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374A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374A
KR20170054374A KR1020170058457A KR20170058457A KR20170054374A KR 20170054374 A KR20170054374 A KR 20170054374A KR 1020170058457 A KR1020170058457 A KR 1020170058457A KR 20170058457 A KR20170058457 A KR 20170058457A KR 20170054374 A KR20170054374 A KR 2017005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opening
motor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615B1 (ko
Inventor
장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캔
(주)제니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캔, (주)제니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캔
Priority to KR102017005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6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 덮개 자동 개폐 및 자외선 살균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의성 및 위생상 환경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며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공간을 향해 자외선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살균 및 탈취를 하기 위한 살균수단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덮개를 자동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전원 공급 수단, 및 상기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주기로 상기 살균수단을 동작시키며,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쓰레기통 내부를 살균 및 탈취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접근에 따라 쓰레기통 덮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주고 일정시간 후 자동 폐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오물 투입 행위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통{A waste 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쓰레기통 덮개 자동 개폐 및 자외선 살균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의성 및 위생상 환경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생활 속에서 발생되는 오물 및 쓰레기 등을 수거하는 물품으로써, 가정에서는 물론 관공서 및 식당, 화장실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필수품이다.
근래에는 "쓰레기 종량제"라는 사회적 열풍과 함께 쓰레기 분리 처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쓰레기통은 분리 수거를 위한 기능적인 역할과 주거 공간을 장식하는 인테리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쓰레기통은 버려진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발생을 억제하도록, 쓰레기통 입구에 덮개를 씌우거나 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리수거하도록 다양한 수거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쓰레기통은 깨끗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갖게 형성되어서, 주거공간의 한 모퉁이에서 인간의 삶을 연출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통은 일정량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쓰레기에 대한 손쉬운 수거뿐만 아니라 수거된 쓰레기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루마리 비닐이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쓰레기통이 제공되고 있다.
즉, 쓰레기통 내부에 두루마리 비닐을 설치하여 일회씩 한번에 오물을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쓰레기통 내부에 오물이 묻지 않게 되어 오물에 대한 처리 및 쓰레기통에 대한 관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쓰레기통을 포함한 종래 대부분의 쓰레기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쓰레기통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쓰레기통 상단에 덮개를 마련하였지만 덮개와 쓰레기통 사이의 틈에 의해 악취가 새어 나오게 된다.
둘째, 쓰레기통의 덮개를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거나, 페달을 밟아 덮개와 페달의 연동작용에 의해 덮개를 열고 닫아야 한다.
즉, 악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쓰레기통 덮개를 마련하였지만 여전히 악취가 발생되어 비위생적이고 오히려 덮개를 열고 닫기 위한 불편함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쓰레기통 덮개 자동 개폐 및 자외선 살균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의성 및 위생상 환경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며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공간을 향해 자외선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살균 및 탈취를 하기 위한 살균수단과, 상기 덮개 주변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의 사용자 접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자동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살균수단 및 개폐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 및 상기 살균수단 및 개폐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상기 모터의 일측과 상기 덮개의 힌지측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수직바, 및 상기 모터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여 위치 복원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컴은 전원이 공급되면 처음에는 자동으로 상기 덮개가 열린 후 닫히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정상작동 가능 상태임을 알린 후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덮개를 기설정시간 개방시킨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주기로 상기 살균수단을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덮개의 안쪽면에 자외선 살균 램프를 마련하여 쓰레기통 내부를 살균 및 탈취하여 쓰레기봉투 내부에 저장된 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또한, 사용자가 쓰레기통의 근처에 접근하기만 하면 근접센서가 작동하여 쓰레기통의 덮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주고 또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덮개를 자동으로 폐쇄시켜주게 되므로 사용자의 오물 투입 행위가 한결 편리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도어 및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덮개 개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외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도어 및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덮개 개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내부에 두루마리 비닐봉투(200)가 마련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00)로 구성된다.
