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222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222A
KR20170054222A KR1020160119552A KR20160119552A KR20170054222A KR 20170054222 A KR20170054222 A KR 20170054222A KR 1020160119552 A KR1020160119552 A KR 1020160119552A KR 20160119552 A KR20160119552 A KR 20160119552A KR 20170054222 A KR20170054222 A KR 2017005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cells
cells
shape
dimensional color
colo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즈노 히로키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65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351979B/zh
Priority to EP16864533.1A priority patent/EP3335155B1/en
Priority to PCT/KR2016/012773 priority patent/WO2017082607A1/en
Priority to US15/347,266 priority patent/US10304214B2/en
Publication of KR2017005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21Circular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3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locating of the code in an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에서 윤곽 (outline) 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통해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 광선을 반송파로 하여 정보 통신을 수행하는 가시 광선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가시 광선 통신 시스템에는 단색의 광원(예컨대,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을 발광시키는 시스템이나, 복수의 광원(예컨대, 적(R), 녹(G), 청(B) 삼원색의 LED)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발광시키는 시스템 등이 있다.
RGB의 LED를 조합하여 발광시키는 시스템은 백색 LED를 발광시키는 시스템에 비해, 고속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RGB의 LED는 백색 LED 보다 광변조시의 응답 속도가 빠르고, 또한 RGB 각각의 LED를 다른 정보로 변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색이 다른 복수의 광원이 각각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컬러 다중 방식 혹은 파장 다중 방식이라 한다.
2차원 컬러 코드를 통해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에서 윤곽 (outline) 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가시 광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하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색좌표 상의 CSK의 예시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8은 성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진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되는 윤곽 (outline) 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에서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의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한 예이다.
도 12는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제2 형상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준 셀의 형상인 제1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추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추출된 오브젝트들 중 제2 형상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2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20은 성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이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되는 윤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에서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의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한 예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2차원 컬러 코드들의 예시이다.
도 28은 다양한 CSK 변조 방식들의 예이다.
도 29는 2차원 컬러 코드로 이용될 수 있는 SDM-CSK 코드의 예시들이다.
도 30은 일부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를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가시 광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하려는 데이터에 기초해 생성된 2차원 컬러 코드(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하려는 데이터는 "송신 데이터"라고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송신 데이터(예를 들어, 비트 스트림 01001110...)를 각각이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예를 들어, G, R, W, B)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비트 데이터 00, 01, 10, 11은 각각 적색 데이터 셀(R), 녹색 데이터 셀(G), 청색 데이터 셀(B), 백색 데이터 셀(W)로 변조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 스트림 01001110은 데이터 셀들(G, R, W, B)로 변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변조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예를 들어, G, R, W, B)을 2차원으로 배열하여 2차원 컬러 코드(20)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20)를 공간 분할 다중(SDM; Space Division Multiplex) 코드라고도 한다. 공간 분할 다중 코드에 의해 데이터 전송량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2차원 컬러 코드(20)가 4×4의 복수의 데이터 셀들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차원 컬러 코드(20)를 배경 영상(10) 위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에 대응하는 색상들을 발광시킴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2차원 컬러 코드(20)를 촬영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20)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 는 2차원 컬러 코드 (20) 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 는 2차원 컬러 코드 (20) 를 촬영한 다른 장치로부터 2차원 컬러 코드 (20) 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2차원 컬러 코드(20)의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20)를 검출하고, 검출된 2차원 컬러 코드(20)에 포함되는 데이터 셀들(예를 들어, G, R, W, B)의 색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데이터 셀들(예를 들어, G, R, W, B)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예를 들어, 비트 스트림 0100111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2차원 컬러 코드(20)의 영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송신 데이터(예를 들어, 비트 스트림 01001110...)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획득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획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는 가시 광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차원 컬러 코드(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어떠한 전자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PC),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2차원 컬러 코드(20)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어떠한 전자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PC), 디지털 카메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2차원 컬러 코드(2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20)를 검출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20)를 검출하도록, 2차원 컬러 코드(20)는 기준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준 셀들을 포함하는 2차원 컬러 코드(20)에 대해 상술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2를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20)는 배경 영상(10) 위에 표시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20)는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 셀 그룹이다. 도 2에서 2차원 컬러 코드(20)는 복수의 셀들이 8×8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는 예시일 뿐, 2차원 컬러 코드(20)의 복수의 셀들의 개수 및 배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컬러 코드(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셀들은 복수의 기준 셀들(21, 22, 23, 24)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20)에서 기준 셀들(21, 22, 23, 24)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은 데이터 셀들일 수 있다.
기준 셀들(21, 22, 23, 24)은 전자 장치(200)가 2차원 컬러 코드(2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20)를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셀들이다. 기준 셀들(21, 22, 23, 24)은 2차원 컬러 코드(20)를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2차원 컬러 코드(20)를 추출할 때,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2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기준 셀들(21, 22, 23, 24)의 형상 및 색상, 그리고 2차원 컬러 코드(20) 내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위치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기준 셀들(21, 22, 23, 24)을 정점(꼭지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30) 또한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준 셀들(21, 22, 23, 24)의 형상은 제1 형상이라 할 수 있고, 기준 셀들(21, 22, 23, 24)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30)은 제2 형상이라 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 기준 셀들(21, 22, 23, 24)의 형상인 제1 형상은 원형이고, 기준 셀들(21, 22, 23, 24)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30)은 직사각형이다. 기준 셀들(21, 23)은 제1 색(예컨대, 녹색)을 가지고, 기준 셀들(22, 24)은 제2 색(예컨대, 적색)을 가지고 있다. 2차원 컬러 코드(20) 내 기준 셀들(21, 22, 23, 24)은 정방형의 2차원 컬러 코드(20)의 4 코너에 위치해 있다. 다만 도 2는 예시일 뿐,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제1 형상, 제2 형상 및 색상, 그리고 2차원 컬러 코드(20) 내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위치 및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제1 색과 제2 색이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색으로서 사용되지만, 반드시 2종류의 색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1종류의 색만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색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3종류 이상의 색이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색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기준 셀들(21, 22, 23, 24)은 각각 제1 형상(도 2에서는 원형) 및 제1 형상을 둘러싸는 윤곽(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윤곽(40)은 윤곽, 에지 또는 테두리선 등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복수의 기준 셀들(21, 22, 23, 24)은 배경 영상(10)과 다른 색상의 윤곽(4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배경 영상(10) 위에 2차원 컬러 코드(20)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수의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윤곽(40)은 내부의 색(즉,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색상)과 다른 색으로 에지 처리될 수 있다.
