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568A -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 - Google Patents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568A
KR20170052568A KR1020177004457A KR20177004457A KR20170052568A KR 20170052568 A KR20170052568 A KR 20170052568A KR 1020177004457 A KR1020177004457 A KR 1020177004457A KR 20177004457 A KR20177004457 A KR 20177004457A KR 20170052568 A KR20170052568 A KR 2017005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strip
handle
holding devic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137B1 (ko
Inventor
블라디미르 크라이스
크리스토프 돌
에버하르트 하임
Original Assignee
레키스포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9321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525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키스포르트 아게 filed Critical 레키스포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5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63C11/2224Connection systems for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2Ski-stick handles or hand-straps
    • A63C11/2228Details of hand-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7Details;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 A45B2200/055Walking sticks for Nordic walking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Adorn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 손잡이(1)에 체결되는 손 유지 장치(70)에 관한 것으로, 이 손 유지 장치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72) 및 엄지를 위한 제 2 출구 개구(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유지 장치는 엄지 및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는 제 1 탄성 스트립(74)을 또한 포함하고, 폴 손잡이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해제 가능한 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 요소(79)가 제 1 탄성 스트립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루프가 최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POLE HANDLE WITH HANDLE LOOP}
본 발명은, 특히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을 위한 연결 요소를 갖는 손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손 유지 장치의 자동 잠금 체결을 위한 훅크형 장치를 갖는 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예컨대 DE 299 06 612 U1에는, 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잡히는 폴 손잡이, 또는 예컨대 DE 10 2006 008 066 A1에 소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포멜(pommel)(위쪽에서 잡기에만 적합함)을 갖는 폴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EP 2 168 641에는, 두 방식으로 잡는데에 적합한 인간 공학적인 폴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폴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횡으로 있는 방향에서 스키 폴의 알려져 있는 손 파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추가로, 위쪽에서 힘을 가함에 의한 지지 또는 밀기를 위해 상기 폴 손잡이를 관리 가능한 인간 공학적인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무엇 보다도 예컨대 노면이 경사진 경우에 유용하다. 여기서 설명하는 폴 손잡이는 그 자체 통상적인 손 스트랩의 조절 가능한 체결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폴 손잡이의 후방 영역에서, 손잡이 헤드는 손 유지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손 유지 장치에 연결되는 클램핑 요소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축선 주위로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한 편심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편심 요소의 상측 표면과 고정식 접촉부 사이의 체결 영역에서 안내되는 체결 수단, 또는 손 스트랩 또는 그에 체결되는 클램핑 요소는, 편심 요소가 잠금 회전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선회하면 편심 요소와 접합부 사이에 고정되며, 편심 요소는 손 유지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 또는 힌지식 손잡이에 의해 회전 또는 선회될 수 있다. 여기서 손 스트랩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게 유지되지만, 손 스트랩은 폴 손잡이에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폴 손잡이용 손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워킹 폴, 트렉킹 폴, 알파인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및 노르딕 워킹 폴에의 연결을 위한 그리고 특히 위쪽에서 잡는데에 적합한 돔형 손잡이 헤드를 갖는 폴 손잡이를 위한 손 유지 장치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엇 보다도, 이러한 손 유지 장치에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는 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무엇 보다도,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손 유지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유지 장치는 폴 손잡이에의 채결을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특히 예컨대 EP 2 168 64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용으로 바람직한 청구항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폴 손잡이에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유지 장치는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청구항 8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폴 손잡이에의 체결에 특히 적합하지만, 그 자신의 권리에서 있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폴 손잡이와는 독립적인 발명이며, 따라서 다르게 개발된 폴 손잡이에 의 체결에도 사용될 수 있다. WO 2006/066423 및 WO 2006/066424에는, 자동 잠금 기구를 갖는 폴 손잡이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폴 손잡이 또는 손 유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예컨대 EP 2 168 64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쪽 및 측면에서 잡을 수 있는 폴 손잡이를 위한 그러한 연결 기구를 이용할 수 없는 것 같은데, 유지 맨드릴과 손 유지 장치 사이의 연결 요소로 규정되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사용자는 위쪽에서 포멜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안된 손 유지 장치 또는 여기서 제안된 폴 손잡이는, 대응적으로 적합하게 되어, 놀라울 정도로 실용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손 유지 장치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 및 엄지를 위한 제 2 출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손 유지 장치는 엄지 및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는 제 1 스트립을 또한 포함하고, 폴 손잡이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해제 가능한 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 요소가 상기 제 1 스트립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제 1 스트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연결 요소가 체결되는 제 1 스트립이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 유지 장치가 폴 손잡이에 체결되어 잇는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위쪽에서 폴의 손잡이 헤드 주위를 잡을 수 있는데, 즉, 지형 또는 걷기 운동이 요구하는 바에 따라, 위쪽 후방에서 뒤로 손잡이 몸체의 측면 파지 위치에서 손잡이 헤드의 파지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에서, 즉 손의 정상 표면 측에서 연결 요소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탄성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연결 요소에서부터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 1 스트립의 일부 영역이, 예컨대 제 1 스트립의 비탄성 영역을 형성하거나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제 1 스트립에 재봉되는 단층 또는 다층 웨브의 형태로 되어 비탄성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이 당겨지면, 손 스트립에 작용하는, 특히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스트립의 영역에 작용하는 스트레인이 아래쪽으로 향하고, 손이 움직이면, 그 스트레인은 특히 손의 외부 표면 측의 영역에서 위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손이 아래쪽으로 움직일 때, 제 1 스트립의 길이는 증가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증가되지 않으며, 반면 손이 위쪽으로 움직일 때는(예컨대, 위쪽에서 손잡이 헤드를 잡을 때), 제 1 스트립의 길이는 크게 증가되어 위쪽에서 손잡이 헤드를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10 N의 힘이 가해질 때, 이 힘에서 5 cm 길이의 스트립에 적어도 3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m, 10 mm 또는 심지어는 15 mm 또는 20 mm의 길이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스트립은 탄성적이라고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 "비탄성적"이라는 말은, 10 N의 상기 힘이 동일한 길이의 스트립에 가해질 때 3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또는 0.5 mm 미만의 신장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엄지 및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또는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와 엄지를 위한 제 2 출구 개구 사이에서 상기 손 유지 장치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과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을 바람직하게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스트립은 제 2 스트립과 겹쳐짐으로써 공간을 형성한다. 위쪽에서 손잡이 헤드를 잡을 때 손 스트랩이 손에 통상적으로 맞은 상태로 유지되고 이와는 상관 없이 제 1 스트립이 그의 탄성 때문에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요소와 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틈 또는 분리가 필요하다. 양 스트립은 체결 요소 아래의 영역에서 헐겁게 배치되어 손잡이의 헤드가 주위에서 잡힐 수 있다. 이어서 제 2 스트립이 연장되면, 그 스트립은 스트레스의 의도된 방향으로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손의 내부 표면 측에서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제 2 스트립은 다층으로 되어 있는데, 즉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비탄성적인 재료 층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탄성 스트립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제 2 스트립의 2개의 그러한 재료 층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제 2 스트립으로 형성되어 있는 터널 또는 통로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 안내된다. 이 경우, 비연장 상태의 제 1 탄성 스트립은 터널 밖으로 돌출되지 않거나 약간만 돌출되고 또한 사용자의 손이 위쪽에서 폴 손잡이를 잡을 때, 즉 제 1 탄성 스트립이 작용되거나 신장될 때에만 터널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손 유지 장치는 손 스트랩으로 되거나 장갑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장갑의 경우에, 연결 요소는, 상기 스트립 또는 장갑의 일 부분과 겹치는 제 1 스트립에 배치되고,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 있다. 이 경우,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 있고 장갑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스트립을 제 2 스트립이라고 한다.
제 1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되고 적어도 제 1 영역에서 탄성적인 또는 가요적인, 바람직하게는 고무 탄성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스트립이다. 예컨대, 탄성 스트립의 제 1 탄성 영역은 탄성 밴드 또는 고무 밴드 또는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 및/또는 성분을 갖는 비직조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된다. 제 1 탄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전체 제 1 스트립은 탄성 밴드로 형성될 수 있고, 비탄성 영역의 경우, 예컨대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스트랩의 영역에서, 상기 탄성 밴드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서 비탄성 웨브에 재봉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스트립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과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을 연결하며, 또는 제 2 스트립에 추가로 상기 두 영역 사이의 추가 연결부를 제공한다. 제 1 스트립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그의 제 1 단부 및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제 2 단부에서 손 유지 장치에 바람직하게는 재봉으로 체결된다.
