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087A -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087A
KR20170049087A KR1020150150021A KR20150150021A KR20170049087A KR 20170049087 A KR20170049087 A KR 20170049087A KR 1020150150021 A KR1020150150021 A KR 1020150150021A KR 20150150021 A KR20150150021 A KR 20150150021A KR 20170049087 A KR20170049087 A KR 2017004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uch
gas absorbent
foo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김재영
이윤호
이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to KR102015015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087A/ko
Publication of KR2017004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9/60
    • B31B1/62
    • B31B19/20
    • B31B19/64
    • B31B2201/0258
    • B31B2219/147
    • B31B2219/6038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후 유통과정에서 기체가 생성되는 식품, 또는 포장 내 산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의 흡수 제거가 바람직한 포장 식품에서, 파우치 포장의 적재 또는 진열 방향이나, 진열 중 쓰러짐에 관계없이 기체 흡수제가 최적의 효율로 기체를 흡수하여 파우치의 부풀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체 흡수제를 수작업으로 투입하거나 부착할 필요 없이 기체 흡수제를 구비한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로부터 제조된 파우치를 이용한 포장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포장 식품, 특히 포장 김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밀봉 포장 후 유통과정에서 기체가 생성되는 식품, 또는 포장 내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의 흡착가 필요한 식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파우치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김치, 장류, 젓갈 등의 발효식품의 포장재로서 플라스틱 필름 재질의 연질 파우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효식품은 밀봉 포장 후 유통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효 및 숙성되면서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기체를 발생시킴으로써, 파우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파우치가 부풀어 올라 상품성을 저하시키거나, 파손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종래에는 파우치 내면에 기체 흡수제를 부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있으나, 기체 흡수제 표면이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면 기체 흡수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고, 기체 흡수제의 화학성분이 식품으로 이행될 가능성도 있었다. 또한 파우치 내부에 기체 흡수제를 부착하는 공정은 자동화가 어려워 수작업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기체 흡수제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09041호 및 등록특허 제10-0743346호에서는 기체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식품에서 생성된 기체를 파우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성의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를 고안하였다. 그러나 발효식품에서 생성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냄새가 발생하고, 외부로부터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김치의 풍미 및 저장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6366호에서는 기체 흡수제를 사용하되 포장봉지 내부에 방수통기성 비닐박막을 삽입하여 기체 흡수제를 내용물과 격리하였으나, 여전히 기체 흡수제를 내부에 투입하는 공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 후 유통과정에서 기체가 생성되는 식품, 또는 포장 내 산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의 흡수 제거가 바람직한 포장 식품에서, 파우치 포장의 적재 또는 진열 방향이나, 진열 중 쓰러짐에 관계없이 기체 흡수제가 최적의 효율로 흡수하여 파우치의 부풀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체 흡수제를 수작업으로 투입하거나 부착할 필요 없이 기체 흡수제를 구비한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 후 유통과정에서 기체가 생성되는 식품, 또는 포장 내 산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의 흡수 제거가 바람직한 포장 식품에서, 파우치 포장의 적재 또는 진열 방향이나, 진열 중 쓰러짐에 관계없이 기체 흡수제가 최적의 효율로 흡수하여 파우치의 부풀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체 흡수제를 수작업으로 투입하거나 부착할 필요없이 기체 흡수제를 구비한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이용하여 식품의 투입 및 포장이 자동화된 식품의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화된 방법으로 포장된 포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화된 방법으로 포장된 포장 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의 소정의 위치에 절개선, 절개면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 다수의 통공, 또는 이들 모두를 다이컷팅하는 후면 필름 준비 단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파우치를 형성한 후, 상기 파우치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를 밀봉하는 공정; 또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를 밀봉한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 상기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파우치를 형성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체 흡수제 수용부 밀봉 및 파우치 형성 단계; 및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에 기체 흡수제를 부착하고, 상기 기체 흡수제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의 기체 흡수제가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최후면 필름을 후면 필름에 부착하는 공정; 또는 기체 흡수제를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상기 최후면 필름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우치 형성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의 하부의 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을 함께 접합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필름 준비 단계의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공정은, 후면 필름을 소정 지름의 바늘로 관통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의 둘레에 중간 필름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의 크기는 0.1 내지 2 mm이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0.2 내지 1 mm일 수 있다.
