 분말 1g에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25℃에서 1시간 추출 후 상등액만을 분광광도계(Spectronic 2D)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mg/g) 갈변물질(OD 420 nm)
비교예 1 0.11 1.595
비교예 2 0.16 1.396
비교예 3 0.37 1.267
실시예 0.59 3.00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라지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1.6 ~ 5배 증진되었고, 갈변물질도 약 2배 이상 증진되었다.
〈페놀릭산 및 플라보놀 화합물 함량〉
페놀릭산과 플라보놀 함량 분석은 상기에서 준비된 각각의 시료에 대해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컬럼은 XBridgeTM C18(4.6×250 mm, 5 μm, Waters Corp., Milford, MA, USA) 컬럼을 사용하였고 0.5% 글라시알 아세트산 (glacial acetic acid, 이동상 용매 A)와 100% 메탄올(이동상 용매 B)을 0 ~ 100%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로 30℃에서 60분간 1분당 1 ml의 속도로 가동하면서 UV 검출기로 페놀릭산(280 nm)과 플라보놀(270 nm)을 검출하였고 결과는 표 4와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μg/ml)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Gallic acid 37.14 54.00 66.33 88.99
Protocatechuic acid 109.08 197.11 222.34 309.81
Chlorgenic acid 59.59 58.90 74.74 87.95
t-Cinnamic acid 39.86 - 45.49 51.00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라지의 페놀릭산 화합물의 함량은 증진되었고, 특히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의 함량은 약 1.5 ~ 2배 증진되었다.
분석항목 (μg/ml)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Catechin 30.40 54.19 61.81 57.88
Epicatechin 19.53 59.47 34.89 79.59
Rutin 24.38 39.30 87.11 70.34
Catechin gallate 33.41 20.87 19.25 34.11
Quercetin 60.40 38.07 39.25 59.24
Naringin 16.08 19.64 25.35 27.39
Naringenin 21.48 5.99 25.55 26.53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라지의 플라보놀 화합물의 함량은 증진되었고, 특히 에피카테킨(epicatechin)의 함량은 약 2 ~ 4배 증진되었다.
시험예 3. 도라지의 항산화 활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의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및 O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상기에서 준비된 시료 (각각 0.25 mg/ml, 0.5 mg/ml, 1 mg/ml 농도 3가지) 0.2 ml에, DPPH 용액(1.5×10-4 M) 0.8 ml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30분간 방치한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음성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a에 도시하였다.
라디칼 소거활성(%) = [1-(음성대조구 흡광도 ÷ 실험구 흡광도)]×100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 mM ABTS 시약 5 ml과 140 mM K2S2O8 (FW 270.3, Sigma 9392) 5 ml을 섞어 어두운 곳에 16시간 방치시켜 양이온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이를 메탄올로 섞어 732 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료 (각각 0.25 mg/ml, 0.5 mg/ml, 1 mg/ml 농도 3가지) 0.1 ml과 ABTS 용액 0.9 ml를 혼합하여 3분간 반응시키고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저해활성 역시 음성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상기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b에 도시하였다.
하이드록실(O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10 mM FeSO4 .7H20-EDTA 0.2ml, 10 mM 2-데옥시리보스 0.2 ml, 10 mM H2O2 0.2 ml, 시료 (각각 0.25 mg/ml, 0.5 mg/ml, 1 mg/ml 농도 3가지) 1.4 ml 혼합한 뒤 37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혼합액을 만든 후, 이 혼합액에 1% 티오바르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증류수와 2.8%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ric acid)/증류수를 각각 1 ml를 가하여 100 ℃에서 20분간 발색시켜 냉각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행하였다.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상기 식에 의해 % 값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도 2c에 나타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비교예 1~3에 비하여,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소거활성이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증진되었고, 특히 1 mg/ml 농도에서 실시예 도라지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84.72%,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82.97%,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은 56.05%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4. 도라지의 소화효소 저해활성 검정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에 대해 항당뇨(당뇨 개선) 효과의 지표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검정하였고, 항비만(비만 개선) 지표인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은 시료(각각 0.25 mg/ml, 0.5 mg/ml, 1 mg/ml 농도 3가지) 50 ㎕에 0.5 U/ml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효소액 50 ㎕를 첨가하고 여기에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예비 배양한 후,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을 100 ㎕ 가하여 37℃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00 mM Na2CO3 0.7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음성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다음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에 도시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
[1-(음성대조구 흡광도 ÷ 실험구 흡광도)] × 10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비교예 1~3에 비하여,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증진되었고, 특히 1 mg/ml 농도 기준으로 약 1.5 ~ 5배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시료(각각 0.25 mg/ml, 0.5 mg/ml, 1 mg/ml 농도 3가지) 50 ㎕, 1.0 U/ml 췌장 리파아제 효소액 50 ㎕,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예비 배양한 후,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을 100 ㎕ 가하여 37℃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100 mM Na2CO3 0.7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음성 대조구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다음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b에 도시하였다.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 =
[1 - (음성대조구 흡광도÷실험구 흡광도)]×100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도라지는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이 확인조차 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비교예 3에 비하여도 농도의존적으로 증진된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냈고 특히 1 mg/ml 농도 기준으로 2배 이상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
상기 기능성 검정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도라지는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과 같은 생리활성성분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증진되어 우수한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848P 20130719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156P 20161212

