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27B1 -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27B1
KR101804727B1 KR1020170032204A KR20170032204A KR101804727B1 KR 101804727 B1 KR101804727 B1 KR 101804727B1 KR 1020170032204 A KR1020170032204 A KR 1020170032204A KR 20170032204 A KR20170032204 A KR 20170032204A KR 101804727 B1 KR101804727 B1 KR 10180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safflower seed
safflower
weight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산청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청군 filed Critical 산청군
Priority to KR102017003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 A23Y2220/0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발효하여 아케세틴 성분이 증폭된 홍화씨를 이용하여 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은, 발효균주를 배양하는 제 1단계; 홍화씨를 수세하는 제 2단계; 상기 수세한 홍화씨를 볶는 제 3단계; 상기 볶은 홍화씨를 냉각하는 제 4단계; 상기 냉각한 홍화씨를 120메쉬 입자로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분쇄한 홍화씨를 재냉각하는 제 6단계; 상기 재냉각한 홍화씨를 전처리하는 제 7단계;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에 발효균주를 접종하는 제 8단계; 상기 접종된 홍화씨를 발효시키는 제 9단계;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는 제 10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으로 성형하는 제 11단계; 상기 성형된 환을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을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9001-008(Lactobacillus acidophilus KEMB 9001-0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홍화씨 전처리 단계는 고압멸균처리 공정, 70% 에탄올처리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균주를 0.001중량부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홍화씨 발효는 35℃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은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safflower pill}
본 발명은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발효하여 아케세틴 성분이 증폭된 홍화씨를 이용하여 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화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으로 홍화씨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및 인도에서 식용유 생산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유용한 식물 종자이다.
홍화씨는 국내에서 골절 및 골다공증 등 골질환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홍화씨 분말 및 추출물은 혈장 및 간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홍화씨의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주된 생리활성 물질로서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외에도 홍화씨 유박에 함유되어 있는 세레토닌 유도체 및 리그난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폴리페놀화합물이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홍화씨에는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토코페롤 및 식물성스테롤 성분을 함유 하고 있으며 단백질 및 식이성 섬유소를 가지고 있다. 홍화씨는 국내에서 골절 및 골다공증등 골질환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홍화씨 분말 및 추출물의 쥐의 늑골 골절 회복 및 골절 치유 효과, 쥐의 경골골절 치유 효과 및 난소 절제 쥐의 골다공증 유발 모델에서 홍화씨 탈지박 분말과 추출물이 골손실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근거로 홍화씨 추출물이 골질환 관련 치료에 효과적인 것이 증명되었다. 홍화씨 분말 및 추출물은 고 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및 난소절제 쥐의 혈장 및 간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우수함이 보고되었으며 난소 절제 쥐의 골다공증 유발 모델을 이용하여 홍화씨의 탈지박 에탄올 추출물이 혈장 및 간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보고되었으며 홍화씨의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주된 생리활성 물질로서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외에도 홍화씨 유박에 함유되어 있는 세레토닌 유도체 및 리그난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폴리페놀화합물(Figure 3)이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홍화씨는 골질환 동맥경화증 및 염증을 예방하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기대 되고 있다.
그러나,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홍화 식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것에 비하여 관련 식품 제조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49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홍화를 특정 미생물로 발효하여 항산화 효과 및 위암, 소화기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아케세틴 물질을 증가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은, 발효균주를 배양하는 제 1단계; 홍화씨를 수세하는 제 2단계; 상기 수세한 홍화씨를 볶는 제 3단계; 상기 볶은 홍화씨를 냉각하는 제 4단계; 상기 냉각한 홍화씨를 120메쉬 입자로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분쇄한 홍화씨를 재냉각하는 제 6단계; 상기 재냉각한 홍화씨를 전처리하는 제 7단계;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에 발효균주를 접종하는 제 8단계; 상기 접종된 홍화씨를 발효시키는 제 9단계;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는 제 10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으로 성형하는 제 11단계; 상기 성형된 환을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을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9001-008(Lactobacillus acidophilus KEMB 9001-0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홍화씨 전처리 단계는 고압멸균처리 공정, 70% 에탄올처리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균주를 0.001중량부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홍화씨 발효는 35℃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은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은 홍화를 특정 미생물로 발효하여 항산화 효과 및 위암, 소화기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아케세틴 물질을 증가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0일차 HPCL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7일차 HPCL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7일차 HPCL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14일차 HPLC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14일차 HPLC Chromatogram 결과이다.
