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770A -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770A
KR20170048770A KR1020150149271A KR20150149271A KR20170048770A KR 20170048770 A KR20170048770 A KR 20170048770A KR 1020150149271 A KR1020150149271 A KR 1020150149271A KR 20150149271 A KR20150149271 A KR 20150149271A KR 20170048770 A KR20170048770 A KR 2017004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pressing
shoe
massage member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614B1 (ko
Inventor
신성
Original Assignee
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 filed Critical 신성
Priority to KR102015014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한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깔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내벽면에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마사지부재를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마사지부재를 탄성력이나 기계적인 구조 등을 통해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므로 신발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체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마사지부재를 마사지 부위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마사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Shoes having massage apparatus for pressing with side massage function}
본 발명은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양쪽 족궁 부위나 발뒤꿈치 양쪽 등을 마사지하기 위해 마사지부재를 가압하도록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체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을 보호하면서 착용감을 증대시키기 위하도록 발에 착용하며, 신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능 및 구조를 갖도록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과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9544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996-0033334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9544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996-0033334호에 개시된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그리고 신발 구조체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9544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신발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신발은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outsole)로 이루어지고, 이들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 사이에 삽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깔창을 포함한다. 신발제조용 가죽(10)은 발의 형태에 맞게 제조되는데, 그 상부에는 발이 삽입될 수 있게 개구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웃솔(20)과 접착되는 가죽접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아웃솔(20)은 신발의 용도에 알맞은 형태의 바닥부(22)를 갖추며, 아웃솔(20)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아웃솔접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신발은 신발의 총중량 감소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신발 기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공개특허공보 제1996-0033334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신발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신발은 신발밑창(50)을 통하여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갑피(30)의 수납공간(31)에 외부공기가 순환 가능하게 하는 공기순환수단이 구비되며, 이 공기순환수단은 신발밑창(50)에 그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51)이 소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각 관통공(51)에 외부 이물질이 수납공간(31)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필터부재(60)가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신발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신발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특정 기능만 한정하고 있으므로 웰빙(well-being) 추세에 따라 건강 증진 기능이 추가된 제품의 개발 및 출시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95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333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마사지부재를 탄성력이나 기계적인 구조 등을 통해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므로 신발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체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마사지부재를 마사지 부위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마사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깔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내벽면에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마사지부재를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포함하는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한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가압시 변형되면서 상기 마사지부재를 안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중심에 볼록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와, 상기 눌림부의 눌림시 변형되면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상기 신발의 바닥면 후단에 대칭 형태로 구비되어 내측단이 제1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면서 외측방향 저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동되는 연동부재; 상기 신발의 양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상승시 경사진 내벽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에 내벽면에 연결된 상기 마사지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에 상기 마사지부재를 탄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깔창은, 연질로 구비되는 깔창 본체; 상기 깔창 본체 중 발의 뒷부분이 닿는 후단 저면에 덧대는 덧댐부재; 상기 덧댐부재의 측면 중 발의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닿을 수 있도록 연장된 연장부의 표면에 배열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족궁에 자력이 가해지게 하는 자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마사지부재를 탄성력이나 기계적인 구조 등을 통해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므로 신발을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체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마사지부재를 마사지 부위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마사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신발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신발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마사지부재 가압구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마사지부재 가압구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이 마사지부재 가압구에 의해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이 마사지부재 가압구에 의해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마사지부재 가압구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마사지부재 가압구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이 마사지부재 가압구에 의해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100)은 신발 본체(110), 마사지부재(120) 및 마사지부재 가압구(130)를 포함한다.
신발 본체(110)는 외피(112a)와 내피(112b)로 마감되면서 마감된 내부 바닥에 밑창이 구비되고, 상기 밑창 상측인 내부 바닥에 깔창(114)이 구비되며, 후단에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때, 깔창(114)은 후술할 마사지부재(120)가 착용자의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깔창(114)과 분리 형태로 구비되고,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깔창(114)과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마사지부재(120)가 깔창(114)과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어 내외측 족궁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깔창(114)은 깔창 본체(115), 덧댐부재(116) 및 자력부재(117)를 포함한다.
