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511A - 후판용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후판용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511A
KR20170047511A KR1020150147715A KR20150147715A KR20170047511A KR 20170047511 A KR20170047511 A KR 20170047511A KR 1020150147715 A KR1020150147715 A KR 1020150147715A KR 20150147715 A KR20150147715 A KR 20150147715A KR 20170047511 A KR20170047511 A KR 2017004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 plate
unit
correcting unit
sensing unit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두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511A/ko
Publication of KR2017004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후판용 정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후판용 정렬장치는: 롤러테이블을 통해 이동하는 후판의 편심과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와, 제1감지부를 통과한 후판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후판의 측면에 접하면서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와, 후판이 보정부를 통과함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보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판용 정렬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THICK PLATE}
본 발명은 후판용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판의 몸체중심축이 롤러테이블의 이동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후판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판용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은 가열로에서 고온의 상태로 나와서 폭내기 압연기 및 길이내기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장치를 통과하며 압연이 이루어지며, 예비 교정기에서 예비 교정된 후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다. 그리고 후판은 열간 교정기를 통과하면서 형상이 교정되며, 열간 교정기를 통과한 후 냉각대에서 냉각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4662호(2014.07.07 공개, 발명의 명칭: 후판 형상 교정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판의 몸체중심축이 롤러테이블의 이동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후판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판용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는: 롤러테이블을 통해 이동하는 후판의 편심과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와, 제1감지부를 통과한 후판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후판의 측면에 접하면서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와, 후판이 보정부를 통과함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보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감지부는, 후판의 이동경로 상측에 위치하며 광선의 조사로 후판의 형상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정부는,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후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보정부 및 롤러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보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후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보정부는,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제1롤러부재와, 제1롤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바 및 제1기어바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보정부는, 제1기어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제1기어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정부는, 제1보정부와 이격되어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후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보정부 및 롤러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3보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후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보정부와 제1감지부의 사이에 제1보정부가 설치되며, 제4보정부와 제1감지부의 사이에 제2보정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제1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후판의 편심과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한 후 제1보정부와 제2보정부와 제3보정부와 제4보정부를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는, 제어부가 후판의 편심과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여 제1 내지 제4보정부를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므로 후판의 이송 중 발생되는 충돌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오작동을 줄이고 가동률을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에 후판이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이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이동될 때 타측에 위치한 제2보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에 후판이 감지된 상태에서 나머지 보정부가 동작되어 후판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이 편심된 상태에서 제1감지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의 편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2보정부와 제4보정부가 후판을 향하여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에 후판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3보정부가 동작되어 후판의 편심을 보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1)는, 롤러테이블(100)을 통해 이동하는 후판(90)의 편심과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10)와, 제1감지부(10)를 통과한 후판(90)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후판(90)의 측면에 접하면서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20)와, 후판(90)이 보정부(20)를 통과함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70) 및 제1감지부(10)와 제2감지부(7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보정부(2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1)는 압연 종료 후,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이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과 이격된 편심현상을 보정하거나, 몸체중심축(95)이 이동중심축(105)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상태로 이동되는 틸팅현상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판(90)의 진행방향(A)은 오른쪽(도 1기준)에서 왼쪽으로 이동되며, 후판(90)의 진행방향(A)을 따라 제1감지부(10)와 보정부(20)와 제2감지부(70)가 차례로 설치된다.
제1감지부(10)는 롤러테이블(100)을 통해 이동하는 후판(90)의 편심과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10)는, 후판(90)의 이동경로 상측에 위치하며, 광선의 조사로 후판(90)의 형상을 측정한다. 제1감지부(10)는 후판(90)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몸체중심축(95)이 롤러테이블(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이동중심축(105)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제1감지부(10)는 카메라 영상으로 후판(90)의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광선의 조사로 후판(90)의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제1감지부(10)에 비전 카메라 또는 온도 스캔 장비를 이용하여 후판(90) 형상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보정부(20)는 제1감지부(10)를 통과한 후판(90)을 안내하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후판(90)의 측면에 접하면서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보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부(20)는 제1보정부(30)와 제2보정부(40)와 제3보정부(50)와 제4보정부(60)를 포함한다.
제1보정부(30)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 위치하며,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보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부(30)는, 제1롤러부재(31)와 제1브라켓(32)과 제1기어바(33)와 제1구동부(34)와 제1구동기어(35)와 제1하우징(36)을 포함한다.