이 경우, 손 유지 장치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복수의 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스트립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그의 제 1 단부(손의 정상 표면 또는 손의 외부 표면에 있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 쪽을 향함)에서 제 1 재료 층과 제 2 재료 층 사이에서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재봉된다. 이 경우, 이음매는 손 유지 장치의 모든 재료 층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은 슬롯 또는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통해 제 1 스트립 또는 제 1 스트립의 탄성 영역이 들어갈 수 있고 두 재료 층 사이의 "터널"에 있는 것처럼 체결 지점까지 안내될 수 있다. 연결 요소에서부터 슬롯 또는 삽입 개구 안으로의 제 1 스트립의 입구까지 측정될 때 터널의 외부에 있는 제 1 스트립의 탄성 영역의 부분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의 정상 재료 층 아래의 터널 부분 보다 바람직하게 작다.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제 1 스트립 또는 그의 단부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에 있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 가까이에서 체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제 1 스트립의 탄성 영역의 길이는 최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탄성 스트립의 탄성 복원력이 불편하게 느껴짐이 없이 또는 그 복원력이 사용자 손을 다시 측면 파지 위치로 당김이 없이 위쪽에서 손잡이 헤드의 최대 파지 위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체결 지점 또는 이음매와 손을 위한 삽입 개구에 인접하는 손 유지 장치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최대 0.5 내지 5 cm 이고, 바람지하게는 최대 0.5 내지 3 cm 이다. 특히, 상기 체결 지점은 손을 위한 삽입 개구로부터 1.5 내지 2.5 cm 의 거리에 있다. 연결 요소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 있는 제 1 스트립의 체결 지점 사이의 거리는, 연결 요소와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에 있는 제 1 스트립의 체결 지점 사이의 거리 보다 바람직하게 크다.
제 1 단부에서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에 있는 체결 지점과 제 2 단부에서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에 있는 체결 지점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 1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연결 요소의 일 영역에서 또는 그의 근처에서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스트립은 제 2 스트립(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과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을 일체적으로 연결함)과 겹치는 영역에서 손 유지 장치의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위에서 더 언급한 실시 형태에서(제 2 스트립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되어 있고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에서 제 1 탄성 스트립은 제 2 스트립의 2개의 그러한 재료 층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음), 상기 공간은 최소로 제한될 수 있는데, 즉 제 1 스트립과 제 2 스트립은 상기 겹침 영역에서 가능하게는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지만, 적어도 그 겹침 영역에서 함께 연결되지 않으며, 또는 겹침 영역에서 2개의 개별적인 요소로 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는 예컨대 치형 강성 요소, 훅크형 장치 또는 바람직하게 가요적인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요적인 스트랩 또는 고리로 되어 있고, 본질적으로, 저신장의(low-stretch),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엮인 재료, 또는 땋인 또는 코팅된 와이어형 재료로 제조된다. 스트랩 또는 고리는 바람지하게는 고유한 강성을 갖는 케이블 또는 등자(stirrup) 또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 코드로 이루어진다. 스트랩 또는 고리의 경우, 손 유지 장치는 손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는 훅크형 장치를 포함하므로 청구항 8 내지 14 항 어느 한 항에 따른 폴 손잡이에 체결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손 유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2개의 상보적인 벨크로 영역에 의해, 손을 위한 삽입 개구와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 사이의 영역에서 가변적으로 고정 가능한 제 1 체결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 유지 장치의 체결을 위한 훅크형 장치를 갖는 개선된 폴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히 청구항 8 내지 14 항 어느 한 항에 따른 폴 손잡이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 손잡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에 적합하고, 손잡이 몸체 및 훅크형 장치를 갖는 손잡이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훅크형 장치는, 특히 손 스트랩 또는 장갑 형태로 되어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체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 유지 장치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 손잡이는 그 자신의 권리에서 있어서, 전술한 손 유지 장치와는 독립적인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 손잡이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스트랩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스트랩형 또는 고리형 장치를 갖는 다른 손 유지 장치도 상기 폴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몸체의 정상 영역에 일체적으로 몰딩되지만, 폴 관을 위한 중앙 오목부를 형성하는 관에 일체적으로 몰딩되거나 손잡이 몸체의 정상 영역 또는 관 상에 끼워맞춤되거나 또는 관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훅크형 장치는 별도의 잠금 모듈에 체결되거나 이 잠금 모듈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잠금 모듈은, 일 손측에서 그리고/또는 위쪽에서 접근 가능한 오목부, 특히, 위쪽에서 축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손잡이 헤드의 오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손잡이 헤드 안에 그리고/또는 손잡이 헤드 상에 체결될 수 있다. 잠금 모듈 안에서 그리고/또는 잠금 모듈 상에서 변위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한 잠금 수단이, 본질적으로 위쪽에서 훅크형 장치 안으로 밀려 들어가고 손 유지 장치에 제공되는 스트랩형, 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가 훅크형 장치 안에 또는 훅크형 장치 상에 또한 잠금 모듈 상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 모듈은, 폴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로 핀에 의해 손잡이 헤드에 체결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잠금 모듈은 추가로 제 2 가로 핀에 의해 손잡이 헤드에 체결된다. 손잡이 헤드가 커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가로 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버를 손잡이 헤드에 체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헤드는 그의 정상 표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그 커버는 볼록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강화를 위해 가능한 스트러트(strut) 및/또는 어깨부 및/또는 추가 강화 구조 및/또는 안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는 예컨대, 헤드 영역의 내부로 돌출하고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구조로 헤드 영역의 내부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랫칭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손잡이 헤드는, 커버가 장착되면 이 커버의 언더컷에 걸릴 수 있는 랫칭 러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그의 후방 단부에서 2개의 레그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는데, 이들 레그는 휴지 위치에서 폴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 또는 폴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레그는 각각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가로 핀 또는 축방향 핀이 폴의 길이방향 축선 및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헤드의 횡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오목부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레그의 두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헤드에 있는 두 오목부와 정렬된다. 커버는 헤드 영역에 체결될 수 있고 동시에 잠금 모듈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 2 가로 핀에 의해 손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해 손잡이 헤드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로 핀은 바람직하게는 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또한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그리고 커버의 두 레그에 대해 횡으로 손잡이 헤드를 통과한다. 잠금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변위 및/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랫칭 블럭을 포함하고, 이 랫칭 블럭 상에는 또는 안에는 랫칭 수단이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경우, 잠금 모듈은 랫칭 블럭에 체결되는 작동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작동 요소는 외부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경사져 자동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요소 또는 그의 해제 버튼은, 손잡이 헤드의 정상면의 윤곽 및/또는 손 유지 장치 쪽을 향하는 손측의 윤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휴지 위치에서, 손잡이 헤드의 정상면 상에 있는 작동 요소의 정상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특히 거의 완전하게 손잡이 헤드의 외부 윤곽에 일체화되고, 이는 작동 요소 또는 해제 버튼의 작동 운동 중에도 그렇다. 이 경우, 손잡이 헤드의 상기 외부 윤곽은, 손잡이 헤드의 선단에서부터 손잡이 헤드와 손잡이 몸체 사이의 손측 경계까지 실질적으로 반원형 또는 아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잠금 모듈은 손잡이 몸체의 공동부에 배치되는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그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은 비상 해제를 위해 아래쪽으로 인장되며,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의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조절 너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랫칭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훅크형 장치의 개구 방향으로 통상적인 사용 힘을 초과하는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경우에 스트랩형, 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의 비상 해제가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랫칭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닝 러그(retaining lug)의 형태로 되어 있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리테이닝 러그는 위쪽 삽입 방향으로 경사 처리된 플랭크를 가지며, 훅크형 장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인장되는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닝 러그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힘에 대해 제한되는 스트랩형, 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를 위한 랫칭 영역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테이닝 러그는 스프링 장착 랫칭 핀에 바람직하게 일체적으로 연결되거나, 그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이 경우, 리테이닝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규정된 그리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힘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변위가 일어날 수 있어 제한된 영역이 헤제될 수 있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힘은 스프링 또는 탄성 요소에 의해 보장된다. 리테이닝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탄성중합체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랫칭 영역을 폐쇄하는 변위 위치로 인장되며, 인장은 바람직하게는 50 ∼ 250 N 이상의 힘에서만 안전 해제가 일어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계는, 전체 잠금 모듈에 대한 조절 가능한 비상 해제의 이점을 포함한다. 해제력은, 예컨대 잠금 모듈을 손잡이 헤드로부터 제거하고 대응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조절 너트를 요구에 따라 조절하여 매운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로 변하는 온도 조건에서도 상기 안전 해제가 보장될 수 있고 또한 추가로, 오염, 빙결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나선형 스프링은 폴 손잡이의 내부에 잘 은폐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훅크형 장치가 배치되는 고정 요소, 및 상기 랫칭 수단이 배치되는 랫칭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랫칭 블럭은 폴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앵커링 요소에 의해 손잡이 몸체에 장착된다. 상기 잠금 모듈은 자동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회전 및/또는 경사 가능한 작용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랫칭 블럭 및 작동 요소는 주위에서 고정 요소와 결합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요소 안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는, ,,,,,,,,,,,,,,,,
상기 모듈형 설계의 실질적인 이점은, 전체적인 유닛으로서 제조되는 잠금 모듈이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잠금 모듈의 모듈형 설계로 인해, 그 잠금 모듈은 개별적인 어셈블리로서 제조될 수 있고 손잡이 헤드 또는 손잡이 몸체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로, 잠금 모듈이 손잡이 헤드의 오목부에 수용됨으로 인해, 훅크형 장치의 리테이닝 맨드릴은 최적의 방식으로 폴 손잡이의 외부 윤곽에 매립되고 방해스러운 것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순수하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아니 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 손잡이의 2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a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잠금 모듈은 손잡이 헤드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도 3은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잠금 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잠금 모듈을 갖는 폴 손잡이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손 유지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손 유지 장치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폴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도 5에 따른 손 스트랩을 갖는 폴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 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손 스트랩이 폴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 손은 폴 손잡이의 파지 위치를 도입하거나 해제한다.
