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216A -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216A
KR20170052216A KR1020150154402A KR20150154402A KR20170052216A KR 20170052216 A KR20170052216 A KR 20170052216A KR 1020150154402 A KR1020150154402 A KR 1020150154402A KR 20150154402 A KR20150154402 A KR 20150154402A KR 20170052216 A KR20170052216 A KR 20170052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ing
air
waste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준
방수련
방의석
Original Assignee
박원준
방의석
방수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준, 방의석, 방수련 filed Critical 박원준
Priority to KR102015015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216A/ko
Publication of KR2017005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의 피복을 분리하여 구리선을 추출하기 위한 피복용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진동이 없이도 용이하게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안전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연결고리를 순환되게 회전시키는 이송부를 통해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멈춤이 없이 지속적으로 수용함을 탈부착하여 피복이 용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전선의 피복 분리가 가능하고, 폐전선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는 발열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분리유가 수용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와, 내부에 폐전선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부 외부에서 상기 이송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이송부의 회전에 의해 가열된 상기 분리유 내에 잠긴 상태로 일정시간 이동하여 상기 폐전선의 피복을 액상으로 용융하고, 상기 가열부 외부로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분리유(O/T)에 침수되도록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유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그 압력에 의해 액상으로 용융된 상기 폐전선의 피복을 상기 수용부재 외부로 이탈시키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A REMOVAL APPARATUS OF ELECTRIC WIRE COVERING}
본 발명은 폐전선의 피복을 분리하여 구리선을 추출하기 위한 피복용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진동이 없이도 용이하게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안전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연결고리를 순환되게 회전시키는 이송부를 통해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멈춤이 없이 지속적으로 수용함을 탈부착하여 피복이 용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전선의 피복 분리가 가능하고, 폐전선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나선(裸線) 형태로 사용할 경우, 사람이 통행하거나 작업 중에 전선에 접촉하게 되면 감전 재해를 당할 수밖에 없으므로, 절연물로 피복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의 피복을 위한 소재로는 안전 성능과 사용 수명 등을 고려하여 전기절연성과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데, 그 예로는 폴리염화비닐(PVC)이 가장 대표적이며, 그 밖에 폴리에틸렌(PE), 불소수지, 브틸고무, 클로로플렌 합성고무, 규소고무, 가교폴레에틸렌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전선의 제조 과정이나 배선 시공 과정에서는 자투리 전선과 같은 폐전선이 발생하게 되고, 수용가 측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노후화된 폐전선도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폐전선을 단순히 소각하거나 매립 처리하기보다는 전선을 구성하는 구리와 피복재를 서로 분리하고, 이들을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분리 회수된 구리는 다시 전선 제조공정에 투입하거나 다른 용도의 소재로 활용하게 되고, 피복재는 용융 후 칩으로 제조하여 재활용하기도 한다.
종래에 폐전선으로부터 피복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폐전선을 소각하는 소각법이 사용되었는데, 이 방법은 폐전선의 소각시 피복재가 연소하면서 열분해됨에 따라 유독성 염소가스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불완전 연소로 인해 그을음이 발생함으로써 심각한 대기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또, 화학적 처리 방법에 의해 폐전선의 피복을 분리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제를 이용한 염화비닐 폐전선의 회수처리방법』에서는, 폐전선을 용제로 처리하여 구리선을 먼저 얻어내고, 용해된 염화비닐수지를 용제로부터 원심분리하여 수지케이크로 만든 다음 이를 가공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용제를 이용하여 피복재인 염화비닐수지를 용해시켜야 하기 때문에 화학적인 부산물로 인해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폐전선 피복분리장치』는, 폐전선을 압착시켜 피복층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 상태에서 피복 용해액을 통과하도록 하고, 다시 반복적으로 압착하여 피복층에 더 깊은 균열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피복 용해액을 분사시켜 피복층이 분리되도록 한 다음, 구리선을 압착·분쇄하여 수거하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열된 유체에 폐전선을 인입하여 진동에 의해 피복을 분리하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복 용해액을 사용하여 피복재를 용해시키고 있기 때문에, 피복재의 용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독 가스와 화학적 부산물로 인해 대기 및 수질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진동을 발생시에 가열된 기름이 넘치거나 외부로 튀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폐전선으로부터 피복재를 분리함에 있어서 대기 및 수질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진동이 없이도 피복의 분리가 용이하고, 공정 관리가 용이한 폐전선의 피복 분리 장치 및 피복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는 발열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분리유가 수용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와, 내부에 폐전선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부 외부에서 상기 이송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이송부의 회전에 의해 가열된 상기 분리유 내에 잠긴 상태로 일정시간 이동하여 상기 폐전선의 피복을 액상으로 용융하고, 상기 가열부 외부로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분리유에 침수되도록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유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그 압력에 의해 액상으로 용융된 상기 폐전선의 피복을 상기 수용부재 외부로 이탈시키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분리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이 설치되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상기 폐전선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부재 및 상기 폐전선을 용융시에 상기 수용부재 외부로 이탈하여 상기 가열로 하부로 자유 낙하하는 액상의 피복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집하는 