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039A -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039A
KR20170052039A KR1020150153943A KR20150153943A KR20170052039A KR 20170052039 A KR20170052039 A KR 20170052039A KR 1020150153943 A KR1020150153943 A KR 1020150153943A KR 20150153943 A KR20150153943 A KR 20150153943A KR 20170052039 A KR20170052039 A KR 2017005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layer
electrode assembly
pattern
cell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399B1 (ko
Inventor
박영선
김혁
윤성현
박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3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96Pressing, rolling,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및 음극 전극 층 상부 각각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패턴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패턴막을 교차 접합시킴으로써 막-전극 접합체에 수분 저장 공간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러한 수분 저장 공간에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되는 수분을 저장하여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Fuel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및 음극 전극 층 상부 각각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패턴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패턴막을 교차 접합시킴으로써 막-전극 접합체에 수분 저장 공간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러한 수분 저장 공간에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되는 수분을 저장하여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석유, 석탄 등)은 비순환 자원으로 점점 고갈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순환 자원(태양열, 수력, 풍력, 지열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중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사용되는 연료가 풍부하며 고효율을 자랑하는 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음극에 수소를 공급하고 양극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수소와 산소가 물로 변하는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의 에너지 변화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해 주는 장치이다. 종래 연료 전지는 물을 전기분해 하여 수소와 산소를 공급함으로 끊임없이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소와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 장치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6783호는 고분자 전해질 막에 촉매층을 형성하고, 전극 기재에 가교 결합 고분자층을 형성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막과 전극간의 계면 접착력 및 전극내 촉매층과 전극기재와의 계면 접착력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9721호는 스템퍼, 스크린 프린터용 망 또는 열간 롤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여, 반응계면인 3상계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연료전지의 성능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2368호는 음극 상에 고체 전해질 박막 형성용 슬러리 조성물을 분무 코팅하여 고체 전해질 박막을 음극 상에 증착시키므로, 전극의 한 쪽 표면에 막 용액을 도포하여 막 필름을 전극의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는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 연료 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즉,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되는 부산물인 수분의 처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또한, 선행 기술은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고, 고분자 전해질 막과 양극 및 음극 층을 고온 압축하여 전사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한다. 따라서, 고온 압축에 의해 양극 및 음극 층과 고분자 전해질 막 사이 전사가 완전히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불량이 발생하고, 막-전극 접합체의 접착력고 감소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678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972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23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막을 교차 접합시킴으로써 패턴막 사이 틈을 형성하고, 틈 사이에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되는 부산물인 수분을 저장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패턴막을 코팅하고, 양 전극 층 상부에 형성된 조성물이 동일한 두 개의 패턴막을 열간 프레싱하여 교차 접합시킴으로써, 막 제조 공정이 생략 가능하고, 접착력이 증가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은 (a) 제1 기판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을 서로 접하도록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은 열간 프레싱하여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의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패턴막 및 제2 패턴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및 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극 층 및 음극 층은 촉매 입자 및 폴리머 이오노머가 용매에 분산된 전극층 형성용 잉크방울에 의해 잉크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촉매 입자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몰리브덴 합금, 백금-로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 제1 기판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c) 제3 막을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이 상기 제3 막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단계에서 제1 패턴막과 제2 패턴막은 열간 프레싱하여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단계에서 제1 패턴막과 제2 패턴막의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는, 음극 층; 양극 층;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 및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은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음극 층; 양극 층;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 및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 사이 형성된 제3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 및 음극 전극 층 상부 각각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패턴막을 형성하고, 양 전극 상부에 형성된 패턴막을 열간 프레싱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조성 물질이 상이한 전해질 막과 전극 층을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접합 및 전사시키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수율 증가 및 효과적인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욱이, 양 패턴막을 교차 접합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하여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된 수분을 저장함으로써,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방법을 성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제조 방법은 (a) 제1 기판(10)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30)을 형성하고, 양극 층(3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50)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20)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40)을 형성하고, 음극 층(4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60)이 형성되는 단계 및 (c)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서로 접하도록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단계는 (a1)제1 기판(10)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30)을 형성하는 단계, (a2)양극 층(3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50)이 형성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b)단계는 (b1)제2 기판(20)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40)을 형성하는 단계, (b2)음극 층(4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60)이 형성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a1)단계는 제1 기판(10)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b1)단계는 제2 기판(20)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4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단계는 일반적으로 기판 상측에 특정한 양극 및 음극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극 혹은 음극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은 당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상적인 기판으로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또한, 양극 층(30) 및 음극 층(40)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촉매 입자 및 폴리머 이오노머가 용매에 분산된 전극층 형성용 잉크방울에 의해 잉크 코팅될 수 있다.