도 9는 도 5에 따른 손 스트랩이 폴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 손은 폴 손잡이의 상부 파지 위치에 있다(제 1 스트립의 형태가 보이도록 엄지는 밖으로 올려져 있음).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폴 손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나타나 있는 폴 손잡이(1)는 길이방향 축선(56) 및 손잡이 몸체(3)를 포함하고, 이 손잡이 몸체는 운동 방향(B)으로 향하는 전방 폴 손잡이 영역(3a) 및 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후방 폴 손잡이(3b)를 갖는다. 폴 손잡이(1) 또는 그의 손잡이 몸체(3)는 아래쪽에서 중앙 오목부 또는 또는 공동부(5)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폴 손잡이 길이방향 축선(5)(상기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을 따라 또는 실질적으로 그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탄소 또는 유리섬유 관으로 형성되는 폴이 상기 공동부 안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폴 손잡이는, 폴 관이 아래쪽에서 그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폴 손잡이(1)는, 손잡이 몸체(3)의 정상부에 연결되는 아치형 손잡이 헤드(2)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손잡이 헤드(2)는 팁(65)을 갖는 손잡이 노즈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방 폴 손잡이 영역(3a)에서 실질적으로 무어깨식으로 손잡이 몸체의 정상부 영역에 통합되는 손잡이 노즈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전방 폴 손잡이 영역(3a)에 있는 손잡이 러그(lug)는 운동 방향(B)으로 손잡이 몸체 영역을 넘어 돌출해 있는 돌출부로 되어 있다. 손잡이 헤드(2)는 오목부(4)를 가지고 있는데, 이 오목부는 상방으로 사용자 손 또는 손측(H) 쪽으로 열려 있고, 그 오목부 안에는 잠금 모듈(6)이 배치된다. 잠금 모듈(6)은 도 3에 자세히 나타나 있고, 그의 개별적인 부품은 도 4에 나타나 있다. 전체 잠금 모듈(6)은 상방으로 열려 있는 상기 오목부(4) 안에서 폴 손잡이(1)에 유지된다. 나타나 있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잠금 모듈(6)은 실질적으로 4개의 주 요소, 즉 랫칭 블럭(20), 앵커링 요소(57), 작동 요소(9) 및 고정 요소(15)를 가지고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모듈(6)이 삽입되는 보어(58)를 갖는 지지면(63)이 손잡이 헤드(2)와 손잡이 몸체(3) 사이의 천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 모듈은 앵커링 요소(57)에 의해 손잡이 몸체(3)에 유지된다. 상기 보어는 관통 보어(58)로 되어 있는데, 이 관통 보어는 손잡이 헤드(2)의 공동부 또는 오목부를 손잡이 몸체(3)에 있는 전술한 공동부에 연결하고, 이 공동부는 아래쪽에서 폴 관을 받아들이는데에 적합하다.
나타나 있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랫칭 블럭(20), 앵커링 요소(57) 및 작동 요소(9) 모두는 고정 요소(15)에 의해 유지된다. 이 고정 요소(15)는 부분적으로 쉘(shell)형으로 되어 있다. 고정 요소는 쉘형 영역을 형성하는 제 1 레그(7)와 제 2 레그(8), 및 고정 요소(15)의 레그(7, 8)를 훅크형 장치(14)(리테이닝 맨드릴로 되어 있음)에 연결하는 웨브(13)를 포함한다. 이 경우, 두 레그(7, 8)는 랫칭 블럭(20)의 두 측벽(20a, 20b)을 에워싼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있는 리테이닝 맨드릴(14)은 고정 요소(15)의 쉘형 영역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 요소(15)의 바닥면은, 손잡이 헤드(2)와 손잡이 몸체(3) 사이의 천이 영역에 있는 지지면(63) 상에 고정 요소(15) 또는 전체 잠금 모듈(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닥(64)을 형성한다.
보어(58)를 통과하여 손잡이 몸체(3)의 공동부 안으로 들어가는 리테이닝 핀(31)이 축선(56)에 걸쳐 잠금 모듈(6)에 부착된다. 리테이닝 핀(31)의 정상부에는 축선(33)을 갖는 구멍(32)이 있으며, 이 구멍은 리테이닝 핀을 잠금 모듈(6)에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앵커링 요소(57)를 랫칭 블럭(20)에 체결하기 위해, 구멍(32)과 함께 앵커링 요소(57)는 아래쪽에서 랫칭 블럭(20)의 오목부(60) 안으로 들어가고, 랫칭 블럭(20)의 바닥 영역에서 그 오목부의 옆에는 2개의 작은 레그가 있다. 상기 레그 각각은 하나의 관통 보어(61b)를 포함하는데, 이 관통 보어는 축선(33)을 따라 핀(34)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앵커링 요소(57)를 체결하기 위해 그 핀(34)은 랫칭 블럭(20)의 레그의 각각의 보어(61) 및 사이에 있는 앵커링 요소(57)의 구멍(32)에 끼워지게 된다.
리테이닝 핀(31)의 바닥 단부에는 나사산이 제공되어 있다. 리테이닝 핀(31) 또는 랫칭 블럭(20)에 의해 그에 체결되는 전체 잠금 모듈(6)은 스탑 요소(29)(공동부의 정상 커버 또는 지지면(63)의 바닥면에 접하게 됨)의 도움으로 조절 너트(30)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28)으로 아래쪽으로 인장된다. 일 단부에서 나선형 스프링(28)은 아래쪽에서 대응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어깨부에 있는 상측 스탑 요소(29)에 안착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위쪽에서 하측 스탑 요소(40)에 안착된다.
연결 요소(79)(예컨대,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의 형태로 되어 있음)의 자동 랫칭의 역할을 하는 랫칭 핀(10)이 잠금 모듈(6) 또는 잠금 모듈(6)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랫칭 블럭(20)에 배치되어 있다. 랫칭 핀(10)은 길이방향 축선(5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랫칭 핀은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오목부 또는 보어(54)에서 잠금 모듈(6)에 축선(88)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며, 랫칭 핀(10)은 나선형 스프링(35)에 의해 리테이닝 맨드릴(14)에 인장된다. 랫칭 핀(10)은 리테이닝 러그(11)를 가지고 있는데, 일 바람직한 방식으로 그 러그는 위쪽에서 경사 처리되어 있고 바닥에서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되어 있어, 예컨대, 위쪽에서 삽입되는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가 나선형 스프링(35)의 스프링 인장력에 대항하여 랫핑 핀(10)을 뒤쪽으로 변위시키고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는 랫칭 핀(1))에 의해 랫칭 영역(59)에 잡혀 있게 된다. 랫핑 핀(10)은 핀 축선(88)에 대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관통) 보어(62)를 포함하고, 랫칭 블럭(20)의 내부에 있는 기다란 구멍(41) 안에서 랫핑 핀(10)을 안내하기 위해 가로 핀/안내 핀(39)이 상기 보어를 통해 삽입된다.