제1롤러부재(31)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면서 회전된다. 제1브라켓(32)은 제1롤러부재(31)의 상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3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브라켓(32)의 측면에는 제1기어바(33)가 연결된다. 제1기어바(3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브라켓(32)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36)은 제1기어바(33)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내측공간(37)을 구비하며 제1기어바(33)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제1하우징(36)은 고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기어바(33)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을 따라 롤러테이블(100)의 측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구동부(34)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1구동부(34)는 제1기어바(33)의 측면에 형성된 평기어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35)를 구비하며, 제1구동기어(35)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전환하는 모터에 연결된다.
제2보정부(40)는 롤러테이블(100)을 사이에 두고 제1보정부(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보정부(40)는, 제2롤러부재(41)와 제2브라켓(42)과 제2기어바(43)와 제2구동부(44)와 제2구동기어(45)와 제2하우징(46)을 포함한다.
제2롤러부재(41)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타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면서 회전된다. 제2롤러부재(41)는 제1롤러부재(31)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롤러테이블(100)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제2브라켓(42)은 제2롤러부재(41)의 상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브라켓(42)의 측면에는 제2기어바(43)가 연결된다. 제2기어바(4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브라켓(42)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46)은 제2기어바(43)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제2기어바(43)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제2하우징(46)은 고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기어바(43)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된다.
제2구동부(44)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2구동부(44)는 제2기어바(43)의 측면에 형성된 평기어에 맞물리는 제2구동기어(45)를 구비하며, 제2구동기어(45)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전환하는 모터에 연결된다.
제3보정부(50)는 제1보정부(30)와 이격되어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 위치하며,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보정부(50)는, 제3롤러부재(51)와 제3브라켓(52)과 제3기어바(53)와 제3구동부(34)와 제3구동기어(55)와 제3하우징(56)을 포함한다.
제3보정부(50)와 제1감지부(10)의 사이에 제1보정부(30)가 설치되며, 제4보정부(60)와 제1감지부(10)의 사이에 제2보정부(40)가 설치된다. 따라서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 제1보정부(30)와 제3보정부(50)가 위치하며,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타측에 제2보정부(40)와 제4보정부(60)가 위치한다. 롤러테이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감지부(10)가 위치하며, 롤러테이블(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제2감지부(70)가 위치하는 경우, 제1보정부(30)와 제2보정부(40)는 제1감지부(10)를 향하여 설치되며, 제3보정부(50)와 제4보정부(60)는 제2감지부(70)를 향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감지부(10)와 제2감지부(70)와 제3감지부와 제4감지부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되어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제3롤러부재(51)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면서 회전된다. 제3롤러부재(51)는 제1롤러부재(31)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일측에서 제1롤러부재(31)와 나란히 위치한다.
제3브라켓(52)은 제3롤러부재(51)의 상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브라켓(52)의 측면에는 제3기어바(53)가 연결된다. 제3기어바(5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브라켓(52)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된다. 제3하우징(56)은 제3기어바(53)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제3기어바(53)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제3하우징(56)은 고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3기어바(53)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된다.
제3구동부(34)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3구동부(34)는 제3기어바(53)의 측면에 형성된 평기어에 맞물리는 제3구동기어(55)를 구비하며, 제3구동기어(55)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전환하는 모터에 연결된다.
제4보정부(60)는 롤러테이블(100)을 사이에 두고 제3보정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4보정부(60)는, 제4롤러부재(61)와 제4브라켓(62)과 제4기어바(63)와 제4구동부(64)와 제4구동기어(65)와 제4하우징(66)을 포함한다.
제4롤러부재(61)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 타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면서 회전된다. 제4롤러부재(61)는 제3롤러부재(51)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롤러테이블(100)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제4브라켓(62)은 제4롤러부재(61)의 상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4브라켓(62)의 측면에는 제4기어바(63)가 연결된다. 제4기어바(6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4브라켓(62)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된다. 제4하우징(66)은 제4기어바(63)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제4기어바(63)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제4하우징(66)은 고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4기어바(63)는 롤러테이블(100)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된다.
제4구동부(64)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4구동부(64)는 제4기어바(63)의 측면에 형성된 평기어에 맞물리는 제4구동기어(65)를 구비하며, 제4구동기어(65)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으로 전환하는 모터에 연결된다.