수집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로 바닥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수집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 내로 유입되는 액상의 피복이 상기 수집부재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재는 상기 가열로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수집하여 상부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덮개루프 및 상기 덮개루프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가열로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가열로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상기 덮개루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부재 및 상기 가열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전선이 구비된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분리유에 잠기거나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재는 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가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수직바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마주보도록 고정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 양끝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기어와, 상기 수직바 또는 상기 수평바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모터와, 상부가 상기 수평바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수평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이 설치되는 보조수직바 및 양측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보조수직바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지지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보조수평바를 포함하며, 띠 형상의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이송기어와 상기 지지롤러와 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슬러지제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제거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슬러지제거모터와, 상부는 상기 슬러지제거모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는 상기 가열부 내에 삽입되도록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와,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상기 컨베이어 외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부 내에 존재하는 액상의 피복을 담아내어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함 및 상기 컨베이어(232) 상부와 이웃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러지함에 담겨진 액상을 피복을 수집하는 슬러지수집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에 상기 폐전선이 수용되며, 하부에는 그물망이 설치된 개구부가 천공형성되고, 상부에는 돌출편이 돌출형성된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함을 개폐하며, 상기 그물망이 설치된 개방공이 천공형성된 도어 및 하부가 상기 돌출편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관통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이송부와 결합하여 상기 이송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함이 상기 가열부를 이동 또는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는 제1노즐 방향이 상기 분리유에 잠긴 상태의 상기 수용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는 제1에어관 및 제2노즐 방향이 상기 분리유에 잠긴 상태의 상기 수용부재 하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에 설치되는 제2에어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분리유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시에 버블(bubble)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되 수직방향으로 서로 바주보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분리유에서 부상(浮上)한 상기 수용부재에 묻은 상기 분리유를 분리하여 다시 상기 가열부에 재수용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에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에어관은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며, 제3노즐 방향이 상기 분리유에서 부상(浮上)한 상기 수용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3에어관 및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제3에어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재에서 분리된 상기 분리유를 수집하여 상기 가열부로 안내하는 재수집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별도의 진동이 없이도 용이하게 폐전선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안전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연결고리를 순환되게 회전시키는 이송부를 통해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멈춤이 없이 지속적으로 수용함을 탈부착하여 피복이 용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전선의 피복 분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폐전선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용제를 이용한 염화비닐 폐전선의 회수처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폐전선 피복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가열부 및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가열로 및 가스배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가열로에 에어공급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이송부와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대한 이송모터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슬러지제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15는 도 14에 대한 작용관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작용관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의 수집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이하, 간략하게 '피복용융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분리유는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절연유(insulating oil)를 의미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복용융장치(1)는 크게 가열부(100), 이송부(200), 수용부재(300) 및 에어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아울러 하기에 설명하는 피복용융장치(1)는 제어부(5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500)는 일반적인 회로와 스위치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열부(1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300)에 수용된 폐전선(W)을 가열된 분리유(O/T)의 온도에 의해 피복을 액상으로 용융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공급부(400)를 통해 피복과 구리선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열로(110), 가스배출부재(120) 및 수집부재(130)를 포함한다.