잠금 모듈(6)은 작동 요소(9)를 가지며, 이 작동 요소는 정상면(68)에서 해제 버튼(37)을 가지고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해제 버튼(37)은 작동 요소(9) 또는 그의 날개부(9a, 9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위쪽 및 뒤쪽에서, 즉 리테이닝 맨드릴(14)에서 볼 때, 랫칭 블럭(20) 또는 그의 측벽(20a, 20b)은 작동 요소(9)의 두 날개부(9a, 9b)로 둘러싸여 있다. 이 경우, 뒤쪽으로(리테이닝 맨드릴(14) 또는 손 쪽으로) 향해 있고 랫칭 핀을 위한 오목부(54)를 포함하는 랫칭 블럭(20)의 일 부분이 아래쪽에서 작동 요소(9)의 오목부(27) 안으로 삽입된다. 작동 요소(9)의 날개부(9a, 9b)로 인해 오목부(27)는 역 U 형으로 되어 있다. 랫칭 블럭(20)은 추가적으로 스탑 어깨부(21)를 포함하는데, 이 스탑 어깨부의 폭은, 길이방향 축선(56)에 수평인 방향으로 측정할 때 관통 보어(26)의 길이 보다 크다. 상기 어깨부(21)는 작동 요소(9)의 후항부(89)의 정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설계의 큰 이점은, 작동 요소(9)의 돌출부 또는 날개부(9a, 9b)가 요구되는 해제의 작동을 위한 이상적인 방식으로 위치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치 않는 해제는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리테이닝 맨드릴(14) 위로 밀리는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를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랫칭 영역(59)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이러한 목적으로 해제 버튼(37)이 잠금 모듈(6)의 정상면(68) 또는 작동 요소(9)에 제공되어 있다. 회전 축선(38)은 잠금 모듈(6)에 있는 랫칭 핀(10)의 방향에 대해 횡으로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해제 버튼(37)을 형성하는 작동 요소(9)는 회전 축선(38) 주위로 경사질 수 있도록(도 1a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 7 및 8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잠금 모듈(6)의 내부에 장착된다. 추가로, 랫칭 핀(10)에 대해 횡으로 그 랫칭 핀(10)의 보어(62) 안에서 수평으로 배치된다. 안내 핀(39)은 작동 요소(9)에도 장착된다. 이를 위해, 작동 요소(9)의 날개부(9a, 9b) 각각은 하나의 기다란 구멍(51a, 51b)을 포함하고, 이 구멍에는 안내 핀(39)이 결합한다.
작동 요소(9)가 휴지(rest) 위치에 있을 때, 안내 핀(39)은 각각의 기다란 구멍(51a, 51b)의 최하측 단부에 안착되고, 작동 요소(9)가 운동 방향(B)으로 회전 운동(D)하는 중에는 소정의 각도에서 위쪽으로 눌리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기다란 구멍(51a, 51b)은 랫칭 블럭(20)에 있는 기다란 구멍(41)의 운동 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꺾여 있는 운동 방향을 포함한다. 그래서, 작동 요소(9)의 회전 운동(D)은 실질적으로 운동 방향(B)으로 축선(88)을 따르는 랫칭 핀(10)의 변위 운동으로 변환된다. 해제 버튼(37)(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 또는 날개부(9a, 9b)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음)이 예컨대 폴을 잡고 있는 손의 엄지에 의해 아래로 눌리면, 작동 요소(9)는 단일체로서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그 결과, 회전 축선(38) 주위로 회전할 때(도 3에서 화살표 방향(D)으로), 나선형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안내 핀(39)에 의해 랫칭 핀(10)을 안쪽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랫칭 영역(59)이 위쪽으로 해제되고 그 결과 그에 잡혀 있는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 또는 연결 요소(79)도 해제된다.
따라서 랫칭 블럭(20)은 2개의 핀에 의해 작동 요소(9)에 유지되는데, 일 측에서는, 잠금 모듈(6)의 회전 축선(24)을 따라 배치되고 동시에 랫칭 블럭(20)과 작동 요소(9)를 고정 요소(15)의 각각의 레그(7, 8)에 연결하는 축방향 핀(19)에 의해 유지되고, 또한 둘째로 안내 핀(39)에 의해 유지되며, 이 안내 핀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볼 때, 랫칭 핀(10)을 랫칭 블럭(20)과 작동 요소(9)에 연결한다.
정상 영역에서 랫칭 블럭(20)은 폴 손잡이(2)으 길이방향 축선(56)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관통 보어(26)를 포함하는데, 이 관통 보어는 회전 축선(24)을 따라 축방향 핀(19)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경우 축방향 핀(19)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볼 때, 먼저 랫칭 블럭(20)에 있는 상기 보어(26)에 들어가고 그런 다음에, 작동 요소(9)의 각각의 날개부(9a, 9b)에 있는 2개의 보어(43a, 43b) 및 고정 요소 또는 고정 쉘(15)의 각각의 전술한 레그(7, 8)의 각각의 보어(42a, 42b)에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작동 요소(9)는 랫칭 블럭(20)에서 회전 축선(38) 주위로 회전한다. 작동 요소(9)의 회전 운동 중에, 작동 요소(9)와 랫칭 핀(10), 및 그의 나선형 스프링(35)만 잠금 모듈(6)에서 움직이고, 랫칭 블럭(20) 자체 또는 고정 요소(15)는 움직이지 않ˆd다. 고정 모듈(6)이 손잡이 헤드(2)에 삽입될 때, 랫칭 블럭(20)에 있는 관통 보어(26), 체결 요소(9)에 있는 보어(43b), 고정 요소(15)에 있는 보어(42a, 42b)는, 안에 삽입되어 체결 요소(9), 랫칭 블럭(20) 및 고정 요소(15)를 손잡이 헤드(2)에 연결하는 축방향 핀(19)와 함께 축선(24)을 따라 서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잠금 모듈(6)을 손잡이 헤드(2)의 오목부(4)에 삽입하면, 폴 손잡이(1)의 외부 윤곽에서 리테이닝 맨드릴(14)이 최적으로 구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7 및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리/스트랩(79)을 위한 이상적인 삽입 개구가 여전히 위쪽에 존재한다. 작동 요소(9)의 윤곽은 또한 휴지 상태에서 또한 회전 축선(38) 주위로의 회전/경사 운동 중에 손잡이 헤드(2)의 전체적인 만곡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작동 요소(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잡이 헤드(2)의 정상면(67) 및 손 유지 장치(70) 쪽으로 향해 있는 손측(H)의 윤곽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손잡이 헤드(2)의 정상면(67)에 있는 작동 요소(9)의 정상면(68)은 휴지 위치에서 또한 작동 요소(9)의 작동 운동 중에 손잡히 헤드(2)의 외부 윤곽에 거의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손잡이 헤드(2)의 외부 윤곽은 실질적으로 아치형으로 손잡이 헤드(2)의 선단(65)에서부터, 손잡이 헤드(2)와 손잡이 몸체(3) 사이에 있는 손측의 경계(69)까지 연장되어 있다.
추가로, 잠금 모듈(6)은 추가의 가로/체결 핀(45)에 의해, 폴 손잡이(1)의 길이방향 축선(56)에 대해 횡으로 축선(44)을 따라 손잡이 헤드(2)에 체결된다. 외부에서 상기 핀은 손잡이 헤드의 외부 표면에 있는 보어(49a, 49b)를 통과하여 오목부(4) 안으로 들어가고, 그런 다음에는, 고정 요소(15)의 레그(7 또는 8)에 있는 보어(47a 또는 47b)를 통과하게 된다. 도 4에 있는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가로 핀(45)은 2개의 핀 부분(45a, 45b)을 가지면서 2개의 부분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가로 핀(45)은 또한 단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잡이 헤드의 외부면으로부터 고정 요소(15)의 레그(7, 8) 및 오목부(4)를 통과하여 다시 손잡이 헤드의 다른 외부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우, 가로 핀은(45)은, 고정 요소 안으로 삽입되는 랫칭 블럭(20)의 바닥면 아래에 있는 고정 요소(15)의 쉘형 영역 또는 랫칭 블럭(20)의 오목부에서 연장된다. 잠금 모듈(6)이 손잡이 헤드(2)에 삽입되면, 손잡이 헤드(2)에 있는 보어(49a, 49b) 및 고정 요소(15)에 있는 보어(47a, 47b)는, 안에 삽입되어 고정 요소(15)와 손잡이 헤드(2)를 연결하는 가로 핀(45)과 함께 축선(44)을 따라 서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상기 추가 가로 핀(45)의 배치에 따른 이점은, 작동 요소(9)가 회전 축선(38) 주위로 경사짐으로써 또한 여하튼(특히, 낙하의 경우) 전체 잠금 블럭(6)이 회전 축선(24)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발생되는 비틀림력이 더 잘 흡수된다는 것이다.
