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566A - 성장판 자극 신발 - Google Patents

성장판 자극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566A
KR20130054566A KR1020110120019A KR20110120019A KR20130054566A KR 20130054566 A KR20130054566 A KR 20130054566A KR 1020110120019 A KR1020110120019 A KR 1020110120019A KR 20110120019 A KR20110120019 A KR 20110120019A KR 20130054566 A KR20130054566 A KR 2013005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plate
vibration motor
sole
magnetic pole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896B1 (ko
Inventor
이송걸
Original Assignee
이송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걸 filed Critical 이송걸
Priority to KR102011012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8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판 자극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모터와 연동하는 성장판자극부재를 사용하여 발바닥 후측과 발목의 복사뼈 부위에 진동을 전달하는 구조를 통해 신장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사뼈나 발바닥 후측을 자극하는 성장판자극부재가 설치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있어서, 상기 성장판자극부재는 신발밑창의 후측 발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된 전지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와, 진동모터의 상부에 연결되어 발바닥 후측과 접하는 수평자극체와, 수평자극체의 양측에 복사뼈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체로 기립 형성되되, 갑피에 설치되어 상부 내측이 복사뼈와 접촉하는 한 쌍의 수직자극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성장판 자극 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성장판 자극 신발{Shoes For Growth Plate Stimulus}
본 발명은 성장판 자극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모터와 연동하는 성장판자극부재를 사용하여 발바닥 후측과 발목의 복사뼈 부위에 진동을 전달하는 구조를 통해 신장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성장한다는 것은 세포의 증식과 비대로 몸의 크기나 신장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장이 성장한다는 것은 뼈와 뼈 주변의 근육이 함께 성장함을 일컫는다.
여기서 사람의 신장이 성장하는 것을 뼈의 측면에서 보면, 척추라고 부르는 등뼈와 다리뼈인 장골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
특히, 다리뼈의 성장은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이 무릎과 발목의 고관절에 있는 골단연골 또는 성장판이라 불리는 부위를 자극함에 따라 세포분열을 일으켜서 뼈의 길이가 자라고, 이에 따른 신장의 증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을 통한 성장판의 적절한 자극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실지 줄넘기, 농구 등의 점프 동작에 의한 자극은 성장판의 세포분열 활성화에 따른 뼈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점프동작은 발바닥을 통한 자극, 특히 발바닥 후측를 통한 자극이 무릎의 성장판을 자극하며, 이와 더불어 발목관절의 자극에 의해서도 성장판의 자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직접적인 충격 자극에 의한 무릎관절의 성장판 자극 이외에도 발목 특히 복사뼈 근처부위의 물리적 지압 역시 신장성장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동양의학에서 전해지는 반사구 요법에 따른 것이다.
즉, 발의 각 부위는 인체 내부의 각 기관들과 연결되어 발의 특정부위를 지압함에 의해 인체 내부기관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상기 복사뼈 근처를 자극함으로써 무릎관절의 성장판에 자극을 주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이외에도 다리 전체를 통한 자극, 스트레칭 등이 신장 성장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자극, 상기 복사뼈 근처 부위의 지압 및 스트레칭 등 발에 가해지는 적절한 자극이 성장판을 자극하게 되어 성장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진 후, 성장판을 자극하기 위한 다양한 성장판 자극 신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성장판 자극 신발은 복사뼈와 발바닥 후측을 자극하는 성장판자극부재가 신발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성장판 자극 신발은 사람의 체중이나 공기의 압력으로 복사뼈나 발바닥 후측을 단순히 가압하여 지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성장판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의 체중과 공기압을 통한 성장판의 지압효과를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발을 움직여야 함으로써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진동모터와 연동하는 성장판자극부재를 사용하여 발바닥 후측과 발목의 복사뼈 부위에 진동을 전달하는 구조를 통해 움직인 상태나 정지 상태에서 신장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장판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성장판 자극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복사뼈나 발바닥 후측을 자극하는 성장판자극부재가 설치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있어서, 상기 성장판자극부재는 신발밑창의 후측 발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된 전지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와, 진동모터의 상부에 연결되어 발바닥 후측과 접하는 수평자극체와, 수평자극체의 양측에 복사뼈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체로 기립 형성되되, 갑피에 설치되어 상부 내측이 복사뼈와 접촉하는 한 쌍의 수직자극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성장판 자극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을 수평자극체와 수직자극체를 통해 복사뼈와 발바닥 후측에 전달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용자가 움직이는 상태뿐만 아니라 정지한 상태에서도 