상기 최후면 필름은 후면 필름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의 폭은 상기 기체 흡수제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고, 상기 절개면의 높이는 상기 기체 흡수제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기체 흡수제를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기체 흡수제의 일부를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을 통해 삽입하여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의 면적은 상기 절개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기체 흡수제가 상기 절개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2);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3); 및 상기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절개선, 절개면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를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55);를 포함하는 필름 준비부(50);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 상기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접합된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 상기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이 접합된 하면 가장자리, 및 중간 필름과 전면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접합된 상면 가장자리를 다이컷팅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63); 및 상기 다이컷팅된 파우치를 최후면 필름 부착부로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부(64);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부(60);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71);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72); 상기 다이컷팅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 및 중앙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기(73);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위치 또는 상기 다이컷팅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최후면 필름의 중앙에 기체 흡수제를 이송시켜 부착하는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상기 최후면 필름을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위치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를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이컷팅롤러(55)의 앞 또는 뒤에서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2);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3); 및 상기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포함하는 필름 준비부(50);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 상기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접합된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 상기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이 접합된 하면 가장자리, 및 중간 필름과 전면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접합된 상면 가장자리를 다이컷팅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63); 및 상기 다이컷팅된 파우치를 최후면 필름 부착부로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부(64);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부(60);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71);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72);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 또는 상기 다이컷팅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 및 중앙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기(73);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 또는 상기 다이컷팅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최후면 필름의 중앙에 기체 흡수제를 이송시켜 부착하는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상기 최후면 필름을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를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름 준비부(50)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바닥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6);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롤러(61)에서 상기 권출롤러(51, 52, 53, 56)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전면 필름과 중간 필름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이 함께 접합되어 자립형 파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는 상기 기체 흡수제의 일부를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을 통해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를 통해 기체 흡수제가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파우치의 식품 수용부로 기체 흡수제 안착판을 삽입하는 기체 흡수제 안착판 이송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 안착판에는 상기 기체 흡수제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라벨 부착기일 수 있다.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최후면 필름이 놓여지는 판이 구비되고, 그 판의 중앙부에 상기 기체 흡수제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흡입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후면 필름 또는 최후면 필름의 상부를 일 방향으로, 그리고 전면 필름의 상부를 타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흡입하여 식품 수용부를 개구하는 단계; 상기 식품 수용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포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포장 김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 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포장된 발효식품의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파우치 포장의 적재 또는 진열 방향이나, 진열 중 쓰러짐에 관계없이 기체 흡수제가 최적의 효율로 흡수하여 파우치의 부풀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체 흡수제를 수작업으로 투입하거나 부착할 필요 없이 기체 흡수제를 구비한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방법은 상기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이용하여 식품의 투입 및 포장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식품, 특히 포장 김치는 유통과정에서 파우치의 부풀음 발생 가능성이 낮고, 자동화된 포장 공정이 이용될 수 있어 위생적이고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발효식품 뿐만 아니라, 밀봉 포장 후 포장내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 등의 기체 흡수 제거가 필요한 식품, 예를 들어 햄, 소시지 등의 육류가공식품, 어묵, 맛살 등의 어패류가공식품, 조미김, 조미파래 등의 해조가공식품 또는 떡 등의 포장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발효식품이 파우치에 투입되기 전의 상태이고, 발효식품이 파우치에 투입된 후에는 상기 파우치의 상부 가장자리도 접합된다. 각 필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의 외곽 가장자리는 접합부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의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A-A'단면도 및 그 단면도에서 접합부의 확대도로서, 파우치 상단의 A-A'단면에서는 중간 필름(21) 및 후면 필름(22)이 접합된 상태로서 발효식품 수용부(40)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1의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B-B'단면도 및 그 단면도에서 접합부의 확대도로서, 파우치 상부의 최후면 필름을 가로지르는 B-B'단면에서는 중간 필름(21)이 발효식품 수용부(40)와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로 분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내부를 투영한 투시도로서 기체 흡수제(31)가 후면 필름(22)의 절개부(222) 내부에 위치하고, 절개면(222a)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21)을 나타낸다.
