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364A -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364A
KR20170053364A KR1020150155779A KR20150155779A KR20170053364A KR 20170053364 A KR20170053364 A KR 20170053364A KR 1020150155779 A KR1020150155779 A KR 1020150155779A KR 20150155779 A KR20150155779 A KR 20150155779A KR 20170053364 A KR20170053364 A KR 2017005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food
movable part
conveying
fixing memb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516B1 (ko
Inventor
이재향
Original Assignee
이재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향 filed Critical 이재향
Priority to KR102015015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해산물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해산물수용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미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해산물이송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로 해산물을 전달하기 위한 해산물전달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와, 해산물이송장치의 각종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는 일정한 높이에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산물을 자동으로 하나씩 구분 이송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 구분 공급에 요구되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기계적 구성을 가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공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SEAFOOD INDIVIDUALLY}
본 발명은 해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시에 많은 양의 해산물들이 투입되는 경우에도, 해산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구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위 해산물을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해산물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각종 해산물에 대한 양식 기술의 발달로 고등어, 조기와 같은 각종 어류를 비롯한 굴, 전복 등의 다양한 해산물들이 다량 공급되고 있다.
해산물의 공급 유통을 위해서는 해산물을 그 무게에 따라 선별 분류하고 포장하는 등의 작업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해산물을 무게에 따라 분류하거나 포장하기 위해서는, 해산물이 하나씩 구분되어 무게측정 또는 포장을 위한 장치로 공급되어야 한다.
종래,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하여 공급하는 작업은 사람의 인력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많은 양의 해산물 구분 공급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장시간의 작업 시간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이 인력에 의해 해산물을 구분 공급하는 작업은 이에 요구되는 인건비로 인해 해산물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인력에 의한 해산물 구분 공급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점은 해산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해산물을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투입된 해산물을 자동으로 하나씩 구분하여 이송할 수 있다면, 해산물의 신선도 향상뿐만 아니라 해산물의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해산물을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투입된 해산물을 자동으로 하나씩 구분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산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면서도 효율적이고도 신속히 해산물을 하나씩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산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는 해산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해산물수용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미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해산물이송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로 해산물을 전달하기 위한 해산물전달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와, 해산물이송장치의 각종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는 일정한 높이에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의 상면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가동부는 교대로 설치되되,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해산물수용부재의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가동부와 제 1 가동부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제 2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들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가동부와 제 2 가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가동부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동부가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해산물수용부재의 단부 바닥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부가 최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부가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부가 최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상하방향 이동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재에는 해산물분할안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해산물을 자동으로 하나씩 구분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 구분 공급에 요구되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기계적 구성을 가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공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가 넓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의 내부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의 내부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에 포함되는 가동부가 하방으로 이송된 상태의 내부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가동부가 상방으로 이송된 상태의 내부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의 내부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의 내부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해산물이송장치에 포함되는 가동부가 하방으로 이송된 상태의 내부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가동부가 상방으로 이송된 상태의 내부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해산물수용부재(10)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미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해산물이송부재(20)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로부터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해산물을 전달하기 위한 해산물전달부재(30)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재(50)와, 상기 동력발생부재(50)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54, 56)와, 해산물이송장치의 각종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면(12)을 가지며,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는 일정한 높이에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34, 38)와, 상기 고정부재(34, 38)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32-2, 36-2)를 포함한다.
상기 해산물은 고등어, 조기와 같은 어류 또는 전복과 같은 조개류 등일 수 있다.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는 최초 투입된 다량의 해산물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대략 상면이 없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면(12)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의 단부에는 블럭킹부재(14)가 설치되되,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럭킹부재(14)의 하단부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블럭킹부재(14)는 분류 대상인 해산물의 단위 높이보다 다소 높은 거리만큼 상기 바닥면(12)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되, 해산물 높이의 두배 이하 거리로 이격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블럭킹부재(14)와 해산물수용부재(10)의 바닥면(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고등어 또는 전복과 같은 분류 대상인 해산물이 높이 방향으로 하나만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해산물수용부재(10)의 바닥면(12)이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쪽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에 투입된 해산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블럭킹부재(14)쪽으로 몰리게 된다.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는 해산물을 이후의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컨베이어벨트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벨트구동축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에 의해 이후의 무게 측정 또는 포장 등을 위한 장치로 해산물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와 해산물이송부재(20) 사이에는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로부터 해산물이송부재(20)로 해산물을 전달하기 위한 해산물전달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는 상기 블럭킹부재(14)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의 바닥면(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해산물을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전달한다.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는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가동부재(32)와 상기 제 1 가동부재(3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34)와 상기 제 1 고정부재(34)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 가동부재(36)와 상기 제 2 가동부재(36)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 고정부재(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고정부재(34, 38)들은 일정한 높이로 고정 설치되며, 구분 공급의 대상이 되는 해산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2 고정부재(34, 38)의 폭이 조절 구성된다.
상기 제 1, 2 가동부재(32, 36)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32-1, 36-1)과 상기 슬라이딩레일(32-1, 3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 1, 2 가동부(32-2, 36-2)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2 가동부재(32, 36)에 포함되는 제 1, 2 가동부(32-2, 36-2)들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2 가동부(32-2, 36-2)의 폭 역시 해산물의 크기에 따라 조절 구성된다.
상기 제 1, 2 가동부(32-2, 36-2)에는 링크(56, 58)와 회전축(54, 57)이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50)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가동부(32-2, 36-2)들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32-1, 3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모터로 구성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50)로부터의 회전력은 체인(52)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축(54)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축(54)의 회전력은 링크(56-1, 56-2, 58-1, 58-2)를 통해 상기 가동부(32-2, 36-2)에 전달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동부(32-2, 36-2)들이 슬라이딩레일(32-1, 3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부(32-2, 36-2)들이 상하 왕복이동되는 과정에서 다소간의 진동이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에 전달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블럭킹부재(14)쪽으로 몰려 배치된 해산물들은 해산물수용부재(10)의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쪽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32-2, 36-2)와 고정부재(34, 38)들의 상면은 도 4 와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동부(32-2, 36-2)들이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동부(32-2)의 상면이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의 단부 바닥면(12-1)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해산물수용부재(10)의 단부(12-1)를 통과한 해산물이 상기 제 1 가동부(32-2)로 이송된다.
이후, 상기 제 1 가동부(32-2)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산물 역시 상기 제 1 가동부(32-2)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동부(32-2)가 최상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동부(32-2)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 1 고정부(34)의 상면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해산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34)의 상면으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이후, 다시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동부(36-2)가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36-2)의 상면 높이는 상기 제 1 고정부(34)의 상면 높이보다 낮아져, 상기 제 1 고정부(34)의 상면에 놓여져 있던 해산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 가동부(36-2)의 상면으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해산물이 상기 제 2 가동부(36-2)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다시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동부(36-2)가 최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36-2)의 상면은 제 2 고정부재(38)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가동부(36-2)의 상면에 얹혀져 있던 해산물은 상기 제 2 고정부재(38)를 경유하여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에 의해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전달된 해산물은 도 3 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어 이후의 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의 해산물 이송방향(도 3 에서 좌우방향)은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에 의한 해산물 이동방향(도 3 에서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3 을 기준으로 두 마리의 해산물들이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 상에서 좌우로 일렬 배치되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나씩 구분되어 이후의 공정 장치로 해산물들이 이송된다.
즉, 상기 해산물전달부재(30)를 통해 전달된 해산물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 상에서 하나씩 구분되어 이후의 공정 장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고정부재(38)에는 해산물분할안내부재(70)가 설치되어,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전달되는 해산물들을 일정 간격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3 에서 상기 해산물이송부재(20)로 이동되는 해산물들이 상기 해산물분할안내부재(7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재(40)의 하부에는 바퀴(60)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이송장치를 필요에 따라 무게 측정장치 또는 포장장치 등의 전단에 용이하게 배치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해산물수용부재
20: 해산물이송부재
30: 해산물전달부재
40: 프레임부재
50: 동력발생부재
60: 바퀴부재
70: 해산물분할안내부재