성장판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후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성장판 자극 신발(100)은 복사뼈(A)나 발바닥(B) 후측을 자극하는 성장판자극부재가 설치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있어서, 상기 성장판자극부재는 신발밑창(S)의 후측 발삽입공(H)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된 전지(2)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3)와, 진동모터(3)의 상부에 연결되어 발바닥(B) 후측과 접하는 수평자극체(4)와, 수평자극체(4)의 양측에 복사뼈(A)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체로 기립 형성되되, 갑피(U)에 설치되어 상부 내측이 복사뼈(A)와 접촉하는 한 쌍의 수직자극체(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모터(3)는 삽입공간(1)의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자극체(4)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와 면적으로 돌출된 지압돌기(6)가 형성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자극체(5)의 상부가 복사뼈(A)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자극체(5)의 상부 내측에는 쿠션(7)이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발바닥(B) 후측과 복사뼈(A)에 위치하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착용자의 신장 성장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바닥(B) 후측과 복사뼈(A)에 진동을 전달하여 착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정지한 상태에서도 성장판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S)에 설치된 진동모터(3)에 의해 일체로 진동하는 수평자극체(4)와 수직자극체(5)에 의해 달성된다.
즉, 사용자가 발삽입공(H)에 발을 삽입하여 신발(100)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바닥(B) 후측은 수평자극체(4)와 접하게 되고, 사용자의 복사뼈(A)는 한 쌍의 수직자극체(5)와 접하게 되며, 이때, 진동모터(3)를 작동하게 되면 진동모터(3)와 연결된 수평자극체(4)가 진동하고, 동시에 수평자극체(4)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자극체(5)가 연동하여 진동하면서 발바닥(B) 후측과 복사뼈(A)로 진동을 동시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움직이는 상태거나 정지한 상태에서도 발바닥(B) 후측과 복사뼈(A)에 위치하는 성장판을 진동을 통해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체중과 공기압의 지압효과를 통한 자극보다 효과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착용자의 신장 성장을 돕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터(3)는 전지(2)와 일체로 구성되며, 진동모터(3)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는 착용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을 통해 작동하도록 신발밑창(S)에 설치되거나, 체중에 의한 압력 이외에 착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통해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갑피(U)에 노출시켜 설치하는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모터(3)가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진동모터(3)는 삽입공간(1)에 내설될 때, 삽입공간(1)을 형성하는 신발밑창(S)의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진동모터(3)의 진동이 신발밑창(S)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자극체(5)는 복사뼈(A)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철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일정 강도 이상의 단단한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복사뼈(A)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직자극체(5)의 상부 내측에 쿠션(7)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쿠션(7)은 고무나 스펀지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가 적당하다.
여기서 수직자극체(5)는 복사뼈(A)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상부가 굴곡짐에 따라 수직자극체(5)의 상부가 복사뼈(A)를 감싼 형태가 됨으로써, 진동모터(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복사뼈(A)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자극체(5)가 갑피(U)에 설치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용자가 신발(100)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발삽입공(H)을 통해 발을 삽입할 경우, 수직자극체(5)의 상단에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자극체(4)의 상면에 형성된 지압돌기(6)를 통해 진동모터(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발바닥(B) 후측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진동모터(3)를 정지한 상태에서도, 착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착용자의 체중으로 발바닥(B) 후측을 용이하게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직자극체(5)도 철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일정 강도 이상의 단단한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그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상하로 움직이는 발의 복사뼈(A)를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진동모터(3)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성장판이 자극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성장판 자극 신발(100)은 진동모터(3)에서 발생한 진동을 수평자극체(4)와 수직자극체(5)를 통해 복사뼈(A)와 발바닥(B) 후측에 전달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용자가 움직이는 상태뿐만 아니라 정지한 상태에서도 성장판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삽입공간 2 : 전지
3 : 진동모터 4 : 수평자극체
5 : 수직자극체 6 : 지압돌기
7 : 쿠션 100 : 신발
A : 복사뼈 B : 발바닥
H : 발삽입공 S : 신발밑창
U : 갑피