도 4a는 도 2b의 단면도에서 기체 흡수제(31)가 접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아래에는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도시되고,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로서, 후면 필름(22)에 절개면(222a) 및 절개선(222b)를 포함하는 절개부(22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4b에 대응되는 도 5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체 흡수제(31)가 후면 필름(22)의 절개면(222a)에 일부만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이고, 아래는 상기 후면 필름(22)의 절개부(222) 및 기체 흡수제(31)를 밀봉하도록 부착되기 전의 최후면 필름(23)이다.
도 6a는 도 4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로서, 후면 필름(22)에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고 다수의 통공(221)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6b는 도 4b에 대응되는 도 6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아래에는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도시되고,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후면 필름의 통공을 형성하는 타공기를 구비한 필름 준비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후면 필름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를 구비한 필름 준비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후면 필름의 통공을 형성하는 타공기와 절개부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를 구비한 필름 준비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파우치 형성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최후면 필름 부착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0b는 도 9a의 ① 및 ②번 위치에서 최후면 필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최후면 필름 부착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방법을 설명한 공정 흐름도로서, 위부터 파우치 공급 공정, 파우치 개구 공정 및 식품 투입 공정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위치에 절개선(222b), 절개면(222a)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222), 다수의 통공(221), 또는 이들 모두를 다이컷팅하는 후면 필름(22) 준비 단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10),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21), 및 상기 후면 필름(22)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파우치를 형성한 후, 상기 파우치의 중간 필름(21) 및 후면 필름(22)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를 밀봉하는 공정; 또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21) 및 상기 후면 필름(22)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를 밀봉한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10), 상기 중간 필름(21) 및 상기 후면 필름(22)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파우치를 형성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체 흡수제 수용부 밀봉 및 파우치 형성 단계; 및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23)에 기체 흡수제(31)를 부착하고, 상기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의 기체 흡수제(31)가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22)의 절개부(222) 또는 다수의 통공(221)이 있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최후면 필름(23)을 후면 필름(22)에 부착하는 공정[도 10a 참조]; 또는 기체 흡수제(31)를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22)의 절개부(222) 또는 다수의 통공(221)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23)을 상기 후면 필름(22)에 부착하는 공정[도 10c 참조];을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10),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21), 및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22)이 적층되어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는 상기 전면 필름(10), 중간 필름(21) 및 후면 필름(22)이 모두 접합되고, 상면 가장자리는 중간 필름(21) 및 후면 필름(22)만 접합된 파우치로서, 상기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된 통공부; 상기 통공부가 밀봉되도록 가장자리가 후면 필름(22)과 접합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23); 및 상기 최후면 필름(23)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통공부에 접하거나 그 주변에 위치하는 기체 흡수제(31);를 포함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상기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된 통공부 대신에, 상기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위치에 절개선(222b), 절개면(222a)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상기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위치에 절개선(222b), 절개면(222a)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222) 및 그 주변에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된 통공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도 2b, 도 3, 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자립형 파우치(standing pouch)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의 하부의 전면 필름(10) 및 중간 필름(21)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이 U자형 또는 V자 형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자립형 파우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파우치 형성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의 하부의 전면 필름(10) 및 중간 필름(21)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을 함께 접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발효식품이 파우치에 투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외부에서 보는 파우치는 후면 필름(22) 위에 최후면 필름(23)에 접합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파우치와 큰 차이가 없다. 상기 도 1에서 후면 필름(22) 및 최후면 필름(23)의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의 외곽 가장자리는 접합부를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낸 도 1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 상단의 A-A'단면도 및 그 단면도에서 접합부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중간 필름(21) 및 후면 필름(22)이 접합된 상태로서 발효식품 수용부(40)만 개방되고, 파우치의 상단을 통해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로 발효식품이 출입할 수 없다. 상기 파우치의 상단을 통해 식품이 파우치에 투입된 후에는 상기 파우치의 상부 가장자리도 접합된다.