도 1, 2 및 4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폴 손잡이(1)는, 별도의 요소로서 손잡이 헤드(2)에 체결될 수 있는 커버(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커버(12)의 윤곽은 선단(65) 쪽으로 테이퍼져 있는 영역에서, 폴 손잡이 전방측(3a)을 향하는 부분에서 손잡이 헤드(2)의 윤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각각 웨브에 의해 커버(12)에 일체적으로 몰딩되어 있는 2개의 레그(미도시)가 커버(12)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헤드(2)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레그는 폴 손잡이 길이방향 축선(56)에 평행하게 손잡이 헤드(2) 및 손잡이 헤드(2)의 오목부(4) 안으로 들어가거나, 내측에서 오목부의 경계를 이루는 내벽과 손잡이 헤드(2)의 외벽 사이에 들어간다. 각 레그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체결 핀(46)은 폴 손잡이(1)의 길이방향 축선(56)에 대해 횡으로 축선(38)을 따라 상기 오목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핀은 커버(6)를 손잡이 헤드(2)에 체결하고 동시에 잠금 모듈(6)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잠금 모듈(6)이 손잡이 헤드(2)에 삽입되면, 손잡이 헤드(2)에 있는 보어(50a, 50b), 고정 요소(15)에 있는 보어(48a, 48b), 랫칭 블럭(20)에 있는 보어(53), 및 체결 요소(9)에 있는 보어(52b)는, 안에 삽입되어 체결 요소(9), 랫칭 블럭(20) 및 고정 요소(15)를 손잡이 헤드(2)에 연결하는 체결 핀(46)과 함께 축선(38)을 따라 서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손잡이 헤드(2)의 전방 테이퍼형 영역에 랫칭 러그(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랫칭 러그는, 끼워진 상태에서, 전방 손잡이 헤드 가장자리로부터 커버(6)의 중공 영역 안으로 들어가고 여기서 커버(6)의 내측면에 있는 오목부 또는 언더컷에 걸리게 된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커버(6)의 내측면은 여러 개의 스트러트(strut)(미도시)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9)의 해제 버튼(37)을 위한 절취부(25)가, 장착 상태에서 후방 폴 손잡이 영역(3b)을 향하는, 즉 운동 방향(B)의 반대 방향(H)으로 향하는 커버(6)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체 유닛으로 제조되는 잠금 모듈(6)을 장착하기 위해, 그 잠금 모듈은 위쪽에서 폴 손잡이(1)의 오목부(4)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잠금 모듈(6)에 제공되어 있는 앵커링 요소(57)는 손잡이 몸체(3)에 있는 폴 관을 위한 공동부와 오목부(4) 사이의 관통 보어(58) 안으로 삽입된다. 리테이닝 핀(31)에서, 앵커링 요소는 상측 스탑 요소(29), 리테이닝 핀(31) 위로 밀리는 나선형 스프링(28), 아래쪽에서 리테이닝 핀(31)의 나사산 상으로 나사 결합되는 하측 스탑 요소(40), 및 조절 너트(30)를 포함한다. 아래쪽으로 향하는 스프링 탄성 유지력(나선형 스프링(28)에 의해 잠금 모듈(6)에 가해짐)은 조절 너트(30)를 위쪽으로 다소 돌려서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체결 핀(46)이 손잡이 헤드(2)에 있는 보어(50b, 50c)를 통해 축선(38)을 따라 옆으로 밀릴 수 있다.
바깥쪽에서 안쪽으로(손잡이 헤드의 양측에서) 볼 때, 체결 핀(46)은 손잡이 몸체(2)에 있는 보어(50a, 50b), 고정 요소(15)의 레그(7 또는 8)의 보어(48a 또는 48b), 작동 요소(9)의 날개부(9a, 9b)의 두 보어(52b) 및 랫칭 블럭(20)의 보어(53) 안으로 들어간다.
특히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헤드(2)에 있는 보어(50a, 50b)와 고정 요소(15)에 있는 보어(48a, 48b) 사이에서, 체결 핀(46)은 추가적으로 손잡이 헤드의 각 측에서 커버(12)의 레그의 보어/오목부에 들어간다(상기 레그는 손잡이 헤드(2)의 내벽(안쪽에서 오목부(4)의 경계를 이룸)과 손잡이 헤드(2)의 외벽 사이에서 폴 손잡이(1)의 길이방향 축선(56)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 핀(46)은 동시에 잠금 모듈(6)을 손잡이 헤드(2)에 체결하고 또한 커버(12)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계로 만들어지는 전체 잠금 모듈(6)의 조절 가능한 비상 해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에 의해 아래쪽에서 과도한 힘(예컨대 낙하의 경우)이 리테이닝 러그(11)에 가해지면, 전체 잠금 모듈(6)이 회전 축선(24) 주위로 회전된다(도 1a 또는 3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도 7 및 8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 회전은 랫칭 영역(59)이 해제될 때가지 또는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 형태의 연결 요소가 리테이닝 맨드릴(14)로부터 해제될 때가지 계속된다.
도 5 및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에 따른 폴 손잡이(1)에의 체결을 위해 체결될 수 있는 손 스트랩 형태의 손 유지 장치(70)를 나타낸다. 손 유지 장치(70)는, 폴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힘이 손에 잘 분산되도록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손이나 손목 주위에 헐겁게 배치될 뿐만 아니라 손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손 스트랩이 필요하다. 이 경우, 장갑이나 맨 손에 착용되고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를 갖는 손 스트랩을 손 유지 장치(70)로서 고려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손 스트랩(70)은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72), 및 엄지를 위한 제 2 출구 개구(73)를 포함한다.
손 스트랩(70)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는 제 1 스트립(74)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폴의 폴 손잡이(1)에 체결된다.
도 7 및 8에 나타나 있는 폴 손잡이(1)의 헤드 영역은 리테이닝 맨드릴(14)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손잡이 몸체(2)에 있는 슬롯에 의해, 또는 도 1 내지 4에 따른 본 발명의 폴 손잡이의 경우에는 랫칭 영역(59)을 형성하여, 상기 리테이닝 맨드릴은 폴 손잡이(1)의 잠금 모듈(6)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랫칭 영역(59) 안으로 삽입되는 손 스트립(70)의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는 자동 잠금 방식으로 랫칭 영역(59)의 리테이닝 맨드릴(14)에 고정될 수 있고 해제 버튼(37)을 조작하여 랫칭 영역(59)으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도 5 내지 9에 있는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손 스트랩(70)의 형태로 되어 있는 실제 손 유지 장치(70)는 사용자의 손에 고정 및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 스트랩은 3개의 개구, 즉 손의 삽입을 위해 손 스트랩에 있는 삽입 개구(71),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72), 및 보통 가장 작은 출구인 제 2 엄지 개구(73)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엄지를 위한 손 스트랩의 제 2 출구 개구(73)는 보는 사람 쪽을 향하고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72)는 보는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따라서, 나타나 있는 손 스트랩은 오른손용 손 스트랩이다. 그러므로 상기 손 스트랩은, 엄지와 손가락 사이에서 손등에 배치되는 손의 외부면의 측에 있는 영역(76)으로 이루어진 스트립형 영역을 가지며, 이는 엄지와 손가락 사이에서 스트립(75)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손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에 결합된다. 상기 영역(75, 76, 77)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그의 내측면에서, 텍스타일 또는 탄성중합체 발포재 인서트가 제공되어 있는데, 즉 텍스타일 층이 재봉되거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비탄성이고 예컨대 직조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제 캐리어 재료와 결합된다.
