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544A -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544A
KR20040039544A KR1020020067645A KR20020067645A KR20040039544A KR 20040039544 A KR20040039544 A KR 20040039544A KR 1020020067645 A KR1020020067645 A KR 1020020067645A KR 20020067645 A KR20020067645 A KR 20020067645A KR 20040039544 A KR20040039544 A KR 2004003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manufacturing
outsole
shoes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한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544A/ko
Publication of KR2004003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06Devices for gluing soles on shoe bottom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은,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신발제조용 가죽(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과, 아웃솔(20)의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건조시키는 단계; 및,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에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면서 상호 접착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므로, 소모되는 신발제조용 가죽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발의 총중량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and shoes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모되는 가죽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신발의 총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른 신발제조용 가죽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신발은 대개 갑피라고 하는 신발제조용 가죽(30)을 충분한 여유를 두고 절단하여 소정 형상으로 제조한 후, 대략 도 3의 C선을 따라 Taxon이라고 불리는 인솔(50;insole)을 내부에 배치하고, 신발제조용 가죽(30)의 하단부(34)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이 인솔(50)을 감싸도록 가죽(30)의 하단부(34)를 안쪽으로 접어서 인솔(50)과 접합시키게 된다. 실제 공정에서는, 하단부(34)의 일부를 알맞게 절단하거나 갈아내어 접혀진 면이 울퉁불퉁하지 않도록 고르게 한 다음, 접합공정이 실시된다. 이 때, 가죽(30)의 하단부(34)는 인솔(50)과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상당한 부분이 접혀야 하는데, 도 3의 C로 표시된 선이 접힘선을 나타내며, CH는 접혀지는 가죽(30)의 높이이다.
이에 따라, 가죽(30)은 인솔(50)과 함께 일체로 되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가 폐쇄된 신발형태가 된다. 그 다음, 가죽(30)과 인솔(50)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의 아랫면과 외측면을 각각 아웃솔(60)의 윗면 및 내측면과 접합시키는 공정을 거쳐 신발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이렇게 제조가 완료된 후에는 인솔(50) 위에 별도의 깔창(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죽(30)과 아웃솔(60)을 함께 봉제하여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40은 라스트(last)를 나타내는 바, 제조시 이 라스트(40)를 이용하여 가죽(30)을 고정한 채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제조방법은, 신발제조용 가죽의 접합공정에 필요이상의 가죽이 소모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그리고, 아웃솔과의 접합면을 형성하기 위해 가죽을 절단하고 인솔을 넣어 접합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접합재료 및 접합공구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른 노동력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고가의 신발제조용 가죽을 절약할 수 있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신발의 총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신발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른 신발제조용 가죽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제조용 가죽,14 ----- 가죽접착부,
20 ----- 아웃솔,22 ----- 바닥부,
24 ----- 아웃솔접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방법은, 신발제조용 가죽과 아웃솔을 준비하는 단계;와, 신발제조용 가죽의 하부에 형성된 가죽접착부의 외측면과, 아웃솔의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접착부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건조시키는 단계; 및, 가죽접착부의 외측면에 아웃솔접착부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면서 상호 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신발제조방법은 상호 접착된 신발제조용 가죽과 아웃솔을 함께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상기와 같은 신발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신발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발은 크게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outsole)로 이루어지고, 이들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 사이에 삽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깔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신발제조용 가죽(10)은 발의 형태에 맞게 제조되는데, 그 상부에는 발이 삽입될 수 있게 개구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웃솔(20)과 접착되는 가죽접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아웃솔(20)은 신발의 용도에 알맞는 형태의 바닥부(22)를 갖추며, 아웃솔(20)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아웃솔접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소정 형태로 제조된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을 준비한다. 신발제조용 가죽(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죽접착부(14)는 아웃솔접착부(24)의 형상에대응되게 제조되며, 접착이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그 두께를 얇게 하고 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과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이를 건조시킨다. 어느 정도 건조되면, 접착제를 바른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바른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면서 상호 접착시킨 다음, 다듬질을 하여 신발제조를 완료한다. 