도 7은 AGS cell morphology 관찰 결과이다.
도 8은 wound healing 분석 결과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먼저, 제 1단계(S1)에서는 발효미생물을 배양한다.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 9001-008를 MRS배지에서 배양한다. 이때, 온도 조건은 28℃로 유지하며 3일동안 배양한다.
상기 MRS배지는 Proteose peptone no.3,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 80,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를 포함하며, pH농도는 6.5±2이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에서는 홍화씨를 수세한다.
구체적으로, 홍화생씨를 깨끗한 물로 씻어서 준비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에서는 상기 수세한 홍화씨를 볶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세한 홍화씨를 170℃에서 30 내지 40분동안 볶는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에서는 상기 볶은 홍화씨를 자연 냉각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에서는 상기 냉각한 홍화씨를 분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한 홍화씨는 120메쉬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홍화씨를 분쇄함으로써 후에 진행되는 발효가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 에서는 상기 분쇄한 홍화씨를 재냉각한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에서는 홍화씨를 전처리한다.
구체적으로, 고압멸균처리 공정 또는 70% 에탄올처리 공정으로 홍화씨를 전처리한다.
홍화씨를 전처리함으로써 발효 과정 중에 외부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8단계(S8)에서는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를 접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 0.001중량부를 접종한다.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가 0.001중량부보다 적으면 발효 과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 0.001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9단계(S9)에서는 홍화씨를 발효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한 홍화씨를 35℃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발효한다.
상기 발효균주는 35℃의 온도에서 가장 활발한 생육 활동을 보이므로, 발효과정은 35℃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발효 기간이 28일 보다 짧아지면 충분하게 발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8일 보다 길어지면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발효균주를 접종한 홍화씨를 35℃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발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0단계(S10)에서는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된 홍화씨와 상기 분쇄한 홍화씨, 찹쌀풀을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제조한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4단계에서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한다.
찹쌀풀은 발효 홍화환 반죽에 점성을 부여하여 발효 홍화환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홍화씨가 1중량부보다 적으면 제조된 발효 홍화환의 질감이 다소 단단하여 먹기가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홍화씨가 1중량부보다 많으면 제조된 발효 홍화환의 형태 유지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찹쌀풀이 0.1중량부보다 적으면 발효 홍화환 반죽에 충분한 점도를 부여하지 못하여 제조된 발효 홍화환의 형태 유지력이 낮으며,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찹쌀풀이 0.1중량부보다 많으면 제조된 발효 홍화된을 섭취하였을 때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11단계(S11)에서는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으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섭취하기 용이한 사이즈의 환 제형으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12단계(S12)에서는 발효 홍화환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된 환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65℃의 온도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한다.
발효 홍화환을 제조할 때, 65℃의 건조기에서 12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건조하면 충분하게 건조되지 못하며, 65℃의 건조기에서 18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건조하면 발효 홍화환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질감이 단단해지고, 이로 인하여 섭취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13단계(S13)에서는 상기 발효 홍화환을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제조한 발효 홍화환을 포장하여 외부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홍화 내의 아케세틴 성분을 증가시키는 미생물 발효 방법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아케세틴 성분을 증가시키는 미생물 발효 방법을 바탕으로 홍화씨를 전처리하고,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표 1과 같이, 발효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9001-008를 사용하였으며, 28℃의 온도조건의 MRS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분쇄한 홍화씨는 autoclave에 투입하고 고압멸균 처리함으로써 전처리하였다.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 0.001중량부를 접종하여 발효하되, 진탕배양기에서 30℃의 온도조건하에서 100rpm으로 혼합함으로써 발효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아케세틴 성분을 증가시키는 미생물 발효 방법을 바탕으로 홍화씨를 전처리하고,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표 1과 같이, 발효균주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9001-008를 사용하였으며, 28℃의 온도조건의 MRS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분쇄한 홍화씨는 70% 에탄올 처리함으로써 전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70% 에탄올을 처리한 후, 표 2의 MS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배양한 발효균주 0.001중량부를 접종하여 발효하되, 진탕배양기에서 30℃의 온도조건하에서 100rpm으로 혼합함으로써 발효하였다.
