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334A -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334A
KR20170051334A KR1020160142020A KR20160142020A KR20170051334A KR 20170051334 A KR20170051334 A KR 20170051334A KR 1020160142020 A KR1020160142020 A KR 1020160142020A KR 20160142020 A KR20160142020 A KR 20160142020A KR 20170051334 A KR20170051334 A KR 2017005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valve control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941B1 (ko
Inventor
알렉산더 카이써
마티아스 하인켈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5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61Controlling the valve over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2Controlling intake air by simultaneous control of throttle and variable valv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4Fluid pressure of lubricating oil 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3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yli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8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2)의 유입 밸브(31) 및/또는 배출 밸브(32)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 내연 기관(2)의 예정된 작동 상태를 취하는 단계(S1, S3)와,
- 예정된 작동 상태에서, 내연 기관(2)의 실린더들(3) 중 하나의 현재 공기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2, S4)와,
-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는 단계(S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DAPTION OF A VALVE CONTROL VARIABLE FOR AN INLET- AND/OR AN OUTLET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 특히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의 밸브 작동을 가변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캠 샤프트 조정기를 구비한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 배출 밸브의 밸브 작동은 캠 샤프트에 의해서 제어된다. 캠 샤프트의 회전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과 확고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유입 밸브 및 배출 밸브의 제어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과 동시에 그리고 이로써 내연 기관의 팽창 행정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캠 샤프트 조정기는, 내연 기관의 흡입 행정에서 일 실린더의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신선 공기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밸브 제어 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캠 샤프트의 회전에 결합된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의 밸브 작동을 변화시키는 데 이용된다. 상기 신선 공기의 양은, 공기 유도형(air-guided) 내연 기관에서 결정적으로 내연 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엔진 토크를 정하는 내연 기관의 충전량을 결정한다.
특히 밸브 제어 변수의 조정이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의 개방 시간 및 폐쇄 시간과 관련이 있는 경우, 이 밸브 제어 변수의 조절은 6°이하의 크랭크 샤프트 각도만큼의 공차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정도의 공차는 특정 작동 상태에서, 예를 들어 내부 잔류 가스가 많은 작동 모드에서 오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오류는 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그리고 대등한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장치 및 내연 기관이 제안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제1 양상에 따라,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이 방법은
- 내연 기관의 예정된 작동 상태를 취하는 단계,
- 성가 예정된 작동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실린더들 중 하나 내에서의 공기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조에 기인한 공차 및 캠 샤프트 조정기를 내연 기관 내부에 설치할 때의 공차로 인해, 밸브 제어 변수를 구동 변수로서 사용하여 캠 샤프트 조정기를 제어할 때 시스템적인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의 한 사상은, 특히 적응 변수의 제공에 의해서, 캠 샤프트 조정기에 가변적으로 정해지는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는 것이다.
