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272A -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272A
KR20170052272A KR1020150154524A KR20150154524A KR20170052272A KR 20170052272 A KR20170052272 A KR 20170052272A KR 1020150154524 A KR1020150154524 A KR 1020150154524A KR 20150154524 A KR20150154524 A KR 20150154524A KR 20170052272 A KR20170052272 A KR 20170052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iofilm
composition
bactericide
hydrogen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567B1 (ko
Inventor
임종현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5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5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A01N29/04Halogen directly attached to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06Nitrogen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필름 제거 및/또는 형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이오필름의 외벽을 약하게 만들어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 우수한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 또는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al of biofilm}
본 발명은 바이오필름 제거 및/또는 형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균이나 진균 등은 물체 표면에 부착하여 바이오필름이라는 집합체를 형성한다. 바이오필름의 점착성은 표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에서 유래한다. 고분자 매트릭스는 다당류와 단백질 등으로 구성되며, 다당류의 수산화기들 사이에 수소결합으로 인해 강하게 밀집되어 있다.
바이오필름은 구강, 피부, 주방, 욕실, 배관 등 다양한 공간에 존재하며, 한번 형성된 바이오필름은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된다. 바이오필름 형성은 표면 물질의 부식, 병원균에 의한 감염 등의 원인이 되며, 구강 내에서는 충치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다당류의 수소결합으로 밀집되어 있는 바이오필름 외부 매트릭스는 화학 살균제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화학 살균제의 작용을 방해한다. 따라서, 바이오필름 제거를 위해 강산/강염기 처리 또는 물리적으로 직접 긁어 내는 방법 등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구강과 같은 인체 바이오필름은 위의 제거 방법을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은 안전성 등의 문제로 바이오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강한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바이오필름 제거에 있어서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제특허 출원번호 PCT-US2012-070949호와 일본특허 출원번호 제2013-158345호는 바이오 필름 제거와 성장 억제를 위한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친환경 소재인 이온성 액체를 통해 바이오필름을 제거하거나 성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보다 인체에 안전한 조성물이라는 장점이 있다. 특별히, 구강 관리용 제품에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활용하면 양치질로 닦여지지 않는 부분까지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10 중량% 수준의 높은 농도의 이온성 액체를 포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는 2종 이상의 물질이 함께 용융되어 녹는점이 낮아진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4가 암모늄염과 수소결합 제공물질(hydrogen bond donor)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302℃의 녹는점을 가지는 염화콜린(choline chloride)과 133℃의 녹는점을 가지는 요소(urea)가 1:2 비율로 섞여 있을 때 두 물질의 혼합물은 12℃의 녹는점을 가져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공융 용매가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향상된 바이오필름의 제거 또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일본특허 출원번호 제2013-158345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을 포함하는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 및 살균제를 함유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또는 제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제거용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을 포함하는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 및 살균제를 함유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alkyl), 아릴(aryl), 알케닐(alkenyl) 및 하이드록시알킬(hydroxyalky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급 암모늄은 베타인(betaine)일 수 있다. 상기 베타인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베타인 무수물, 베타인 수화물, 또는 염산염이나 그 외 물에 용해시켰을 때 베타인을 유리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타인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것이나 합성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이나 유래는 어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상기 4급 암모늄과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카르복실산, 포름산(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소르브산(sorb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산(pimelic acid), 옥살아세트산(oxalacetic acid), 프탈산(phtal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루코론산(glucoronic acid), 글리세르산(glyce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타르트론산(tartronic acid), 하이드록시부틸산(hydroxybutyric acid), 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hydroxypropionic acid), 피부르산(pyruvic acid)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또는 시트르산(citric acid)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젖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4급 암모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와 5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공융 용매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와 5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공융 용매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1 : 0.1 - 5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1 - 3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 - 2.5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융 용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99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바이오필름의 침투 촉진 효능을 발휘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이 효과를 발휘하는 바이오필름은 어떠한 미생물이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인지에 대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잔토모나스(Xanthomona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바실러스(Bacillus) 속이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domonas aeruginosa),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니그레센스(Prevotella nigrescens), 푸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또는 세라티아 마르체센스(Serratia marcescens)가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일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공융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바이오필름의 침투를 촉진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융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의 외벽을 통과하기 어려운 살균제를 바이오필름의 내부로 침투시켜, 이를 통해 상기 살균제의 효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상기 공융 용매는 상기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융 용매는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할 때 용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적용이 용이하며, 바람직하게는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제는 바이오필름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살균제를 의미하며 화학 살균제 및/또는 천연 살균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 살균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 트리클로산(triclosan), 염화세틸피리디듐(Cetylpyridium chloride),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및 오플록사신(ofloxac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학 살균제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살균제는 예를 들어, 후박 추출물, 계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마늘 추출물, 골든씰(goldenseal) 추출물, 겨자 추출물, 티트리(tea tree) 추출물, 타임(thyme) 추출물 및 오레가노(oregano)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천연 살균제일 수 있다.
