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41B1 -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141B1
KR101569141B1 KR1020140024835A KR20140024835A KR101569141B1 KR 101569141 B1 KR101569141 B1 KR 101569141B1 KR 1020140024835 A KR1020140024835 A KR 1020140024835A KR 20140024835 A KR20140024835 A KR 20140024835A KR 101569141 B1 KR101569141 B1 KR 10156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rolls
calibrating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409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1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with means for measuring or sensing
    • C23C2/521Composition of the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는 도금포트 내에 설치된 싱크롤; 싱크롤을 거쳐 도금포트 상방으로 배출되는 스트립의 제1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1교정롤; 스트립의 제2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복수의 제1교정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교정롤; 스트립의 반곡 교정을 위해 제1교정롤들과 제2교정롤들을 스트립의 패스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ROLL APPARATUS OF CONTINUOUS GALVANIZ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반곡을 교정할 수 있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연강판의 표면처리설비 중 하나인 연속도금설비는 스트립(Strip)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스트립 표면에 아연 등의 도금액을 도포하는 장치다.
통상적인 연속도금설비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트립을 침적시켜 도금하기 위한 도금포트와, 도금포트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안내 및 반곡교정을 위한 것으로 싱크롤(Sink Roll), 교정롤(Correcting Roll), 지지롤(Stabilizing Roll) 등의 롤장치와, 도금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 표면의 도금층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나이프(Air Knife)를 구비한다.
연속도금설비에서 스트립은 도금포트 상부로부터 도금포트 내부의 도금액으로 연속하여 진입하고, 도금포트 내부의 싱크롤에 감겨 방향을 전환한 후 교정롤 및 지지롤을 거쳐 다시 도금포트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교정롤은 싱크롤을 거치면서 반곡된 스트립의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스트립의 반곡을 교정하고, 지지롤은 그 반대편에서 스트립의 외면을 지지하여 스트립의 진동을 억제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배출을 돕는다.
도금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이 반곡상태를 유지하면, 에어나이프를 이용하여 도금층 두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도금표면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즉 반곡이 교정되지 않은 상태로 스트립이 배출되면, 에어나이프를 거치는 과정에서 도금된 표면에 흐름무늬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도금량의 편차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나이프로 진입하는 스트립은 반곡을 교정하여 완전 평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립의 반곡 교정을 위한 롤장치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3791호(2003. 03.12 공개)의 예처럼 한쪽의 교정롤(원문에는 "서포트롤(4)" 로 표현됨)이 스트립의 패스라인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스트립의 반곡을 교정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롤장치는 싱크롤을 거치면서 스트립에 발생한 양의 반곡이 교정롤을 거치면서 음의 반곡으로 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반곡을 상쇄시킴으로써 반곡을 교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롤장치는 한쪽 교정롤의 움직임에 의해 반곡을 교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트립의 두께나 폭 등의 변경에 의하여 반곡이 역으로 발생하는 등 반곡의 형태가 변할 경우 교정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3791호(2003. 03.12 공개)
본 발명은 스트립에 발생하는 반곡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반곡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금포트 내에 설치된 싱크롤; 상기 싱크롤을 거쳐 상기 도금포트 상방으로 배출되는 스트립의 제1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1교정롤; 스트립의 제2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교정롤; 스트립의 반곡 교정을 위해 상기 제1교정롤들과 상기 제2교정롤들을 스트립의 패스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롤장치는 스트립의 제1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 중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가 스트립의 제2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롤장치는 스트립의 제2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 중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가 스트립의 제1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각 이동장치는 상기 도금포트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동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슬라이딩부재 및 제2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의 축에 연결된 이동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암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을 이동시켜 스트립의 가압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는 스트립의 양편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교정롤과 복수의 제2교정롤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반곡이 형성되도록 조정하여 스트립에 형성된 반곡을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에 발생하는 반곡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반곡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는 이동장치의 제2이동부 동작에 의해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신속하게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접근하거나 이격될 수 있고, 제1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제1 또는 제2교정롤에 의한 스트립의 가압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롤장치의 신속한 세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상세도로, 제1교정롤들과 제2교정롤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에서 제1 및 제2교정롤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가 스트립의 제1방향 반곡을 교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가 스트립의 제2방향 반곡을 교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도금설비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 용융아연 등의 도금액이 담기는 도금포트(100)와, 도금포트(100) 내부를 경유하는 스트립(10)의 안내 및 스트립(10)의 반곡을 교정하기 위해 도금포트(100)에 설치되는 롤장치(200)를 구비한다. 롤장치(200) 상부에는 도금포트(100)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10) 표면의 도금층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나이프(150, Air Knife)가 설치된다.
