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037A -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037A
KR20170052037A KR1020150153936A KR20150153936A KR20170052037A KR 20170052037 A KR20170052037 A KR 20170052037A KR 1020150153936 A KR1020150153936 A KR 1020150153936A KR 20150153936 A KR20150153936 A KR 20150153936A KR 20170052037 A KR20170052037 A KR 2017005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light pattern
pattern generator
resin solu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백
최현승
최경일
하주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037A/ko
Publication of KR2017005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162.5D lith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75Multiple projection paths, e.g. array of projection systems, microlens projection systems or tandem projec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58Drive means, e.g. actuators, motors for long- or short-stroke modules or fine or coarse dr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는,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및 두께의 조형 층을 형성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연속하여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점적률이 크고 대면적을 가지는 조형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TEREOLITHOGRAPH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의 단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에이엠(AM: 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은 소재를 적층해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에이엠 기술은 종래의 제작방법으로는 제작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에이엠 기술은 사용하는 소재 및 적층 방법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기존 플라스틱 에이엠 기술은, 열가소성/광경화성 소재의 소위 에프디엠(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에스엘에스(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스테레오리소그래피장치(SL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잉크젯(Inkjet)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SLA)는, 광경화 수지를 특수파장의 광으로 경화하는 것으로서, 타 기법에 비해 높은 표면 조도를 구비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시스템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SLA)는, 광원 주사 방식에 따라 스캐닝(Scanning)방식 및 프로젝션(Projection) 방식으로 구분되고, 수지의 제어방식에 따라 자유액면방식 및 규제액면방식으로 구별된다.
상기 수지제어방식 중 자유액면방식은 대기 중 광 경화수지 표면에서 경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서, 수지의 점성에 기인하여 적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산소반응에 기인하여 표면 경화가 용이하지 아니하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규제액면방식은 윈도우(window)를 통해 광경화수지를 규제하고 광 조형함으로써 일정한 두께로 적층을 이룰 수 있고, 산소와 접하지 아니하므로 표면 경화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규제액면방식은 자유액면에 비해 수지 점성으로 인한 유지유동의 문제로 좌굴, 파손의 우려가 있고, 조형물 위 적층을 위한 이형 시 상대적으로 높은 이형력이 발생하므로 파손 및 변형의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스캐닝방식은 레이저 패스로 그리듯이 광경화하는 방법으로 정밀도와 대면적의 조형물의 제작에 유리하다.
상기 프로젝션방식은 광 패턴을 조사하여 광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캐닝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형속도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중 상기 스캐닝 방식에 있어서는, 조형 속도가 느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중 상기 프로젝션방식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낮고 조형 층의 단면적이 큰 조형물의 제작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98-0063937 A (1998.10.07.) KR 10-0930788 B1 (2009.12.09.)
따라서, 본 발명은, 점적률이 크고 대면적을 가지는 조형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의 단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원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및 두께의 조형 층을 형성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연속하여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가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은,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상측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광패턴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패턴생성기의 상측에서 광을 조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패턴생성기 사이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패턴생성기로 수직하게 입사되게 하는 프레넬 렌즈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에 입력되는 이미지는 그레이 스케일로 평활화한 후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와 사이에 산소챔버가 형성될 수 있게 이격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의 일 측에는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상기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상기 산소챔버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이 미리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는, 피디엠에스(PDMS:Polydimethlysilioxane), 에이치이엠에이(HEMA:Hydroxyethylmetacrlyate), 에이에프(AF:Amorphous Fluoro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컨테이너히터; 및 상기 수지용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용액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액온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히터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용액감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상기 수지용액을 공급하는 수지용액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액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지용액이 미리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수지용액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 및 광원을 구비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을 구비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를 이용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산소투과윈도우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의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잠기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상승시키면서 미리 설정된 두께의 후속 조형층을 연속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배면에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으로 산소를 투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최하측 조형층의 두께(t1) 및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를 투과한 산소의 작용으로 경화되지 아니하는 미경화영역의 두께(t2)를 더한 두께에 대응된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최하측 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고, 상기 최하측 조형층의 상단으로부터 후속 조형층의 두께 및 상기 미경화영역의 두께를 더한 두께에 대응되는 후속 설정높이로 상승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설정높이 상승시 후속 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으로 변환하여 조사하여 후속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배면에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으로 산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원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산소투과윈도우가 상기 수지용액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를 통과하여 상기 수지용액에 조사되는 광패턴생성기유닛;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과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와 사이에는 산소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의 일 측에는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상기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상기 산소챔버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이 미리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는, 