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531A -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531A
KR20170053531A KR1020150156163A KR20150156163A KR20170053531A KR 20170053531 A KR20170053531 A KR 20170053531A KR 1020150156163 A KR1020150156163 A KR 1020150156163A KR 20150156163 A KR20150156163 A KR 20150156163A KR 20170053531 A KR20170053531 A KR 2017005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rib
water tray
legs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707B1 (ko
Inventor
박주완
박성후
김선용
박주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07B1/ko
Priority to CN201611026961.5A priority patent/CN106676828B/zh
Priority to JP2016216452A priority patent/JP6333920B2/ja
Priority to US15/344,646 priority patent/US10407820B2/en
Publication of KR2017005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4Carpet fasteners; Carpet-expanding devices ; Laying carpeting; Tool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전기기를 지지하는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다수개가 연장되되, 실내 공간의 카페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전기기가 카페트와 같이 단단하지 못한 실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Spike fixing member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having this }
본 발명은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기 외에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세탁된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열풍이나 수분을 가하여 펼 수 있도록 하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관리기, 리프레셔 또는 스타일러 등 다양하게 명명되기도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85728호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장치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가열된 건조공기가 의류 수납 공간으로 공급되어 의류를 건조할 수 있으며, 의류 수납 공간의 습해진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냉각된 후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순환되는 구조의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물받이 통에 모이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02400호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스팀 발생장치와 스팀 분사유닛이 구비되어 수납된 의류의 구김제거와 탈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실내 공간에 설치될 때 수평의 조절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캐비닛 하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레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의 대표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29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레그의 구조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방진을 위한 부재가 구비되어 진동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의류처리장치가 실내에 공간 중 카페트가 배치된 공간에 제공되는 경우 안정적인 고정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안정적인 고정이 불가능하게 되면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시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캐비닛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에 장착되며, 카페트의 위에 안정적으로 캐비닛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캐비닛을 지지하기 위한 레그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페트 위에 안정적으로 캐비닛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응축수를 받기 위한 워터 트레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류 수용 공간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크 고정부재는, 가전기기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전기기를 지지하는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다수개가 연장되되, 실내 공간의 카페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레그의 하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레그의 측면과 접하는 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리브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 배치되며, 상기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 압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기계실;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구비되며,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는 레그; 상기 캐비닛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워터 트레이; 및 상기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바닥면에 배치된 카페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파이크가 다수개 형성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 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레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된 레그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 수용부에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가 상기 레그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그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레그의 측면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워터 트레이가 상기 레그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는, 상기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그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레그가 압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는 다수의 리브에 의해 가전기기의 레그에 압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카페트 바닥의 실내 설치되며 레그를 가지는 다양한 가전기기에 장착되어 가전기기가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캐비닛과 바닥면의 사이의 공간에 워터 트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레그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서 워터 트레이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워터 트레이에는 워터 트레이 장착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상기 워터 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레그에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리브의 형상이 상기 워터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워터 트레이의 탈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스파이크 고정부재와 워터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워터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워터 트레이가 레그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하단의 전반부 모서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하단의 후반부 모서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워터 트레이의 탈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와 상기 워터트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다양한 가전기기 중 의류처리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레그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세탁기와 냉장고 등의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 의류 수납 공간(11)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의류 수납 공간(11)의 내부에는 의류의 수납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수납 공간(11)의 하부에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계실(20)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을 위한 송풍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스팀 발생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20)의 전면에는 기계실 도어(21)가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2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의 상면에는 공기 흡입부(22)와 공기 배출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 수납 공간(11)의 내부로 건조 가열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의류 수납 공간(11)의 내부에는 의류의 수납을 위한 트레이와 렉 등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동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전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1)는 터치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 표시는 물론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조작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위한 조작부가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도어(3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배면에는 의류 수납 공간(11)으로 공급되는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설정된 주름을 고정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프레셔(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스파이크 고정부재와 워터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저면을 형성하며, 네 모서리에는 레그(4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실내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후단 양측에는 롤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5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5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그(40)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이동시에는 상기 레그(4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기울여 상기 롤러(50)가 지면과 접하여 구름 운동하게 된다.