도 2b는 도 1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상부 B-B'단면도 및 그 단면도에서 접합부의 확대도로서, 파우치 상부의 최후면 필름을 가로지르는 B-B'단면에서는 중간 필름(21)이 식품 수용부(40)와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로 분리시키고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의 가장자리는 후면 필름(22)에 부착된다. 상기 최후면 필름(23)은 후면 필름(22)과 동일한 면적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체 흡수제(31)보다 가로나 세로가 적어도 각각 2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3 cm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후면 필름(22)보다 면적이 좁게 되도록 가로 및 세로를 결정하되, 바람직하게는 20 c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cm 이하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후면 필름(23)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상기 하한치보다 짧은 경우 두께를 갖는 기체 흡수제(31)가 최후면 필름(23)에 부착된 후, 최후면 필름(23)을 후면 필름(22)에 자동화 공정으로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최후면 필름(23)의 가장자리가 평탄하고 균일하게 부착되지 않아 외관상 상품성을 저하시키거나 밀봉이 되지 않아 식품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최후면 필름(23)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상기 상한치보다 너무 길 경우 최후면 필름(23)의 이송이나, 가장자리의 평탄하고 균일한 접합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의 상부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쉽게 찢어지는 이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의 상부에 플라스틱 지퍼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열부의 하부의 0.5 내지 2 cm 범위 내에 플라스틱 지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필름(10), 후면 필름(22) 및 최후면 필름(23)은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필름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단일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10, 22, 23)들은 예를 들면 방수성이 내수압을 측정하였을 때 1,000 내지 50,000 mmH2O,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 mmH2O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기체 차단성은 온도 10 ℃ 및 상대습도 90 %에서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0 내지 10 ml/m2·day·atm,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ml/m2·day·atm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10, 22, 23)들은 단일 필름으로도 상기 방수성 및 기체 차단성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적층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박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박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적층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적층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10, 22, 23)의 재질은 유통기한이나 국내용 또는 수출용 등의 판매지역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국내용 또는 짧은 유통기한에서는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적층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수출용 또는 장기 저장이 필요한 제품은 고차단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박 및 폴리에틸렌 적층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박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적층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10, 22, 2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5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일 수 있다.
상기 중간 필름(21)은 통기성 및 방수성 필름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단일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필름(21)은 기체는 투과시키고, 방수성은 유지하기 위해서 방수성 필름에 5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의 미세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 필름(21)은 예를 들면 방수성이 내수압을 측정하였을 때 1,000 내지 50,000 mmH2O,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00 mmH2O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기체 투과성은 온도 10 ℃ 및 상대습도 90 %에서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2,000 내지 50,000 ml/m2·day·atm,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30,000 ml/m2·day·atm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필름(21)은 단일 필름 또는 적층 필름으로 상기 통기성 및 기체 차단성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필름(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는 이산화탄소, 산소, 수증기 등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체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체 흡수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가스 흡수제, 이산화탄소 흡수제, 탈산소제, 수분흡수제 등으로 불리우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파우치로 포장되는 식품은 포장 후 저장 또는 유통 중에 기체가 생성되는 발효식품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 젓갈, 김치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김치이다. 또한 상기 파우치로 포장되는 식품은 밀봉 포장 후 포장내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 등의 기체 흡수 제거가 필요한 식품, 예를 들어 햄, 소시지 등의 육류가공식품, 어묵, 맛살 등의 어패류가공식품, 조미김, 조미파래 등의 해조가공식품 또는 떡 등의 포장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사시도에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내부를 투영한 투시도로서 후면 필름(22)의 소정의 면적에 절개면(222a) 및 그 주변에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된 통공부가 함께 형성된 파우치의 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체 흡수제(31)의 면적은 상기 절개면(222a)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기체 흡수제(31)가 상기 절개면(222a)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는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될 때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기체 흡수제(31)가 후면 필름(22)을 접하여 누르면서 후면 필름(22)이 휘어지거나 구겨져서 평탄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후면 필름(22)과 최후면 필름(23)의 가장자리 부착부가 평탄하고 균일하게 접합되지 않아 외관상 상품성을 저하시키거나 밀봉이 되지 않아 식품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4a는 도 2b의 단면도에서 기체 흡수제(31)가 접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아래에는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도시되고,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다.