깔창 본체(115)는 신발(1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덧댐부재(116)는 깔창 본체(115) 중 발의 뒷부분이 닿는 후단 저면에 합성수지재 등의 경질 재질로 덧대도록 구비되며, 연장부(116a) 및 홈부(11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장부(116a)는 덧댐부재(116)의 내측단 또는 외측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접힘시 착용자 발의 족궁에서부터 복사뼈(복숭아뼈) 아래까지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연장부(116a)는 족궁인 발바닥 아치 부분에서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하도록 덧댐부재(116)의 내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즉, 상기 연장부(116a)가 덧댐부재(116)의 내측단에 구비되는 경우 발바닥 아치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발바닥 아치 부분에서부터 안쪽 복사뼈 아래까지 후술할 마사지부재(120)에 의해 마사지하게 하고, 상기 덧댐부재(116)의 외측단에 구비되는 경우 발바닥 아치 부분과 대향되는 발바닥 외측단에서부터 바깥쪽 복사뼈 아래까지 상기 마사지부재(120)에 의해 마사지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116a)에는 표면에 마사지부재(130)가 다수 배치되어 착용자 발의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을 선택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게 한다.
홈부(116b)는 덧댐부재(116)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의해 가압하게 되면 양쪽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상기 홈부(116b)를 기점으로 연장부(116a)가 들리게 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발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통해 마사지부재(120) 및 자력부재(117)가 발바닥 아치 부분을 가압 및 밀착되게 하면서 마사지 기능과 함께 자력에 노출되게 한다.
자력부재(117)는 마사지부재(120)의 내측 위치인 연장부(116a)에 구비되어 족궁에 자력이 가해지게 하여 혈액순환 개선이나 근육통 및 요통 등의 완화에 도움을 준다.
마사지부재(120)는 착용자의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신발(100)의 대향된 내벽면 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사지부재(120)는 신발(100)의 외피(112a)와 내피(112b)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내피(112b)에 상기 마사지부재(120)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표면이 노출되게 구비된 후 봉제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112a)와 내피(112b)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렇게, 상기 마사지부재(120)가 외피(112a)와 내피(112b)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미려하지만, 상기 마사지부재(120)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내피(112b)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표면이 노출되게 구비하면 직접 마사지 부위에 밀착되므로 마사지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사지부재(12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에어캡(air cap) 또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우레탄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밀착 부위에 대해 마사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마사지부재 가압구(130)는 마사지부재(120)를 체중에 의해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인 마시지 부위를 가압하여 변형에 의해 밀착시키는 탄성 와이어(wire)이다.
이때,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130)가 탄성 와이어인 경우 눌림부(132) 및 이동부(134)를 포함하면서 대략 "W"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눌림부(132)가 밑창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134)가 상기 밑창과 연결되어 통하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상기 눌림부(132)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눌림부(132)는 밑창 저면에 위치되면서 횡 방향으로 연결된 중심부에 상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시 발에 의해 눌려지도록 볼록하게 절곡 형성된다.
이동부(134)는 눌림부(132)의 양쪽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눌림부(132)의 눌림시 내측 방향으로 동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사지부재(120)의 내벽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130)는 눌림부(132)가 발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상기 눌림부(132)의 양단이 변형되면서 이동부(134)가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부(134)가 마사지부재(120)를 안쪽 방향으로 가압 및 이동시켜 마사지부위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100)에서 마사지부재(12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착용자가 신발(100)을 착용하여 발바닥에 의해 마사지부재 가압구(130)는 눌림부(132)가 발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상기 눌림부(132)의 양단이 변형되면서 이동부(134)가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부(134)가 마사지부재(120)를 안쪽 방향으로 가압 및 이동시켜 마사지부위를 가압하게 된다.
