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287A -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287A
KR20170053287A KR1020150155588A KR20150155588A KR20170053287A KR 20170053287 A KR20170053287 A KR 20170053287A KR 1020150155588 A KR1020150155588 A KR 1020150155588A KR 20150155588 A KR20150155588 A KR 20150155588A KR 20170053287 A KR20170053287 A KR 20170053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rtical
arm
cas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568B1 (ko
Inventor
심형권
강인정
신동범
노재환
강미형
노태환
허성기
오인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15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81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168Manufacturing or preparing test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12Block or rack elements with a single row of samples
    • G01N2035/0417Block or rack elements with a single row of samples forming an endless chain in a vertic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27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nestable or stock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채집용기를 자동으로 노출시켜, 채집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노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채집용기가 각각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 일측에 수평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평 암; 상기 수평 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 암; 및 상기 수직 암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채집용기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기설정된 순서로 이송되어 상기 노출부로 노출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여러번의 채집이 필요할 경우에 다수의 채집용기를 1회의 채집이 종료될 때마다, 일일이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한 번에 여러 개의 포자채집 용기를 설치하고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시간동안 채집을 수행할 수 있어 야간이나 타 업무로 인하여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편리하게 효율적인 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고 또한, 서로 다른 미생물의 채집도 한번의 설정된 과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multi-type pathogene spore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채집용기를 자동으로 노출시켜, 채집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물이나 농산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까지는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농약을 뿌리거나 방제를 함으로써 식물이나 농산물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농약 및 방제(防除) 수단은 경험측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확한 자료나 원인 분석없이 수행되므로 자원의 낭비는 물론 효과적인 방제를 수행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바실러스균과 같은 박테리아는 성장필수 인자의 결핍 또는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내생포자를 형성한다. 박테리아의 포자는 고온, 강산, 강알칼리, 건조, 방사능 및 화학약품 등에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극단적으로 생육에 불리한 악조건 속에서도 생존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러한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미생물 중 탄저균과 같은 종류는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체를 대상으로 치사적인 위험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공기 중에 확산되어 있는 병원성 미생물의 포자를 빠른 시간 내에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미생물의 채집 방법으로서, 공기 중에 비산하는 붉은곰팡이병 등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포자를 채집용기 등에 도포된 배지를 이용하여 자유낙하 방식으로 채집을 수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공기 중에 비산되는 미생물을 포집할 수 있는 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0810569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90289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농작물 등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는 곰팡이 등의 병원균성 포자를 용이하게 채취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포자 채취기를 제공한다는 내용에 대한 기재가 있지만, 요구되는 작동 시점과 시간에 자동으로 개폐되어 포자를 채집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기재가 없다는 점에서 제한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제안한 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341833호 및 제10-1352392호에 개시된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가 있다.
다만, 본 출원인이 제안한 상기 장치들은, 포자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단일의 채집용기만 장착하여 일회성으로 포자채집 시마다 매번 용기를 장착하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KR 10-0810569 B1 KR 10-2012-0090289 A KR 10-1341833 B1 KR 10-1352392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채집용기를 설치하여 이를 설정된 시각 및 시간동안 자동으로 노출시켜 다양한 미생물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채집 가능한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노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채집용기가 각각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 일측에 수평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평 암; 상기 수평 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 암; 및 상기 수직 암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채집용기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기설정된 순서로 이송되어 상기 노출부로 노출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수직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하 지지암; 및 상기 상하 지지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다수개가 위치하며, 상기 채집용기의 덮개를 파지하는 용기덮개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직 암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집용기의 본체를 파지하는 용기 본체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파지부가 상기 용기덮개 파지부의 상기 소정간격 내에 배치되어, 상기 채집용기의 본체를 파지하고, 상기 용기덮개 파지부가 상기 채집용기의 덮개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채집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암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평위치센서 및 상기 수직 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직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부에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집용기에 의하면, 여러번의 채집이 필요할 경우에 다수의 채집용기를 1회의 채집이 종료될 때마다, 일일이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한 번에 여러 개의 포자채집 용기를 설치하고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시간동안 채집을 수행할 수 있어 야간이나 타 업무로 인하여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편리하게 효율적인 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고 또한, 서로 다른 미생물의 채집도 한번의 설정된 과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의 전체사시도로서, 케이스(100)를 제거하여 그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의 요부를 각각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순히 '채집장치'라 칭한다)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는, 케이스(100), 거치부(200), 수평 암(400), 수직 암(500) 및 이송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각 구성이 수용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각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위치한다.