상기 도 4a에서 통공(221) 확대도에서 통공의 크기가 0.2 내지 2 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mm이고, 통공 구멍(221b) 둘레의 원주면에는 돌기(2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의 높이는 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 mm로서 상기 돌기가 중간 필름(21) 방향으로 형성되어 중간 필름(21)과 후면 필름(22)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체 흡수제(31)와 중간 필름(21) 사이에 공간을 부여하도록 도움을 준다.
도 5a는 도 4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로서, 후면 필름(22)에 절개면(222a) 및 절개선(222b)를 포함하는 절개부(22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도 4b에 대응되는 도 5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다.
기체 흡수제(31)가 후면 필름(22)의 절개면(222a)에 일부만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이고, 아래는 상기 후면 필름(22)의 절개부(222) 및 기체 흡수제(31)를 밀봉하도록 부착되기 전의 최후면 필름(23)이다.
상기 절개선(222b) 또는 절개면(222a)의 폭은 상기 기체 흡수제(31)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절개선(222b) 또는 절개면(222a)의 폭이 기체 흡수제(31)보다 1 내지 3 cm 정도 큰 것이다. 이를 통해 기체 흡수제(31)를 자동으로 상기 절개선(222b) 또는 절개면(222a)에 투입하는 장치의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면(222a)의 높이는 상기 기체 흡수제(31)의 높이보다 낮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면(222a)의 높이는 기체 흡수제(31) 높이의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기체 흡수제(31)를 자동으로 상기 절개면(222a)에 투입하는 장치에 의해 투입할 때 기체 흡수제(31)가 절개면(222a)을 통해 후면 필름(22)과 최후면 필름(23) 사이에 삽입되는 데에서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후면 필름(22)과 최후면 필름(23) 사이에 삽입되는 기체 흡수제의 면적이 50% 미만이 되어야 하므로, 후면 필름(22)과 최후면 필름(23)의 가장자리 접합부가 평탄하고 균일하게 접합되지 않아 외관상 상품성을 저하시키거나 밀봉이 되지 않아 식품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의 포장지는 후면 필름(22) 외부로 노출된 기체 흡수제(31)의 면적이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에 포장지보다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면 필름(22)과 최후면 필름(23)의 가장자리 부착부의 평탄성 및 균일성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 필름 준비 단계의 다수의 통공(221)을 형성하는 공정은, 후면 필름(22)을 소정 지름의 바늘로 관통시켜 형성할 수 있다. 소정 지름의 바늘로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통공의 둘레에 중간 필름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도 6a는 도 4a에 대비되는 후면 필름(22)에 절개부(222) 없이 소정 면적의 다수의 통공(221)만 형성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파우치이다. 상기 도 6a는 기체 흡수제(31)가 접합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파우치의 사시도로서 아래에는 기체 흡수제(31)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23)이 도시되고, 위에는 최후면 필름(23)이 부착되기 전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2);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3); 및 상기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절개선, 절개면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를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55);를 포함하는 필름 준비부(50);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 상기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접합된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 상기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이 접합된 하면 가장자리, 및 중간 필름과 전면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접합된 상면 가장자리를 다이컷팅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63); 및 상기 다이컷팅된 파우치를 최후면 필름 부착부로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부(64);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부(60);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71);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72);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 또는 상기 다이컷팅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 및 중앙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기(73);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상기 다이컷팅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최후면 필름의 중앙에 기체 흡수제를 이송시켜 부착하는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상기 기체 흡수제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을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위치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를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도 8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 다이컷팅롤러(55)의 앞 또는 뒤에서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 필름 준비부(50)의 후면 필름 권출롤러(53)에서 풀어낸 후면 필름의 소정 위치에 절개부를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55) 대신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도 8a, 도 9, 도 10a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 