상기 레그(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좌우 양측에 한쌍씩 구비되며, 상기 레그(40)에는 스파이크 고정부재(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의 바닥에 깔려진 매트 또는 카페트(2) 등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레그(40)와 장착되는 결합부(61) 그리고 상기 카페트(2)를 뚫고 삽입되는 스파이크(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레그(40)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 바닥이 딱딱한 마루나 타일 위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를 분리하고 상기 레그(40)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카페트(2) 또는 매트 위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를 상기 레그(40)에 장착한 상태에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하방에는 상기 기계실(2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워터 트레이(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실내공간의 바닥면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레그(4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워터 트레이(70)에 집수된 물을 비운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전체적으로 상기 기계실(20) 내부와 연통되어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워터 트레이(70)가 상기 레그(4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레그 수용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레그(40)와 스파이크 고정부재(60) 및 워터 트레이(7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은 도 2의 5-5'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레그(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40)는 베이스 플레이트(12) 또는 기계실(20) 내부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 너트(41)와 상기 고정 너트(41)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 너트(41)와 나사 결합되는 조절 나사(42) 그리고 상기 조절 나사(42)의 하단에 구비되는 나사 헤드(43)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그(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나사 헤드(4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 나사(42)는 상기 고정 너트(4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사 헤드(43)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너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너트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조절 나사(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그(4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실내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그(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상기 레그(40)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나사 헤드(43)의 하부는 상기 너트부(431)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32)와 너트부(431)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조절 나사(42)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432)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설치시 바닥면과 접하는 베이스 커버(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44)는 상기 베이스부(43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커버(44)가 카페트(2)나 매트가 아닌 딱딱한 실내의 바닥면과 접촉될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44)는 상기 레그(40)의 성형시 상기 베이스부(432)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성형 후 상기 베이스부(43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44)는 둘레면이 다수의 면으로 형성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 커버(44)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레그(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40)의 하단에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레그(40)의 하단에 압입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에 따라서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는 도 6의 7-7'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전체적으로 상기 레그(40)의 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61)와 상기 스파이크(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61)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레그(4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는 지지면(6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면(62)은 상기 레그(40)의 하면과 대응하거나 다소 큰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그(40)를 지지하고 상기 레그(40)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면(62)의 가장자리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레그(40)와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의 결합은 물론 상기 워터 트레이(70)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전단(도 6에서 우측)에 구비되는 제 1 리브(631)와, 상기 제 1 리브(631)와 마주보는 후단(도 6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제 2 리브(632) 그리고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 3 리브(6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631)는 상기 지지면(62)의 전단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리브(631)의 형상은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레그 수용부(75)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결합시 상기 제 1 리브(631)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에서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리브(631)의 연장 높이는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장착시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형성되는 안착부(752)와 접할 수 있는 높이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지지면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그의 외측단 즉 상기 베이스 커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커버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커버(44)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커버(44)는 상기 지지면(6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 2 리브(632)에 의해 밀착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유동에 의해 상기 레그(40)로부터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는 상기 지지면(62)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형성되며, 양단이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 사이의 상기 지지면 양측에 상기 제 3 리브(633)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 리브는 상기 지지면의 좌우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와는 이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리브(633) 또한 다수의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커버(44)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리브(633)의 높이는 제 1 리브(631) 및 제 2 리브(632) 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리브(633)의 상단은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장착시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형성된 탄성 고정부(75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 고정부(753)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 및 제 3 리브(633)는 상기 레그(40)와의 결합시 상기 베이스 커버(44)와 접하게 되며, 적어도 제 2 리브(632)와 제 3 리브(633)는 상기 베이스 커버(44)의 둘레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가 상기 레그(40)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 및 제 3 리브(633)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의 삽입시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레그(40)가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커버(44)의 저면은 상기 지지면(62)에 접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44)의 둘레면은 상기 제 1 리브(631)와 제 2 리브(632) 및 제 3 리브(633)에 각각 접하여 구속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면(6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파이크(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64)는 상기 카펫트를 관통 또는 파고들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며,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64)는 사출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면(62) 일측이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스파이크(64)는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면(62)에는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파이크(64)를 향하여 함몰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64)는 도 6에서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62)의 하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64)의 개수는 다수개 중 임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워터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워터 트레이가 레그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저면(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72)에 의해 내부에 집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전면(73)은 상기 