도 2에서, 기준 셀들(21, 22, 23, 24)의 윤곽(40)은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흰색 테두리선으로 에지 처리되어 있다. 다만 윤곽(40)의 색은 흰색에 한정하지 않고, 흑색 등 다양한 색을 채용할 수 있다.
기준 셀들(21, 22, 23, 24)뿐만 아니라, 2차원 컬러 코드(20)를 구성하는 각 셀은 원형이고, 각 셀의 윤곽(40)은 각 셀의 색상, 즉 각 셀의 내부 색상과는 다른 색상으로 에지 처리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20)를 구성하는 각 셀의 윤곽(40)은 미리 설정된 색상의 테두리선으로 에지 처리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하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3을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50)는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 셀 그룹이다. 복수의 셀들은 기준 셀들(51, 52, 53, 54)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셀들은 데이터 셀 그룹이라 하고, 복수의 레퍼런스 셀들은 레퍼런스 셀 그룹이라 할 수 있다. 복수의 셀들은 제어 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셀은 2차원 컬러 코드(50)가 동영상인 경우 프레임 정보, 에러 정정 부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정보는 프레임의 총수, 프레임의 나머지 수 등을 지시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50)가 레퍼런스 셀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2차원 컬러 코드(50)에는 도 2의 2차원 컬러 코드(20)에 대한 내용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2차원 컬러 코드(50)에 포함되는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 및 위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레퍼런스 셀 그룹은 기준 셀들(51, 52, 53, 54)과 미리 정해진 위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50)는 기준 셀들(51, 52, 53, 54)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들은 전자 장치(200)에 의해 데이터 셀들의 복조 시 데이터 셀들의 색보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색보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한 색상과 전자 장치(200)가 인식한 색상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다. 색상의 차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전자 장치(200)의 카메라(210)의 색특성이나 간섭광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레퍼런스 셀들을 이용하여 색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8×8의 매트릭스 형상의 2차원 컬러 코드(50)에서 1행 및 8행의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이고, 2행 내지 7행의 셀들은 데이터 셀들이다. 즉, 2차원 컬러 코드(50)의 데이터 셀 그룹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상변 및 하변에 해당하는 부분에 레퍼런스 셀들이 배치되어 있다. 다만, 도 3은 예시일 뿐, 2차원 컬러 코드(50)에서 레퍼런스 셀들의 개수 및 위치, 레퍼런스 셀 그룹 및 기준 셀들(51, 52, 53, 54) 사이 위치 관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레퍼런스 셀들 중 일부의 레퍼런스 셀들은 기준 셀들(51, 52, 53, 54)이나, 기준 셀들(51, 52, 53, 54)은 레퍼런스 셀들이 아닐 수도 있다.
2차원 컬러 코드(50) 내 복수의 레퍼런스 셀들은 소정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레퍼런스 셀들은 미리 정해진 색의 라인일 수 있고, 또한 미리 정해진 반복 회수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2차원 컬러 코드(50)에서는, 1행 및 8행에서 4종류의 레퍼런스 셀들의 라인이 2회 반복되어 있다. 즉, 도 3의 예에서는, 4개 참조 색상의 레퍼런스 셀들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2차원 컬러 코드(50)의 상부 레퍼런스 셀 그룹과 하부 레퍼런스 셀 그룹은 동일한 순서로 4종류의 레퍼런스 셀들이 배열되어 있는데, 다른 순서로 4종류의 레퍼런스 셀들이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레퍼런스 셀의 색상은 참조 색상이라 하고, 데이터 셀의 색상은 데이터 색상이라 한다. 참조 색상들은 데이터 색상들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종류의 참조 색상들은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인 데이터 색상들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조 색상과 데이터 색상을 맞춤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50)에 포함되는 색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참조 색상은 데이터 색상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 는 제어부 (110) 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 (110) 는 다른 장치로 하여금 2차원 컬러 코드를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 (120) 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 가 아닌 다른 장치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가 생성한 2차원 컬러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나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2차원 컬러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의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프레임 레이트로 2차원 컬러 코드의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각각이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로 변조할 수 있다. 변조는 인코딩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 및 복수의 기준 셀들을 2차원으로 배열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생성하는 기준 셀들 및 2차원 컬러 코드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0)는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 내 기준 셀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는 기준 셀들의 제1 형상, 제2 형상 및 색상, 2차원 컬러 코드 내 기준 셀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는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소정 위치 및 순서에 따라 2차원으로 배열하여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2차원 컬러 코드에 레퍼런스 셀들을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레퍼런스 셀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 내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준 셀들, 데이터 셀들 및 레퍼런스 셀들을 소정 위치 및 순서에 따라 2차원으로 배열하여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들에 대한 정보는 2차원 컬러 코드 내 레퍼런스 셀들의 위치 및 색상(참조 색상), 레퍼런스 셀들과 기준 셀들 사이의 위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들에 대한 정보는 참조 색상이 어떠한 순서로 몇 회 반복 배치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는 레퍼런스 셀들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생성하는 복수의 데이터 셀들은 각각 색도 좌표(색좌표라고도 함) 상에 정의된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색좌표 상에 자유롭게 데이터 심볼들을 설정하고, 각 데이터 심볼에 임의의 비트열을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심볼의 색상을 발광시키는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컬러 다중 방식의 응용인 색좌표 부호화 방식(CSK:Color Shift Keying)이라 한다. CSK는 발광색이나 전송 속도의 설정에 자유도가 있고, 또한 통상의 컬러 다중 방식에 비해 광전파로에서의 감쇠나 외란의 영향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CSK는 색좌표에서의 통신 접속성이 보증되고, 종합 발광 강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휘도 변화에 의한 플리커가 억제될 수 있다.
도 5는 색좌표 상의 CSK의 예시이다. 도 5의 색좌표는 CIE 1931 xy 색좌표다.
도 5를 참고하면, 색좌표 상에 4개의 데이터 심볼들이 설정되고, 각 데이터 심볼들에 비트열(00, 01, 10 또는 11)이 할당되어 있다. 색좌표 상에 4개의 데이터 심볼들을 배치하는 CSK 방식을 4 CSK라 한다. 또한 데이터 심볼의 배치를 데이터 심볼 매핑이라고도 한다. 각 데이터 심볼은 색좌표 상의 색상에 대응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2비트마다 매핑 규칙에 따라 4개의 데이터 심볼들 중 하나의 데이터 심볼의 색상을 가지는 데이터 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2 비트의 입력에 대해 1 데이터 심볼을 발생시키는 4위상 편이 변조(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에 비유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셀은 어느 하나의 데이터 심볼의 색을 가짐으로써, 2 비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2 bits/Symbol).