필름 준비부(50)의 후면 필름 권출롤러(53)에서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 및 소정 면적의 절개부를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55)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도 8c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 필름 준비부(50)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바닥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6);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롤러(61)에서 상기 권출롤러(51, 52, 53, 56)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전면 필름과 중간 필름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이 함께 접합되어 자립형 파우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파우치 형성부(60)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파우치 형성부(60)에서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는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모두를 필름의 열접합이 가능한 온도 이상으로, 예를 들면 1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30 ℃로 유지시킴으로써, 전면 필름과 중간 필름, 또한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이 열접합 될 수 있다. 한편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는 상부 롤러만 필름의 열접합이 가능한 1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30 ℃로 유지시키고, 하부 롤러는 150 ℃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로 유지시킴으로써, 전면 필름과 중간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열접합 될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상기 롤러들의 온도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22)에는 기체 흡수제(31)의 면적보다 큰 절개면(222a)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체 흡수제(31)는 먼저 최후면 필름(23)에 부착된 후 최후면 필름(23)을 후면 필름(22)에 부착시킬 때 후면 필름(22)의 절개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흡입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최후면 필름이 놓여지는 판이 구비되고, 그 판의 중앙부에 상기 기체 흡수제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 흡수제가 상기 홈에 놓여짐으로써 기체 흡수제가 놓여진 최후면 필름이 후면 필름에 부착되는 공정에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가 평탄하고 균일하게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후의 최후면 필름 이송부(75)에 놓여진 최후면 필름(①)과 그 최후면 필름에 기체 흡착제(31)이 놓여진 상태(②)의 사시도 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공정 및 장치에서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는 상기 기체 흡수제의 일부를 상기 절개부(222)를 통해 후면 필름(22) 및 중간 필름(21) 사이에 삽입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체 흡수제(31)가 최후면 필름(23)에 부착되어 고정되기 전에 소정의 위치에 임시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를 통해 기체 흡수제(31)가 후면 필름(22) 및 중간 필름(21)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파우치의 식품 수용부(40)로 기체 흡수제 안착판을 삽입하는 기체 흡수제 안착판 이송부(7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체 흡수제 안착판에는 상기 기체 흡수제(31)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7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 흡수제가 상기 홈에 놓여짐으로써 기체 흡수제가 놓여진 최후면 필름이 후면 필름에 부착되는 공정에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가 평탄하고 균일하게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기체 흡수제 안착판은 파우치의 식품 수용부(40)에 삽입된 후 최후면 필름 이송부(75)에서 이송된 최후면 필름(23)이 후면 필름(22)에 부착되면서 기체 흡수제(31)를 부착 고정시킨 후, 기체 흡수제 안착판이 파우치에서 인출된다.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통상의 라벨 부착기로 자동화가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식품이 수용되는 발효식품 수용부(40)과 기체 흡수제 수용부(30)가 중간 필름(21)을 통해 분리되어 있으면서, 파우치의 상단에서는 기체 흡수제 수용부(30)로 개구되지 않고 밀봉되고, 기체 흡수제(31)를 식품이 투입되는 파우치의 상단 개구부가 아닌 파우치의 후면 필름(22)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이후 식품 포장과정에서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후면 필름 또는 최후면 필름, 및 전면 필름의 상부를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입하여 식품 수용부를 개구하는 단계; 상기 식품 수용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포장방법에서는 식품 수용부에 별도 수작업으로 기체 흡수제를 부착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파우치 상단으로 식품 수용부와 기체 흡수제 수용부가 함께 개구되어 식품이 기체 흡수제 수용부로 혼입될 가능성이 차단되며, 통상의 자동화된 파우치 포장 공정을 이용하여 식품의 포장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방법을 설명한 공정 흐름도로서, 위부터 파우치 공급 공정, 파우치 개구 공정 및 발효식품 투입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의 1은 파우치 공급 및 전달, 2는 파우치에 유통기한 인쇄, 3은 파우치의 상단 및 하단 개구, 4는 발효식품 투입, 5는 파우치 상단 접합 전 파우치를 위로 당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포장 식품, 특히 포장 김치에서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파우치 포장의 적재 또는 진열 방향이나, 진열 중 쓰러짐에 관계없이 기체 흡수제가 최적의 효율로 흡수하여 파우치의 부풀음을 방지할 수 있다.