밸브 제어 변수는, 캠 샤프트 조정기를 통해, 예컨대 밸브의 개방 시점, 밸브의 폐쇄 시점, 크랭크 샤프트 위치에 대한 개방 기간의 상대 위상 위치, 밸브 행정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밸브 작동 파라미터에 있어서, 실린더에서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의 밸브 작동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캠 샤프트 조정기는 캠 샤프트 위상 조정기, 전자 기계식 밸브 조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응은, 내연 기관의 일 실린더 내 공기 충전량을 표시하는 공기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적응을 통해, 적응된 밸브 제어 변수에 의해 캠 샤프트 조정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변수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캠 샤프트 조정기는, 추가 센서 또는 더 적은 공차를 갖는 캠 샤프트 조정기의 제공 없이도 캠 샤프트 조정기를 위한 원하는 설정을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유입 밸브의 밸브 작동은, 유입 밸브를 통해 실린더의 연소실들과 연결되어 있는 흡기관 섹션 내에서의 흡기관 압력에 따라 실린더 내에서의 공기 충전에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컨대 흡기관 내에서의 압력 측정과 같은 압력 측정 및 충전 모델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충전 오류는 캠 샤프트 조정기의 공차로서, 다시 말하자면 밸브 제어 변수의 설정에 의한 희망 밸브 작동 파라미터와 실제로 조정된 밸브 작동 파라미터 간의 오류 편차로서 해석될 수 있다. 흡기관 압력에 기반하여 스로틀 밸브 위치를 통해 또는 혼합 적응의 분석에 의해 충전 오류가 확인될 수는 있지만, 이와 같은 접근 방식들은 경우에 따라 캠 샤프트 조정기의 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렇기 때문에,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을 위해 작동점이 조정되고 충전량 표시 정보가 결정된다. 그 다음에,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적응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은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와, 예정된 작동 상태에 따라 좌우되는 기준 충전량 표시 정보 간의 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바람직하게, 실린더 내의 공기 충전이 흡기관 압력에 따라 밸브 작동 파라미터의 변동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작동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실린더들 내에 다량의 잔류 가스가 남겨지는 작동점들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작동점은, 유입 밸브의 개방 시간과 배출 밸브의 개방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중첩으로 인해 다량의 잔류 가스가 실린더 내에 남아 있거나, 유입 밸브가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은 폐쇄 시점에 폐쇄되는 경우에 존재한다.
또한, 유입 밸브의 상류에 배치된 내연 기관의 흡기관 내 흡기관 압력 또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들 중 일 실린더의 연소실 내에서의 연소실 압력이 충전량 표시 정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은, 제1 작동 상태에서 검출된 제1 충전량 표시 정보와 제2 작동 상태에서 검출된 제2 충전량 표시 정보 간의 차로서의 충전량 표시 정보 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은, 제1 작동 상태 및 제2 작동 상태를 위한 기준 충전량 표시 정보 차와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 차 간의 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작동 상태는, 밸브 제어 변수가 적응된 경우 내연 기관의 실린더들 내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흡기관 압력을 야기하는 여러 작동 상태들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류의 효과 또는 흡기관 압력 측정의 공차의 효과, 예컨대 충전량 표시 정보의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기관 센서의 공차 효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질량 흐름이 일정할 때의 충전 모델 편차로부터 도출된다.
특히, 제1 및 제2 작동 상태는, 내연 기관에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이 공급되는 작동 상태들에 상응한다.
제1 및 제2 작동 상태에 대해, 동일한 스로틀 밸브 위치 및 동일한 엔진 회전수에 의해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류 효과 또는 충전량 표시 정보의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로틀 밸브 조정기의 공차 효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을 갖는 제1 및 제2 작동 상태가 동일한 스로틀 밸브 위치, 다양한 엔진 회전수 및 다양한 밸브 제어 변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가 유입 밸브의 개방 시간과 배출 밸브의 개방 시간의 중첩이 발생하는 작동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작동 상태는, 충전량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에서 유입 밸브가 폐쇄될 때의 충전량보다 적어도 10% 더 적을 정도로, 유입 밸브의 폐쇄 시점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보다 앞서는 작동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점을 종종 밀러(Miller) 순환 공정이라고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작동 상태는, 충전량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에서 폐쇄될 때의 충전량보다 적어도 10% 더 적을 정도로, 유입 밸브의 폐쇄 시점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보다 뒤에 놓이는 작동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점을 종종 앳킨슨(Atkinson) 순환 공정이라고 지칭한다.
더 나아가, 적응은, 밸브 제어 변수에 공급되는 보정 변수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유입 밸브 및 배출 밸브의 작동이 캠 샤프트 조정기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내연 기관을 구비한 엔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캠 샤프트 위상 위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캠 샤프트 위상 위치에 대한 흡기관 압력의 거동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은, 소수의 실린더(3)(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실린더)를 갖는 내연 기관(2)을 구비한 엔진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내연 기관(2)은 종래의 4 행정 내연 기관, 특히 예를 들어 오토 엔진과 같은 공기 유도형 내연 기관에 상응한다.