쓰레기통은 또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시키는 살균수단(400), 사용자의 쓰레기통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덮개(300)를 자동 개폐시키는 개폐수단(500), 각 전기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600), 및 쓰레기통 덮개(300) 자동 개폐 및 자외선 살균을 위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보여진 바와 같이, 쓰레기통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그의 내부에는 두루마리 비닐(200)이 설치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도어(11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110)는 푸쉬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푸쉬타입록킹구조로 구성됨이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1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도어(110)를 통해 오물이 수거된 두루마리 비닐(200)이 배출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는 커터(120)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120)는 두루마리 비닐(200)의 일부를 자르는 역할을 하며, 도어(110)의 내측면에 설치됨이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두루마리 비닐(200)은 오물이 수거되는 부위이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루마리 비닐(200)은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되며,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두루마리 비닐틀(210)에 설치된다.
이때, 두루마리 비닐(200)은 상기 두루마리 비닐틀(210)에 의해 두루마리 비닐(200)이 벌어지면서 내부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덮개(300)는 케이스(100) 상단에 마련되어 케이스(100)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덮개(300)의 안쪽 면에는 살균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수단(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외선 살균램프(410)와, 자외선 살균램프(410)의 방사선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컨버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자외선 살균램프(410)의 외면에는 자외선을 케이스(100)에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200) 안쪽 방향으로 조사하는 반사갓(4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개폐수단(500)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510)와, 근접센서(51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덮개(300)를 열어주기 위한 구동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접센서(510)는 덮개(300) 주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됨이 감지 정확도를 위해 바람직하다.
구동부(52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521)와, 이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5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동부(520)는 또한, 모터(521)의 일측과 덮개(300)의 힌지측 사이에 연결되는 회동수단인 수직바(523)와, 모터(521)의 타측에 연결되어 과도한 회동을 구속하며 위치 복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탄성부재(5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개폐수단(500)은 구동부(520)의 수직바(523) 회동에 따라 케이스(100)와 덮개(300) 사이에서 연동되는 가동체(530)가 수직바(523)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전원수단(600)은 배터리(610)와 전원스위치(6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스위치(620)는 도 2에 보여진 바와 같이, 케이스(100) 후면에 설치된다.
케이스(100) 후면에는 또한, 배터리(61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삽입 착탈할 수 있도록 배터리케이스(6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사용자는 케이스(100) 후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620)를 켜서 배터리(610) 전원을 각 구성이 동작 가능하도록 공급하게 된다.
마이컴(700)은 전원스위치(620)가 켜지면 처음에는 자동으로 쓰레기통 덮개(300)가 열린 후 닫히도록 개폐수단(500)을 동작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정상작동 가능 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
그 이후부터, 마이컴(700)은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덮개(300)가 개폐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접근하면 케이스(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근접센서(510)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마이컴(70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근접센서(510)는 정전용량커패시터방식에 의한 센서로, 일정거리 내에 사용자 접근에 의한 정전용량값 변화를 감지한다.
마이컴(700)에서는 감지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사용자 접근으로 판단되면, 개폐수단(500)의 구동부(520)를 동작시켜 덮개(300)를 자동으로 기설정시간 동안 개방시킨 후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보여진 바와 같이, 구동부(520)의 드라이버(522)는 마이컴(700)의 제어에 따라 모터(521)를 구동하게 되고, 그 구동력이 수직바(523)로 전달되어 덮개(300)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 힌지를 중심으로 덮개(300)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바(523) 양측에 설치된 가동체(530)도 연동하여 덮개(300)를 밀거나 당기게 되어 덮개(300) 개폐를 돕게 된다.
기설정시간 경과후 마이컴(700)에서는 드라이버(522) 구동을 제어하여 모터(521) 회전을 중지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524)에 의해 서서히 수직바(523)가 하강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덮개(300)가 케이스(100) 상부를 덮개 된다.