제2감지부(70)는 후판(90)이 보정부(20)를 통과함을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70)는 보정부(20)를 통과한 후판(90)의 선두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80)는 제1감지부(10)와 제2감지부(7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보정부(20)를 동작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80)는, 제1감지부(1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후판(90)의 편심과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한 후, 제1보정부(30)와 제2보정부(40)와 제3보정부(50)와 제4보정부(6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용 정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에 후판이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이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이동될 때 타측에 위치한 제2보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에 후판이 감지된 상태에서 나머지 보정부가 동작되어 후판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90)이 제1감지부(10)를 통과하면서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이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과 일치하지 않고 경사를 이루는 틸팅 현상 발생시, 제1감지부(10)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80)는 후판(90)의 틸팅 방향이 왼쪽(도 4기준 하측)인지 오른쪽(도 4기준 상측)인지 판단한다.
만약 후판(90)의 틸팅방향이 왼쪽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제2보정부(40)를 먼저 작동시켜 제2롤러부재(41)가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을 향하여 이동된다. 제1롤러부재(31)와 제2롤러부재(41)와 제3롤러부재(51)와 제4롤러부재(61)는 후판(90)이 제1감지부(10)를 통과하기 전에는 후판(90)의 측면과 접하지 않도록 후판(9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후퇴한다. 이때 설정된 길이는 각 롤러부재(31) 직경의 절반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2구동부(44)의 동작으로 제2기어바(43)가 이동되면, 제2기어바(43)에 연결된 제2브라켓(42)이 이동하면서 제2롤러부재(41)는 롤러테이블(100)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제2롤러부재(41)는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이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에 일치할 때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할 수 있도록, 이동중심축(105)에서 후판(90) 폭 길이의 1/2만큼 이격된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지부(70)에 후판(90)의 선단이 감지되면, 제어부(80)는 제1보정부(30)와 제3보정부(50)와 제4보정부(60)를 동작시켜,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와 제4롤러부재(61)가 후판(90)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와 제4롤러부재(61)도 제2롤러부재(41)와 같이, 이동중심축(105)에서 후판(90) 폭 길이의 1/2만큼 이격된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따라서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가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며, 제2롤러부재(41)와 제4롤러부재(61)가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면서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과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이 일치하도록 후판(90)의 틸팅을 보정한다.
만약 후판(90)의 틸팅 방향이 반대인 경우, 제1보정부(30)가 먼저 작동하고 제2보정부(40)와 제3보정부(50)와 제4보정부(60)를 나중에 작동시켜 후판(90)의 틸팅을 보정한다. 후판(90)이 틸팅되는 방향과 반대편에 있는 보정부(20)를 먼저 동작시키는 이유는, 제1감지부(10)를 통과한 후판(90)이 보정부(20)와 충돌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이 편심된 상태에서 제1감지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의 편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2보정부와 제4보정부가 후판을 향하여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에 후판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1,3보정부가 동작되어 후판의 편심을 보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90)이 제1감지부(10)를 통과하면서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이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과 일치하지 않고 평행하게 이격된 편심 현상 발생시, 제1감지부(10)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80)는 후판(90)의 편심 방향이 왼쪽(도 7기준 하측)인지 오른쪽(도 7기준 상측)인지 판단한다.
만약 후판(90)의 틸팅방향이 왼쪽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제2보정부(40)와 제4보정부(60)를 먼저 작동시켜 제2롤러부재(41)와 제4롤러부재(61)가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을 향하여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지부(70)에 후판(90)의 선단이 감지되면, 제어부(80)는 제1보정부(30)와 제3보정부(50)를 동작시켜,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가 후판(90)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도 제2롤러부재(41)와 제4롤러부재(61)와 같이, 이동중심축(105)에서 후판(90) 폭 길이의 1/2만큼 이격된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따라서 제1롤러부재(31)와 제3롤러부재(51)가 후판(90)의 일측면(92)에 접하며, 제2롤러부재(41)와 제4롤러부재(61)가 후판(90)의 타측면(93)에 접하면서 후판(90)의 몸체중심축(95)과 롤러테이블(100)의 이동중심축(105)이 일치하도록 후판(90)의 편심을 보정한다.