도 3과 같이 2차원 컬러 코드가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색좌표 상에 레퍼런스 셀들에 대응하는 참조 심볼들이 설정될 수 있다. 각 참조 심볼들은 색좌표 상의 색상에 대응된다. 색좌표 상에서 참조 심볼들은 데이터 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심볼들과 일치할 수 있다. 아니면, 참조 심볼들은 데이터 셀에 대응하는 데이터 심볼들과 관계없이 색좌표 상에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좌표점(x, y)을 3색 LED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값(R, G, B)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좌표점(xi, yi)과 발광 강도(R, G, B)와의 관계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색좌표 상의 (xR, yR), (xG, yG), (xB, yB)의 3점은 3색 LED 광원 RGB 각각의 발광색에 대응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3색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색 LED 광원을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발광 강도(R, G, B)로 동시에 발광시킴으로써, 즉 발광 강도(R, G, B)의 값에 따라 각 LED를 광강도 변조함으로써, 좌표점(xi, yi)에 해당하는 색의 신호광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카메라(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 는 제어부 (210) 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 (200) 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한 다른 장치로부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210) 는 전자 장치 (200) 가 아닌 다른 장치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카메라(21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210) 는 카메라 (210) 로부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200) 는 제어부 (210) 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 (210) 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한 다른 장치로부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은 각 화소값을 가지는 복수의 화소(pixel)들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RGB 3색에 대응하는 광감도를 가진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광을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광전 변환하여 수신광의 강도(R, G, B)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컬러 코드를 동영상으로서 표시하는 경우, 카메라(210)는 적어도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로 동영상 촬영을 행하고, 동영상을 구성하는 개개의 프레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210)는 연속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은 배경 영상 위에 2차원 컬러 코드가 중첩되어 있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20)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제어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는 기준 셀들의 제1 형상, 제2 형상 및 색상, 2차원 컬러 코드 내 기준 셀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는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복조는 디코딩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각 데이터 셀의 색도를 인식하고, 색좌표 상의 x좌표, y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각 데이터 셀의 색도를 (R, G, B)값으로 획득하고, 수학식 1에 의해 색좌표 상의 좌표 (x, y)로 변환할 수 있다. 좌표 (x, y)는 수신 심볼이라 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색좌표 상에 설정된 데이터 심볼들 중 수신 심볼과 가장 가까운 데이터 심볼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결정된 데이터 심볼에 할당된 비트열을 복조 데이터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의 복조 방법은 공지된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20)가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검출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80)에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2차원 컬러 코드(20, 5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80)는 1행 및 8행의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이고, 2행 내지 7행의 셀들은 데이터 셀들이다. 기준 셀들(81, 82, 83, 84)는 4코너의 셀들이다. 즉, 레퍼런스 셀들의 일부(양단)가 기준 셀들(81, 82, 83, 84)이다. 도 3과 달리 도 7에서는 2차원 컬러 코드(80)에서는 8종류의 레퍼런스 셀들이 이용되고 있다. 즉 8종류의 참조 색상들이 이용되고 있다. 도 7에서는 각 셀의 색상을 해칭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참조 색상들과 데이터 색상들이 동일하다. 색좌표 상의 참조 심벌들은 데이터 셀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심볼들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 의 카메라(210)는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윤곽(95)을 검출하고, 영상에서 윤곽(95)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들(81, 82, 83, 84)의 형상인 제1 형상,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색상 및 기준 셀들(81, 82, 83, 84)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90)에 기초하여 기준 셀들(81, 82, 83, 84)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220)가 수행하는 각 동작을 상술한다.
<윤곽 검출>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영상 처리를 통해 윤곽(95)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을 소정의 성분으로 변환한 성분 영상을 생성하고, 성분 영상을 문턱값에 기초해 변환한 이진(binary) 영상을 생성하고, 이진 영상에서 윤곽(95)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윤곽(95)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이며, 윤곽 검출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어부(220)가 성분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성분 영상이란, 원래 영상을 휘도, 명도, 채도, 적색 성분, 청색 성분, 또는 녹색 성분 등의 소정의 성분의 영상으로 변환한 것이다. 소정의 성분은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윤곽(95)의 화소값과 배경 영상의 화소값을 구별하는데 적합한 성분이거나,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윤곽(95)의 화소값과 기준 셀들(81, 82, 83, 84)의 내측 화소값을 구별하는데 적합한 성분일 수 있다. 즉, 제어부(220)가 생성하는 성분 영상은,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윤곽(95)의 화소값과 배경 영상의 화소값의 차이 또는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윤곽(95)의 화소값과 기준 셀들(81, 82, 83, 84)의 내측 화소값의 차이가, 다른 성분을 추출한 성분 영상에서의 양자의 차이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220)는 상기 차이를 더 크게 하여 성분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윤곽(95)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준 셀(81, 82, 83, 84)은 내부의 색과는 다른 색의 테두리선(95)으로 에지 처리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20)는 기준 셀(81, 82, 83, 84)의 화소값(즉, 테두리선(95) 내측의 기준 셀(81, 82, 83, 84)의 화소값)과, 기준 셀(81, 82, 83, 84)에 부가되어 있는 테두리선(95)의 화소값이 가능한 한 다른 화소값이 되는 성분의 성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셀에 흰 테두리선(95)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 휘도 성분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휘도 성분은 YUV 영상에서의 Y성분이 대표적이지만, 가중 평균법을 이용한 변환에 의해 RGB 영상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셀(81, 82, 83, 84)의 색이 녹색 또는 적색인 경우, 테두리선(95)이 흰색이므로, 청색 성분 영상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성분 영상을 병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되고, 최종적인 검출 결과에 따라 어떠한 성분 영상을 이용할 지가 결정되어도 무방하다.
도 8은 성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어부(220)가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80)의 영상에서 휘도 성분의 성분 영상을 생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220)는 성분 영상을 문턱값에 기초해 변환한 이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이진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어부(220)가 도 8에 도시되는 성분 영상에서 이진 영상을 생성한 예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이진 영상의 윤곽(95)의 에지 부분에서 화소값이 반전한다.
제어부(220)는 이진 영상으로부터 윤곽(95)을 검출할 수 있다. 이진 영상으로부터의 윤곽의 검출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되는 윤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제어부(220)가 도 9에 도시되는 이진 영상에서 윤곽을 검출한 예이다.
정리하면, 제어부(220)는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 기초해 성분 영상 및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이진 영상에서 윤곽(95)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기준 셀(81, 82, 83, 84)의 윤곽(95) 검출이 가능해진다.