예컨대 가열로(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재질은 발열수단(H)에 의해 가열된 분리유(O/T)의 고온에도 견디는 내구성이 강한 돌이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가열로(110) 하부에는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분리유(O/T)의 배출이나 주입 등이 가능한 개폐밸브(115)가 설치되어 분리유(O/T)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로(110) 상부에는 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되어 분리유(O/T)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수용공간부(111)의 바람직한 형상은 평면이 직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수용부재(300)가 일정시간 동안 분리유(O/T)에 잠겨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열로(110) 외면에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수단(H) 즉, 히터봉이 삽입되는 히터삽입공(112)이 수용공간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분리유(O/T)가 히터봉의 발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히터봉 또는 가열된 분리유(O/T)의 온도 등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한 온도센서에 의해 과열 또는 발열하는 히터봉의 동작을 제어하여 분리유(O/T)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 예로 피복을 분리하고자 하는 폐전선(W)의 외경이 2~4mm 이내인 경우에 분리유(O/T)의 온도는 약 600~800℃의 온도를 갖도록 하며, 그 적정온도를 기준으로 수용함(310)에 수용된 폐전선(W)은 약 6~8분 동안 분리유(O/T)에 잠겨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열로(110)에는 제2에어관(413)이 삽입되는 에어삽입관(113)이 수용공간부(111)와 연통되게 관통삽입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2에어관(413)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가열로(110) 바닥면 일측에는 수집부재(130)가 위치하는 안착홈(116)이 형성되어 분리유(O/T)에 잠겨 이동하는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하는 액상의 피복이 안착홈(116)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홈(116)을 제외한 가열로(110)의 바닥면 또는 내면은 수용함(310)에서 이탈하는 액상의 피복이 안착홈(116)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히터삽입공(112)을 통해 분리유(O/T)가 수용된 수용공간부(111) 내부로 인입된 발열수단(H)은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하는 액상의 피복이 발열수단(H) 외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판(114)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114) 상부로 낙하하는 액상의 피복이 용이하게 가열로(110) 바닥면이나 안착홈(116)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가열로(110) 하부에는 상기 가열로(110)의 이동이나 본 발명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다른 구성품(에어탱크, 캐스터 및 소모품 등)들을 수납할 수 있는 베이스(1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베이스(140)는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의 수직/수평프레임들 및 설치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본 발명인 피복용융장치(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스배출부재(120)는 가열된 분리유(O/T)에 의해 폐전선(W)의 피복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덮개루프(121) 및 가이드몸체(123)를 포함한다.
덮개루프(121)는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열로(110) 상부에 설치되어 폐전선(W)이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덮개루프(121)의 개방된 하부는 적어도 개방된 가열로(110) 상부 즉, 수용공간부(111) 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열로(110)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가열로(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덮개루프(121) 상부에는 관 형상의 배출관(122)이 천공형성되어 덮개루프(121) 내부에 수집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배출관(122)은 별도의 덕트(미도시)와 관 연결되어 유해가스가 외부(작업장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하는 유해가스는 정화시설에 의해 인체에 무해한 가스로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방법은 근래에는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에 본 발명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몸체(123)는 가열로(110) 상부에 설치된 덮개루프(121)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가열로(110)와 덮개루프(121) 간의 양측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여 모든 유해가스가 덮개루프(121)에 수집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가이드몸체(123) 외면에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가열로(110) 내에서 용융되는 폐전선(W)의 작업상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감시창(12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부재(130)는 가열된 분리유(O/T) 내에서 이동하는 수용함(310) 내에서 이탈하여 안착홈(116)에 수집된 액상의 피복이 후술하는 슬러지제거부재(230)를 통해 가열로(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크류(131) 및 스크류모터(132)를 포함한다.
스크류(131)는 안착홈(116)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스크류모터(1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안착홈(116) 내에 전체적으로 수집된 액상의 피복이 일 방향으로 즉, 슬러지제거부재(2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트위스터(twister) 형상의 날개가 돌출형성된다.