케이스(100)의 상측에는 개구부(미도시)가 위치하며, 이를 덮개(110)로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케이스(100)의 일측면에는 본 채집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120)이 위치하여 컨트롤 패널(120)에 설치된 버튼 등을 사용하여 채집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며, 컨트롤 패널(120)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도 5).
또한, 케이스(100)의 타측면에는 개구된 노출부(140)가 위치한다(도 6).
거치부(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 일측에 다수개가 층을 이루어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거치부(200)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채집용기(300)가 각각 거치된다.
다수의 거치부(200)는, 채집용기 외주연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태의 내주연을 갖는 용기덮개 파지부(210)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내주연에 채집용기 덮개(310)의 외주연이 거치된다. 채집용기 덮개(310)의 거치는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내주연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거치될 수 있으나,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내주연에 파인 형태의 지지홈(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채집용기 덮개(310)의 외주연 일부가 상기 지지홈 내에 수용되어 지지됨으로써 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다수의 용기덮개 파지부(210)는 그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하 지지 암(220)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층을 이루며 배치되며, 상하 지지 암(22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되어 덮개(11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포자채집을 위한 채집용기(300)를 편리하게 케이스(100) 내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지지 암(220)은 그 하측에 위치하는 상하피동풀리(26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피동풀리(260)는 거치부(200) 일측에 위치하는 상하구동모터(240)에 연결되는 상하구동풀리(250)의 회전을 구동벨트(265)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하 지지 암(2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하 지지 암(220)은, 바람직하게는 세장의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하 지지 암(220)이 용기덮개 파지부(210)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한 상하 지지 암(220)의 회전에 의해 용기덮개 파지부(210)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암(4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는 거치부(200) 일측에서 케이스(100)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수직 암(500)은 상기 수평 암(400) 상에서 수평 암(400)의 길이방향 즉,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직 암(500)은 수평 암(4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프레임(501) 및 이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502) 등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암(40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수평 암(400)과 마찬가지로 그 갯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수직 암(500)은 그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02) 일측에 위치하는 수평피동풀리(43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수평 암(4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피동풀리(430)는 수평 암(400) 일측에 위치하는 수평구동모터(410)에 연결되는 수평구동풀리(420)의 회전을 구동벨트(465)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에 따라 수직 암(5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수직 암(500)의 수평이동은 수평 암(4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수평위치센서(440)에 의해 감지된다.
이송부(600)는 수직 암(500) 상에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620) 및 지지바(620) 일측에 위치하는 용기본체 파지부(630)를 구비할 수 있고, 용기본체 파지부(630)는 채집용기 본체(311)의 외주연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파지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파지부재(631, 6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부(600)는 수직 암(500)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피동풀리(530)의 회전과 연동하여 수직 암(500)을 따라 수직이동 가능하고, 수직피동풀리(530)는 수직 암(500) 일측에 위치하는 수직구동모터(510)에 연결되는 수직구동풀리(520)의 회전을 구동벨트(565)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에 따라 이송부(600)의 수직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송부(600)의 수직이동은 수직 암(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수직위치센서(540)에 의해 감지되며, 이러한 수직위치센서(540)는 상기 용기덮개 파지부(210)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집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수직 암(50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이송부(600)의 위치를 정의하면, 수직 암(500)이 거치부(200) 측에 위치하여 이에 구비되는 용기본체 파지부(630)가 노출부(140)를 통하여 노출되는 위치를 제1위치, 수직 암(500)이 거치부(200) 타측, 즉 케이스(100) 내에서 거치부(200)가 위치한 반대측 벽 쪽에 위치한 상태를 제2위치(도 1의 부호 600' 및 620'),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직 암(500)이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서, 용기본체 파지부(630)가 용기덮개 파지부(210) 및 개구부와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태를 제3위치라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암(400)에 구비되는 수평위치센서(440)를 상기 각 위치에 맞게 배치하여, 수평 암(400)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 암(500)의 상기 각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수직 암(500)의 각 위치가 제어된다.