상기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적인 연결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가변적인 영역은 손등을 위한 개구(72)와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 사이의 영역이다. 상기 영역에서, 손 스트랩을 조절하고 이를 손에 체결하기 위한 제 1 벨크로(Velcro) 스트립(82)이 제공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그 벨크로 스트립은 외측면에 있는 웨브이고, 이의 두 상보적인 벨크로 영역, 즉 단부 영역에 있는 제 1 벨크로 영역 및 상기 제 1 벨크로 스트립(82)이 손 스트랩에 재봉되는 영역에 있는 상보적인 제 2 벨크로 영역이 장착되어 있다. 체결 스트립(82)의 자유 단부는 이송 등자(stirrup)(84)를 통해 안내된다. 비체결 상태의 체결 스트립(82)의 헐거운 단부는 일반적으로 유지 보조구(82a)를 가지며, 이 보조구는 예컨대 웨브의 헤밍된(hemmed) 턴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지 보조구는 또한 체결 스트립(82)이 의도치 않게 이송 등자(84)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크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손 스트랩을 손에 체결하기 위해 체결 스트립(82)은 상기 이송 등자(84)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벨크로 영역은 제 2 벨크로 영역에 안착되고, 그래서, 손의 크기에 따라 또한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는지에 따라 영역(85)과 영역(86)(손 스트랩의 두 단부) 사이의 거리를 고정된 지속적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유지 장치에서,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로 된 연결 장치(79)가, 손 유지 장치를 폴 손잡이에 체결하기 위해 제 1 스트립(74)에 체결된다. 이 제 1 스트립(74)은 제 2 스트립(75)과 겹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제 2 스트립은 엄지와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고 도한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6) 및 손 유지 장치(70)의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트립(74)은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 1 스트립(74)은 연결 장치(79)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에 있는 제 1 스트립(74)의 체결 영역(66) 사이의 영역(74a, 74c)에서 부분적으로 탄성 밴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연결 요소(79)에 가장 가까운 영역(74c)의 웨브부에 의해 강화된다. 제 1 스트립은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스트랩(70)의 영역(77)에서 웨브로 되어 있다. 제 1 스트립은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에서 손 유지 장치에 재봉되고, 제 2 스트립(75)으로부터 이격되어 엄지와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어 연결 요소(79)까지 또한 탄성 밴드와 겹칠 때까지 안내되는 제 2 스트립(75)과 겹친다. 거기서 제 1 스트립은 겹침 영역 또는 강화 영역(74c)에서 탄성 밴드에 재봉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웨브는 심지어는, 연결 요소(79)의 영역에서 웨브부가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를 통과하여 정상면에서 탄성 밴드와 겹치도록 이중으로 되어 있고, 제 2 웨브부는 제 1 웨브부에서 바닥에 있는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에 재봉되고, 연결 영역(79)의 영역에서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를 통과하여 바닥측에서 탄성 밴드와 겹친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 1 스트립(74)의 강화 영역은 3개의 층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밴드는 2개의 웨브부 사이에 안착되고 3개의 층은 함께 재봉되어 있다.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는 두 웨브 층 사이에 유지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재봉되어 있고, 스트랩형/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는 고유한 강TJD을 가지고 있어 제 1 스트립(74)으로부터 밖으로 서 있다. 손의 외부 표면 측의 영역에서, 제 1 스트립(74)은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제 2 스트립(75)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되어 있어 겅간(78)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스트립(75)이 손의 외부 표면 측의 영역(76)에 일체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천이 영역에서,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상기 영역(76)은 복수 개의 층으로 되어 있고, 정상 층은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메쉬 또는 플라스틱 재료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천이 영역에서, 손 스트랩의 정상 층 또는 포면 층은 슬롯(81) 또는 삽입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에서 탄성 밴드로 되어 있는 제 1 스트립(74)은 상기 슬롯을 통해, 손 유지 장치(70)의두 재료 층 사이에 있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단부(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까지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제 1 스트립(74)의 단부의 체결 영역(66)은 바람직하게는 재봉의 결과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트립의 탄성 영역(74a)은, 외부에서 자유롭게 접근가능한 부분(74a) 및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의 두 재료 층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터널 부분(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 1 스트립(74)의 탄성 영역(74a)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유지하기 위해,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제 1 스트립(74)의 단부의 체결 영역(66)은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에 가능한 한 가까이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재봉을 통해 체결하는 경우 이음매는 이송 등자(84)에 가깝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체결 영역은 손측(H)에 있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에 있는 손 스트랩(70)의 가장자리로부터 측정할 때,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로부터 대략 1.5 내지 2.5 cm의 거리(d)를 두고 배치된다.
손 유지 장치용으로 선택된 재료가 그 자체 탄성적이면,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을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에 연결하는 제 2 스트립(75)은 실질적으로 비탄성적으로 되어 있다. 여하튼, 제 2 스트립(75)은, 예컨대 웨브 스트립에,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트립 쪽을 향하는 정상면에 재봉되어 강화 방식으로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스트립(74)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6)에서 탄성적으로 되어 있는데, 즉 손 스트랩(70)이 폴 손잡이(1)에 체결되는 또는 연결 요소(79)가 배치되어 있는 체결 영역(87)까지만 탄성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스트립은 추가적으로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7)에서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손 유지 장치(70)는 그의 3개의 개구(71, 72, 73)에서 강화 가장자리(80)로 강화되어 있다. 이는 착용의 편안함을 증가시키고 또한 손 스트랩의 치수 안정성에 기여하여, 손 스트랩은 비착용 상테에서도 어떤 고유의 강성을 갖게 되며, 그래서 손을 삽입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따라서 강화 가장자리는 개구에 대한 경계에서 손 스트랩의 가장자리 영역 위로 접혀지는 텍스타일 또는 웨브 스트립이며 손 스트랩의 재료로 상기 영역에 재봉되며 그리고/또는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손 스트랩은 가능한 한 편안하게 손에 접하게 된다. 그러나, 강화 가장자리는 별도의 스트립 재료 또는 밴드 재료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손 스트랩을 형성하는 재료 스트립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어느 정도 이음매 또는 결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 손잡이(1)을 나타내고, 사용자의 우측 손에 착용되어 있는 손 스트랩(70)에 폴 손잡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며, 사용자의 손은 결합 위치 또는 둘러싸기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손의 엄지는 단순히 제 1 스트립(74)이 보이도록 올려져 있는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스트랩(70)의 영역(76)에 있는 슬롯(81) 밖으로 나와 있는 제 1 스트립(74)이 어떻게 신장되어 있는 지를 알 수 있으며, 탄성 영역(74a)은 연결 요소(79)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요소(79)에 가까이 있는 탄성 영역(74a)의 일 부분(74c)은 강화되어 있으며, 또는 특별한 경우에는, 비탄성 웨브로 감쳐지거나 하측 재봉되는 탄성 밴드로 되어 있다.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영역(77) 쪽을 향하는 제 1 스트립의 일 부분(74b)은 특별한 경우에는 이중 웨브로 앞으로 연결 요소(79)로부터 비탄성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웨브는 연결 요소(79)의 근처에서 탄성 밴드를 강화하는 것이다. 폴 손잡이(1)의 랫칭 영역(59)에 있는 연결 요소(79)의 고정 위치의 경우에 탄성 영역(74a)이 신장되어 비탄성 영역(74b)이 손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려지기 때문에, 연결 요소(79)로부터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스트랩(70)의 영역(77)에 있는 제 1 스트립(74)의 체결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기 비탄성 영역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감싸임 상태에서 밖으로 열려 스트랩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는 제 2 스트립(75)과 제 1 스트립(74)의 비탄성 영역(74b) 사이에는 공간(90)이 형성된다.