Claims (12)

  1.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해산물수용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미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해산물이송부재와;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로부터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로 해산물을 전달하기 위한 해산물전달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와;
    해산물이송장치의 각종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해산물수용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해산물전달부재는,
    일정한 높이에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면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가동부는 교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해산물수용부재의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가동부와 제 1 가동부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제 2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들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가동부와 제 2 가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가동부와 상기 해산물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부가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해산물수용부재의 단부 바닥면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부가 최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부가 최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부가 최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동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상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상하방향 이동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재에는 해산물분할안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KR1020150155779A 2015-11-06 2015-11-06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KR10180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79A KR101806516B1 (ko) 2015-11-06 2015-11-06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79A KR101806516B1 (ko) 2015-11-06 2015-11-06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364A true KR20170053364A (ko) 2017-05-16
KR101806516B1 KR101806516B1 (ko) 2017-12-08

Family

ID=5903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79A KR101806516B1 (ko) 2015-11-06 2015-11-06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6260A (zh) * 2019-03-30 2019-06-18 东莞市业勤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理料及排序供给一体机
CN117262761A (zh) * 2023-11-23 2023-12-22 海通安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生产线用产品输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46B1 (ko) * 2019-08-08 2020-02-24 (주)태성시스템 플랩소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690B1 (ko) * 1994-04-20 2003-05-01 리차드에취.제이.피에르켄스 밀봉형반도체칩의성형용자동펠릿공급장치와그방법
JP5763300B2 (ja) * 2010-04-05 2015-08-12 花王株式会社 物品整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6260A (zh) * 2019-03-30 2019-06-18 东莞市业勤精密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理料及排序供给一体机
CN117262761A (zh) * 2023-11-23 2023-12-22 海通安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生产线用产品输送装置
CN117262761B (zh) * 2023-11-23 2024-02-20 海通安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生产线用产品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516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4830B (zh) 适用于小型农产品智能分选机的多通道输送装置及方法
KR101806516B1 (ko) 해산물을 하나씩 구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이송장치
US3721330A (en) Article timing and feeding mechanism
CN110834934A (zh) 一种曲轴式垂直提升机构及工作方法
CN102530282A (zh) 一种块状包装产品的装箱方法
JP2529721Y2 (ja) 包装機械
CN203095105U (zh) 一种垂直升降式皮带轮传输装置
CN104003201A (zh) 软体包装件拆垛装置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CN204503600U (zh) 一种自动喂料机
CN114524245A (zh) 一种具有理料功能的物料输送装置
CN203865583U (zh) 软体包装件拆垛装置
KR101253040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송 시스템
JP3379912B2 (ja) 物品の整列供給装置
CN202226086U (zh) 一种整理装箱装置
CN106586503B (zh) 一种棒料转运装置
CN206691426U (zh) 一种玻璃瓶整列、打包装置
EP1344728B1 (en) Conveyor for conveying eggs and conveying unit therefor
CN206172486U (zh) 一种理瓶机
CN104773485B (zh) 一种饮料瓶输送装置
CN201849674U (zh) 新型分类装箱包装成套设备
CN203806200U (zh) 用于将方便面调味包进给到面饼下侧的进给装置和方便面包装系统
CN203993068U (zh) 一种产品运输流水线机构
RU201214580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загрузки продукта в коробки
US3292765A (en) Descramb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