먼저, 제1위치 또는 제3위치 상태에서, 덮개를 개방하여 케이스(100) 상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거치부(200)에 마련된 다수의 용기덮개 파지부(210)에 각각 채집용기 덮개(310)부분을 거치함으로써 채집용기가 거치되도록 한다. 채집용기(300) 내부에는 미생물의 채집 및 이를 바로 배양하기 위한 배지가 도포되어 있고, 이러한 배지는 채집할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각각의 채집용기(300)에 서로 다른 배지를 도포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미생물을 채집 및 배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암(500)이 제3위치에서, 또는 제3위치로 이동하고 기 설정된 채집용기(300)의 순서에 따라 설정된 위치의 거치부(200)의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하부높이 즉, 설정된 용기덮개 파지부(210)와 그 하측에 위치한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사이의 위치까지 이송부(600)가 수직이동한 후, 수직 암(500)이 제2위치로 이동하여 이송부(600)가 상기 설정된 위치의 용기덮개 파지부(21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600)가 약간 상측으로 이동하여 거치된 채집용기 본체가(311) 용기본체 파지부(630)에 의해 파지되면, 상하구동모터(24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지지 암(220)이 회전하고 따라서 용기덮개 파지부(21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채집용기 덮개(310)를 본체(31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채집용기가 개방된다.
그리고, 수직 암(500)이 제3위치로 이동하고, 이송부(600)가 노출부(140) 높이까지 이동한 후, 수직 암(500)이 제1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채집용기 덮개(310)가 분리된 채집용기 본체(311)를 노출부(140)를 통하여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 방치하여 미생물이 채집용기 본체(311)에 채집되도록 한다.
기설정된 시간경과 후, 수직 암(500)이 제3위치로 이동하고 파지부에 파지된 채집용기 본체(311)의 덮개가 거치된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하측 높이로 이송부(600)가 하강하고, 수직 암(500)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 용기덮개 파지부(210)가 하강하여 채집용기 덮개(310)가 채집용기 본체(311)에 밀폐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기설정된 채집용기(300)의 노출 순서 및 노출 시간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하며, 이는 컨트롤 패널(120)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고, 기설정된 채집과정이 종료되면, 수직 암(500)이 제1위치 또는 제3위치로 이동하고, 케이스(100) 상부의 덮개를 개방하여 개구부를 통하여 채집용기(300)를 수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집용기에 의하면, 여러번의 채집이 필요할 경우에 다수의 채집용기를 1회의 채집이 종료될 때마다, 일일이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한 번에 여러 개의 포자채집 용기를 설치하고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시간동안 채집을 수행할 수 있어 야간이나 타 업무로 인하여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편리하게 효율적인 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고 또한, 서로 다른 미생물의 채집도 한번의 설정된 과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덮개
120: 컨트롤 패널
121: 덮개
130: 베이스 플레이트
140: 노출부
200: 거치부
210: 용기덮개 파지부
220: 상하 지지 암
240: 상하구동모터
250: 상하구동풀리
260: 상하피동풀리
265: 구동벨트
300: 채집용기
310: 채집용기 덮개
311: 채집용기 본체
400: 수평 암
410: 수평구동모터
420: 수평구동풀리
430: 수평피동풀리
440: 수평위치센서
465: 구동벨트
500: 수직 암
501: 지지프레임
502: 슬라이딩 부재
510: 수직구동모터
520: 수직구동풀리
530: 수직피동풀리
540: 수직위치센서
565: 구동벨트
600: 이송부
620: 지지바
630: 용기 본체 파지부
631: 제1파지부재
632: 제2파지부재

Claims (6)

  1. 일측이 개구된 노출부(140)가 구비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채집용기(300)가 각각 거치되는 거치부(200);
    상기 거치부(200) 일측에 수평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수평 암(400);
    상기 수평 암(4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수직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 암(500); 및
    상기 수직 암(500)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이송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채집용기는 상기 이송부(600)에 의해 기설정된 순서로 이송되어 상기 노출부(140)로 노출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에 수직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하 지지 암(220); 및
    상기 상하 지지 암(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다수개가 위치하며, 상기 채집용기의 덮개(310)를 파지하는 용기덮개 파지부(210);를 구비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600)는,
    상기 수직 암(500)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지지바(620); 및