따라서, 쓰레기통 덮개(300)를 손으로 개폐시키지 않아도 사용자가 접근하기만 하면 덮개(300)가 자동으로 열리고 또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자동으로 덮개(300)가 닫히게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700)에서는 덮개(300)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주기로 자외선 살균램프(410)를 작동시켜 쓰레기통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살균하고 냄새를 제거한다.
자외선은 전체 태양광선 중 2% 정도로, 살균작용과 피부에서 비타민D의 합성 등 유익한 작용을 한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빨래, 식기, 이불 등을 햇빛에 쪼이는 데 이는 태양광에 살균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세포내의 핵산(DNA)이 변화하여 신진대사의 장애로 인해 증식능력을 잃어 사멸하는 것을 살균작용이라 한다.
특히, 자외선은 200㎚ 이하에서 오존(O2)이 발생하고 184.9㎚에서는 최적의 살균 및 탈취 작용이 가능하다.
이때, 컨버터(420)를 통하여 자외선 살균램프(410)의 방사선 강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맞추어 사용한다.
쓰레기를 본 발명의 쓰레기통에 투입하게 되면 자외선 살균램프(410)는 일정시간마다 악취가 발생하기 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켜 살균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사용자 접근에 의해 덮개(300)가 개방될 경우, 마이컴(700)에서는 자외선 살균램프(410)를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여, 인체에 자외선 또는 오존이 미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악취를 발생하지 않도록 살균을 실시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200 : 두루마리 비닐
300 : 덮개 400 : 살균수단
410 : 자외선 살균램프 420 : 컨버터
430 : 반사갓 500 : 개폐수단
510 : 근접센서 520 : 구동부
530 : 가동체 600 : 전원수단
610 : 배터리 620 : 전원스위치
630 : 배터리케이스 700 : 마이컴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며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공간을 향해 자외선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살균 및 탈취를 하기 위한 살균수단;
    상기 덮개 주변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의 사용자 접근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자동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개폐수단;
    상기 살균수단 및 개폐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 및
    상기 살균수단 및 개폐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상기 모터의 일측과 상기 덮개의 힌지측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는 수직바; 및
    상기 모터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여 위치 복원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컴은
    전원이 공급되면 처음에는 자동으로 상기 덮개가 열린 후 닫히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정상작동 가능 상태임을 알린 후,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덮개를 기설정시간 개방시킨 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주기로 상기 살균수단을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램프; 및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의 방사선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컨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의 조사범위는 184.9에서 2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의 후면에 설치되는 반사갓을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직바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기 케이스와 덮개 사이에 설치되며, 수직바 회동에 연동하여 덮개를 밀거나 당기는 가동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모터 회전이 중지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바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가 상기 케이스 상부를 덮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전원스위치; 및
    전원공급원인 배터리를 구비함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170058457A 2017-05-11 2017-05-11 쓰레기통 KR10177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57A KR101772615B1 (ko) 2017-05-11 2017-05-11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57A KR101772615B1 (ko) 2017-05-11 2017-05-11 쓰레기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966A Division KR20170019073A (ko) 2015-08-11 2015-08-11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374A true KR20170054374A (ko) 2017-05-17
KR101772615B1 KR101772615B1 (ko) 2017-08-29

Family

ID=5904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457A KR101772615B1 (ko) 2017-05-11 2017-05-11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6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521A (zh) * 2017-11-15 2018-06-01 南通市第二人民医院 护理污染物收集装置