스크류모터(132)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베이스(140)에 고정설치되며, 가열로(110) 외부로 돌출형성된 스크류(131) 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수집부재(130)는 가열로(110)의 기울어진 바닥면을 통해 안착홈(116)으로 수집된 액상의 피복을 스크류(131)의 회전을 통해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러지제거부재(230)에 의해 가열로(110) 외부로 걷어낼 수 있게 설명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131)가 아닌, 안착홈(116)에 수집된 액상의 피복을 스크류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팬벨트(133)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밀판(134)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부(20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수용부재(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폐전선(W)이 가열된 분리유(O/T)에 잠기거나 분리유(O/T) 상부로 부상(浮上)할 수 있게 수용부재(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벨트부재(210), 회전부재(220) 및 슬러지제거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벨트부재(210)는 전체적으로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고리(330)를 통해 수용함(310)이 벨트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가열된 분리유(O/T) 내에 잠긴 상태로 수용공간부(111)를 이동하거나 분리유(O/T)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벨트부재(210)는 회전하는 이송기어(224)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벨트부재(21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로프 또는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20)는 수용함(310)이 연결된 벨트부재(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바(221), 수평바(222), 이송기어(224), 보조수직바(225) 및 보조수평바(226)를 포함한다.
수직바(221)는 가열로(1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을 갖는 가열로(110) 상부의 각 모서리부와 근접하게 다수가 설치되어 한 쌍의 수평바(2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도 3 참조)
수평바(222)는 가열로(110) 상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1)의 면적 중앙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수직바(221)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수평바(222)는 이송기어(224)에 의해 벨트부재(210)가 용이하게 가열로(110)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연결바(223)에 의해 그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바(221)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열로(110) 상부에 설치된 수직바(221) 또는 수평바(222)는 상술한 덮개루프(121)와 가이드몸체(123)에 감싸지도록 설치되어 이송부(200)의 설치에 의해 유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평바(222)의 길이는 적어도 가열로(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작업자에 의해 수용함(3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복용융장치(1)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작업자가 그룹으로 편성되며, 한 명은 가열로(110) 선단에 위치하여 폐전선(W)이 수용된 수용함(310)을 벨트부재(210)에 결합하고, 다른 한 명은 가열로(110) 후단에 위치하여 피복이 분리되어 구리선만 존재하는 수용함(310)을 벨트부재(2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수평바(222)의 길이는 가열로(11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다.(도 4 및 도 16 참조)
이송기어(22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바(222)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하며, 벨트부재(210)와 서로 치(齒) 결합하고, 수평바(222) 양측에 설치된 이송기어(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송모터(228)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부재(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조수직바(225)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의 수평바(222) 하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다. 이때, 보조수직바(225)의 수직길이는 회전부재(220)가 회전시에 수용함(310)이 가열된 분리유(O/T)에 잠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수평바(226)는 수평바(222)에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보조수직바(225)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지지롤러(22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부재(210)의 쳐짐을 방지한다. 이때, 보조수평바(226)의 수평길이는 적어도 가열된 분리유(O/T)에 잠긴 상태로 이동하여 수용함(310) 내부의 피복이 액상으로 용융되어 에어공급부(400)에 의해 상기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 시간(약 6~8분)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롤러(227)는 벨트부재(2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폐전선(W)이 구비된 수용함(310)의 무게 등에 의해 벨트부재(210)가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수용공간부(111) 내에서 수용함(310)이 이동시에 제1 및 제2노즐(414)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상술한 회전부재(22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부재(210)가 상부보다 하부길이가 더 짧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벨트부재(210)를 따라 이동하는 수용함(310)이 초기에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분리유(O/T) 일측 상부에 위치하다가 하강하여 분리유(O/T) 내에 잠긴 상태로 수용공간부(111) 내에서 일정거리 이동한 후, 다시 분리유(O/T) 타측 상부로 부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러지제거부재(230)는 스크류(131)의 회전에 의해 안착홈(116) 일 방향으로 이동된 액상의 피복을 걷어내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슬러지제거모터(231), 컨베이어(232), 슬러지함(233) 및 슬러지수집함(235)을 포함한다.