실린더(3)의 연소실에는 공기 공급 시스템(4)을 통해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 공급 시스템(4)은 흡기관 섹션(41)을 가지며, 이 흡기관 섹션은 실린더(3)의 유입 밸브들(31)과 스로틀 밸브(5) 사이로 규정된다. 연소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배출 섹션(8) 내로 내보내기 위해, 실린더들(3)에 배출 밸브들(32)이 제공된다. 유입 밸브들(31) 또는 배출 밸브들(32)의 작동은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 또는 크랭크 샤프트 위치를 통해 결정되는데, 특히 개방 시점들 및 폐쇄 시점들은 내연 기관(2)의 실린더(3)의 팽창 행정과 동기화되도록 설정된다.
유입 밸브(31)의 작동 및 배출 밸브(32)의 작동을 위한 밸브 작동 파라미터는 캠 샤프트 조정 장치(7)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캠 샤프트 조정 장치(7)는, 유입 밸브(31) 또는 배출 밸브(32)의 개방 시점 및 폐쇄 시점의 위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캠 샤프트 위상 조정기 형태의 별도의 캠 샤프트 조정기, 유입 밸브(31) 및 배출 밸브(32)를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한 전자 기계식 밸브 조정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캠 샤프트 조정기에 의해 가변적으로 영향을 받는 밸브 작동 파라미터들은, 관련 밸브의 개방 시점, 관련 밸브의 폐쇄 시점, 관련 밸브의 개방 기간, 크랭크 샤프트 각도와 관련한 개방 시간의 위상 위치, 관련 밸브의 밸브 행정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캠 샤프트 조정 장치(7)는, 하나의 실린더(3)에 유입 밸브(31)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밸브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유입 밸브 캠 샤프트 조정기(71), 그리고 배출 밸브(32)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밸브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배출 밸브 캠 샤프트 조정기(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은 내연 기관(1)을 작동한다. 내연 기관(1)의 작동은, 미리 결정된 목표 설정치(V)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스로틀 밸브(5), 캠 샤프트 조정기(들) 등과 같은 조정 액추에이터의 조정에 의해, 예를 들어 회전수, 부하, 흡기관 압력 등과 같은 내연 기관(2)의 상태 변수에 따라 실행된다. 내연 기관(2)의 작동은 공지된 방식으로 4행정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캠 샤프트 조정기(71, 72)의 설치 공차는 밸브 작동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6°이하의 크랭크 샤프트 각도에 달하며, 이는 특히 실린더(3)의 연소실 내부에 다량의 잔류 가스가 남겨지는 작동점들에서 공기 충전량을 조절할 때 오류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공기 연료 비율이 변동되고, 이는 다시 가스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적응은 온라인으로, 또는 캠 샤프트 조정 장치(7)의 설치 후 내연 기관(2)을 가동하기 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내연 기관(2)의 가동 시, 작동점의 선택 및 정상 작동(stationary operation)의 보장에 의해 적응이 매우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에서는, 예정된 제1 작동 상태가 세팅되거나, 예정된 제1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 작동 상태가 확인된다. 내연 기관(2)의 작동 상태는 엔진 회전수, 스로틀 밸브 위치, 내연 기관(2)으로의 공기 질량 흐름(예컨대 공기 질량 센서에 의해 측정됨), 및 유입 밸브(31) 및/또는 배출 밸브(32)의 밸브 제어 변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작동 상태는, 공기 충전량이 캠 샤프트 조정기(71, 72)의 공차로 인한 밸브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다량의 잔류 가스(연소 배기 가스)가 실린더(3)의 연소실 내부에 남게 되는 작동점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실린더(3)의 유입 밸브(31)의 개방 시간과 배출 밸브(32)의 개방 시간이 겹치는 경우에는, 연소 시작 이전에 실린더(3)의 연소실 내 잔류 가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일 실린더의 유입 밸브(31)의 개방과 배출 밸브(32)의 개방이 겹치는 현상은, 유입 밸브의 개방 시점이 너무 이른 경우, 다시 말하면 관련 배출 밸브의 폐쇄 시점 이전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상태는, 압력 강하, 다시 말해 스로틀 밸브에 대한 압력비(ps)(흡기관 압력에 대한 표시 정보로서, 스로틀 밸브의 출구측 압력 대 입구측 압력의 비)가 0.8 미만, 특히 0.5 미만, 그리고 특히 0.2 이상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공기 질량 흐름이 일정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입 밸브의 개방 기간의 위상 위치에 상응할 수 있는 밸브 작동 파라미터(wnwe)의 변동이 흡기관 압력 표시 정보(ps)의 높은 변동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단계 S2에서는, 제1 작동 상태에서, 제1 충전량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흡기관 압력이 측정된다. 