1 폴 손잡이
2 손잡이 헤드
3 손잡이 몸체
3a 손잡이 몸체의 전방 영역
3b 손잡이 몸체의 후방 영역
4 2에 있는 오목부
5 폴 관을 위해 3에 있는 공동부
6 잠금 모듈
7 15의 제 1 레그
8 15의 제 2 레그
9 작동 요소
9a 9의 제 1 날개부
9b 9의 제 2 날개부
10 랫칭 핀
11 10에 있는 리테이닝 러그
12 커버
13 15에 있는 웨브
14 훅크형 장치, 리테이닝 맨드릴
15 고정 요소, 고정 쉘
16 오목부 15
19 24를 따라 20에 있는 축방향 핀
20 랫칭 블럭
20b 20의 제 2 측벽
21 20의 정상 어깨부
24 9의 회전 축선
26 24를 위해 20에 있는 보어
28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
29 상측 스탑 요소
30 조절 요소
31 리테이닝 핀
32 31의 구멍
33 32를 통과하는 축선
34 32를 통과하는 핀
35 54에 있는 10을 위한 나선형 스프링
37 해제 버튼
38 46의 축선
39 10을 위한 안내 핀
40 하측 스탑 요소
41 10을 안내하기 위해 20에 있는 기다란 구멍
42a 19를 위해 7에 있는 보어
42b 19를 위해 8에 있는 보어
43b 19를 위해 9에 있는 보어
44 45를 위한 축선
45 가로 핀
45a 45의 핀 부분 1
45b 45의 핀 부분 2
46 체결 핀
47a 45를 위해 7에 있는 보어
47b 45를 위해 8에 있는 보어
48a 46을 위해 7에 있는 보어
48b 46을 위해 8에 있는 보어
49a 45를 위해 2에 있는 제 1 보어
49b 45를 위해 2에 있는 제 2 보어
50a 46을 위해 2에 있는 제 1 보어
50b 46을 위해 2에 있는 제 2 보어
51a 10을 안내하기 위해 9a에 있는 기다란 구멍
51b 10을 안내하기 위해 9b에 있는 기다란 구멍
52b 46을 위해 9b에 있는 보어
53 46을 위해 20에 있는 보어
54 35를 위해 20에 있는 보어
55 68에 있는 리브
56 1의 길이방향 축선
57 3에 있는 6의 앵커링 요소
58 31을 위한 관통 보어
59 79를 위해 14에 있는 랫칭 영역
60 32를 위해 20에 있는 오목부
61b 34를 위해 20에 있는 보어
62 39를 위해 10에 있는 보어
63 64를 위해 4에 있는 지지 표면
64 15의 바닥
65 2의 선단부
66 76에 있는 74의 체결 지점/이음매
67 2의 정상 표면
68 9의 정상 표면
69 2와 3 사이의 경계
70 손 유지 장치, 손 스트랩
71 손을 위한 삽입 개구
72 손등을 위해 70에 있는 제 1 출구 개구
73 엄지를 위해 70에 있는 제 2 출구 개구
74 70에 있는 제 1 스트립
74a 74의 탄성 영역
74b 74의 비탄성 영역
74c 74의 강화 영역
75 70에 있는 제 2 스트립
76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70의 영역
77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70의 영역
78 74와 75 사이의 공간
79 스트랩형/링형/고리형 장치/연결 요소
80 강화 가장자리
81 74를 위해 70에 있는 슬롯
82 가변적으로 고정 가능한 체결 장치
82a 82에 있는 유지 보조구
83 70에 있는 82를 위한 관통 개구
84 83의 이송 등자
85 70의 제 1 단부
86 70의 제 2 단부
87 1에 있는 70의 체결 영역
88 10의 축선
89 9의 후방부
90 74b와 75 사이의 공간
B 운동 방향/앞 방향
d 66과 71 사이의 거리
D 랫칭 효과를 해제하기 위한 회전 방향
H 손측/뒤쪽 방향

Claims (15)

  1. 특히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을 위한 폴 손잡이(1),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8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 손잡이(1)에 체결되는 손 유지 장치(70)로서, 상기 손 유지 장치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 손등을 위한 제 1 출구 개구(72) 및 엄지를 위한 제 2 출구 개구(73)를 포함하고, 상기 손 유지 장치(70)는 엄지 및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안내되는 제 1 스트립(74)을 또한 포함하고, 폴 손잡이(1)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해제 가능한 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 요소(79)가 상기 제 1 스트립에 제공되어 있고, 제 1 스트립은 상기 연결 요소(79)의 외부 손 표면 측(74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되어 있는, 손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립(74)은 손 유지 장치에 체결되는 스트립이고,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제 1 영역(74a)에서 탄성적인 또는 가요적인, 바람직하게는 고무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손의 내부 표면 측(74b)에서는 비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손 유지 장치(7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립(74)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과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7)을 연결하며, 제 1 스트립(74)의 제 1 단부 및 제 1 스트립(74)의 제 2 단부에서 손 유지 장치(70)에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재봉되며, 바람직하게, 제 1 단부에서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에 있는 체결 지점(66)과 제 2 단부에서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에 있는 체결 지점 사이의 영역(87)에서 상기 제 1 스트립(74)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연결 요소(79)의 일 영역(87)에서 손 유지 장치(70)에 체결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엄지 및 다른 손가락 사이에서 상기 손 유지 장치(70)는,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76)과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의 영역(77)을 바람직하게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스트립(75)을 포함하고, 제 1 스트립(74)은 제 2 스트립(75)과 겹쳐짐으로써 공간(78)을 형성하는, 손 유지 장치(7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에서 손 유지 장치(7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의 층으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스트립(74)은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자신의 제 1 단부에서 제 1 재료 층과 제 2 재료 층 사이에서 손 유지 장치(70)에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재봉되는, 손 유지 장치(7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의 외부 표면 측에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영역(76)에서 상기 제 1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로부터 0.5 내지 5 cm의 최대 거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cm의 최대 거리를 두고 손을 위한 삽입 개구(71) 가까이에서 체결되고, 그리고/또는 제 1 스트립은 손의 내부 표면 측에 있는 그의 제 2 단부에서 손 유지 장치(70)에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재봉되는, 손 유지 장치(7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9)는 치형 강성 요소, 훅크형 장치 또는 바람직하게 가요적인 스트랩 또는 고리로 되어 있고, 연결 요소(7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요적인 스트랩 또는 고리로 되어 있고, 본질적으로, 저신장의(low-stretch),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엮인 재료, 또는 땋인 또는 코팅된 와이어형 재료로 제조되는, 손 유지 장치(7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 유지 장치(70)는 삽입 개구(71)와 제 1 출구 개구(72) 사이의 영역에서 가변적으로 고정 가능한 제 1 체결 장치(82)를 포함하는, 손 유지 장치(70).
  8. 폴,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을 위한 폴 손잡이(1)로서, 상기 폴 손잡이는 손잡이 몸체(3) 및 훅크형 장치(14)를 갖는 손잡이 헤드(2)를 포함하며, 상기 훅크형 장치는, 특히 손 스트랩 또는 장갑 형태로 되어 있는 손 유지 장치(70)의 체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 유지 장치의 체결을 위한 것이며, 상기 훅크형 장치(14)는 별도의 잠금 모듈(6)에 체결되거나 이 잠금 모듈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잠금 모듈(6)은, 일 손측(H)에서 그리고/또는 위쪽에서 접근 가능한 오목부(4), 특히, 위쪽에서 축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손잡이 헤드(2)의 오목부(4)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손잡이 헤드(2) 안에 그리고/또는 손잡이 헤드 상에 체결될 수 있으며, 잠금 모듈(6) 안에서 그리고/또는 잠금 모듈 상에서 변위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한 잠금 수단(10, 11)이, 본질적으로 위쪽에서 훅크형 장치(14) 안으로 밀려 들어가고 손 유지 장치(70)에 제공되는 스트랩형, 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79)가 훅크형 장치(14) 안에 또한 잠금 모듈(6) 상에 자동 잠금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폴 손잡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듈(6)은, 폴 손잡이(1)의 길이방향 축선(56)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로 핀(45)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제 2 가로 핀(46)에 의해 손잡이 헤드(2)에 체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핀(45, 4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커버(12)를 손잡이 헤드(2)에 체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는, 폴 손잡이(1).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듈(6)은 변위 및/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랫칭 블럭(20)을 포함하고, 이 랫칭 블럭 상에는 또는 안에는 랫칭 수단(10, 11)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모듈(6)은 랫칭 블럭(20)에 체결되는 작동 요소(9, 37)를 추가로 포함하고, 외부에서 자동 잠금을 해제하면 상기 작동 요소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경사질 수 있는, 폴 손잡이(1).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9)는, 손잡이 헤드(2)의 정상면(67)의 윤곽 및/또는 손 유지 장치(70) 쪽을 향하는 손측(H)의 윤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휴지(rest) 위치에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9)의 작동 운동 중에, 손잡이 헤드(2)의 정상면(67) 상에 있는 작동 요소(9)의 정상면(6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특히 거의 완전하게 손잡이 헤드(2)의 외부 윤곽에 일체화되고, 상기 외부 윤곽은 손잡이 헤드(2)의 손측(H)에서 손잡이 헤드(2)의 선단(65)에서부터 손잡이 헤드(2)와 손잡이 몸체(3) 사이의 경계(69)까지 실질적으로 반원형 또는 아치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폴 손잡이(1).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듈(6)은 손잡이 몸체(3)의 공동부(5)에 배치되는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28)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은 비상 해제를 위해 아래쪽으로 인장되며, 축방향 나선형 스프링의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조절 너트(3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폴 손잡이(1).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수단은 리테이닝 러그(retaining lug)(11)의 형태로 되어 있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리테이닝 러그는 위쪽 삽입 방향으로 경사 처리된 플랭크를 가지며, 훅크형 장치(14)에 대해 아래쪽으로 인장되는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닝 러그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힘에 대해 제한되는 스트랩형, 링형 또는 고리형 장치(33)를 위한 영역(59)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닝 러그(11)는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규정된 그리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힘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변위가 일어날 수 있어 제한된 영역(59)이 헤제될 수 있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힘은 스프링(35) 또는 탄성 요소에 의해 보장되는, 폴 손잡이(1).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듈(6)은, 상기 훅크형 장치(14)가 배치되는 고정 요소(15), 및 상기 랫칭 수단(10, 11)이 배치되는 랫칭 블럭(20)을 포함하고, 상기 랫칭 블럭은 폴 손잡이(1)의 길이방향 축선(56)의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앵커링 요소(57)에 의해 손잡이 몸체(3)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잠금 모듈은 자동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회전 및/또는 경사 가능한 작용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랫칭 블럭(20) 및 작동 요소(9)는 주위에서 고정 요소(15)와 결합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요소(5) 안에 수용되는, 폴 손잡이(1).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 유지 장치(70)를 갖는 폴 손잡이, 또는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 손잡이(1) 및 바람직하게는 폴 손잡이(1)에 체결될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 유지 장치(70)를 갖는 폴, 특히 스키 폴, 노르딕 워킹 폴, 크로스 컨츄리 폴, 또는 하이킹 폴.