Claims (5)

  1. 복사뼈(A)나 발바닥(B) 후측을 자극하는 성장판자극부재가 설치된 성장판 자극 신발에 있어서, 상기 성장판자극부재는 신발밑창(S)의 후측 발삽입공(H)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된 전지(2)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3)와, 진동모터(3)의 상부에 연결되어 발바닥(B) 후측과 접하는 수평자극체(4)와, 수평자극체(4)의 양측에 복사뼈(A)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체로 기립 형성되되, 갑피(U)에 설치되어 상부 내측이 복사뼈(A)와 접촉하는 한 쌍의 수직자극체(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성장판 자극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3)는 삽입공간(1)의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성장판 자극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자극체(4)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와 면적으로 돌출된 지압돌기(6)가 형성된 성장판 자극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자극체(5)의 상부가 복사뼈(A)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된 성장판 자극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자극체(5)의 상부 내측에는 쿠션(7)이 각각 부착된 성장판 자극 신발.
KR1020110120019A 2011-11-17 2011-11-17 성장판 자극 신발 KR10130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19A KR101300896B1 (ko) 2011-11-17 2011-11-17 성장판 자극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019A KR101300896B1 (ko) 2011-11-17 2011-11-17 성장판 자극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66A true KR20130054566A (ko) 2013-05-27
KR101300896B1 KR101300896B1 (ko) 2013-08-27

Family

ID=4866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019A KR101300896B1 (ko) 2011-11-17 2011-11-17 성장판 자극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770A (ko) * 2015-10-27 2017-05-10 신성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JP2019026214A (ja) * 2017-08-03 2019-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182U (ko) * 1994-06-29 1996-01-17 준 마 발 마사지 구두
KR200251081Y1 (ko) * 2001-06-27 2001-11-16 김세웅 건강 신발용 진동장치
KR100669125B1 (ko) * 2006-08-09 2007-01-16 안광우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자극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KR200441356Y1 (ko) * 2008-02-26 2008-08-11 주식회사 에이치베네슈 발반사효과를 겸비한 슬리퍼용 밑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770A (ko) * 2015-10-27 2017-05-10 신성 측면 마사지 기능을 위해 마사지부재 가압구를 구비한 신발
JP2019026214A (ja) * 2017-08-03 2019-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896B1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258B2 (en) Vibrating foot massager
JP2004538116A (ja) リハビリ用靴の内底装置
RU67403U1 (ru) Гигиеническая обувь с подвижной магнитной деталью
KR101998706B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US6800063B2 (en) Foot stimulation tool
KR101617281B1 (ko) 발바닥 지압용구
KR101983723B1 (ko)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200409793Y1 (ko) 발과 발목에 위치하는 반사구 및 성장판의 물리적,화학적인 자극을 통한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101307598B1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JP2010046304A (ja) 足の甲にある反射区を指圧する履物
CN101099607A (zh) 保健鞋
KR200327780Y1 (ko) 신발용 발바닥 압압장치
KR20120001076U (ko) 지압 깔창
KR20100137915A (ko)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여 혈류 흐름을 개선한 기능성 토캡
JP6782390B2 (ja) 足裏刺激器具
KR200223931Y1 (ko) 지압운동용 슬리퍼
JP3230647U (ja) 健康シューズ
KR101956251B1 (ko) 발바닥의 기치료 부위를 자극하는 양말 내장용 인솔
KR101310183B1 (ko) 신발 중창의 아치 마사지장치
KR20110134120A (ko) 성장 촉진용 실내화
KR20120138718A (ko) 탄성지압기둥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이 구성된 기능성 신발
KR20230129115A (ko) 지압시스템
JP2015002962A (ja) 靴等の履物用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