슬러지제거모터(231)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수직바(221) 또는 베이스(140) 등에 고정설치되며, 컨베이어(232) 상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러지함(233)이 컨베이어(2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컨베이어(232)는 전체적으로 띠 형상을 갖도록 수직바(221)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슬러지제거모터(231)에 의해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스크류(131)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수집된 액상의 피복을 슬러지함(233)에 의해 걷어낼 수 있도록 안착홈(116) 내에 삽입된다. 이때, 컨베이어(232)는 슬러지함(233)에 담아진 액상의 피복이 컨베이어(232)가 회전시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담아내어 슬러지수집함(235)에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함(233)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가 컨베이어(232)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컨베이어(232)의 회전에 따라 안착홈(116) 내부에 수집된 액상의 피복을 퍼내어 슬러지수집함(235)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출한다. 이때, 슬러지수집함(235)은 액상의 피복을 퍼내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분리유(O/T)가 함께 담아져 슬러지수집함(235)에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러지수집함(235) 외면에는 액상의 피복과 함께 담아진 분리유(O/T)를 다시 가열로(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234)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출공(234)을 통해 슬러지수집함(235) 외부로 배출된 분리유(O/T)는 따로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다시 가열로(11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슬러지수집함(235)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컨베이어(232) 상부와 이웃하게 수직바(221) 등에 고정설치되며, 회전하는 컨베이어(232)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함(233)에 수용된 액상의 피복이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공정단계를 거쳐 파이프 등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을 제거하여 구리선을 추출하고자 하는 폐전선(W)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함(310), 도어(320) 및 연결고리(330)를 포함한다.
수용함(310)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후술하는 도어(320)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하부에는 분리유(O/T) 내에서 제2에어관(413)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수용함(3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함(310)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연결고리(330)가 관통삽입되어 회전하는 벨트부재(210)에 의해 수용함(3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편(312)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돌출편(312) 상부에는 연결고리(330)가 삽입되는 삽입공(313)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삽입공(313)의 내경은 삽입되는 연결고리(330)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되어 수용함(310)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용함(310)이 가열로(110) 내에 수용된 분리유(O/T)에 잠길 수 있도록 하강한 이후에 수용공간부(111) 길이방향으로 일정시간 이동하여 상기 분리유(O/T) 상부로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상승하여도 중력에 의해 항시 수평방향으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32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수용함(3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경첩에 의해 수용함(310)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어(320)에는 수용함(310)에 형성된 개구부(311)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개방공(321)이 천공형성되어 분리유(O/T) 내에서 제1에어관(411)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수용함(3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개구부(311)와 개방공(321)에는 각각 액상의 피복은 빠져나가되 구리선은 이탈하지 않도록 그물망(M)이 설치되어 가열된 분리유(O/T)에 의해 액상으로 용융된 피복만 수용함(310) 외부로 배출되고, 구리선은 수용함(310) 내부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고리(33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는 삽입공(313)에 관통삽입되는 후크(Hook)가 형성되고, 상부는 벨트부재(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벨트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수용함(310)이 분리유(O/T)에 잠기거나 부상(浮上) 하도록 승강시키는 것은 물론, 분리유(O/T)에 잠긴 상태로 수용함(310)이 수용공간부(1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고리(330)는 항시 벨트부재(210) 외면에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여 이송부(200) 양측에 각각 배치하는 작업자에 의해 수용함(310)과 연결고리(330) 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부(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된 분리유(O/T) 내에 잠겨 수용공간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수용함(310)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폐전선(W)의 피복이 액상으로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되어 안착홈(116)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에어관(411), 제2에어관(413) 및 보조에어관(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에어관(411)은 수용공간부(111)와 근접하게 가열로(110)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제1노즐(412)에 의해 가열된 분리유(O/T)에 잠겨 이동하는 수용함(310) 내부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노즐(412)은 수용공간부(111)의 면적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수용함(310)의 위치에 상관없이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아울러 제1노즐(412)은 분사되는 에어가 버블(bubble) 형태로 수용함(310) 내부에 분사되어 그 압력에 의해 피복이 벗겨질 수 있게 분리유(O/T) 내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도어(320)에 형성된 개방공(321)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수용함(3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에어관(413)은 가열로(110)에 삽입설치된 에어삽입관(113)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공간부(1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제2노즐(414)에 의해 가열된 분리유(O/T)에 잠겨 이동하는 수용함(310) 내부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노즐(414)은 수용공간부(111)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 수용함(31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에어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아울러 제1노즐(412)은 분사되는 에어가 버블(bubble) 형태로 수용함(310) 내부에 분사되어 그 압력에 의해 피복이 벗겨질 수 있게 분리유(O/T) 내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수용함(310)에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311)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수용함(3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2에어관(413)은 가열로(110)에 관통삽입되기 보단 에어삽입관(113)을 통해 수용공간부(1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에어관(413)의 교체가 요구시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에어관(413)이 가열로(110)에 직접적으로 관통삽입되면 분리유(O/T)의 외부누출을 막기 위해 제2에어관(413)과 가열로(110)를 일체로 형성해야 하여 제2에어관(413)의 교체가 요구시에 가열로(110) 자체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하여, 가열로(110)에 별도의 에어삽입관(113)을 형성하고, 그 에어삽입관(113)을 통해 제2에어관(413)을 삽입하여 밀폐하게 되면 가열로(110)의 손상이 없이도 제2에어관(413)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보조에어관(420)은 분리유(O/T) 상부로 부상한 수용함(310) 즉, 폐전선(W)의 피복이 분리되어 구리선만 존재하는 수용함(310)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그 수용함(310) 외면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분리유(O/T)를 압력에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3에어관(421) 및 재수집함(423)을 포함한다.