KR1020177004457A 2014-09-09 2015-09-04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 KR102373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358/14 2014-09-09
CH13582014 2014-09-09
PCT/EP2015/070239 WO2016037940A1 (de) 2014-09-09 2015-09-04 Stockgriff mit handschlau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68A true KR20170052568A (ko) 2017-05-12
KR102373137B1 KR102373137B1 (ko) 2022-03-10

Family

ID=5193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457A KR102373137B1 (ko) 2014-09-09 2015-09-04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64463B2 (ko)
EP (1) EP3190920B1 (ko)
JP (1) JP6842408B2 (ko)
KR (1) KR102373137B1 (ko)
CN (1) CN108601431B (ko)
CA (1) CA2956481C (ko)
RU (1) RU2702216C2 (ko)
WO (1) WO20160379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27A1 (fr) * 2017-12-22 2019-06-26 Decathlon Bâton pour activité sporti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0820C2 (ru) * 2014-11-07 2019-09-23 Лекиспорт Аг Рукоятка лыжной палки
CA2923196C (en) * 2016-03-08 2023-08-01 Urban Poling Inc. Ergonomic handles for mobility & rehabilitation devices
USD876807S1 (en) * 2016-06-04 2020-03-03 Urban Poling Inc. Set of walking poles
RU2749522C2 (ru) * 2017-02-05 2021-06-11 Лекиспорт Аг Рукоятка палки
US11331560B2 (en) 2018-02-01 2022-05-17 Lekisport Ag Pole handle
CA3098773C (en) 2018-05-04 2021-04-06 Lekisport Ag Pole handle and pole comprising said pole handle
KR101989287B1 (ko) * 2018-12-06 2019-06-13 김경태 스트랩 장착기능을 갖는 등산용 스틱
SE543523C2 (en) * 2019-06-27 2021-03-16 Mann Teknik Ab A coupler comprising a handle and a handle therefor
CN110548262A (zh) * 2019-08-21 2019-12-10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杆杖
DE102020002625B4 (de) 2020-05-01 2022-05-12 Gerald Uzick Skistock für nordische Sportarten mit einem beweglichem Griff, einem Befestigungs-System für die Hand, und einer Spitze mit Teller
US11752420B2 (en) * 2021-06-22 2023-09-12 Todd M deWardener Ski-training apparatus
US11878233B1 (en) * 2022-10-10 2024-01-23 Dynepic Sports, Llc Pole gri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6746A1 (de) * 2007-07-12 2009-01-15 Lekisport Ag Handschlaufe für einen stock
EP2024042B1 (de) * 2006-05-22 2010-01-13 Lekisport AG Handschlaufe
US20100218347A1 (en) * 2004-12-23 2010-09-02 Lekisport Ag Pole gri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2344A (en) * 1947-05-03 1950-09-12 Harold I Carmin Glove for accurately handling seized objects
FR2634388B1 (fr) * 1988-07-21 1990-09-07 Salomon Sa Systeme de liaison d'un element tel qu'un baton de ski a la main d'un utilisateur, gant et baton de ski selon un tel systeme
US5312134A (en) * 1991-11-20 1994-05-17 Goode David P Ski glove/grip interlock system
US5470108A (en) * 1992-10-05 1995-11-28 Goode; David P. Ski pole grip assembly
US5328205A (en) * 1993-08-12 1994-07-12 Bacharach David W Combination ski pole and hand strap
US5443287B1 (en) * 1993-11-18 2000-12-05 Galen Wells Quick release ski pole and strap system
FI98989C (fi) * 1995-05-05 1997-09-25 Exel Oy Hiihtokäsine ja hihtosauva sekä niiden yhdistelmä
DE19751978C2 (de) 1997-11-25 2001-07-05 Klaus Lenhart Handschuh mit integrierter Handschlaufe für Stöcke
DE29906612U1 (de) 1999-04-14 2000-08-24 Lenhart Klaus Stockgriff mit einstellbarer Handschlaufe
FR2795334B1 (fr) * 1999-06-22 2002-10-18 Salomon Sa Baton de ski
US6386588B1 (en) * 2000-02-02 2002-05-14 John Young Ski pole grip and strap system
FI20010126A0 (fi) * 2001-01-22 2001-01-22 Exel Oyj Hiihtosauvan kädensija ja siihen kiinnitetty käsihihna
DE20219461U1 (de) * 2002-12-10 2004-04-22 Lenhart, Klaus Stockgriff mit Handschlaufe
EP1827150B1 (de) 2004-12-23 2017-08-30 Lekisport AG Handhaltevorrichtung insbesondere handschuh zur befestigung an einem stockgriff
AT501619A1 (de) 2005-03-31 2006-10-15 Fischer Gmbh Stockgriff mit schlaufe, insbesondere wanderstock mit einer handschlaufe sowie handschlaufe für einen stockgriff
ITVI20050317A1 (it) * 2005-11-30 2007-06-01 Gabel Srl Gruppo di aggancio e sgancio del passamano alla manopola di un bastoncino per attivita' sportive quali sci, trekking e simili
CH699566A2 (de) 2008-09-25 2010-03-31 Lekisport Ag Stockgriff.
AT507638B1 (de) * 2008-11-19 2011-04-15 Fischer Sports Gmbh Griff mit aufnahmevorrichtung
FR2956011B1 (fr) * 2010-02-05 2015-08-28 Pascal Guidetti Dispositif de liaison d'une poignee d'un baton de marche ou de sport, a un element souple porte par la main d'un utilisateur
RU97904U1 (ru) * 2010-06-08 2010-09-27 Петр Иванович Толкачев Средство дистальной фиксации верхней конечности человека на медицинском или спортивно-тренажерн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варианты)
USD669640S1 (en) * 2012-03-12 2012-10-23 Hillerich & Bradsby Co. Glove with wrist w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8347A1 (en) * 2004-12-23 2010-09-02 Lekisport Ag Pole grip
EP2024042B1 (de) * 2006-05-22 2010-01-13 Lekisport AG Handschlaufe
WO2009006746A1 (de) * 2007-07-12 2009-01-15 Lekisport Ag Handschlaufe für einen st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27A1 (fr) * 2017-12-22 2019-06-26 Decathlon Bâton pour activité sportive
FR3075654A1 (fr) * 2017-12-22 2019-06-28 Decathlon Baton pour activite spor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56481C (en) 2023-09-12
US10064463B2 (en) 2018-09-04
JP2017537231A (ja) 2017-12-14
EP3190920A1 (de) 2017-07-19
JP6842408B2 (ja) 2021-03-17
CN108601431B (zh) 2021-07-13
EP3190920B1 (de) 2019-06-19
RU2017110469A (ru) 2018-10-10
CA2956481A1 (en) 2016-03-17
WO2016037940A1 (de) 2016-03-17
CN108601431A (zh) 2018-09-28
KR102373137B1 (ko) 2022-03-10
RU2017110469A3 (ko) 2019-03-01
US20170231339A1 (en) 2017-08-17
RU2702216C2 (ru)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2568A (ko) 손잡이 루프를 갖는 폴 손잡이
ES2818543T3 (es) Dispositivo de sujeción de mano, en particular guante, para la fijación a un puño de bastón
EP2413725B1 (en) Wrist brace
RU2586827C2 (ru) Складная па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кандинавской ходьбы
US20040178245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carrying position of a rucksack
CA2252460A1 (en) Glove with integrated wrist strap for poles
JP2003518397A (ja) 履物用の強力な緊縛装置
US11872182B2 (en) Crutch
NO309846B1 (no) System for Õ feste en skistav til en skiløpers hÕnd
EP3681458B1 (en) Crutch
JP2021511883A (ja) ポールハンドル
US6637242B2 (en) Handcuff restraint strap
CN110418586A (zh) 手杖柄
US11758998B2 (en) Adjustable mount for backpack
JP7241084B2 (ja) 紐掛けシステムを備えるグローブ
EP2802391B1 (en) A hand strap for a skiing pole or similar
EP2029246A2 (en) Hand strap assembly for a sports pole
KR20220062396A (ko) 우산 케이스
CN116033947A (zh) 轻质结构手柄头
RU2792798C2 (ru) Перчатка со шнуровочной системой
JP2017029462A (ja) 傘と傘保持具
JP3157639U (ja) ヘアバンド付き折りたたみ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