캐비닛(10)과 실내 바닥면과의 공간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전면(73)은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30)에 의해 가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70) 저면(71) 전반부에는 손잡이(도 5에서 7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74)는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73)과 저면(7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4)에 손을 넣어 전방으로 당기게 될 경우 전방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후단 양측에는 레그 수용부(75)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레그 수용부(75)는 상기 레그(40) 또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가 장착된 상태의 레그(40)에 모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그 수용부(75)는 레그(40)의 베이스 커버(44)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후방으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수용부(75)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서 상기 캐비닛(10)과 실내 공간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개구(751)를 통해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상단에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75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752)는 상방으로 돌출된 후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장착시 상기 레그(40)의 너트 헤드(43) 또는 베이스 커버(44)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레그(40)에 매달린 상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752)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레그(40)의 인출입시 상기 조절 나사(42)와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되며,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상단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테두리(72) 일측과 떨어진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72)와 소정의 공간(756)을 유지한 채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그(40)의 출입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로 삽입될 때에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개구(751)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그(40)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레그(40)에 워터 트레이(70)가 장착된 상태, 그리고 장착되지 않은 상태 모두 상기 워터 트레이(70)가 상기 레그(4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분리시키기 위해 인출하게 되면,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다시 변형되면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개구(751)를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상기 레그(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54)와 상기 레그(40)와 접촉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7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54)의 단부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일단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754)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754)는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레그(40)의 외측면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54)는 따라서, 스파이크 고정부재(60)의 제 3 리브(633)의 상측을 통해서 상기 레그(40)의 측면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754)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개구(751)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개구(751)의 폭은 상기 레그(40)의 하단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상기 개구(7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754)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755)는 상기 고정부(754)의 단부에서 더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754)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755)는 상기 고정부(754)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부(755)는 상기 레그(40)와 접촉되어 상기 레그(40)가 자연스럽게 상기 개구(751)측으로 향하여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그(4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755)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내부(755)의 탄성 변형시 상기 테두리(72)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멈춤돌기(7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멈춤돌기(757)는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장착시 상기 레그(4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안내부(755)가 과도하게 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 고정부(753)가 적정한 변위로 변형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하단의 전반부 모서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하단의 후반부 모서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이 딱딱한 타일 또는 마루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를 상기 레그(4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설치하게 되며, 이때 실내의 바닥면은 상기 레그(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레그(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동작시의 진동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실내의 바닥면이 카페트(2)와 같이 푹신푹신하게 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안정된 설치를 위해서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40)에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레그(40)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의 바닥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상기 스파이크(64)가 상기 카페트(2)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네 모서리에 구비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 전체가 안정적인 상기 카페트(2)의 위에서 안정적인 고정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 중 후반부에 위치한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60)는 상기 롤러(50)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안정적인 고정 장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워터 트레이(70)가 상기 레그(4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카페트(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기계실(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탈거하여 집수된 물을 비울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상기 워터 트레이의 탈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와 상기 워터트레이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캐비닛(10)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실내의 바닥면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탈착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7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레그 수용부(75)가 형성된 후면을 상기 레그(40)측으로 밀어넣게 된다.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상기 캐비닛(10)의 하방에 위치를 정렬하여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삽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의 상기 레그(40) 중 일측의 레그(40)가 먼저 상기 레그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삽입 장착된 레그(40)를 축으로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회전시켜 다른 일측의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40)는 상기 레그 수용부(75)로 삽입될 때, 상기 안내부(755)를 통해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개구로 이동하 된다. 이때 상기 탄성 고정부(753)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그(40)가 상기 레그 수용부(7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고정부(753)가 상기 레그(40)의 일측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워터 트레이(70)가 상기 레그(4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상기 레그(4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그 수용부(75)에 형성된 안착부(752)가 상기 레그(40)의 베이스 커버(44)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안착부(752)는 상기 베이스 커버(44) 또는 상기 나사 헤드(43)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 트레이(70)는 상기 레그(4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70)에 집수된 물을 비우기 위해서는 상기 워터 트레이(70)를 상기 레그(40)로부터 분리하게 되며, 분리와 장착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7)

  1. 가전기기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전기기를 지지하는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다수개가 연장되되, 실내 공간의 카페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레그의 하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레그의 측면과 접하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 배치되며,
    상기 레그는 상기 결합부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외측면 하부는 다수의 면이 연속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리브는 상기 레그의 외측면 중 적어도 2개의 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는 수지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지지면이 함몰되는 것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