이에 따라, 신발제조용 가죽(10)을 아웃솔(20)에 바로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고가인 가죽(10)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인솔을 이용하지 않고 접합시켜도 되므로 제조공정의 단축과 신발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며, 신발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라스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에서, A선 아래의 신발제조용 가죽(10)은 실제로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이 접착되는 가죽접착부(14)를 나타내며, 신발제조시 이 가죽접착부(14)에 접착제를 바르게 된다. 이 A선과 이에 대응되는 종래예에 따른 도 3의 C선(접힘선)을 비교할 때, 결국 이 선들(A;C)과 신발제조용 가죽(10;30)의 하단까지의 높이차, 즉 CH-AH만큼 신발제조용 가죽(10)이 절약된다. 즉, 예컨대 종래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접혀지는 가죽(30)의 높이가 15mm 정도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신발에서 가죽접착부(14)의 높이가 10mm 정도임을 고려하면, 대략 5mm 정도의 높이차 만큼 가죽(10)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접착이 완료된 후, 상호 접착된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을 함께 봉제함으로써 불충분한 접착을 보완하여 이들의 접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는데, 도 2의 B가 상기 설명된 봉제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만으로 제조된 신발은 발에 피로감을 줄 수 있으므로, 탄력이 있는 재료로 제조된 깔창을 적어도 1개 이상 삽입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아웃솔(20) 뒷쪽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는 신발의 중량 및 원료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4에 도시된 종래예에도 적용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응용예 및 변경예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에 의하면, 비교적 고가인 신발제조용 가죽을 절약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접합면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용 인솔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가죽이 이용되지 않고 인솔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총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신발의 유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신발제조용 가죽(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과, 상기 아웃솔(20)의 상부에 형성된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죽접착부(14)의 외측면에 아웃솔접착부(24)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면서 상호 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신발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접착된 신발제조용 가죽(10)과 아웃솔(20)을 함께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신발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KR1020020067645A 2002-11-02 2002-11-02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KR20040039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645A KR20040039544A (ko) 2002-11-02 2002-11-02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645A KR20040039544A (ko) 2002-11-02 2002-11-02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544A true KR20040039544A (ko) 2004-05-12

Family

ID=3733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645A KR20040039544A (ko) 2002-11-02 2002-11-02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5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770A (ko) 2015-10-27 2017-05-10 신성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196Y1 (ko) * 1985-12-31 1989-06-26 김춘경 구멍탄 연소기의 재연소 덮개
KR920006007Y1 (ko) * 1990-08-07 1992-08-29 이경희 해수욕장용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196Y1 (ko) * 1985-12-31 1989-06-26 김춘경 구멍탄 연소기의 재연소 덮개
KR920006007Y1 (ko) * 1990-08-07 1992-08-29 이경희 해수욕장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770A (ko) 2015-10-27 2017-05-10 신성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4853A (ko)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US4908964A (en) California type shoe with contoured midsole
US6976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hoe construction
US20080127516A1 (en) Platform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JPH08322604A (ja) 靴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靴
WO2020092600A1 (en) Footwear stability and comfort system
US200402059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e having improved shoe construction
US6092307A (en) Self-locating sole
KR20040039544A (ko) 신발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EP0769919A1 (en) Sports boot manufacture
KR100964287B1 (ko) 신발골 및 그를 이용한 신발 제작방법
US69711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e having improved construction
US6584705B2 (en) Shoe having simplified construction
RU234380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уви и обув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MX2012000891A (es) Proceso operativo para la produccion de una plantilla para calzado y la plantilla asi obtenida.
US20030106170A1 (en) Footwear with finished platform
KR200449895Y1 (ko) 구두용 중창
EP1425981A1 (en) Improved shoe
US20210045492A1 (en) Component for joining upper and sole parts of an article of footwear
US2177603A (en) Method of making footwear
JPS627124Y2 (ko)
KR960014895B1 (ko) 신발 제조 방법
SU153197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бесподкладочной обуви
US2114700A (en) Shoe and outsole therefor
KR101586049B1 (ko) 정형화된 내부재와 탄성있는 갑피를 이용한 신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