카메라(210)가 2차원 컬러 코드(80)를 동영상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0)가 2차원 컬러 코드(80)를 동영상 촬상 시, 카메라(210)의 위치는 그다지 변동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프레임 영상들 내 2차원 컬러 코드(80)의 위치는, 연속되는 프레임 영상 사이에서 대략 일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어부(220)는 프레임 영상에서 윤곽(95) 검출 시,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검출된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위치에 기초해 윤곽(95)을 검출할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이전 프레임 영상의 기준 셀들(81, 82, 83, 84)에 기초해 프레임 영상에서 선택된 부분 영상으로부터 윤곽(95)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220)는 프레임 영상의 전 영역을 윤곽(95) 검출 대상으로 하지 않고, 윤곽(95) 검출을 수행하는 범위를 부분 영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의 처리 부하가 억제된다.
<기준 셀들 검출>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된 윤곽(95)으로 구별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오브젝트들 중에서 기준 셀들(81, 82, 83, 84)로 추정되는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오브젝트들 중에서 제1 형상 및 기준 셀의 색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의 영상에서 윤곽(95)이 검출된 오브젝트의 형상이 기준 셀(81, 82, 83, 84)의 형상(제1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어부(220)는 윤곽(95)이 검출된 각 오브젝트에 대해 원형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의 중심점과 윤곽(95) 상의 점과의 거리의 최대 거리 및 최소 거리를 획득하고, 최대 거리 및 최소 거리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오브젝트의 형상을 원형으로 판정할 수 있다. 최대 거리 및 최소 거리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가 아닌 경우, 제어부(220)는 오브젝트의 형상이 원형이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최대 거리와 최소 거리의 비율은 1이다. 다만, 카메라(210)가 획득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2차원 컬러 코드(80)를 비스듬하게 촬영한 영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2차원 컬러 코드(80)를 촬영한 영상에서 기준 셀(81, 82, 83, 84)은 타원으로 변형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최대 거리와 최소 거리의 비율이 1인 오브젝트에 한정하지 않고, 비율이 어느 정도 1에 가까운 오브젝트에 대해 원형 오브젝트로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판정 방법에 의하면, 오브젝트의 형상이 원형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220)는 이러한 판정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최소 이승법을 이용한 타원 피팅 수법이나 원형 Hough 변환 등 다른 형상 판정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에서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의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한 예이다. 도 11은 도 6의 제어부(220)가 도 10에 도시된 윤곽이 검출된 영상에서 기준 셀의 형상인 제1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한 예이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의 영상에서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의 색이 기준 셀(81, 82, 83, 84)의 색으로 미리 정해진 색(이하, "기준 색상"이라고도 함)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정되는 색은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의 색이다. 제어부(220)는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제1 형상을 갖는 것으로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해서 색상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셀(81, 82, 83, 84)에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색이 녹색 및 적색인 경우, 제어부(220)는 오브젝트의 색이 녹색 또는 적색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반드시 완전하게 기준 셀(81, 82, 83, 84)의 색과 동일한 색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색으로 판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220)는 제1 형상을 가지고, 기준 셀(81, 82, 83, 84)과 동일한 색인 기준 색상을 갖는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1 형상 및 기준 색상을 갖는 오브젝트들로부터, 복수의 기준 셀들(81, 82, 83, 84)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미리 정해진 형상(제2 형상)의 정점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80) 내 기준 셀들(81, 82, 83, 84)의 개수는 4이고, 이 4개의 기준 셀들(81, 82, 83, 84)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제2 형상(90)은 직사각형이다. 4개의 기준 셀들(81, 82, 83, 84) 중 2개의 기준 셀들(81, 83)의 색은 제1 기준 색상(수평 방향 선에 의한 해칭, 예를 들어 녹색)이고, 나머지 2개의 기준 셀들(82, 84)의 색은 제2 기준 색상(검은색 해칭, 예를 들어 적색)이다.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80)의 경우, 제어부(220)는 제1 형상 및 기준 색상을 갖는 오브젝트들로부터 2개의 제1 기준 색상 오브젝트들과 2개의 제2 기준 색상 오브젝트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4개의 오브젝트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이 직사각형(제2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2는 도 7의 2차원 컬러 코드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제2 형상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220)는 제1 형상 및 기준 색상을 갖는 오브젝트들로부터 2개의 제1 기준 색상 오브젝트들과 2개의 제2 개준 색상 오브젝트들을 선택함으로써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2의 조합 1, 조합 2, ..., 조합 N과 같이 제어부(220)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조합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각 오브젝트들의 조합(조합 1, 조합 2, ..., 조합 N)에서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형상(굵은 선으로 도시됨)을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형상이 제2 형상(직사각형)이 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조합 N)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조합들(조합 1, 조합 2, ..., 조합 N) 중 제2 형상(직사각형)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조합 N)을 선택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의 외곽에 더 가까운 조합부터 제 2 형상 (직사각형) 을 이루는지 여부를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조합들(조합 1, 조합 2, …, 조합 N) 중에서 제 2 형상 (직사각형) 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이 2개 존재하는 경우, 2개의 조합 중에서 2차원 컬러 코드의 외곽에 더 가까운 조합이 제 2 형상 (직사각형) 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다. 2차원 컬러 코드의 외곽에서부터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부 (220) 에 의한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2개의 녹색 기준 셀들(81, 83)이 이루는 직선과 2개의 적색 기준 셀들(82, 84)이 이루는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는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2개의 녹색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직선과 2개의 적색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직선의 평행 정도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표시된 2차원 컬러 코드를 비스듬하게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완전하게 평행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어느 정도 평행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220)는 제2 형상을 구성하는 4개의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10)가 2차원 컬러 코드(80)를 촬상할 때, 촬상 위치는 그다지 변동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210)가 2차원 컬러 코드(80)를 동영상 촬상하여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을 획득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 내에서의 기준 셀(81, 82, 83, 84)의 크기는, 연속되는 프레임 영상 사이에서 대략 일정할 것이다. 이 때문에, 제어부(220)는 프레임 영상에서 기준 셀들(81, 82, 83, 84)의 후보 집합에서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 시,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의 기준 셀(81, 82, 83, 84)의 크기와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들로부터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대상인 오브젝트들을 한정함으로써, 제어부(220)에 의한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0)의 촬상 위치가 그다지 변동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 내에서 제2 형상의 크기도 대략 일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프레임 영상 보다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의 제2 형상의 크기에 따라 추출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한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정함으로써, 제어부(220)에 의한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영상 내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위치를 기준으로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할 수 있다.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은 기준 셀들로 추정되는 오브젝트들이다. 2차원 컬러 코드(80) 내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기준 셀들(81, 82, 83, 84)의 위치에 따라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10)가 2차원 컬러 코드(80)에 정면 대향하지 않고 2차원 컬러 코드(80)를 촬상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기준 셀들(81, 82, 83, 84)이 4개인 경우, 제어부(220)는 검출된 기준 셀들로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하기 전에 아핀 변환에 의해 변형을 보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카메라(100)에 의해 획득된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셀 그룹 내 위치한 데이터 셀들의 색상을 획득하고, 색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그런데, 제어부(220)는 제어부(220)에 의해 추출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이 반드시 기준 셀들(81, 82, 83, 84)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준 셀들(81, 82, 83, 84)인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하기 위해, 제어부(220)는 추출된 조합의 타당상을 판정함으로써 정밀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타당하다고 판정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타당성 판정을 통해 2차원 컬러 코드(8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2차원 컬러 코드(80)에 포함되는 레퍼런스 셀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80)를 검출하면, 레퍼런스 셀들을 이용하여 색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영상 내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이 미리 알고 있는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과 다른 경우, 그 차이를 선형 보완하여 2차원 컬러 코드(80)에 포함되는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반드시 판정할 필요는 없다. 2차원 컬러 코드(80)가 레퍼런스 셀들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0)는 타당성 판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 제어부(220)가 수행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타당성 판정>
제어부(220)는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위치에 따라 추정되는 레퍼런스 셀이 존재하는 위치의 화소값이 레퍼런스 셀 그룹이 구비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셀 그룹은 기준 셀에 대해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가지고 존재할 수 있다. 추출된 조합의 오브젝트들은 기준 셀들로 추정되는 기준 셀들의 후보들이다.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위치에 따라 추정되는 레퍼런스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이다.