제3에어관(421)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게 수평바(222)와 가열로(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바(221)에 고정설치되며, 설치시에 분리유(O/T)에서 부상한 수용함(310)이 제3에어관(421)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3에어관(421)에 형성된 제3노즐(422)은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수용함(310)에 존재하는 분리유(O/T)가 분리되어 후술하는 재수집함(423)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수집함(423)은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3노즐(422) 하부에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설치되어 제3노즐(422)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수용함(310)에 존재하는 분리유(O/T)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복용융장치의 작동순서 및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가열로(110)에 수용된 분리유(O/T)는 발열수단(H)에 의해 일정온도를 갖도록 가열된 상태에서 설명되는 것에 유의한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10) 일측에 대기하는 작업자는 폐전선(W)이 구비된 수용함(310)을 벨트부재(210)에 설치된 연결고리(330)에 걸어 폐전선(W)의 피복을 용융시킬 준비를 마련한다.
그 다음,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이송모터(228)를 작동하여 벨트부재(210)를 회전시켜 수용함(310)이 분리유(O/T) 일측 상부에서 이동과 동시에 상기 분리유(O/T) 내에 잠겨 수용공간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이동한 이후, 다시 상기 분리유(O/T) 타측 상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용융하고자 하는 폐전선(W)의 외경에 따라 즉, 피복의 두께에 따라 이송모터(228)의 회전속도(RPM)을 조절하여 분리유(O/T)에 잠긴 폐전선(W)의 피복이 충분히 용융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함(310)이 분리유(O/T)에 잠긴 시점부터 제어부(500)는 제1 및 제2에어관(413)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분리유(O/T) 내에 잠긴 수용함(310)의 상/하부에 각각 고압의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된 분리유(O/T)에 의해 용융된 액상의 피복이 그 압력에 의해 분리되어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수용함(310) 외부로 이탈한 액상의 피복은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가열로(110) 바닥면을 따라 안착홈(116) 내부로 수집되고, 수집된 액상의 피복은 스크류(131)의 회전에 의해 안착홈(116) 내에 일 방향으로 모여져 슬러지제거부재(2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폐전선(W)의 용융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덮개루프(121)에 수집되어 송풍모터의 흡입력을 갖는 외부덕트와 연결된 배출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다음, 분리유(O/T) 타측 상부로 부상한 수용함(310) 외면에 제3에어관(421)을 통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가 제어하여 상기 수용함(310) 외면은 무론, 내부에 묻은 분리유(O/T)가 그 압력에 의해 분리되어 재수집함(423)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재수집함(423)에 수집된 분리유(O/T)는 별도의 유관을 통해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분리유(O/T)에 재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가열로(110) 타측에 위치한 작업자는 연결고리(330)에서 수용함(310)을 분리하여 구리선을 별도로 수집한다. 이때, 수용함(310)이 분리된 연결고리(330)는 벨트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다시 가열로(110)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른 수용함(3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피복용융장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별도의 진동이 없이도 용이하게 폐전선(W)의 피복과 구리선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안전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연결고리(330)를 순환되게 회전시키는 이송부(200)를 통해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멈춤이 없이 지속적으로 수용함(310)을 탈부착하여 피복이 용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전선(W)의 피복 분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폐전선(W)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100: 가열부 110: 가열로
111: 수용공간부 112: 히터삽입공
113: 에어삽입관 114: 차단판
115: 개폐밸브 116: 안착홈
120: 가스배출부재 121: 덮개루프
122: 배출관 123: 가이드몸체
124: 감시창 130: 수집부재
131: 스크류 132: 스크류모터
140: 베이스 200: 이송부
210: 벨트부재 220: 회전부재
221: 수직바 222: 수평바
223: 연결바 224: 이송기어
225: 보조수직바 226: 보조수평바
227: 지지롤러 228: 이송모터
230: 슬러지제거부재 231: 슬러지제거모터
232: 컨베이어 233: 슬러지함
234: 배출공 235: 슬러지수집함
300: 수용부재 310: 수용함
311: 개구부 312: 돌출편
313: 삽입공 320: 도어
321: 개방공 330: 연결고리
400: 에어공급부 411: 제1에어관
412: 제1노즐 413: 제2에어관
414: 제2노즐 420: 보조에어관
421: 제3에어관 422: 제3노즐
423: 재수집함 500: 제어부
H: 발열수단 O/T: 분리유
W: 폐전선 M: 그물망

Claims (10)

  1. 발열수단(H)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분리유(O/T)가 수용되는 가열부(100);