피디엠에스(PDMS:Polydimethlysilioxane), 에이치이엠에이(HEMA:Hydroxyethylmetacrlyate), 에이에프(AF:Amorphous Fluor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광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및 두께의 조형 층을 형성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을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연속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의 단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점적률이 크고 대면적을 가지는 조형물의 제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광패턴생성기유닛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광패턴생성기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는,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115)이 수용되는 컨테이너(110); 광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161)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용액(115)의 표면 아래에서 광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용액(115)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및 두께의 조형 층을 형성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15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승강 구동 가능한 구동부(210);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연속하여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도 8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예를 들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예를 들면,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의 외면에는 컨테이너히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히터(120)는, 예를 들면, 전원 공급 시 전기 저항열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히터(120)의 발열 시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수용된 수지용액(115)의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수지용액(115)은 미리 설정된 점도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지용액(115)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용액온도감지부(2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의 일 측에는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수지용액(115)을 공급할 수 있게 수지용액공급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지용액공급부(130)는, 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용액(115)이 생성 및/또는 저장되는 수지용액탱크(131), 일 단은 상기 수지용액탱크(131)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지용액공급관(133), 상기 수지용액공급관(133)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용액(115)을 상기 컨테이너(110)로 펌핑하는 펌프(135) 및 상기 수지용액공급관(133)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13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용액공급부(130)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의 수지용액(115)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지용액높이감지부(2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10)의 상측에는 상기 수지용액(115)의 표면 아래에 광 패턴을 조사할 수 있게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주변에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상기 컨테이너(110)의 높이방향(Z방향)으로 구동(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방향구동부(2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구동부(237)는, 예를 들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승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방향구동부(237)는, 예를 들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광패턴 조사시 조형되는 조형층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1회 상승 가능하거나, 또는 복수 회 상승으로 도달할 수 있게 미세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구동부(237)는, 예를 들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높이방향구동부(237)를 상기 컨테이너(110)의 좌우방향(X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좌우방향구동부(236) 및 상기 높이방향구동부(237)를 상기 컨테이너(110)의 전후방향(Y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후방향구동부(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3축(X축, Y축,Z축) 갠트리 모듈(gantry 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베이스(211), 상기 베이스(211)에 대해 상향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프레임(215), 상기 수직프레임(215)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21), 상기 수평프레임(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225), 상기 슬라이더(225)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23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5)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1)의 일 측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15)을 전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후방향구동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5)의 일 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25)를 상기 수평프레임(22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구동부(2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25)의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더(225)에 대해 상기 승강프레임(231)을 승강구동시키는 높이방향구동부(2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은, 예를 들면, 광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161),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상측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광패턴생성기(185)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185)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19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는, 예를 들면, 피디엠에스(PDMS:Polydimethlysilioxane), 에이치이엠에이(HEMA:Hydroxyethylmetacrlyate), 에이에프(AF:Amorphous Fluorpolymer)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는, 예를 들면, 대략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은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외함(15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상기 수지용액(115)의 표면 아래에 배치될 때 상기 외함(151)의 내부로 상기 수지용액(115)이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외함(151)의 저부에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를 투과한 산소의 작용으로 광 패턴 조사시에도 상기 수지용액(115)이 경화되지 아니하는 미경화영역(162)(도 4 내지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형성 방법과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할 산소공급부(164)를 통해 산소가 공급되고, 배출구(167)를 통해 산소가 배출되므로 산소챔버(163)의 내부에는 산소의 흐름이 적절한 압력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산소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를 투과하여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퍼진 상태, 예를 들면, "산소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는 산소를 흡수하여 수지용액이 중합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얇은 윤활성의 산소층을 생성한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 형성된 산소층에 접촉하는 상기 광경화성 수지용액(115)은 상기 산소의 작용으로 경화가 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표면(하면) 하측에 투과된 산소의 작용에 의해 수지용액(115)의 하측에 경화되지 아니한 영역(층)을 미경화영역(16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의 표면(저부면)에는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용액(115)이 부착되지 않거나 ,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상승 시 이형력(release force: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지용액(115)이 분리되기 위해 필요한 힘)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여 연속 조형 및 적층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함(151)의 내부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상측에는 상기 광패턴생성기(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와 상기 광패턴생성기(185) 사이에는 산소가 충전될 수 있게 