제어부(220)는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의 색상 및 전자 장치(200)가 알고 있는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기준 셀들의 후보들의 타당성을 검출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의 색상 및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제어부(220)는 기준 셀들의 후보들이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레퍼런스 셀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이, 레퍼런스 셀 그룹이 만족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레퍼런스 셀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타당한 것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예컨대, 레퍼런스 셀 그룹의 색 배열에 의해 규정되는 특징일 수 있다.
도 7의 경우, 제어부(220)는 4점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타당성 판정에 앞서 이러한 4점 좌표값에 따라 아핀 변환을 행하여 영상의 변형을 보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예컨대, 레퍼런스 셀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으로부터 특정되는 색도의 배열과, 진정한 레퍼런스 셀 그룹의 색도 배열의 상관 계수를 산출함으로써 판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판정한다. 제어부(220)는 우선 추출된 오브젝트 조합의 위치에 따라 추정되는 레퍼런스 셀이 존재하는 위치의 화소값을 직선적으로 샘플링하여 소정 개수의 샘플값을 얻는다. 또한 소정 개수는 일련의 레퍼런스 셀 그룹의 수 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샘플값의 획득시에 아핀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미리 영상의 변형을 보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차원 컬러 코드에 있어서, 레퍼런스 셀이 서로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균등한 간격으로 샘플링이 행해지면, 셀의 에지 또는 배경의 화소값을 포함하게 되어 정밀도가 낮아지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레퍼런스 셀의 내측의 색만을 샘플링할 수 있도록, 셀간의 간극을 건너뛰고 샘플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 셀간의 폭과 레퍼런스 셀간의 폭은 미리 정해진 비율이므로, 제어부(220)는 판정 대상 영상에서의 상기 간극폭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예로서 제어부(220)는 샘플 a0~샘플 a255의 256개의 샘플을 획득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220)는 256개의 샘플의 색도를 측정한다. 색도 측정 방법은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20)는 각 샘플들에 대해 측정한 색도를 색도 좌표 상의 x좌표 및 y좌표의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샘플 a0의 색도를 (x0, y0), 샘플 a1의 색도를 (x1, y1), 샘플 a255의 색도를 (x255, y255)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a0, a1,···a255의 색도(인식값이라 함)는 어디까지나 전자 장치(200)가 인식한 색도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샘플이 정말로 레퍼런스 셀의 화소값을 샘플링한 것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생성한 2차원 컬러 코드에서의 레퍼런스 셀의 색도(참값이라 함)와 동일해진다고는 할 수 없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는 레퍼런스 셀의 색도의 참값을 미리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20)는 샘플 a0, a1,···a255의 인식값과 참값과의 상호 상관을 평가함으로써, 제어부(220)에 의해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으로부터 추정되는 위치에 레퍼런스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이 존재하는 경우, 즉, 상관 계수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20)는 타당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는 상호 상관의 평가 방법의 일예이다. 여기서는, 상호 상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색도의 x좌표의 상관 계수 Cx의 계산 방법을 수학식 2, 색도의 y좌표의 상관 계수 Cy의 계산 방법을 수학식 3, x좌표 및 y좌표의 상관 계수의 평균값 Ck의 계산 방법을 수학식 4에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는 수학식 4를 평가 함수로 하고, Ck를 종합적인 상관 계수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여기서, xi, yi는 샘플 ai의 인식값, Xi, Yi는 샘플 ai에 대응하는 참값,
Figure pat00005
는 xi의 평균값,
Figure pat00006
는 Xi의 평균값,
Figure pat00007
는 yi의 평균값,
Figure pat00008
는 Yi의 평균값이다. 또한, 1-≤Ck≤1이다.
또한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에 나타내는 상관 계수 Cx, Cy, Ck에 한정하지 않고, 상호 상관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관 계수 Cx, Cy는 정규화된 지표이지만, 정규화를 행하지 않은 지표(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의 분모를 생략한 것)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다른 판정 방법으로서, 레퍼런스 셀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으로부터 특정되는 색도의 주파수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특징이, 진정한 레퍼런스 셀 그룹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특징과의 일치 여부로 판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제어부(220)는 이하와 같이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에 대해, 주파수 분석(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분석에 의해, 동일색 배열이 몇회 반복되는지 알 수 있다. 레퍼런스 셀 그룹은 소정색의 라인이 소정 회수 반복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파수 분석이 행해짐으로써, 제어부(220)에 의해 추출된 조합으로부터 추정되는 위치에, 레퍼런스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다른 판정 방법으로서, 레퍼런스 셀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으로부터 특정되는 색도의 색도 좌표 상의 좌표 위치와, 진정한 레퍼런스 셀 그룹의 색도 좌표 상의 좌표 위치와의 거리의 차이에 따라 판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는 이하와 같이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 a0, a1,···a255의 색도를 측정하고, 그 인식값을 색도 좌표 상의 x좌표 및 y좌표의 값으로 하여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a0의 색도를 (x0, y0), a1의 색도를 (x1, y1), a255의 색도를 (x255, y255)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레퍼런스 셀의 색도의 참값을 미리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220)는, 예컨대 수학식 5에 의해 인식값의 좌표와 참값의 좌표와의 좌표간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좌표간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좌표간 거리의 총합 Dk를 계산하고 있다. 또한 수학식 5에 나타내는 평가식에 한정하지 않고, 좌표간 거리를 이용한 다른 지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좌표간 거리의 평균값 Dk/n을 이용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xi, yi는 ai의 색도의 인식값, Xi, Yi는 ai의 색도의 참값이다. 제어부(220)는 좌표간 거리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 이하인 경우, 타당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0). 디스플레이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11).