10: 전면 필름 20: 이중 필름
21: 중간 필름 22: 후면 필름
221: 통공 221a: 통공 돌기
221b: 통공 구멍 222: 절개부
222a: 절개면 222b: 절개선
23: 최후면 필름 30: 기체 흡수제 수용부
31: 기체 흡수제 40: 식품 수용부
50: 필름 준비부 51: 전면 필름 권출롤러
51: 중간 필름 권출롤러 53: 후면 필름 권출롤러
54: 후면 필름 타공기 55: 후면 필름 다이컷팅롤러
60: 파우치 형성부 61: 파우치 측면 및 하면 접합롤러
62: 파우치 상면 접합롤러63: 파우치 다이컷팅롤러
64: 파우치 이송부 70: 최후면 필름 부착부
71: 최후면 필름 권출롤러 72: 최후면 필름 다이컷팅롤러
73: 접착제 도포기 74: 기체 흡수제 이송부
75: 최후면 필름 이송부 76: 기체 흡수제 안착판 이송부
76a: 기체 흡수제 안착판 홈

Claims (21)

  1.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의 소정의 위치에 절개선, 절개면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 다수의 통공, 또는 이들 모두를 다이컷팅하는 후면 필름 준비 단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파우치를 형성한 후, 상기 파우치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를 밀봉하는 공정; 또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기체 흡수제 수용부를 밀봉한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 상기 중간 필름 및 상기 후면 필름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여 파우치를 형성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체 흡수제 수용부 밀봉 및 파우치 형성 단계; 및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에 기체 흡수제를 부착하고, 상기 기체 흡수제가 부착된 최후면 필름의 기체 흡수제가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최후면 필름을 후면 필름에 부착하는 공정; 또는 기체 흡수제를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상기 후면 필름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형성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의 하부의 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을 함께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필름 준비 단계의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공정은, 후면 필름을 소정 지름의 바늘로 관통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둘레에 중간 필름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크기는 0.2 내지 2 mm이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0.1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면 필름은 후면 필름보다 면적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의 폭은 상기 기체 흡수제의 폭과 동일하거나 넓고, 상기 절개면의 높이는 상기 기체 흡수제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기체 흡수제를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또는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기체 흡수제의 일부를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을 통해 삽입하여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수제의 면적은 상기 절개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기체 흡수제가 상기 절개면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9.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2);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3); 및 상기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위치에 절개선, 절개면 또는 이들 모두가 형성된 절개부를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55);를 포함하는 필름 준비부(50);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 상기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접합된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 상기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이 접합된 하면 가장자리, 및 중간 필름과 전면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접합된 상면 가장자리를 다이컷팅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63); 및 상기 다이컷팅된 파우치를 최후면 필름 부착부로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부(64);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부(60);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71);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72); 상기 다이컷팅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 및 중앙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기(73);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위치 또는 상기 다이컷팅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최후면 필름의 중앙에 기체 흡수제를 이송시켜 부착하는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상기 최후면 필름을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절개부 위치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를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컷팅롤러(55)의 앞 또는 뒤에서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중간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2);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3); 및 상기 풀어낸 후면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면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타공기(54);를 포함하는 필름 준비부(50);