더욱이, 촉매 입자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몰리브덴 합금, 백금-로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머 이오노머는 나피온 이오노머 또는 술포네이티드 폴리트리플루오로스티렌과 같은 술폰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층(30) 및 음극 층(40)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상부에 코팅되는 한 코팅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잉크 제트(ink jet) 코팅 방법으로 분사하여 코팅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a2)단계는 양극 층(3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50)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b2)단계는 음극 층(4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60)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종래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에서 막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별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이 양극 층(30)과 음극 층(40) 상부에 코팅되는 한 코팅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템프, 잉크 제트 방법으로 분사하여 코팅하거나, 양극 층(30) 또는 음극 층(40) 상부에 패턴 마스크를 배치하여 제1 패턴막(50) 및 제2 패턴막(560) 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더욱이, 제1 패턴막(50) 및 제2 패턴막(60) 조성물은 당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및 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양극 층(30)과 음극 층(40)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전해질 막 제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c)단계는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서로 접하도록 적층시키는 단계로써,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열간 프레싱(Hot pressing)하여 접합할 수 있다.
열간 프레싱 공정을 통하여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이 동일한 조성물로 이루어져 용해되는 온도와 재결정되는 온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조성물로 이루어진 전극 층과 전해질 막을 열과 압력을 이용해 전사시키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접합 부위에 물리적 틈이 생길 확률을 낮춰 불량률이 감소시켜 품질 및 수율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c)단계에서,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의 패턴은 교차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패턴막의 제2 패턴(60b)의 양옆에 제1 패턴막의 제1 패턴(50a)과 제2 패턴막의 제2 패턴(50b)이 적층되어 접합됨으로써 (즉,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각각 교차 접합시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함), 수소 또는 산소가 반응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급된 수소와 산소가 빈 공간에서 직접 반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막의 패턴(50a, 50b)과 제2 패턴막의 패턴(60a, 60b, 60c)에 의해 수분 저장 공간(80)을 형성함으로써,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된 수분을 저장하여 연료 전지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연료 전지 작동 후 생성된 수분을 통과시켜줌으로써 수소와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다.
한편,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을 접합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 저장 공간(80)을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 접합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패턴 사이 수분 저장 공간(80)을 확보하여 접합하는 한 패턴 크기, 수분 저장 공간(80)의 크기, 패턴 교차 모양은 제한하지 않음을 유의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제조 방법은 (d)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단계를 통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제거됨으로써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가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제조 방법에 의해 생성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는 음극 층(40); 양극 층(30); 양극 층(3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50); 및 음극 층(4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은 제1 패턴막의 패턴(50a, 50b)과 제2 패턴막의 패턴(60a, 60b, 60c)이 교차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교차적인 접합에 의해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에 수분 저장 공간(80)을 형성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이러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는 상술된 구성의 장점 및 효과를 동일하게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4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방법은 (a) 제1 기판(10)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30)을 형성하고, 양극 층(3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50)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20)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40)을 형성하고, 음극 층(4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60)이 형성되는 단계; (c) 제3 막(70)을 준비하는 단계; 및 (d)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이 제3 막(70)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방법의 (a)단계, (b)단계 및 (d)단계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100) 제조 방법의 (a)단계, (b)단계 및 (c)단계와 동일하여 생략하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c)단계는 제3 막(70)을 준비하는 단계로써,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에서 막으로서 사용되는 막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이 제3 막(70)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하도록 적층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 사이에 더 포함되는 제3 막(70)에 의해 음극 층(40)에서 양극 층(30)으로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를 다양화하고, 제1 패턴막(50)의 패턴과 제2 패턴막(60)의 패턴이 접합하는 넓이를 증가시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의 접착력을 강화하며, 그리고 제1 패턴막의 패턴(50a, 50b)과 제2 패턴막의 패턴(60a, 60b, 60c)이 접합하는 부분에 틈이 생길 수 있는 확률을 감소시켜 연료 전지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방법은 (e)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제거됨으로써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는 음극 층(40); 양극 층(30); 양극 층(1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50); 음극 층(20)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60); 및 제1 패턴막(50)과 제2 패턴막(60) 사이 형성된 제3 막(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막(50) 및 제2 패터막(60)은 제1 패턴막의 패턴(50a, 50b)과 제2 패턴막의 패턴(60a, 60b, 60c)이 교차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교차적인 접합에 의해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200)에 수분 저장 공간(80)을 형성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다만 제3 막(70)이 존재함으로써 반드시 제1 패턴막(50) 및 제2 패터막(60)이 교차적으로 접합되지 않아도 됨을 유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 기판
20 : 제2 기판
30 : 양극 층
40 : 음극 층
50 : 제1 패턴막
50a : 제1 패턴막 제1 패턴
50b : 제1 패턴막 제2 패턴
60 : 제2 패턴막
60a : 제2 패턴막 제1 패턴
60b : 제2 패턴막 제2 패턴
60c : 제2 패턴막 제3 패턴
70 : 제3 막
80 : 수분 저장 공간
100 :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20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Claims (14)

  1. (a) 제1 기판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을 서로 접하도록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은 열간 프레싱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의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은,