2차원 컬러 코드는 레퍼런스 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방법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0)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도 3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2차원 컬러 코드들(20, 50, 80)의 예들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0).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S21). 전자 장치는 영상에서 윤곽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 들 중 기준 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S22).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영상 내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S23). 전자 장치는 검출된 2차원 컬러 코드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4). 즉,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 또는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의 방법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00).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성분을 추출한 성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210). 전자 장치는 성분 영상을 문턱값을 이용하여 이진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S220). 앞서 설명한 도 8 및 도 9는 각각 성분 영상 및 이진 영상의 예시이다. 이진 영상에서는 셀의 윤곽의 에지에서 화소값이 반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진 영상으로부터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S230). 전자 장치는 검출된 윤곽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의 형상인 제1 형상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S240). 제1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전자 장치는 윤곽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들의 각 형상이 원형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오브젝트들 중 원형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형상의 오브젝트들 중 기준 색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S250). 전자 장치는 제1 형상을 갖는 것으로 판정된 오브젝트들의 각 색상이 기준 색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형상 및 기준 색상을 갖는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들 중 제2 형상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S260). 전자 장치는 제1 형상 및 기준 색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의 집합으로부터, 제2 형상의 정점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할 수 있다(S270). 단계 S260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조합들이 추출된 경우, 각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타당한 것으로 판정된 조합을 기준 셀들로 결정하고, 기준 셀들에 따라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S280). 전자 장치는 검출된 2차원 컬러 코드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90).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기준 셀의 형상인 제1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추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단계 S240의 상세한 동작 방법일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된 윤곽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S241). 전자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형상을 판정할 수 있다(S242).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의 형상이 기준 셀의 형상인 제1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43). 오브젝트의 형상이 제1 형상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44).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내 오브젝트의 중심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된 윤곽으로 구별되는 모든 오브젝트들의 형상의 판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45).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단계 S241로 돌아가 오브젝트들 중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형상 판정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는 윤곽으로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제1 형상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추출된 오브젝트들 중 제2 형상을 이루는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추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단계 S260의 상세한 동작 방법일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들의 개수만큼의 오브젝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S261). 즉,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들 중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준 셀들에 대한 정보에 따라 2차원 컬러 코드 내 기준 셀들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형상을 판정할 수 있다(S262). 전자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들의 중심 좌표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상을 특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판정된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형상이 제2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63). 오브젝트들이 이루는 형상이 제2 형상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형상을 구성한다고 판정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64).
전자 장치는 오브젝트들의 모든 조합들의 형상의 판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65).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단계 S261로 돌아가 오브젝트들의 다른 조합을 선택하여 형상 판정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2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의 타당성을 판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단계 S270의 상세한 동작 방법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S271). 도 15의 단계 S260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조합들이 추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조합들 중 하나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한 조합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을 기준 셀들의 후보들로 하여,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각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레퍼런스 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을 획득할 수 있다(S272).
전자 장치는 레퍼런스 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화소값이, 레퍼런스 셀 그룹이 구비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73).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된 조합을 기준 셀들에 대응하는 조합이 아닌 것으로 하여 제외할 수 있다(S274).
전자 장치는 단계 S260에서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조합들 모두의 타당성 판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274).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단계 S271로 돌아가 다른 오브젝트들의 조합을 타당성 판정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기준 셀은 기준 셀의 내부 색상과는 다른 색 테두리선으로 에지 처리될 수 있고, 2차원 컬러 코드의 최외각을 둘러싸는 테두리는 없다.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기준 셀들에 따라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는 2차원 컬러 코드를 둘러싸는 테두리선이 없이도, 2차원 컬러 코드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컬러 코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기준 셀이 내부 색상과는 다른 색 테두리선으로 에지 처리하는 것을 제1 실시예라고 한다. 그런데 기준 셀이 배경 영상과 다른 색을 가지면, 기준 셀이 에지 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준 셀이 에지 처리되지 않고, 기준 셀이 배경 영상과 다른 색을 가지는 것을 제2 실시예라고 한다.
[제2 실시예]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는 배경 영상(600) 위에 중첩되어 있다. 배경 영상(600)의 색은 청색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의 2차원 컬러 코드는 데이터 셀들(610) 및 레퍼런스 셀들(620, 630, 640, 650, 660, 670, 680, 690)을 포함한다. 레퍼런스 셀들은 데이터 셀들(610)의 상하에 1행씩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셀(620)의 색은 녹색이고, 레퍼런스 셀(630)의 색은 청록이고, 레퍼런스 셀(640)의 색은 황색이고, 레퍼런스 셀(650)의 색은 오렌지이고, 레퍼런스 셀(660)의 색은 감색이고, 레퍼런스 셀(670)의 색은 수색이고, 레퍼런스 셀(680)의 색은 적자색이고, 레퍼런스 셀(690)의 색은 적색일 수 있다. 각 데이터 셀들(610)은 송신 데이터의 변조에 따른 색상을 가질 것이다.
도 19에서도 기준 셀들은 상하 레퍼런스 셀들(620) 및 상하 레퍼런스 셀들(690)로 총 4개인 것으로 한다. 기준 셀들(620, 690)의 색은 녹색 및 적색이고, 배경 영상(600)의 색은 청색이다. 따라서, 기준 셀들(620, 690)은 배경 영상(600)의 색과는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19에서 설명한 색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기준 셀들(620, 690)의 색은 배경 영상(600)의 색과 다른 임의의 색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기준 셀들(620, 690)의 색은 적색 및 청색이고, 배경 영상(600)의 색은 녹색일 수도 있다. 2차원 컬러 코드와 중첩되는 배경 영상(600)의 색을 기준 셀들(620, 690)의 색과 다른 색으로 한정 가능하다면, 기준 셀들(620, 690)을 에지 처리하는 테두리선이 없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소정의 성분으로 변환한 성분 영상을 생성하고, 성분 영상을 문턱값에 기초해 변환한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이진 영상에 기초해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
성분 영상의 성분은 기준 셀의 윤곽 부분의 화소값(제2 실시예에서는 테두리선이 없기 때문에, 기준 셀의 화소값과 동일함)과, 배경 영상의 화소값을 구별하는데 적합한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성분 영상은 기준 셀의 화소값과 배경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다른 성분을 추출한 성분 영상에서의 양자의 차이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셀들(620, 690)의 색은 녹색 및 적색이고, 배경 영상(600)의 색은 청색인 경우, 전자 장치는 청색 성분의 성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적색 기준 셀(690)의 검출과 녹색 기준 셀(620)의 검출에 각각 다른 성분 영상을 생성하고, 검출 결과를 통합할 수도 있다. 적색 기준 셀(690)의 검출에는 적색 성분 영상을, 녹색 기준 셀(620)의 검출에는 녹색 성분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0은 성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전자 장치가 도 19의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청색 성분의 성분 영상을 생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는 셀의 색 차이를 해칭 차이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도 20은 실제로 색이 부여된 셀에 대한 성분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서 데이터 셀들(610)의 색상은 동일한 종류의 해칭이나, 실제로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의 청색 성분 영상에서는 도 19의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과 비교해 기준 셀들(620, 690) 및 배경 영상(600)의 구별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1은 이진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전자 장치가 도 20의 성분 영상을 2치화 (binarization) 처리하여 생성한 이진 영상일 수 있다.