Claims (7)

  1.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ⅰ) 도라지를 100℃에서 30~120분간 증숙하는 단계;
    ⅱ) 증숙된 도라지를 수탁번호 KACC9184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와 수탁번호 KACC92156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184 균주의 혼합종균으로 발효하는 단계; 및
    ⅲ) 발효된 도라지를 60 ∼ 80℃에서 5 ∼ 10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단계 ⅱ)의 발효는 상기 혼합종균의 배양액을 증숙된 도라지에 2 ∼ 10%(v/w) 농도로 접종하여 25 ~ 40℃에서 2 ~ 7일간 발효시키는 것인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5. 제 4항에 따른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강화를 위한 기능성식품.
  6. 제 4항에 따른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기능성식품.
  7. 제 4항에 따른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기능성식품.
KR1020170118380A 2017-09-15 2017-09-15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80A KR102001632B1 (ko) 2017-09-15 2017-09-15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80A KR102001632B1 (ko) 2017-09-15 2017-09-15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50A KR20190030850A (ko) 2019-03-25
KR102001632B1 true KR102001632B1 (ko) 2019-07-18

Family

ID=6590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80A KR102001632B1 (ko) 2017-09-15 2017-09-15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3779A (zh) * 2019-09-17 2019-12-13 西北大学 一种枣核提取物及其提取分离方法和应用
CN112022842A (zh) * 2020-09-23 2020-12-04 中国农业大学 原儿茶酸用于制备增加能量代谢和帮助寒冷环境中维持体温的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13B1 (ko) *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483A (ko) * 2014-05-15 2015-11-25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항산화 활성 및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저해 활성이 증진된 도라지 발효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13B1 (ko) *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소영 외 4명. 증숙 및 발효에 따른 도라지의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6): pp.851~858(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50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755B1 (ko) 발효당을 이용한 저열량의 콤부차 제조방법
KR101965059B1 (ko)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파바톤 콩잎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갱년기 증후군 개선 유효성분 강화 콩잎 조성물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2873B1 (ko) 액체 발효에 의한 황칠 발효 대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1959A (ko) 체내 흡수율이 증진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흑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KR20140063948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증진하고 항산화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발효 홍삼 농축액 제조 방법
KR101980450B1 (ko) 진세노사이드 Rd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활성산양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632B1 (ko)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978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및 Rh2와 생리활성성분이 증진된 새싹삼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4382A (ko) 인삼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3721B1 (ko) 감 잎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17534B1 (ko) 증진된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성 브라운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052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및 컴파운드 케이, 클로로제닉산, 쿠마린산, 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새싹삼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4727B1 (ko)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KR101771488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nrr1207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 인삼과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제제 조성물
KR101381950B1 (ko) 감잎 발효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3565B1 (ko)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 제조방법
KR102545365B1 (ko) 진세노사이드 Rd, Rc 및 프로토파낙사디올이 강화된 산양삼의 송이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50063B1 (ko) 한약재첨가누룩의제조방법
KR102482910B1 (ko)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올레산 및 니아신이 증진된 파바톤 콩잎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7683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프로토파낙사디올, 루틴, 클로로제닉산, 및 필수아미노산이 강화된 산양삼새싹 송이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57738A1 (en) Aspergillus oryzae and its application
KR101961903B1 (ko) 국화꽃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9239B1 (ko) 황금, 치자 및 잇꽃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면역증강 기능을 가지는 영유아용 절임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