CN109878948A (zh) * 2019-04-15 2019-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自动杀菌除异味的杀菌控制方法及垃圾桶
KR102063063B1 (ko) * 2019-03-07 2020-01-07 (주)테바 냄새 차단 기능을 가지는 쓰레기통
WO2020096375A1 (ko) * 2018-11-08 2020-05-14 (주)제니벨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200053207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200053210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CN112722621A (zh) * 2019-10-28 2021-04-30 福建纳仕达电子股份有限公司 垃圾容器
CN114229288A (zh) * 2021-12-23 2022-03-25 夏日阳光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交互控制垃圾收纳杀菌多功能机器人
CN114275418A (zh) * 2022-01-25 2022-04-05 深圳市宇威衡器有限公司 一种自带线上app检测的智能垃圾桶
CN114313710A (zh) * 2021-12-07 2022-04-12 上海大学 一种废弃口罩自动消毒垃圾箱
KR102398285B1 (ko) *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WO2023090497A1 (ko) * 2021-11-17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17B1 (ko) 2018-11-08 2020-05-27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752B2 (ja) 1993-05-12 2001-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多板クラッチ式制御型差動制限装置
JP4245511B2 (ja) 2004-05-24 2009-03-25 株式会社ジャムコ 航空機の化粧室のごみ箱用蓋自動開閉装置
KR200362238Y1 (ko) 2004-06-28 2004-09-16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살균 탈취 쓰레기통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521B (zh) * 2017-11-15 2019-08-13 南通市第二人民医院 护理污染物收集装置
CN108100521A (zh) * 2017-11-15 2018-06-01 南通市第二人民医院 护理污染物收集装置
JP2022524253A (ja) * 2018-11-08 2022-05-02 光 玉 張 悪臭漏れ防止用気密手段を備えたゴミ箱
WO2020096375A1 (ko) * 2018-11-08 2020-05-14 (주)제니벨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200053207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20200053210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US11866252B2 (en) 2018-11-08 2024-01-09 Janibell, Inc. Garbage can provided with airtight means for preventing odor leakage
KR102063063B1 (ko) * 2019-03-07 2020-01-07 (주)테바 냄새 차단 기능을 가지는 쓰레기통
CN109878948A (zh) * 2019-04-15 2019-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自动杀菌除异味的杀菌控制方法及垃圾桶
CN112722621A (zh) * 2019-10-28 2021-04-30 福建纳仕达电子股份有限公司 垃圾容器
KR102398285B1 (ko) *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WO2023090497A1 (ko) * 2021-11-17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CN114313710A (zh) * 2021-12-07 2022-04-12 上海大学 一种废弃口罩自动消毒垃圾箱
CN114229288B (zh) * 2021-12-23 2023-07-14 夏日阳光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交互控制垃圾收纳杀菌多功能机器人
CN114229288A (zh) * 2021-12-23 2022-03-25 夏日阳光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交互控制垃圾收纳杀菌多功能机器人
CN114275418A (zh) * 2022-01-25 2022-04-05 深圳市宇威衡器有限公司 一种自带线上app检测的智能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615B1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15B1 (ko) 쓰레기통
US10022467B2 (en) Trashcan
KR20170019073A (ko) 쓰레기통
KR101375568B1 (ko) 생리대 수거함
KR101620492B1 (ko) 생리대 수거함
KR101535754B1 (ko) 진공 밀봉 및 원격관리 기능을 갖는 생리대 수거장치
KR101482535B1 (ko)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JP2005170545A (ja) ゴミ箱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10146239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관장치
CN203237641U (zh) 智能暗装垃圾桶
CN104495152A (zh) 非接触式垃圾桶
CN201472953U (zh) 卫生智能垃圾桶
CN109603969A (zh) 一种智能家居式厨房橱柜
KR20120003149U (ko)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JP2012132156A (ja) 蓋の開放を探知し、自動的に洗浄する便器
KR20120110722A (ko) 내용물의 온, 습도를 구별하여 개폐되는 휴지통
KR101632863B1 (ko)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11806933A (zh) 紫外线消毒垃圾桶盖
CN107618781A (zh) 一种可不脏手便捷更换垃圾袋的智能垃圾桶
KR20170085356A (ko) 음식물 수거용 uv살균장치
CN214650877U (zh) 智能垃圾桶
CN104891076A (zh) 定时自动消毒垃圾桶
CN217946405U (zh) 一种智能垃圾桶的自动除臭杀菌结构
KR20170022543A (ko) 생리대 수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