조성물 조성물의 양
Proteose peptone no.3 10.0g
Beef extract 10.0g
Yeast extract 5.0g
Dextrose 20.0g
Polysorbate 80 1.0g
Ammonium citrate 2.0g
Sodium acetate 5.0g
Magnesium sulfate 0.1g
Manganese sulfate 0.05g
Dipotassium phosphate 2.0g
D.W 1L
pH adjust to 6.2±2
조성물 조성물의 양
KH2PO4 0.1g
K2HPO4 0.1g
(NH4)2SO4 0.05g
NaCl 30g
Glucose 1g
Yeast 1g
MgSO4·7H2O 0.2g
CaCl2·2H2O 0.02g
FeCl3·7H2O 0.01g
1X Trace element solution SL-6 2mL
1X VA vitamin solution 1mL
D.W 1L
pH adjust to 6.8
*1X Trace element solution SL-6 : 0.1 g ZnSO4·7H2O, 0.03g MnCl2·4H2O, 0.3g H3BO3, 0.2g CoCl2·6H2O, 0.01g CuCl2·2H2O, 0.02g NiCl2·6H2O, 0.03g NaMoO4·2H2O per 1L of distilled water.
*1X VA vitamin solution : 10 mg Biotin, 35 mg Nicotinamide, 30 mg thiamine dichloride, 20 mg p-Aminobenzoic acid, 10mg pyridoxal chloride, 10mg Ca-pantothenate, 5 mg Vitamin B12 per 1 L of distilled water.
[비교예 1]
비교예 1은 발효를 진행하지 않은 홍화씨 샘플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발효 과정으로 인한 홍화 내 아케세틴 물질의 증가 효과에 대한 실험이다.
1. 홍화씨의 crude phenolic compound 추출
비교예 1과 7일 동안 발효한 실시예 1 내지 2를 105℃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건조한 홍화씨는 1g당 10mL의 70% 에탄올에 넣고, 60℃의 sonicator bath에서 1시간 처리함으로써 crude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였다. 추출 후 필터(Whatman filter paper, no. 540, 8㎛)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1mL의 70%에탄올을 이용하여 재용해시켰다. 그 후 24시간 동안 정치하여 부유물을 침전시킨 뒤 상층액만 취하여 동결건조였다.
1-1. crude phenolic compound 추출물 정제
(1) Dialysis 정제
발효한 홍화씨를 채취하여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한 100g의 발효한 홍화씨는 1L의 70% 에탄올에 넣어 sonicator bath를 이용하여 60℃에서 1시간 처리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후 필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50mL의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용해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Dialysis tubing을 이용하여 M.W 100~2000 사이의 물질을 분리한 후 건조하였다.
(2) Column 정제
발효한 홍화씨를 채취하여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한 200g의 발효한 홍화씨를 2L의 헥산과 섞어 60℃에서 1시간동안 sonicator bath를 이용하여 지질 성분을 추출하였다. 헥산 추출물은 모두 필터하여 제거하고 탈지된 홍화씨를 2L의 70% 에탄올에 넣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phenolic compounds를 추출한다. 에탄올 추출물은 농축하여 재용해시키고 24시간을 방치하여 부유물을 가라앉힌다. 가라앉힌 샘플은 극성 차이로 분리하여 Diaion HP-20 column(6cm×50cm)에 샘플을 로딩하였고 40, 60, 80, 100% 메탄올(v/v)을 각각 1L, 2L, 2L, 1L를 흘려주었다. 100% 메탄올 샘플은 Sephadex LH-20 column에 로딩하여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HPLC분석을 통하여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는지 확인하였다.