    상기 가열부(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200);
    내부에 폐전선(W)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부(100) 외부에서 상기 이송부(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이송부(200)의 회전에 의해 가열된 상기 분리유(O/T) 내에 잠긴 상태로 일정시간 이동하여 상기 폐전선(W)의 피복을 액상으로 용융하고, 상기 가열부(100) 외부로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용부재(300); 및
    상기 분리유(O/T)에 침수되도록 상기 가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유(O/T)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수용부재(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그 압력에 의해 액상으로 용융된 상기 폐전선(W)의 피복을 상기 수용부재(300) 외부로 이탈시키는 에어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00)는
    상기 분리유(O/T)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H)이 설치되는 가열로(110);
    상기 가열로(11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용부재(300)에 수용된 상기 폐전선(W)을 용융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부재(120); 및
    상기 폐전선(W)을 용융시에 상기 수용부재(300) 외부로 이탈하여 상기 가열로(110) 하부로 자유 낙하하는 액상의 피복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집하는 수집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110) 바닥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수집부재(1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116)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6) 내로 유입되는 액상의 피복이 상기 수집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120)는
    상기 가열로(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로(11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수집하여 상부에 설치된 배출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덮개루프(121); 및
    상기 덮개루프(121)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가열로(110)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110)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가열로(110)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상기 덮개루프(1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몸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부재(210); 및
    상기 가열부(10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전선(W)이 구비된 상기 수용부재(300)가 상기 분리유(O/T)에 잠기거나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부재(2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20);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재(210)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20)는
    상기 가열부(10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수직바(221);
    상기 가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수직바(221)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마주보도록 고정설치되는 수평바(222);
    상기 수평바(222) 양끝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기어(224);
    상기 수직바(221) 또는 상기 수평바(222)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어(224)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송모터(228);
    상부가 상기 수평바(222)에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수평바(222)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이 설치되는 보조수직바(225); 및
    양측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보조수직바(225)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지지롤러(227)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보조수평바(226);를 포함하며,
    띠 형상의 상기 벨트부재(210)는 상기 이송기어(224)와 상기 지지롤러(227)와 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터(22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슬러지제거부재(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제거부재(230)는
    상기 회전부재(220)에 설치되는 슬러지제거모터(231);
    상부는 상기 슬러지제거모터(2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는 상기 가열부(100) 내에 삽입되도록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232);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상기 컨베이어(232) 외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부(100) 내에 존재하는 액상의 피복을 담아내어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함(233); 및
    상기 컨베이어(232) 상부와 이웃하게 상기 회전부재(22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러지함(233)에 담겨진 액상을 피복을 수집하는 슬러지수집함(2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300)는