도 22는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검출되는 윤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전자 장치가 도 21에 도시되는 이진 영상에서 윤곽을 검출한 예이다.
도 23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에서 윤곽이 검출된 오브젝트들 중 기준 셀의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검출한 예이다. 도 23은 기준 셀이 원형인 경우 2차원 컬러 코드의 영상에서 원형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한 것이다.
도 23을 도 19와 비교하면, 4 코너의 기준 셀들(620, 690)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들이 추출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검출된 기준 셀들(620, 690)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데이터 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셀들을 에지 처리하는 테두리선이 없더라도, 전자 장치는 기준 셀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컬러 코드의 디자인에 부과되는 제약을 더 줄일 수 있고, 디자인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기재된 실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2차원 컬러 코드의 셀의 형상, 수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셀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또한, 셀의 수도 8×8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컬러 코드 내 레퍼런스 셀의 위치는 소정의 위치에 있으면 되고, 반드시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부와 하부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레퍼런스 셀의 색상의 개수, 레퍼런스 셀의 라인 순서, 라인의 반복수 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셀을 에지 처리하는 테두리선의 색은 흰색에 한정되지 않고, 흑색의 테두리선이 이용될 수도 있고, 다른 색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2차원 컬러 코드의 모든 셀들이 각각 테두리선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기준 셀들만 테두리선을 가지고, 다른 셀(예를 들어, 데이터 셀, 레퍼런스 셀)은 테두리선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2차원 컬러 코드 내 기준 셀의 위치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셀 그룹의 4 코너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셀은 레퍼런스 셀 이외의 셀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2차원 컬러 코드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 배치가 가능하다.
도 24 내지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2차원 컬러 코드들의 예시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셀들의 개수는 16×16개일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셀을 에지 처리하는 테두리선의 색은 흑색의 테두리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기준 셀들(700, 710, 720, 730)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코너가 아니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의 복수의 셀들은 팔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7에서 기준 셀들(800, 810, 820, 830)은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기준 셀들(800, 810, 820, 830)은 2차원 컬러 코드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셀들은 팔각형 형상의 가장 외측에서 내부의 셀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8개의 셀들일 수 있다.
도 5에서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셀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4 CSK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CSK 변조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 즉, 색좌표 상에 설정되는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 및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CSK 변조 방식들의 예이다. 도 28은 4 CSK, 8 CSK 및 16 CSK의 예시이다. 4 CSK에서는 2 bits/symbol, 8 CSK에서는 3 bits/symbol, 16 CSK에서는 4 bits/symbol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색좌표 상에서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를 늘리면, 하나의 심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를 CSK 방식을 통해 데이터 셀들로 변조하고, 데이터 셀들을 2차원으로 배열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SDM-CSK 코드라고도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컬러 코드는 다양한 SDM-SCK 코드가 이용 가능하다.
도 29는 2차원 컬러 코드로 이용될 수 있는 SDM-CSK 코드의 예시들이다.
도 29를 참고하면, 64×64 SDM-16 CSK 코드는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셀들의 개수가 64×64이고, 색좌표 상에 설정된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가 4이다. 16×16 SDM-4 CSK 코드는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셀들의 개수가 16×16이고, 색좌표 상에 설정된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가 4이다. 4×4 SDM-4 CSK 코드는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셀들의 개수가 4×4이고, 색좌표 상에 설정된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가 4이다. 도 29의 각 코드는 셀들의 개수 및 데이터 심볼들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량이 다르다. 예컨대, 표시 프레임 레이트가 15fps인 경우, 64×64 SDM-16 CSK 코드는 240 kbps, 4×4 SDM-4 CSK 코드는 480bps의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0은 일부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0을 참고하면, 2차원 컬러 코드는 레퍼런스 셀들을 배치한 16×16 SDM-4 CSK 코드이다. 2차원 컬러 코드의 상하 2개 행들에 레퍼런스 셀들이 배치되어 있다. 각 행의 레퍼런스 셀들은 4색의 참조 색상 라인이 4회 반복되는 구조이다. D0~D49는 데이터 셀들이고, FRTN은 프레임의 총수, FREM는 프레임의 나머지 수이고, P0~P3는 에러 정정 부호이다. 2차원 컬러 코드는 주위에 흑색 테두리선 및 백색 테두리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자 장치는 2차원 컬러 코드를 둘러싼 테두리선을 이용해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2차원 컬러 코드를 둘러싼 테두리선은 2차원 컬러 코드의 디자인에 제약을 주는 것으로, 디자인성이 있는 2차원 컬러 코드 구현에 장애가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0과 달리 2차원 컬러 코드의 외측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2차원 컬러 코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컬러 코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카메라(161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한다. 카메라(1610) 및 제어부(1300)는 도 6의 카메라(210) 및 제어부(22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도 31의 전자 장치(1000)에는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3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장치(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3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2차원 컬러 코드의 수신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하고, 2차원 컬러 코드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복조하여 획득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행된 동작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전자 장치(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전자 장치(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카메라(1610)를 제어함으로써,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카메라(1610)에 의해 획득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검출된 2차원 컬러 코드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전 도면들에서도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센싱부(1400)는, 전자 장치(10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00)와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2차원 컬러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61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획득된 영상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2차원 컬러 코드의 수신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장치(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모듈(1710)은 2차원 컬러 코드의 수신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전자 장치(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개시를 주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 처리를 CPU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하여 저장되고,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컨대,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해 컴퓨터에 공급될 수도 있다.