    상기 권출롤러(51, 52, 53)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1); 상기 측면 및 하면 가장자리가 접합된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의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한 쌍의 접합롤러(62); 상기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이 접합된 하면 가장자리, 및 중간 필름과 전면 필름은 접합되지 않고, 중간 필름과 후면 필름만 접합된 상면 가장자리를 다이컷팅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다이컷팅롤러(63); 및 상기 다이컷팅된 파우치를 최후면 필름 부착부로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부(64);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부(60);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최후면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71);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을 일정 간격으로 다이컷팅하는 다이컷팅롤러(72); 상기 풀어낸 최후면 필름 또는 상기 다이컷팅된 최후면 필름의 가장자리 및 중앙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기(73);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 또는 상기 다이컷팅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최후면 필름의 중앙에 기체 흡수제를 이송시켜 부착하는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상기 최후면 필름을 상기 파우치의 후면 필름의 다수의 통공이 있는 위치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를 포함하는 최후면 필름 부착부(70);를 포함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준비부(50)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 차단성 및 방수성 바닥 필름을 풀어내는 권출롤러(56);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롤러(61)에서 상기 권출롤러(51, 52, 53, 56)에서 풀어낸 전면 필름, 중간 필름 및 후면 필름에서 전면 필름과 중간 필름 사이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 필름이 함께 접합되어 자립형 파우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는 상기 기체 흡수제의 일부를 상기 절개선 또는 절개면을 통해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를 통해 기체 흡수제가 후면 필름 및 중간 필름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파우치의 식품 수용부로 기체 흡수제 안착판을 삽입하는 기체 흡수제 안착판 이송부(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수제 안착판에는 상기 기체 흡수제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라벨 부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최후면 필름이 놓여지는 판이 구비되고, 그 판의 중앙부에 상기 기체 흡수제가 갖는 공간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수제 이송부(74) 및 최후면 필름 이송부(75)는 흡입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파우치 제조장치.
  1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후면 필름 또는 최후면 필름의 상부를 일 방향으로, 그리고 전면 필름의 상부를 타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흡입하여 식품 수용부를 개구하는 단계;
    상기 식품 수용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상면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
  20. 청구항 제19항의 방법으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식품은 발효식품, 육류가공식품, 어패류가공식품, 해조가공식품 또는 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KR1020150150021A 2015-10-28 2015-10-2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70049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21A KR20170049087A (ko) 2015-10-28 2015-10-2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21A KR20170049087A (ko) 2015-10-28 2015-10-2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87A true KR20170049087A (ko) 2017-05-10

Family

ID=5874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021A KR20170049087A (ko) 2015-10-28 2015-10-2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0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785B1 (ko) * 2019-09-04 2020-05-07 박시효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식품 포장재
KR20220049163A (ko) * 2020-10-14 2022-04-21 (주)세경하이테크 보호 필름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785B1 (ko) * 2019-09-04 2020-05-07 박시효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식품 포장재
KR20220049163A (ko) * 2020-10-14 2022-04-21 (주)세경하이테크 보호 필름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188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JP3925873B2 (ja) その底に平滑な通気性基層をもつパッケージ
AU738076B2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e with accelerated reduction of oxygen level in meat compartment
US5804265A (en) Functional freezer storage bag
US63215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n oxygen scavenger into a modified atmosphere package
US60446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ackage having a peelable film with a tab to facilitate peeling
JP2000504658A (ja) フリーザー貯蔵バッグ
US2005003480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trapping bag for use in vacuum packaging
KR20170049087A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20050035020A1 (en) Sealable bag having an integrated tray for use in vacuum packaging
US2005003480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able bag having an integrated tray for use in vacuum packaging
JPH11115950A (ja) 電子レンジ加熱用袋
JPH02128676A (ja) 酸素吸収体収納袋及びその切断方法
US20070202220A1 (en) Food storage preserver
KR101642748B1 (ko)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JP2002308293A (ja) 青果物入り包装袋
JPH05162708A (ja) 青果物の包装方法
KR20110114838A (ko) 김치 등 발효식품군의 가스 배출용 포장용기용 상표라벨
JP3441533B2 (ja) 付帯袋付ゆで卵包装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4016134A (ja) 青果物入り包装体
JP2001078682A (ja) フィルム包装された板状食品の製造方法
AU2004217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indicia for use in vacuum packaging
JP2002176909A (ja) 食肉の包装体及びそれを用いた食肉の包装方法、食肉の保存方法
EP1608556A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tray for use in vacuum packaging
JPH0940027A (ja) 魚、肉等の真空包装用台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