산소챔버(1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와 상기 외함(151)의 내면사이에는 실링부재(18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산소의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185)와 상기 외함(151)의 내면 사이에는 실링부재(18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산소의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163)의 일 측에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로 산소가 주입될 수 있게 주입구(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65)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1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164)에서 공급되는 가스는, 공기, 즉 산소가 풍부한 공기(예를 들면, vol 95% 이상의 산소와 vol 5%이하의 이산화탄소 혼합) 혹은 순수 산소가 될 수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164)는, 상기 주입구(165)에 연결되는 산소공급관(169), 및 상기 산소공급관(169)에 연결되고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탱크(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65)에는, 예를 들면, 상기 주입구(165)를 개폐하는 주입구밸브(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163)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산소가 배출될 수 있게 배출구(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67)에는, 예를 들면,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산소챔버(163)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17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은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162)의 두께(깊이)(t2)에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는, 예를 들면, 상기 조형 층의 두께(t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형물의 적층 두께(t1)가 10 내지 20㎛ 인 경우,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는 10 내지 20㎛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게 하고,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패턴생성기(185)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185)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185)는 입력된 단면 이미지로 광을 선택적으로 투영(또는 차단)시켜 광 패턴을 생성시키는 동적 광 패턴 생성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185)에 입력되는 이미지는, 예를 들면, 8비트의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로 평활화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185)의 픽셀에 의한 결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8비트의 그레이 스케일은 광 경화수지의 임계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픽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정디스플레이(LCD)(185)의 결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프로젝션 에스엘에이(Projection Stereolithography Apparatus)에서 디엠디(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할 경우 복잡한 광학기(예를 들면 콜리메이팅 또는 집광을 위한 광학기)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액정디스플레이(LCD)(185)는 복잡한 광학기가 필요치 아니하고, 대면적 조형 시 직사광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디스플레이(185)는 필요 시 선택된 픽셀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캐닝 에스엘에이(Scanning SLA)와 동일하게 상대적으로 다양한 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광패턴생성기(185)의 상측에는 상기 광패턴생성기(185)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1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195)은, 예를 들면, 자외선보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 기반의 광원(195)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짧은 광 파장(예를 들면 자외선의 파장)에 의한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195)은 380 나노 미터(nm ) 이상의 파장의 광원(195)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원(195)은, 예를 들면 400 nm 이상의 파장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광원(195)과 상기 광패턴생성기(185) 사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1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광원(195)에서 조사된 광(광선)이 상기 광패턴생성기(185)로 일정하게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광원(195)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프레넬 렌즈(190)를 통과하면서 나란한 광경로(평행광)를 가지게 되어 상기 광패턴생성기(185), 즉 액정디스플레이(185)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다.
상기 프레넬 렌즈(190)는 상기 광원(195)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넬 렌즈(190)는, 예를 들면, 광 중첩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할 정도로 상기 광원(195)으로부터 이격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2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지용액(115)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지용액높이감지부(255)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260)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수지용액(115)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지용액온도감지부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동부(21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수지용액(115)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컨테이너히터(12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압력제어밸브(17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의 수지용액(115)이 미리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수지용액(115)을 공급하는 수지용액공급부(13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지용액공급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수지용액(115)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지용액높이감지부(25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의 수지용액(115)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지용액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컨테이너히터(120)를 제어하여 상기 수지용액(115)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수지용액(115)은 조형에 적절한 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주입구(165)를 개방하여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에 산소자 충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압력감지부(26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압력제어밸브(175)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위치확인 또는 상기 구동부(210)의 제어 전에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의 수지용액(115)의 높이 및 온도가 미리 설정된 높이 및 온도로 유지되게 상기 컨테이터히터(120) 및 상기 수지용액공급부(130)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기 기준위치(H0)에 있는지 확인하고(S11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기 기준위치(H0)에 있지 아니하면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위치(H0)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S125).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H0)는,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아니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산소 투과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기 기준위치(H0)에 배치되면(S120), 상기 산소공급부(164)를 제어하여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에 산소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S13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압력감지부(26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주입구밸브(173) 및 압력제어밸브(175)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는 미경화영역(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산소챔버(163)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면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승되게 할 수 있다(S14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제1위치(H1)에 도달하면(S15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에 대응되는 광패턴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S160).