    (d)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막 및 상기 제2 패턴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및 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층 및 상기 음극 층은,
    촉매 입자 및 폴리머 이오노머가 용매에 분산된 전극층 형성용 잉크방울에 의해 잉크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입자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몰리브덴 합금, 백금-로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8. (a) 제1 기판 상부에 양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양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1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b) 제2 기판 상부에 음극 조성물을 코팅하여 음극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제2 패턴막이 형성되는 단계;
    (c) 제3 막을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이 상기 제3 막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은 열간 프레싱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의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은,
    (e)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이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13. 제12항에 있어서,
    음극 층;
    양극 층;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 및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은 패턴이 교차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14. 제12항에 있어서,
    음극 층;
    양극 층;
    상기 양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1 패턴막;
    상기 음극 층 상부에 전해질 용액을 패턴화하여 형성된 제2 패턴막; 및
    상기 제1 패턴막과 상기 제2 패턴막 사이 형성된 제3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MEA).
KR1020150153943A 2015-11-03 2015-11-03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3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43A KR102031399B1 (ko) 2015-11-03 2015-11-03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43A KR102031399B1 (ko) 2015-11-03 2015-11-03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39A true KR20170052039A (ko) 2017-05-12
KR102031399B1 KR102031399B1 (ko) 2019-10-11

Family

ID=5874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43A KR102031399B1 (ko) 2015-11-03 2015-11-03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8139A (zh) * 2018-05-16 2018-08-24 深圳市善营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膜电极的制作方法及设备
WO2020091532A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835A (ja) * 2002-05-27 2003-12-05 Honda Motor Co Ltd 膜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70056783A (ko) 2005-11-30 2007-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110043908A (ko) * 2009-10-22 2011-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KR20130092368A (ko) 2012-02-09 2013-08-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분무 슬러리 증착 공정을 이용한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US20140120458A1 (en) * 2011-03-25 2014-05-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rect Coa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n External Reinforcement For Fuel Cells
KR20140129721A (ko)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의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835A (ja) * 2002-05-27 2003-12-05 Honda Motor Co Ltd 膜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70056783A (ko) 2005-11-30 2007-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110043908A (ko) * 2009-10-22 2011-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US20140120458A1 (en) * 2011-03-25 2014-05-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rect Coa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n External Reinforcement For Fuel Cells
KR20130092368A (ko) 2012-02-09 2013-08-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분무 슬러리 증착 공정을 이용한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KR20140129721A (ko)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의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8139A (zh) * 2018-05-16 2018-08-24 深圳市善营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膜电极的制作方法及设备
WO2020091532A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고체 전지의 제조 방법
JP2021526722A (ja) * 2018-11-02 2021-10-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399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6717B2 (ja) 触媒層転写シート、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の製造方法、電極−電解質膜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09505364A (ja) 触媒被覆膜の製造方法
JP2005353591A (ja) 燃料電池用膜/電極アセンブ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
KR101072829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연속제조방법 및연속제조장치
US10074860B2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catalyst-coated membrane-seal assembly
JP5017776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触媒層接合体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触媒層接合体の製造装置
US20110097651A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Fabrication Procedure 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KR20180002089A (ko) 전해질 막 점착층을 도입한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13543222A (ja) ホットプレスされた直接堆積触媒層
KR101728206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4810841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解質膜−触媒層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230064B2 (ja) 電極触媒層、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製造用転写シート及び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
JP4538683B2 (ja) 燃料電池用触媒層形成シート、該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5317492A (ja) 燃料電池、電極−電解質膜接合体、触媒層付き電極基材、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転写シート
KR20170052039A (ko) 연료 전지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12971B1 (ko) 불소계 이오노모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한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KR102110843B1 (ko) 방법
JP4538684B2 (ja) 燃料電池用触媒層形成シート、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5257589B2 (ja)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膜電極接合体、並びに該膜電極接合体を含む燃料電池
JP5870643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4538692B2 (ja) 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715447B1 (ko)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05190702A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KR101758960B1 (ko) 전해질 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JP2008077986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触媒層の転写方法及び電解質膜−触媒層接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