상기 살균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일 수 있다.
상기 살균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살균효과 발휘가 어려울 수 있으며, 1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인체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젖산(lactic acid)이고, 상기 살균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일 수 있다. 상기 조성을 갖는 조성물은 살균제 단독, 4급 암모늄 단독 또는 젖산 단독의 살균효과보다 상승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공융 용매가 상기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켜 상기 살균제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융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즉, 프라그 생성의 주 원인균,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 치은염 예방 또는 치료, 시린이의 예방 또는 치료, 구취 제거용, 또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감미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기포제 또는 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융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물때 생성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때는 치과용품, 주방용품, 욕실용품, 정수기, 상하수도 배관 또는 세탁기의 세탁조 등의 부위에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물때는 예를 들어, 세라티아 마르체센스(Serratia marcescens),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잔토모나스(Xanthomona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등의 세균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번식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한 결과 생길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균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 또는 제거하여 물때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때 생성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물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또는 제거 방법,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을 포함하는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 및 살균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여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또는 제거용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제품은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용도의 제품이라면 어느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일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제품은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구강용 제품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용 제품으로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고, 구강 청정제, 가글링 제품,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액상, 고상, 현탁액, 젤상,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이오필름의 외벽을 약하게 만들어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 우수한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 또는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각 구성 성분들이 공융 용매를 이룰 때,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공융 용매가 살균제와 함께 사용될 때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살균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1.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융 용매가 바이오필름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제시하는 비교예 및 실시예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공융 용매를 만들기 위하여 베타인과 수소결합 제공물질을 혼합한 후 100℃로 가열하고, 서서히 식힌 후 60℃에서 48시간 건조하였다. 이후 정제수를 이용해 희석하였다.
(단위:중량%) 비교예 실시예
1 2 3 4 5 6 7 1
IPMP (%) - 0.1 - - - 0.1 0.1 0.1
베타인 (%) - - 0.17 - 0.17 0.17 - 0.17
젖산 (%) - - 0.33 0.33 - 0.33 0.33
정제수 (%) 100 99.9 99.83 99.67 99.5 99.73 99.57 99.4
(단위:중량%) 비교예 실시예
1 2 2 3 4
IPMP(%) - 0.1 0.1 0.1 0.1
베타인(%) - - 0.17 0.17 0.17
아세트산(%) - - 0.33 - -
글리콜산 (%) - - - 0.33 -
시트르산 (%) - - - - 0.11
정제수 (%) 100 99.9 99.4 99.4 99.62
상기와 같은 함량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제거에 미치는 공융 용매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2. 바이오필름 모델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비교예 및 실시예 조성물의 바이오필름 제거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바이오필름 모델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을 LB 액체 배지에서 OD600 값이 1.0이 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은 1% 수크로오스(sucrose)를 함유한 BHI 액체 배지에 1:10 비율로 희석한 후, 폴리스티렌 재질의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옮겼다. 이후 72시간 동안 37℃에서 추가 배양하며, 24시간 마다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여 바이오필름 모델을 제조하였다.