상기 S140단계에서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승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위치(H1)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하강하는 동작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H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의 두께(t1) 및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더한(합한) 높이(t1+t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승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기준위치(H0)로부터 상기 제1위치(H1) 사이에는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은 저부면이 상기 컨테이너(11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은 상기 컨테이너(110)로부터 분리 시 및/또는 분리 후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후속 설정높이(Hn)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고(S17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후속 설정높이(Hn)에 도달하지 아니하면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계속 상승되게 할 수 있다(S175).
한편,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후속 설정높이(Hn)에 도달하면(S17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후속 광패턴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S18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속 설정높이(Hn)는, 상기 제1위치(H1)에 후속 조형층의 두께(t1) 및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더한 높이인 제2위치(H2)(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제2위치(H2)에 후속 조형층의 두께(t1) 및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더한 높이인 제3위치(H3)(도 7 참조) 내지 최상측 조형층의 높이(상단)에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t2)를 더한 높이인 완료위치(HC)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기 제2위치(H2)에 도달하면(S17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상기 최하측 조형층(L1)의 상측에 연속으로 형성되는 제2조형층(L2)에 대응되는 광패턴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S180).
다음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상기 제3위치(H3)에 도달하면(S17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조형층(L2)의 상측에 연속으로 형성되는 제3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S18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후속 설정높이에 도달하면(S170),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후속 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으로 변환하여 후속 광패턴이 조사(S180)되는 과정(S170,S180)을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하여 조형물의 최상측 조형층인 제n조형층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최상측 조형층(제n조형층)의 상단에 상기 미경화영역(162)의 두께를 더한 높이, 즉 완료위치(Hc)에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도달하면(S190),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상승을 중지함과 아울러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을 제어하여 광패턴의 조사를 중지할 수 있다(S200).
다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산소공급부(164)를 제어하여 상기 산소챔버(163)의 내부에 산소공급이 중지되게 할 수 있다(S2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방법은 상승시키면서 조형층을 형성하므로 대면적의 조형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이 광패턴생성기(185)로서 액정디스플레이(LCD)(185)를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의 광패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은, 하부에 산소챔버(163) 및 산소투과윈도우(161)를 구비하고, 상기 산소투과윈도우(161)의 하측에 산소가 투과되게 하여 미경화영역(162)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경화된 조형층이 광패턴생성기유닛(150)의 하부에 달라붙지 아니하므로 연속적인 조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컨테이너 115 : 수지용액
120: 컨테이너히터 130 : 수지용액공급부
131 : 수지용액탱크 133: 수지용액공급관
135: 펌프 137: 밸브
150 : 광패턴생성기유닛 151: 외함
161: 산소투과윈도우 162 : 미경화영역
163 : 산소챔버 164: 산소공급부
165: 주입구 167 : 배출구
169: 산소공급관 171: 산소탱크
173: 주입구밸브 175: 압력제어밸브
181: 실링부재 185: 광패턴생성기,액정디스플레이
190: 프레넬 렌즈 195: 광원
210: 구동부 211 : 베이스
215: 수직프레임 221: 수평프레임
225: 슬라이더 231 : 승강프레임
235: 전후방향구동부 236: 좌우방향구동부
237 : 높이방향구동부 250: 제어부
255: 수지용액높이감지부 260: 압력감지부
265: 용액온도감지부

Claims (21)

  1.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원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및 두께의 조형 층을 형성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가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은,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상측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광패턴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패턴생성기에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조형 가능한 스테레오리스그래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패턴생성기 사이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패턴생성기로 수직하게 입사되게 하는 프레넬 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조형 가능한 스테레오리스그래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의 입력 이미지는 그레이 스케일로 평활화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조형 가능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와 사이에 산소챔버가 형성될 수 있게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챔버의 일 측에는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상기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상기 산소챔버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챔버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이 미리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조형가능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는, 피디엠에스(PDMS:Polydimethlysilioxane), 에이치이엠에이(HEMA:Hydroxyethylmetacrlyate), 에이에프(AF:Amorphous Fluor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가열하는 컨테이너히터;