흡기관 압력은 내연 기관의 엔진 회전수와 함께, 각각의 흡입 행정에서 어느 정도의 공기량(충전량)이 관련 실린더의 연소실 내부로 흡입되는지를 결정하고, 이로써 충전량을 위해 적합한 기준을 제시한다.
단계 S3에서는, 예정된 제2 작동 상태가 세팅되거나, 예정된 제2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 작동점이 확인된다.
단계 S4에서는, 제2 작동 상태에서 제2 충전량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흡기관 압력이 측정된다.
단계 S5에서는, 제1 충전량 표시 정보와 제2 충전량 표시 정보 간의 차가 충전차 표시 정보로서 검출된다.
단계 S6에서는, 제1 작동 상태 및 제2 작동 상태의 선택으로부터 나타나는 기준 충전차 표시 정보와의 비교에 의해서, 실린더들(3) 내 충전량들의 실제 충전량 차가 예상 충전차보다 큰지, 같은지 또는 작은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기준 충전차 표시 정보는, 제1 작동 상태 및 제2 작동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에 의존적인 충전차 함수로부터, 예컨대 특성맵 테이블 또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단계 S7에서는, 밸브 제어 변수가 충전차 표시 정보와 기준 충전차 표시 정보 간의 차에 따라 보정 변수를 이용하여 적응된다. 보정 변수는 충전차 표시 정보와 기준 충전차 표시 정보 간의 차에 상응하게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보정 변수의 값은 충전차 표시 정보와 기준 충전차 표시 정보 간 차에 직접 할당될 수도 있다.
보정 변수는 곱셈, 덧셈, 또는 그 밖의 방식으로 밸브 제어 변수에 인가될 수 있다. 적응은, 검출된 차에 의해서 지나치게 높은 충전량이 확인되는 경우, 이로 인해 설정된 밸브 작동 파라미터가 더 적은 충전량을 야기하게끔,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 또한 성립되게끔 밸브 작동 변수가 적응되도록 수행된다.
적응은, 유입 밸브 캠 샤프트 조정기(71)의 제어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유입 밸브(31)의 밸브 개방 시간과 배출 밸브(32)의 밸브 개방 시간이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도록 작동 상태들이 선택되면, 적응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배출 밸브 캠 샤프트 조정기(72)의 제어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와도 관련될 수 있다.
특히, 작동 상태들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압력에 기반한 충전량 검출의 또 다른 공차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흡기관 압력을 충전량 표시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은 예컨대 흡기관 압력 측정기의 공차로 인해 마찬가지로 공차와 결부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차 표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작동 상태는, 충전차 표시 정보가 흡기관 압력 측정의 오류에 대하여 가급적 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특히 작동 상태들은, 캠 샤프트 조정기에 오류가 없거나 공차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흡기관 압력이 나타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충전량 표시 정보의 검출에 미치는 스로틀 밸브 위치의 공차 또는 조정 오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해, 제1 및 제2 작동 상태가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 및 동일한 스로틀 밸브 위치를 갖는, 다시 말해 동일한 흡기관 압력을 갖는 작동 상태들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작동 상태들이 밸브 제어 변수 및 엔진 회전수의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2개의 작동점에서 얻어진 흡기관 압력들 간의 편차 또는 충전량 표시 정보들 간의 편차는 캠 샤프트 조정기(71, 72)의 오류로서 간주되어 상응하게 적응될 수 있다.