3. 실험예 - 바이오필름 살균 능력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비교예 및 실시예 조성물을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바이오필름에 10분간 접촉하도록 처리하였다. 이후 PBS 용액으로 씻어준 후 깨끗한 배지로 다시 채워주고, 사멸한 균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알라마르 블루(Alamar blue) 시약을 처리하였다. 1시간 후 형광 분석을 통해 미생물 사멸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0.1 중량%의 IPMP(이소프로필메틸페놀, Isopropyl methyl phenol)를 포함한 조성물(비교예 2)의 경우 대략 27%의 바이오필름을 사멸시켰다. 반면에 베타인, 젖산, 그리고 베타인과 젖산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물(비교예 3 내지 5)은 바이오필름 살균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IPMP와 베타인 혼합 조성물, IPMP와 젖산 혼합 조성물(비교예 6 및 7)의 경우, IPMP를 포함한 조성물(비교예 2)과 비교하였을 때 살균력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IPMP, 베타인, 젖산(실시예 1)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대략 60% 정도의 우수한 바이오필름 살균력을 가졌다. 즉, 베타인과 젖산이 함께 공융 용매로 만들어져 살균제와 함께 존재할 때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제거 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타인과 젖산의 공융 용매뿐 아니라 베타인과 아세트산, 베타인과 글리콜산, 베타인과 시트르산의 공융 용매도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살균력을 높여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2 내지 4, 도 2).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을 포함하는 공융 용매(eutectic solvent); 및
    살균제를 함유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alkyl), 아릴(aryl), 알케닐(alkenyl) 및 하이드록시알킬(hydroxyalky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은 베타인(beta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카르복실산, 포름산(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소르브산(sorb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피멜산(pimelic acid), 옥살아세트산(oxalacetic acid), 프탈산(phtal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루코론산(glucoronic acid), 글리세르산(glyce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타르트론산(tartronic acid), 하이드록시부틸산(hydroxybutyric acid), 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hydroxypropionic acid), 피부르산(pyruvic acid)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또는 시트르산(cit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 및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1 : 0.1 -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융 용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융 용매는 상기 살균제의 바이오필름 내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 트리클로산(triclosan), 염화세틸피리디듐(Cetylpyridium chloride),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및 오플록사신(ofloxac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살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살균제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제공물질은 젖산(lactic acid)이고, 상기 살균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IPMP, Isopropylmethylphe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프레보텔라(Prevotella) 속,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잔토모나스(Xanthomona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또는 바실러스(Bacillus) 속이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가 형성하는 바이오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의 발생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17. 제1항의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또는 제거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또는 제거용 제품.
KR1020150154524A 2015-11-04 2015-11-04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KR10193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24A KR101932567B1 (ko) 2015-11-04 2015-11-04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24A KR101932567B1 (ko) 2015-11-04 2015-11-04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72A true KR20170052272A (ko) 2017-05-12
KR101932567B1 KR101932567B1 (ko) 2018-12-26

Family

ID=5874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24A KR101932567B1 (ko) 2015-11-04 2015-11-04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377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WO2017164627A3 (ko) * 2016-03-21 2017-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필름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KR101967843B1 (ko) * 2017-11-22 2019-04-10 안승비 Frp 조형물의 항균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frp 조형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961B1 (en) * 2001-11-30 2003-07-01 Richard F. Stockel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090023577A (ko) * 2006-06-23 2009-03-0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함유 액체 구강용 조성물
JP2010270045A (ja) * 2009-05-20 2010-12-02 Lion Corp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3057026A (ja) * 2011-09-09 2013-03-28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961B1 (en) * 2001-11-30 2003-07-01 Richard F. Stockel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090023577A (ko) * 2006-06-23 2009-03-0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함유 액체 구강용 조성물
JP2010270045A (ja) * 2009-05-20 2010-12-02 Lion Corp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3057026A (ja) * 2011-09-09 2013-03-28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377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WO2017164627A3 (ko) * 2016-03-21 2017-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필름 억제 또는 제거용 조성물
KR101967843B1 (ko) * 2017-11-22 2019-04-10 안승비 Frp 조형물의 항균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frp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567B1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5081B1 (en) Hydrogen peroxide-based skin disinfectant
US20050048005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for dental applications
US20030139307A1 (en) Sanitizing hand cleanser
JPH0660085B2 (ja) 消毒製剤および殺菌洗浄製剤の賦活剤としてのアルキルグリコシドの用途
JPS61501495A (ja) 消毒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3968131B2 (ja) 抗菌製剤
KR101932567B1 (ko)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JP3803695B2 (ja) 抗菌製剤
JP3717960B2 (ja) 抗菌製剤
JP5853387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該組成物へ成分を安定化配合する方法
JP5493731B2 (ja) 歯磨剤組成物
EP3071299B1 (en) Tooth varnis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WO2009020010A1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カチオン性殺菌剤の殺菌力向上方法
KR20140131631A (ko) 위암을 일으키는 헬리코 박터균 제거와 심장병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니균제거를 위한 매스틱유와 몰약이 함유된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2278A (ko) 바이오필름 제거용 구강 조성물
KR101900944B1 (ko) 바이오필름 생성억제 및 제거용 조성물
EP2898775B1 (en) Alcohol-based disinfectant
Nasila et al. A review on cetylpyridinium chloride
CN111346124A (zh) 一种皮肤消毒清洁液的配方及其制备方法
JP2019119725A (ja) 撥菌性組成物、撥菌性コーティング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撥菌性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物品
JP6795839B2 (ja) バイオフィルム抑制剤
KR101978828B1 (ko) 바이오필름 제거용 조성물
JP2007008843A (ja)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の変色を防止する方法
KR20070119970A (ko) 나노 은이 함유된 손 소독제
KR20080049158A (ko) 칫솔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