    상기 수지용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용액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액온도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테이너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용액감지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상기 수지용액을 공급하는 수지용액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액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지용액이 미리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수지용액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3.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 및 광원을 구비하는 광패턴생성기유닛을 구비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를 이용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산소투과윈도우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의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 잠기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상승시키면서 미리 설정된 두께의 후속 조형층을 연속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배면에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으로 산소를 투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최하측 조형층의 두께(t1) 및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를 투과한 산소의 작용으로 경화되지 아니하는 미경화영역의 두께(t2)를 더한 두께에 대응된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최하측 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고, 상기 최하측 조형층의 상단으로부터 후속 조형층의 두께 및 상기 미경화영역의 두께를 더한 두께에 대응되는 후속 설정높이로 상승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설정높이 상승시 후속 조형층에 대응되는 광패턴으로 변환하여 조사하여 후속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용액의 표면 아래에서 광패턴을 조사하여 최하측 조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배면에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으로 산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제조 방법.
  17. 광에 노출 시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용액이 수용되는 컨테이너;
    광원 및 산소 투과가 가능한 산소투과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산소투과윈도우가 상기 수지용액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를 통과하여 상기 수지용액에 조사되는 광패턴생성기유닛;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을 승강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의 광 패턴 조사 개시 후 상기 광패턴생성기유닛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승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와 사이에는 산소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챔버의 일 측에는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상기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상기 산소챔버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챔버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투과윈도우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경화영역이 미리 설정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조형가능한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투과윈도우는, 피디엠에스(PDMS:Polydimethlysilioxane), 에이치이엠에이(HEMA:Hydroxyethylmetacrlyate), 에이에프(AF:Amorphous Fluor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KR1020150153936A 2015-11-03 2015-11-03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2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36A KR20170052037A (ko) 2015-11-03 2015-11-03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36A KR20170052037A (ko) 2015-11-03 2015-11-03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37A true KR20170052037A (ko) 2017-05-12

Family

ID=5874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36A KR20170052037A (ko) 2015-11-03 2015-11-03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25B1 (ko) 3차원 조형 장치 및 3차원 조형물의 제조 방법
US10471653B2 (en) Method for producing silicone elastomer parts
US9738034B2 (en) Device for processing photo-polymerizable material for layer-by-layer generation of a shaped body
JP6849365B2 (ja) 光造形装置、光造形方法および光造形プログラム
KR102348434B1 (ko) 슬롯 다이 적층식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9514722A (ja) Lcd方式3dプリンター
JP2017503678A (ja) 成形体を層ごとに構築するために光重合性材料を処理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17523925A (ja) 容器アセンブリを有する光造形装置
KR100308894B1 (ko) 광학적조형방법
US20210260819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objects via continuously curing photopolymers, utilising a vessel containing an interface fluid
CN111168996A (zh) 光敏树脂提拉成型设备及方法
CN116802044A (zh) 用于通过增材制造生产光学元件的方法和机器
US10118338B2 (en) Additive manufacturing with integrated microliter resin delivery
KR101863826B1 (ko) 광경화식 3d 성형방법 및 광경화식 3d 성형장치
JP2017100299A (ja) 三次元造形装置
KR20170052037A (ko)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866152B2 (ja)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方法
CN106976232B (zh) 一种半渗透性元件及其应用和制备方法及3d打印设备
KR20190023014A (ko) 광경화성 3d 프린터 및 제품 성형방법
KR20190115528A (ko) Dlp방식 3d 프린터의 구동 제어방법
CN113276408A (zh) 一种液体内连续光固化成型增材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976636B1 (ko) 광경화성 3d 프린터 및 제품 성형방법
KR102515653B1 (ko) 3d프린터
US20200055244A1 (en) Method of forming three-dimentional object
JP2019142197A (ja) 造形装置、容器、および造形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