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는 전선 및 광섬유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에서 윤곽 (outline) 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고;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셀들은 각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윤곽을 가지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상기 제1 형상은 원형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셀들의 형상은 각각 원형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형상, 상기 제2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의 후보들을 검출하고;
    상기 후보들의 위치에 기초해 상기 영상에서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을 검출하고;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의 색상 및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셀들의 후보들의 타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형상, 상기 제2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위치 및 색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레임 영상 중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에 기초해 상기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서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할 영역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영상을 소정의 성분으로 변환한 성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성분 영상을 문턱값에 기초해 변환한 이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이진 영상에 기초해 상기 윤곽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에서 윤곽 (outline) 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셀들의 색상들을 복조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기준 셀들은 각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윤곽을 가지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상기 제1 형상은 원형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셀들은 각각 원형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상기 제2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컬러 코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셀들은 레퍼런스 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의 후보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들의 위치에 기초해 상기 영상에서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후보들의 색상 및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셀들의 후보들의 타당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 상기 제2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2차원 컬러 코드 내 상기 레퍼런스 셀들의 위치 및 색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영상 중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서 기준 셀들을 이전 프레임 영상에서 검출된 기준 셀들에 기초해 검출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 내 상기 기준 셀들의 위치에 기초해 상기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서 상기 기준 셀들을 검출할 영역을 한정하는, 방법.
  20.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어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경우:
    기준 셀들 및 데이터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들이 2차원으로 배열된 2차원 컬러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원 컬러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검출된 윤곽에 의해 구별되는 오브젝트들 중 상기 기준 셀들이 다른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상기 2차원 컬러 코드는 상기 기준 셀들의 형상인 제1 형상, 상기 기준 셀들의 색상 및 상기 기준 셀들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되는 형상인 제2 형상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60119552A 2015-11-09 2016-09-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54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65482.6A CN108351979B (zh) 2015-11-09 2016-11-08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EP16864533.1A EP3335155B1 (en) 2015-11-09 2016-11-08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CT/KR2016/012773 WO2017082607A1 (en) 2015-11-09 2016-11-08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5/347,266 US10304214B2 (en) 2015-11-09 2016-11-09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9334A JP2017091140A (ja) 2015-11-09 2015-11-09 コード送受信システム、コード受信装置、コード送信装置、コード受信方法、コード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219334 2015-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222A true KR20170054222A (ko) 2017-05-17

Family

ID=5877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552A KR20170054222A (ko) 2015-11-09 2016-09-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35155B1 (ko)
JP (1) JP2017091140A (ko)
KR (1) KR20170054222A (ko)
CN (1) CN108351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6102A (ja) * 2018-08-27 2020-03-0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光変調方法、光復調方法、送信機、受信機
WO2020077516A1 (zh) * 2018-10-16 2020-04-23 华北电力大学扬中智能电气研究中心 一种led阵列信号检测方法及装置
US11496216B2 (en) 2019-01-11 2022-11-08 Joled Inc.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N111597856B (zh) * 2020-05-26 2023-04-07 成都鹏业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光敏变色材料的混凝土标识提取方法
JP2022161747A (ja) * 2021-04-09 2022-10-21 広海 大谷 カラー二次元コード カラー三次元コ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456B2 (ja) * 2000-11-28 2010-09-29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復号化装置
JP3996520B2 (ja) * 2003-01-30 2007-10-2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二次元情報コードおよびその生成方法
US7533817B2 (en) * 2004-08-09 2009-05-19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Color barcode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color barcode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lor barcod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58399B1 (ko) * 2004-10-15 2008-09-11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물체,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전송방법, 카드, 게임용매트, 카드 게임 시스템,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JP4364186B2 (ja) * 2005-09-15 2009-11-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ード
KR100746641B1 (ko) * 2005-11-11 2007-08-06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동영상 이미지 코드와 동영상 이미지 코드 생성/디코딩장치 및 그 방법
CN1862560A (zh) * 2006-06-21 2006-11-15 北京紫光捷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图形的可快速定位的二维条码系统
JP5207719B2 (ja) * 2007-12-05 2013-06-12 株式会社トプコン カラーコード付き標識、カラーコード抽出手段及び三次元計測システム
JP5356702B2 (ja) * 2008-03-14 2013-12-04 豊 木内 2次元コード復元プログラム、及び、復元サーバ
EP2541470B1 (en) * 2011-06-29 2017-10-04 Denso Wave Incorporated Information code and information code reader
JP5810997B2 (ja) * 2012-03-21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二次元コード読み取り装置
CN102916804B (zh) * 2012-08-28 2015-05-20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局部颜色校验的二维码编码、解码方法及装置
US9161062B2 (en) * 2013-03-15 2015-10-13 Pictech Management Limited Image encoding and decoding using color space
KR20140121711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추출 기반의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장치
KR20140128167A (ko) * 2013-04-26 2014-11-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컬러 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CN104239927B (zh) * 2014-08-01 2017-02-15 周奇 一种彩色二维码生成方法及解码方法
CN104794518B (zh) * 2015-05-06 2018-01-12 矽图(厦门)科技有限公司 彩色二维码的生成方法
CN104835108B (zh) * 2015-05-14 2019-11-08 上海交通大学 产生可视化二维码的方法
CN104899630B (zh) * 2015-06-18 2018-04-27 桂林电子科技大学 彩色qr码的编/解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91140A (ja) 2017-05-25
EP3335155B1 (en) 2021-01-13
EP3335155A1 (en) 2018-06-20
CN108351979B (zh) 2021-06-18
EP3335155A4 (en) 2018-09-19
CN108351979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422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78243A1 (zh) 一种图像处理和人脸图像识别方法、装置及设备
US8879832B2 (en) Color matrix code
EP1801735B1 (en) Card and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US103042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6553624B2 (ja) 計測機器、及びシステム
EP1507232A2 (en) Method for classifying a digital image
CN110070551B (zh) 视频图像的渲染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114744B1 (ko) 영상으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는 방법
CN106713696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US10709967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 optical object
US11128909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11889083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system
Banik et al. Regression analysis for LED color detection of visual-MIMO system
JP201801817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6805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704030B2 (en) Flesh color detection cond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flesh color detection condition determining method
CN111311500A (zh) 一种对图像进行颜色还原的方法和装置
KR20170010753A (ko) 부호의 광학적 검출 방법
CN110992328A (zh) 暗点检测方法和装置
WO2018105181A1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色ラベル、検知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5069393A (zh) 二维码防恶意读取方法及装置
JP4364186B2 (ja) カード
JP4312185B2 (ja) ゲーム用マット、カードゲームシステム、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
JP7163947B2 (ja) 投写領域の設定支援方法、設定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