Claims (16)

  1. 내연 기관(2)의 유입 밸브(31) 및/또는 배출 밸브(32)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내연 기관(2)의 예정된 작동 상태를 취하는 단계(S1, S3)와,
    상기 예정된 작동 상태에서, 내연 기관(2)의 실린더들(3) 중 하나의 현재 공기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2, S4)와,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는 단계(S7)를 포함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량 표시 정보로서, 유입 밸브(31)의 상류에 배치된 내연 기관(2)의 흡기관(41) 내에서의 흡기관 압력 또는 내연 기관(2)의 실린더들(3) 중 일 실린더의 연소실 내 연소실 압력이 측정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이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와, 예정된 작동 상태에 의존적인 기준 충전량 표시 정보 간의 차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이 제1 작동 상태에서 검출된 제1 충전량 표시 정보와 제2 작동 상태에서 검출된 제2 충전량 표시 정보 간의 차를 의미하는 충전량 표시 정보 차에 따라 실행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이 제1 작동 상태 및 제2 작동 상태를 위한 기준 충전량 표시 정보 차와 충전량 표시 정보 차 간의 차에 따라 수행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상태는, 밸브 제어 변수가 적응된 상태에서 내연 기관(2)의 실린더(3)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흡기관 압력을 야기하는 다양한 작동 상태들에 상응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상태는, 내연 기관에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이 공급되는 작동 상태들에 상응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은 제1 및 제2 작동 상태를 위한 동일한 스로틀 밸브 위치 및 동일한 엔진 회전수에 의해 설정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동일한 공기 질량 흐름을 갖는 제1 및 제2 작동 상태는 동일한 스로틀 밸브 위치, 다양한 엔진 회전수 및 다양한 밸브 제어 변수에 의해 제공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는, 유입 밸브(31)의 개방 시간과 배출 밸브(32)의 개방 시간의 중첩이 발생하는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는, 피스톤 운동의 하사점에서 유입 밸브(31)가 폐쇄될 때의 충전량보다 적어도 10% 더 적게 충전될 정도로, 유입 밸브(31)의 폐쇄 시점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보다 앞서는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는, 피스톤 운동의 하사점에서 폐쇄될 때의 충전량보다 적어도 10% 더 적게 충전될 정도로, 유입 밸브(31)의 폐쇄 시점이 피스톤 동작의 하사점보다 뒤에 놓이는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입 밸브(31)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 및/또는 배출 밸브(32)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에 인가되는 보정 변수의 변화에 의해 적응이 이루어지는, 밸브 제어 변수의 적응 방법.
  14. 내연 기관(2)의 유입 밸브(31) 및/또는 배출 밸브(32)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내연 기관(2)의 예정된 작동 상태를 세팅하고,
    상기 예정된 작동 상태에서, 내연 기관(2)의 실린더들(3) 중 하나의 현재 공기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 정보를 결정하며,
    - 상기 충전량 표시 정보에 따라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도록 형성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장치.