만약 후판(90)의 편심 방향이 오른편인 경우, 제1보정부(30)와 제3보정부(50)가 먼저 작동하고 제2보정부(40)와 제4보정부(60)를 나중에 작동시켜 후판(90)의 편심을 보정한다. 후판(90)이 편심되는 방향과 반대편에 있는 보정부(20)를 먼저 동작시키는 이유는, 제1감지부(10)를 통과한 후판(90)이 보정부(20)와 충돌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후판용 정렬장치(1)가 가열로와 조압연기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조압연기와 사상압연기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압연 중 발생하는 사행과 캠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판용 정렬장치(1)가 사상압연기와 냉각장치의 전방에 위치한 예비 교정기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냉각이 불균일하게 됨을 방지하며, 냉각장치 후방에 위치한 열간 교정기에서 발생되는 사행과 캠버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후판용 정렬장치(1)가 열간 교정기 후방에 설치되는 경우, 냉각상에서 후판(90)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80)가 후판(90)의 편심과 기울기 상태를 판단하여 제1 내지 제4보정부(6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후판(90)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므로 후판(90)의 이송 중 발생되는 충돌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오작동을 줄이고 가동률을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후판용 정렬장치 10: 제1감지부
20: 보정부 30: 제1보정부
31: 제1롤러부재 32: 제1브라켓
33: 제1기어바 34: 제1구동부
35: 제1구동기어 36: 제1하우징
37: 제1내측공간 40: 제2보정부
41: 제2롤러부재 42: 제2브라켓
43: 제2기어바 44: 제2구동부
45: 제2구동기어 46: 제2하우징
50: 제3보정부 51: 제3롤러부재
52: 제3브라켓 53: 제3기어바
54: 제3구동부 55: 제3구동기어
56: 제3하우징 60: 제4보정부
61: 제4롤러부재 62: 제4브라켓
63: 제4기어바 64: 제4구동부
65: 제4구동기어 66: 제4하우징
70: 제2감지부 80: 제어부
90: 후판 92: 일측면
93: 타측면 95: 몸체중심축
100: 롤러테이블 105: 이동중심축
A: 진행방향 D: 길이방향 W: 폭방향

Claims (8)

  1. 롤러테이블을 통해 이동하는 후판의 편심과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를 통과한 상기 후판을 안내하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후판의 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후판이 상기 보정부를 통과함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후판의 이동경로 상측에 위치하며, 광선의 조사로 상기 후판의 형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후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보정부; 및
    상기 롤러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보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후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정부는, 상기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제1롤러부재;
    상기 제1롤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평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바; 및
    상기 제1기어바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정부는, 상기 제1기어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기어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보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롤러테이블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후판의 일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보정부; 및
    상기 롤러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보정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후판의 타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4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정부와 상기 제1감지부의 사이에 상기 제1보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4보정부와 상기 제1감지부의 사이에 상기 제2보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후판의 편심과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보정부와 상기 제2보정부와 상기 제3보정부와 상기 제4보정부를 개별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후판의 이송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용 정렬장치.
KR1020150147715A 2015-10-23 2015-10-23 후판용 정렬장치 KR20170047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15A KR20170047511A (ko) 2015-10-23 2015-10-23 후판용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15A KR20170047511A (ko) 2015-10-23 2015-10-23 후판용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11A true KR20170047511A (ko) 2017-05-08

Family

ID=601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715A KR20170047511A (ko) 2015-10-23 2015-10-23 후판용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5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72B1 (ko) * 2020-04-28 2021-10-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H빔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72B1 (ko) * 2020-04-28 2021-10-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H빔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268B1 (ko) 롱레일용 롤 포밍장치
KR20170047511A (ko) 후판용 정렬장치
WO2016097984A1 (en) Bending machine for bending tubes, profiled sections, sheets and the like, with a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the reaction force applied by the workpiece on the bending roller(s) of the machine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435071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100920370B1 (ko) 가공물의 곡률측정기능을 갖는 벤딩기
KR101298709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569141B1 (ko)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KR101008034B1 (ko) 바 센터링 교정장치
KR101290488B1 (ko) 열연강판 진행 위치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498899B1 (ko) 슬라브 이송 장치
KR102086470B1 (ko) 스태빌라이저바 소재의 냉간성형을 위한 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지그유닛과 이것의 제어방법
KR101400487B1 (ko) 핀치 롤 정렬장치
KR101632498B1 (ko) 시임 용접기
KR200265098Y1 (ko) 슬래브 이송용 테이블 롤러장치
KR10149888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184942B1 (ko) 슬라브 측정장치
KR20160139129A (ko) 슬라브 위치교정장치
CN113232020A (zh) 取片机器人取片位置校正系统及校正方法
KR101443102B1 (ko) 소재 만곡 조정장치
KR101678856B1 (ko) 차량부품용 지그장치
BR112021004779A2 (pt) soldagem de corpos de lata
CN116852014B (zh) 一种钢箱梁顶板u型肋的双向焊接装置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CN217428390U (zh) 感应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