그 후, 신발을 벗어 발바닥이 마사지부재 가압구(130)의 눌림부(132)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이동부(134)가 외측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므로 마사지부재(120) 역시 원위치로 이격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에서 깔창이 마사지부재 가압구에 의해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200)은 신발 본체(210), 마사지부재(220) 및 마사지부재 가압구(230)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 본체(210) 및 마사지부재(22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마사지부재(220)는 신발의 내벽면에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을 마사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내외측 족궁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하는 경우 앞선 실시예서와 같이 상기 마사지부재(220)가 깔창(214)과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마사지부재 가압구(230)는 착용자의 발바닥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마사지부재(22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압부재(232), 받침부재(234), 연동부재(236), 가이드부재(238), 제1 탄성부재(S1) 및 제2 탄성부재(S2)를 포함한다.
가압부재(232)는 신발(100)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깔창(214)의 하측에 대칭 형태로 구비되어 발뒤꿈치에 의해 내측단이 눌려지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232)는 제1 탄성부재(S1)를 통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내측단이 눌려지면 상기 제1 탄성부재(S1)가 압축되면서 외측방향 저면에 구비된 받침부재(234)를 기점으로 외측단이 들어 올려지게 되고, 내측단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S1)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단은 들어 올려지면서 외측단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232)의 내측단은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와의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232)가 위치되는 깔창 저면에 상기 가압부재(232)의 이동 범위를 감안하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부재(232)의 이동 범위를 감안하여 깔창(214) 저면에 돌출된 공간이 형성되거나 상기 깔창(214)을 두껍게 형성한 후 저면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재(232)를 노출시키지 않고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받침부재(234)는 가압부재(232)의 외측방향 저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내측단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232)가 지렛대 원리를 통해 체중이 작아 가압력이 작더라도 외측단이 쉽게 상승되도록 받침 역할을 하게 된다.
연동부재(236)는 절곡 형성된 바(bar) 형태로 형성되되, 가압부재(232)의 외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232)의 회전시 연동되어 상승되게 한다.
가이드부재(238)는 신발(100)의 대향된 양측 외피(212a)와 내피(21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연동부재(236)의 상승시 경사진 내벽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236)에 내벽면에 연결된 마사지부재(22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38)의 내벽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면 이에 맞닿는 연동부재(236)의 상단 외벽면은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재(236)의 상단 외벽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면 이에 맞닿는 상기 가이드부재(238)의 내벽면은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S1)는 가압부재(232)의 내측단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232)의 내측단 저면을 탄지(彈支)하며, 신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신장되는 스프링이다.
제2 탄성부재(S2)는 마사지부재(220)를 연동부재(236)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마사지부재(220)를 상기 연동부재(236)에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상기 마사지부재(220)가 항시 발뒤꿈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마시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탄성부재(S2)는 연동부재(236)와 마사지부재(220)를 연결하는 상측 제2 탄성부재(S2)의 길이보다 하측 제2 탄성부재(S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신발 바닥면을 기준으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마사지부재(220)의 하단이 발뒤꿈치 양쪽에 먼저 닿게 하고 그 후에 상기 마사지부재(220)의 상단이 닿게 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 하측 제2 탄성부재(S2)의 길이가 동일하여 발뒤꿈치 양쪽에 경사진 면에 전체 면이 동시에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탄성부재(S2) 대신에 외측면은 평면이고, 내측면은 연동부재(236)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연질의 블록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동부재(236)가 상승하면서 착용자의 발뒤꿈치 양쪽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마사지부재(220)가 내외측 족궁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하는 경우 덧댐부재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의 표면에 상기 마사지부재(220)가 구비되면서 상기 연장부의 이면과 연동부재(236)와의 사이에 제2 탄성부재(S2)가 개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200)에서 마사지부재(22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발(100)의 착용 시점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이 가압부재(232)의 내측단을 가압하면, 받침부재(234)에 의해 외측단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가압부재(232)의 회전에 의해 연동부재(236)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연동부재(236)의 상승시 가이드부재(238)의 경사면에 의해 제2 탄성부재(S2)에 의해 탄지된 마사지부재(220)가 발뒤꿈치 양쪽 부분 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발뒤꿈치 양쪽 부분을 가압하여 마사지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신발(100)을 벗으면 가압부재(23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압축된 제1 탄성부재(S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32)의 내측단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연동부재(236)가 하강하여 마사지부재(220)의 간격을 벌어지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신발