1-2. Phenolic compounds 함량측정
(1) 분석방법
용해시킨 샘플을 1/100으로 희석하여 100㎕를 취해 200㎕의 10% Folin-ciocalteous phenol reagent와 섞고 Voltex하여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다. 반응 후 800㎕의 700mM Sodium carbonate solution과 섞어 voltext하여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다. 반응 후 2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200㎕를 96well에 분주하고 735nm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2) 검량선 작성
Total phenolic compounds의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tannic acid를 25, 50, 75, 100, 125, 150, 175, 200mg/L로 농도를 설정하고 위에 언급된 분석 방법을 통해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결과 값은 Y축으로 농도를 X축으로 설정하여 일차함수 식을 구하였다. 미지의 시료는 흡광도 값을 y값에 대입하여 phenolic compounds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3) 시료의 농도 계산
건조한 홍화씨 1g에 들어있는 총 phenolic compounds를 계산하였다. 수식은 아래와 같다.
*TP(mg) = TP(mg/L) × Total extract volume(mL)/100
= TP(mg/g) = TP(mg)/건조량(g)
1-3. HPLC 분석
발효과정을 통해 변화된 phenic compounds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mg/mL로 70% 에탄올에 용해시킨 시료를 1/10으로 희석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column은 Cap-sell C18 column이며 Gradient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Solvent A는 0.05% (v/v) 인산이 들어있는 20% Methanol (v/v)이며 Solvent B는 80% Methanol (v/v)을 이용하였다. 시료 주입량은 20㎕이며 flow rate는 0.8ml/min, 파장은 270nm로 측정하였다. Gradient 조건은 표 3과 같다. Acacetin은 (sigma-aldrich)의 표준물질을 구매하여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여 머무름시간을 확인하였다.
시간(min) Solvent A(%) Solvent B(%)
0-2 100 0
5-10 80 20
15-20 60 40
25-30 40 60
35-40 0 100
50-60 100 0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아케세틴의 양은 0.004mg/g이 측정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은 아케세틴의 양이 0.378mg/g으로 증가하였고, 실시예 2는 아케세틴의 양이 0.583mg/g으로 증가하여 미생물 발효과정을 거친 실시예 1 내지 2에서는 아케세틴이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홍화씨의 M.W 100~2000사이의 물질을 1.52g을 얻었으며 더욱 정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의 홍화씨의 M.W 100~2000사이의 물질이 1.62g이 정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1-4. 아케세틴 추출물의 AGS cell viability 측정
실시예 1 내지 2에서 얻은 아케세틴 추출물을 준비한다. 그리고 AGS 위암 유래 세포를 12 well plate에 seeding 후 DMSO에 용해시킨 상기 아케세틴 추출물들을 50㎍/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2 내지 3시간 동안 MTT를 처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후에 세포를 DMSO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59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온 값으로 cell viability를 계산하였다.
아케세틴을 처리한 AGS cell morphology 관찰 결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케세틴을 처리하지 않은 A군보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아케세틴 추출물 50㎍/mL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B군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아케세틴 추출물 50㎍/mL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C군에서 세포성장이 더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 군 및 C군에서는 death floating cell이 증가하였다.
1-5. Wound healing 분석
AGS 위암 유래 세포를 6 well plate에 seeding하고, 세포가 well에 90% 이상 성장하면 well 바닥에 여러개의 선을 그어 빈 공간을 만들었다. 배지를 교체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아케세틴 추출물을 50㎍/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에 빈 공간에 cell migration 현상이 일어났는지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사진은 image J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wound healing 결과를 도출하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wound closure를 확인한 결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케세틴을 처리하지 않은 A군보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아케세틴 추출물 50㎍/mL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B군에서 wound closure가 확연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의 투입되는 재료의 조성비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1.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모양, 질감(부드러운 정도)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물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발효 홍화환 반죽은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 형태로 성형하고, 65℃의 건조기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발효 홍화환 반죽은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 형태로 성형하고, 65℃의 건조기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분쇄한 홍화씨 0.9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발효 홍화환 반죽은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 형태로 성형하고, 65℃의 건조기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발효 홍화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분쇄한 홍화씨 1.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발효 홍화환 반죽은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 형태로 성형하고, 65℃의 건조기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였다.