  15. 제어 장치에서 실행될 경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실행하도록 설계되고,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5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60142020A 2015-10-29 2016-10-28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24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1203.3 2015-10-29
DE102015221203.3A DE102015221203A1 (de) 2015-10-29 2015-10-2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daption einer Ventilstellgröße für ein Einlass- und/oder ein Auslassventil eines Verbrennungs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34A true KR20170051334A (ko) 2017-05-11
KR102524941B1 KR102524941B1 (ko) 2023-04-25

Family

ID=5854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20A KR102524941B1 (ko) 2015-10-29 2016-10-28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1253B2 (ko)
KR (1) KR102524941B1 (ko)
CN (1) CN107035546B (ko)
DE (1) DE1020152212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468A (ko) * 2017-02-28 2019-10-14 씨피티 그룹 게엠베하 내연기관의 밸브 행정 전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20810A (ko) * 2019-08-15 2021-02-2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검출된 캠 샤프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유닛, 내연 기관 및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1953A1 (de) 2020-02-17 2021-08-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daption einer erfassten Nockenwellenstellung, Motorsteuer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Verbrennungsmotor und Fahrzeu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455A (ja) * 2002-07-25 2004-02-2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補正制御装置
JP2004340013A (ja) * 2003-05-15 2004-12-02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弁駆動制御装置
JP2005264763A (ja) * 2004-03-16 2005-09-29 Hitachi Ltd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EP1653065A2 (en) * 2004-11-02 2006-05-03 Nissan Motor Co., Ltd. Intak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203829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ンク間ばらつき学習装置及び方法
US20150300279A1 (en) * 2014-04-18 2015-10-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trai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099A (ja) * 2001-09-06 2003-03-19 Yanma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方法
JP4862927B2 (ja) * 2009-08-20 2012-01-25 マツダ株式会社 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
DE102014205767A1 (de) * 2014-03-27 2015-10-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455A (ja) * 2002-07-25 2004-02-2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補正制御装置
JP2004340013A (ja) * 2003-05-15 2004-12-02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弁駆動制御装置
JP2005264763A (ja) * 2004-03-16 2005-09-29 Hitachi Ltd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EP1653065A2 (en) * 2004-11-02 2006-05-03 Nissan Motor Co., Ltd. Intak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9203829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ンク間ばらつき学習装置及び方法
US20150300279A1 (en) * 2014-04-18 2015-10-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tr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468A (ko) * 2017-02-28 2019-10-14 씨피티 그룹 게엠베하 내연기관의 밸브 행정 전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035304B2 (en) 2017-02-28 2021-06-15 Vitesco Technologies GmbH Method and device for valve travel switching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10020810A (ko) * 2019-08-15 2021-02-2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검출된 캠 샤프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유닛, 내연 기관 및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2223A1 (en) 2017-05-04
CN107035546A (zh) 2017-08-11
DE102015221203A1 (de) 2017-05-04
US10151253B2 (en) 2018-12-11
CN107035546B (zh) 2021-10-26
KR102524941B1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3101B1 (en) Intake air amount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device
US9222426B2 (en) Transient air flow control
KR101028132B1 (ko) 내연기관의 정지위치제어장치
US9181894B2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5105654A (ja) 内燃機関シリンダ内の充填量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96954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0080937A (ja) 可変動弁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推定装置
KR102524941B1 (ko)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제어 변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77201B2 (en) Internal EGR amount calcula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9882300B (zh) 一种修正充气效率的方法和装置
US9624842B2 (en) Determination of a value for a valve lift of a valve of an individual cylind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plurality of cylinders
EP2551495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ler
JP3988650B2 (ja) 内燃機関の内部egr量推定装置
JP4631775B2 (ja) 内燃機関の停止位置制御装置
KR20180038547A (ko) 캠축의 위상 위치 예측 방법
CN113356999B (zh) 用于预控制内燃机的燃烧室的燃料-空气混合物的方法
US83356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rrelating cylinder charge and maximum intake valve lif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604706B (zh) 用于对内燃机的气门控制时间进行适应处理的方法
EP1645740A1 (en) Intake airvolume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491110A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crankshaft position sensor correction means
JP4155036B2 (ja) 内燃機関の内部egr量推定装置
JP2002227684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7211685A (ja) 内燃機関のオイル劣化判定装置
JP6060812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5076983B2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