    상기 지지바(620)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집용기의 본체(311)를 파지하는 용기본체 파지부(630);를 구비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 파지부(630)가 상기 용기덮개 파지부(210)의 상기 소정간격 내에 배치되어, 상기 채집용기의 본체(311)를 파지하고, 상기 용기덮개 파지부(210)가 상기 채집용기의 덮개(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채집용기(300)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암(4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암(5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평위치센서(440) 및 상기 수직 암(5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6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직위치센서(540)를 더 포함하는,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케이스(100)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착탈 가능한,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KR1020150155588A 2015-11-06 2015-11-06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KR10174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88A KR101740568B1 (ko) 2015-11-06 2015-11-06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88A KR101740568B1 (ko) 2015-11-06 2015-11-06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87A true KR20170053287A (ko) 2017-05-16
KR101740568B1 KR101740568B1 (ko) 2017-05-29

Family

ID=5903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88A KR101740568B1 (ko) 2015-11-06 2015-11-06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102A (zh) * 2018-09-30 2019-01-11 广州地理研究所 一种无人机载空气孢粉采样装置
CN116868840A (zh) * 2023-09-07 2023-10-13 山西农业大学山西功能食品研究院 一种用于灵芝孢子粉的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217A (ja) * 2000-03-23 2001-10-05 Tokyo Seimitsu Co Ltd ウェハ研磨装置
KR101352392B1 (ko) * 2012-11-19 2014-01-17 대한민국 포집용기 자동 개폐식 병원성 미생물 포자채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102A (zh) * 2018-09-30 2019-01-11 广州地理研究所 一种无人机载空气孢粉采样装置
CN116868840A (zh) * 2023-09-07 2023-10-13 山西农业大学山西功能食品研究院 一种用于灵芝孢子粉的收集装置
CN116868840B (zh) * 2023-09-07 2023-11-17 山西农业大学山西功能食品研究院 一种用于灵芝孢子粉的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568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39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culture plates for microbiological samples
CN206975048U (zh) 制备用于鉴定和抗生素敏感性试验的单样本悬浮液的自动化系统
JP6594024B2 (ja) 検体処理システム
JP5473128B2 (ja) プレートの培地に接種および画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JP6998325B2 (ja) 検出機器間で標本容器を運搬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206171A (en) Programmable automated inoculator/replicator
EP2473322B1 (en) A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handling and reassembling devices for containing animals in a lab animal room
US9510559B2 (en) Cage for breeding small animals
EP2322278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Semi-Solid and Solid Samples
JP2019500514A (ja) 手袋装着システム
KR101740568B1 (ko) 멀티타입 미생물 포자 채집장치
CN109788737A (zh) 用于繁殖植物的设备和方法
CA3138436C (en) System for handling sensitive products, in particular packaging system
KR101104795B1 (ko) 자동화 버섯 재배 시스템의 균긁기
KR20190008138A (ko) 실험동물 케이지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실험동물 케이지
JP2022502004A (ja) 円形物体をセンタリング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6809B1 (ko) 병버섯 수확장치용 버섯분리구
US6958234B2 (en) Automatic microbial air sampling system and method
JP7106422B2 (ja) ボトル入り飲料の微生物検査方法
CN115096686A (zh) 一种土壤粉末自动称重分样设备
EP3366758A1 (en) Cell treatment device
KR101352392B1 (ko) 포집용기 자동 개폐식 병원성 미생물 포자채집기
US20240058967A1 (en) Barrier system with handling device for automated sampling and method for automated sampling
RU2799961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центрирования круглого объекта
CN208399478U (zh) 一种食品安全检测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