  6. 의류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기계실;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구비되며,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는 레그;
    상기 캐비닛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워터 트레이; 및
    상기 레그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바닥면에 배치된 카페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파이크가 다수개 형성되는 스파이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레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된 레그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수용부에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가 상기 레그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레그의 측면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워터 트레이가 상기 레그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워터 트레이의 테두리와 이격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레그 수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레그 수용부의 개구가 상기 레그의 폭보다 좁도록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 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레그와 접하여 레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고정부재는,
    상기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그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레그가 압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 리브와;
    상기 제 1 리브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그의 둘레를 감싸는 제 2 리브와;
    상기 제 1 리브와 제 2 리브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그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3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레그 수용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 및 제 3 리브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레그의 둘레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리브는 상기 워터 트레이의 탄성 고정부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의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156163A 2015-11-06 2015-11-06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48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63A KR102483707B1 (ko) 2015-11-06 2015-11-06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N201611026961.5A CN106676828B (zh) 2015-11-06 2016-11-01 衣物处理装置
JP2016216452A JP6333920B2 (ja) 2015-11-06 2016-11-04 スパイク固定部材及びスパイク固定部材が備えられた衣類処理装置
US15/344,646 US10407820B2 (en) 2015-11-06 2016-11-07 Spike fixing member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63A KR102483707B1 (ko) 2015-11-06 2015-11-06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31A true KR20170053531A (ko) 2017-05-16
KR102483707B1 KR102483707B1 (ko) 2023-01-02

Family

ID=5866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63A KR102483707B1 (ko) 2015-11-06 2015-11-06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07820B2 (ko)
JP (1) JP6333920B2 (ko)
KR (1) KR102483707B1 (ko)
CN (1) CN1066768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1099A1 (de) * 2018-01-24 2019-07-2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richtung
CN113115536A (zh) * 2021-03-30 2021-07-13 万航星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无人机通讯电台集中控制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537A (en) * 1982-01-18 1984-09-18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Drye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air circulation
KR20050067916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타입 세탁/건조장치의 적층킷트
DE102005026134A1 (de) * 2005-06-06 2006-12-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ausatz zum kippsicheren Verbinden von übereinander setzbaren Haushaltsgeräten
JP2007313027A (ja) * 2006-05-25 2007-12-06 Matsukinrii:Kk 設置物の固定用具及び設置物の固定用具の製造方法
US20140138509A1 (en) * 2012-11-19 2014-05-22 Lee Lehman Furniture Support, Leveling Device, and Carpet Protector Comb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2794A (en) * 1957-10-17 1959-09-08 Victor F Ehrgott Furniture support means
JP2832655B2 (ja) * 1991-08-20 1998-12-09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音響・映像機器収納ラック
JP3253378B2 (ja) * 1992-11-30 2002-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5555640A (en) * 1995-07-25 1996-09-17 Ou; Chan C. Household drying center
JP3070743B1 (ja) 1999-08-18 2000-07-31 有限会社 リンケージアールアンドディー 魚介類の鮮度保持方法および同装置
JP3070743U (ja) * 2000-02-04 2000-08-15 永大化工株式会社 自動車用フロア―マット
JP2004116899A (ja) * 2002-09-26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US7685846B2 (en) * 2003-12-29 2010-03-30 Lg Electronics Inc. Assembly for stacking washers and dryers
CN101201531A (zh) * 2007-11-29 2008-06-18 赵迪 一种三角架支撑脚
KR101414634B1 (ko) 2008-03-26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1858478B (zh) * 2010-05-27 2013-08-0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支撑结构及包括该支撑结构的三角架
JP5941294B2 (ja) * 2012-02-14 2016-06-29 株式会社大和 車両用フロアマット
KR102104895B1 (ko) 2013-10-14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117426B1 (ko) * 2013-11-22 202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04004B1 (ko) 2014-01-16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204315174U (zh) * 2014-07-22 2015-05-06 浙江电力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变电工程数码照片拍摄用的标识牌支撑装置
CN204050828U (zh) * 2014-09-02 2014-12-31 李祥花 体育训练便携压腿装置
EP3277876A1 (en) * 2015-03-31 2018-02-07 Arçelik Anonim Sirketi Stacking kit for two laundry treatment applian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537A (en) * 1982-01-18 1984-09-18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Drye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air circulation
KR20050067916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타입 세탁/건조장치의 적층킷트
DE102005026134A1 (de) * 2005-06-06 2006-12-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ausatz zum kippsicheren Verbinden von übereinander setzbaren Haushaltsgeräten
JP2007313027A (ja) * 2006-05-25 2007-12-06 Matsukinrii:Kk 設置物の固定用具及び設置物の固定用具の製造方法
US20140138509A1 (en) * 2012-11-19 2014-05-22 Lee Lehman Furniture Support, Leveling Device, and Carpet Protector Comb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7820B2 (en) 2019-09-10
KR102483707B1 (ko) 2023-01-02
JP2017086908A (ja) 2017-05-25
CN106676828A (zh) 2017-05-17
CN106676828B (zh) 2020-01-10
US20170130390A1 (en) 2017-05-11
JP6333920B2 (ja)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46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6745496B2 (en) Air-flow dryer and method
US11707542B2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US93534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moving hanger bar
EP4290005A2 (en) Clothes care apparatus
BRPI0714946A2 (pt) mÁquina de tratamento auxiliar de lavagem de roupa e mÁquina de méltiplos tratamentos de roupa para lavar incluindo a mesma
KR20170053531A (ko) 스파이크 고정부재 및 스파이크 고정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6B1 (ko) 의류처리장치
JP2023520166A (ja) 衣類処理装置
KR101534038B1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US10138586B2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065705B1 (ko) 복합세탁장치
GB2428692A (en) Steaming and drying apparatus
US8402796B2 (en) Laundry machine having first and second laundry treating spaces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9324B1 (ko) 의류 건조기
KR20190131259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90131258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980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059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EP407129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ssembly
USRE49371E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JP2023519557A (ja) 衣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