항목
관능 평가
모양 질감(부드러운 정도)
비교예 2 2 6
실시예 3 9 9
실시예 4 6 7
실시예 5 7 5
관능 평가 결과, 실시예 3의 관능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2는 찹쌀풀이 첨가되지 않아 모양 유지성이 매우 낮았고, 실시예 4 및 실시예 5는 모양 유지성은 나쁘지 않았으나 질감이 좋지 않아 섭취하기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발효균주 배양
S2. 홍화씨 수세
S3. 홍화씨 볶음
S4. 홍화씨 냉각
S5. 홍화씨 분쇄
S6. 홍화씨 재냉각
S7. 홍화씨 전처리
S8. 발효균주 접종
S9. 홍화씨 발효
S10. 발효 홍화한 반죽
S11. 환 성형
S12. 발효 홍화환 제조
S13. 포장

Claims (6)

  1. 발효균주를 배양하는 제 1단계;
    홍화씨를 수세하는 제 2단계;
    상기 수세한 홍화씨를 볶는 제 3단계;
    상기 볶은 홍화씨를 냉각하는 제 4단계;
    상기 냉각한 홍화씨를 120메쉬 입자로 분쇄하는 제 5단계;
    상기 분쇄한 홍화씨를 재냉각하는 제 6단계;
    상기 재냉각한 홍화씨를 전처리하는 제 7단계;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에 발효균주를 접종하는 제 8단계;
    상기 접종된 홍화씨를 발효시키는 제 9단계;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조하는 제 10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으로 성형하는 제 11단계;
    상기 성형된 환을 건조하여 발효 홍화환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발효 홍화환을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단계에서,
    상기 성형된 환은 65℃에서 14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제 10단계에서,
    상기 발효 홍화환 반죽은,
    상기 발효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한 홍화씨 1중량부, 찹쌀풀 0.1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9001-008(Lactobacillus acidophilus KEMB 9001-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씨 전처리 단계는,
    고압멸균처리 공정, 70% 에탄올처리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한 홍화씨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균주를 0.001중량부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씨 발효는 35℃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170032204A 2017-03-15 2017-03-15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KR10180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204A KR101804727B1 (ko) 2017-03-15 2017-03-15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204A KR101804727B1 (ko) 2017-03-15 2017-03-15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727B1 true KR101804727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204A KR101804727B1 (ko) 2017-03-15 2017-03-15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472B1 (ko) * 2019-02-21 2019-07-19 하태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40565A1 (ko) * 2022-01-21 2023-07-27 (주)코엔바이오 유산균을 이용한 알파-글루코사이드 활성 저해능을 가지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05B1 (ko) * 2015-12-24 2016-09-06 산청군 발효 홍화씨 분말을 이용한 홍화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05B1 (ko) * 2015-12-24 2016-09-06 산청군 발효 홍화씨 분말을 이용한 홍화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472B1 (ko) * 2019-02-21 2019-07-19 하태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40565A1 (ko) * 2022-01-21 2023-07-27 (주)코엔바이오 유산균을 이용한 알파-글루코사이드 활성 저해능을 가지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14624B2 (en) Improved process for producing fucoxanthin and/or polysaccharides from microalgae
KR101482873B1 (ko) 액체 발효에 의한 황칠 발효 대사체 및 그 제조방법
Choi et al. Enhancement of anti-complementar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submerged culture of Cordyceps sinensis by addition of citrus peel
KR101793123B1 (ko) 생리활성물질이 증진된 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리활성물질이 증진된 콩발효물
KR101017594B1 (ko) 퀘르세틴 함량이 증가된 발효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50001300A (ko)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진된 꽃송이버섯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04727B1 (ko) 발효 홍화환 제조 방법
KR101664380B1 (ko)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홍삼을 함유하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KR100803998B1 (ko)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R20100074382A (ko) 인삼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1632B1 (ko) 프로토카테큐산, 에피카테킨 및 올레산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및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도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208104A (ja) 抗酸化剤及び飲食品
KR101885994B1 (ko)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10180472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홍화 내의 아케세틴성분 증가방법
KR10171317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한방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1192A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1764B1 (ko) 유산균환의 제조방법
KR20200046527A (ko) 기능성 뽕나무 잎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7562A (ko) 홍삼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발효 조성물
KR101426232B1 (ko)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렴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6725A (ko) 복분자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JP4614158B2 (ja) 新規セスキテルペン系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Zhong et al. A mini-review of distribution, growth environment and nutrient composition from Scorias spongiosa (bamboo Bird’s Nest)
KR101328179B1 (ko) 표면 배양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은 발효 홍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