    내부에 상기 폐전선(W)이 수용되며, 하부에는 그물망(M)이 설치된 개구부(311)가 천공형성되고, 상부에는 돌출편(312)이 돌출형성된 수용함(310);
    상기 수용함(31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함(310)을 개폐하며, 상기 그물망(M)이 설치된 개방공(321)이 천공형성된 도어(320) 및
    하부가 상기 돌출편(312)에 천공형성된 삽입공(313)에 관통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이송부(200)와 결합하여 상기 이송부(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함(310)이 상기 가열부(100)를 이동 또는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고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400)는
    제1노즐(412) 방향이 상기 분리유(O/T)에 잠긴 상태의 상기 수용부재(300) 상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100)에 설치되는 제1에어관(411); 및
    제2노즐(414) 방향이 상기 분리유(O/T)에 잠긴 상태의 상기 수용부재(300) 하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부(100)에 설치되는 제2에어관(4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412) 및 상기 제2노즐(414)은 상기 분리유(O/T)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시에 버블(bubble)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되 수직방향으로 서로 바주보지 않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400)는
    상기 분리유(O/T)에서 부상(浮上)한 상기 수용부재(300)에 묻은 상기 분리유(O/T)를 분리하여 다시 상기 가열부(100)에 재수용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에어관(4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에어관(420)은
    상기 가열부(100) 또는 상기 이송부(200)에 설치되며, 제3노즐(422) 방향이 상기 분리유(O/T)에서 부상(浮上)한 상기 수용부재(300) 상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3에어관(421); 및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제3에어관(421)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재(300)에서 분리된 상기 분리유(O/T)를 수집하여 상기 가열부(100)로 안내하는 재수집함(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KR1020150154402A 2015-11-04 2015-11-04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KR20170052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02A KR20170052216A (ko) 2015-11-04 2015-11-04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02A KR20170052216A (ko) 2015-11-04 2015-11-04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16A true KR20170052216A (ko) 2017-05-12

Family

ID=5874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02A KR20170052216A (ko) 2015-11-04 2015-11-04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2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462A (zh) * 2021-07-22 2021-11-05 韦金娟 一种新能源汽车线路外皮用的切碎融化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462A (zh) * 2021-07-22 2021-11-05 韦金娟 一种新能源汽车线路外皮用的切碎融化设备
CN113611462B (zh) * 2021-07-22 2023-01-17 周进 一种新能源汽车线路外皮用的切碎融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24304A (zh) 一种具有快速前置清洗烘干功能的电镀生产线系统
US20140014589A1 (en) Method for cleaning drilling fluid in rock sampling drilling and a cleaning unit
CN104357869A (zh) 具有清洗水吹干功能的带钢清洗装置
KR20170052216A (ko) 가느다란 굵기를 갖는 폐전선의 구리선 분리가 용이한 피복분리장치
KR20240003852A (ko) 작업자 보호를 위한 사용후 배터리 해체 작업 테이블
KR101759242B1 (ko)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CN107366025A (zh) 一种蚕茧蒸煮装置
CN110721560A (zh) 废气收集处理装置及工件清洗系统
CN114976331A (zh) 一种事故动力电池包的安全拆解系统及方法
CN211848130U (zh) 一种mocvd反应室粉尘清理装置
KR20180000578A (ko) 폐전선 재활용장치
KR101499313B1 (ko) 폐전선의 구리 회수 장치
KR101382923B1 (ko) 가열로 추출구의 스케일 제거장치
KR20130032768A (ko) 폐전선 및 광케이블에 혼용된 절연재의 제거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102462598B1 (ko) 파쇄 전선 구리 회수 및 회수금속 오염 제거 장치
WO2016052903A1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32767A (ko) 폐 전선 및 폐 광케이블에 내재된 절연재의 추출 및 회수 장치와 방법
WO2017155183A1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JP3003397U (ja) 密封式遠心分離撹拌洗浄装置
KR100870761B1 (ko) 아연 회수율이 우수한 리커버리 장치
KR101317122B1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폐통신선 분리 회수 장치
CN212068294U (zh) 废气收集处理装置及工件清洗系统
JP7243776B2 (ja) メッシュ体洗浄装置、及びメッシュ体の洗浄方法
CN215823012U (zh) 一种固料融化装置
KR101445090B1 (ko) 노저 출선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물을 드레인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