110, 210: 신발 본체
120, 220: 마사지부재
130, 230: 마사지부재 가압구
132: 눌림부
134: 이동부
232: 가압부재
234: 받침부재
236: 연동부재
238: 가이드부재
S1: 제1 탄성부재
S2: 제2 탄성부재

Claims (5)

  1. 내부에 깔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내벽면에 발뒤꿈치 한쪽이나 양쪽 또는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마사지부재를 마시지 부위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포함하는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가압시 변형되면서 상기 마사지부재를 안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와이어인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중심에 볼록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와, 상기 눌림부의 눌림시 변형되면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를 포함하는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 가압구는,
    상기 신발의 바닥면 후단에 대칭 형태로 구비되어 내측단이 제1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면서 외측방향 저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동되는 연동부재;
    상기 신발의 양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상승시 경사진 내벽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에 내벽면에 연결된 상기 마사지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에 상기 마사지부재를 탄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연질로 구비되는 깔창 본체;
    상기 깔창 본체 중 발의 뒷부분이 닿는 후단 저면에 덧대는 덧댐부재;
    상기 덧댐부재의 측면 중 발의 내외측 족궁(longitudinal arch)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부터 복사뼈 아래까지 닿을 수 있도록 연장된 연장부의 표면에 배열되는 마사지부재; 및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어 족궁에 자력이 가해지게 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KR1020150149271A 2015-10-27 2015-10-27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KR10209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71A KR102098614B1 (ko) 2015-10-27 2015-10-27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71A KR102098614B1 (ko) 2015-10-27 2015-10-27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70A true KR20170048770A (ko) 2017-05-10
KR102098614B1 KR102098614B1 (ko) 2020-04-08

Family

ID=5874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71A KR102098614B1 (ko) 2015-10-27 2015-10-27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6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334A (ko) 1996-08-23 1996-10-22 조명언 신발 구조체
KR20040039544A (ko) 2002-11-02 2004-05-12 한비산업 주식회사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KR100669125B1 (ko) * 2006-08-09 2007-01-16 안광우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자극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JP2007529265A (ja) * 2004-03-15 2007-10-25 セルビ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履物に装着される足首支持具および該足首支持具を装備した履物
WO2008133970A1 (en) * 2007-04-26 2008-11-06 Ossur Hf Orthopedic shoe providing access to wound site
KR20130054566A (ko) * 2011-11-17 2013-05-27 이송걸 성장판 자극 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334A (ko) 1996-08-23 1996-10-22 조명언 신발 구조체
KR20040039544A (ko) 2002-11-02 2004-05-12 한비산업 주식회사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JP2007529265A (ja) * 2004-03-15 2007-10-25 セルビ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履物に装着される足首支持具および該足首支持具を装備した履物
KR100669125B1 (ko) * 2006-08-09 2007-01-16 안광우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자극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WO2008133970A1 (en) * 2007-04-26 2008-11-06 Ossur Hf Orthopedic shoe providing access to wound site
KR20130054566A (ko) * 2011-11-17 2013-05-27 이송걸 성장판 자극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614B1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1708B (zh) 鞋内底组合件、底部部件、鞋类物品、组装方法和套件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US11297894B1 (en) Functional shoe insole
KR102182246B1 (ko) 자력 및 탄성력을 이용한 혈류 개선용 신발 깔창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101497819B1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101638145B1 (ko) 발바닥 지압용 신발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1960421B1 (ko) 전립선 치료 기능이 있는 기능성 깔창
KR20170048770A (ko)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KR20220002004U (ko) 지압 슬리퍼
KR101789273B1 (ko) 족부 변형 방지 깔창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JP3210276U (ja) 靴用中敷及びハイヒール靴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730295B1 (ko) 지압기능을 갖춘 구두
KR20090028341A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지압 운동화
KR101785477B1 (ko) 발 아치의 지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드솔 일체형 신발
KR101785480B1 (ko) 발 아치의 지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드솔 분리형 신발
KR101098020B1 (ko) 보행시 가압에 의해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는 기능성 신발
KR101731167B1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20160150263A (ko) 조립이 가능한 지압부재를 구비하는 깔창
CN211794595U (zh) 凉鞋
KR20120092568A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