롤장치(200)는 도금포트(100) 내부의 도금액에 침적상태로 설치되는 싱크롤(210)과, 싱크롤(210)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배치되며 싱크롤(210)을 거쳐 도금포트(100) 상방으로 배출되는 스트립(10)의 제1외면(11)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1교정롤(211,212)과, 스트립(10)의 제2외면(12)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1교정롤(211,212)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교정롤(213,214)을 구비한다. 또 스트립(10)의 반곡을 교정하기 위해 제1교정롤들(211,212)과 제2교정롤들(213,214)을 각각 스트립(10)의 패스라인(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속도금설비를 거치는 스트립(10)은 도금포트(100)의 상부로부터 도금포트(100) 내부의 도금액으로 연속하여 진입하고, 도금포트(100) 내부의 싱크롤(210)에 감겨 방향을 전환한 후 제 1 및 제2교정롤들(211~214)을 거쳐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 및 제2교정롤들(211~214)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싱크롤(210)을 거치면서 반곡된 스트립(10)의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반곡을 교정한다. 에어나이프(150)는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여 스트립(10) 양면에 도포된 도금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균일한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교정롤들(211,212) 중 상측의 제1교정롤(211)은 스트립(10)의 제2외면(12) 쪽에 위치하는 제2교정롤들(213,214)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교정롤들(213,214) 중 하측의 제2교정롤(214)은 스트립(10)의 제1외면(11) 쪽에 위치하는 제1교정롤들(211,212)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1교정롤들(211,212)과 제2교정롤들(213,214)이 스트립(10)의 양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 형태다. 여기서는 교호적인 배치를 위해 상측 제2교정롤(213)이 상측 제1교정롤(211)보다 위쪽에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제1교정롤(211)이 상측 제2교정롤(213)보다 위쪽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롤들의 배치형태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이동장치(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교정롤들(211,212)과 제2교정롤들(213,214)의 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형태로 도금포트(100)의 양측 내면에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교정롤들(211~214)은 각각의 축의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는 두개의 이동장치(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동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교정롤(211~214)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300)는 도금포트(100)에 고정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 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동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슬라이딩부재(320) 및 제2슬라이딩부재(330)를 구비한다. 또 제1슬라이딩부재(320)로부터 하우징(310)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2,213,214)의 축에 연결된 이동암(340)과, 제2슬라이딩부재(330)에 지지된 상태로 제1슬라이딩부재(320)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350)와, 하우징(310)에 지지된 상태로 제2슬라이딩부재(330)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36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310)의 내면에는 제1슬라이딩부재(320)와 제2슬라이딩부재(3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으로 홈형태의 안내레일(31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부재(320)와 제2슬라이딩부재(330)는 하우징(310) 내에서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그 일단을 폐쇄하는 후면커버(312)와, 후면커버(312) 반대편에 설치되어 하우징(210)의 반대편 단부를 폐쇄하는 전면커버(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313)는 그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우징(310) 외부로 연장되는 이동암(340)을 진퇴 가능하게 지지한다. 후면커버(312)와 전면커버(313)는 하우징(310)의 양단을 각각 폐쇄함으로써 이동장치(300)가 도금포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우징(310) 내부로 도금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암(340)은 길이가 긴 바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암(340)은 일단이 나사체결 등에 의해 하우징(310) 내부의 제1슬라이딩부재(320)에 고정되고, 전면커버(313)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타단이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의 축을 지지한다.
제1이동부(350)는 제2슬라이딩부재(330)에 고정된 모터(351)와, 모터(351)로부터 제1슬라이딩부재(320) 쪽으로 연장되며 모터(351)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52)과, 나사축(352)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로 그 일단이 제1슬라이딩부재(320)에 고정된 암나사부재(353)를 포함한다. 모터(351)는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step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이동부(350)는 모터(351)의 동작에 의해 나사축(35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암나사부재(353)를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부재(320)와 제2슬라이딩부재(3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이동부(350)는 제2슬라이딩부재(3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딩부재(320)를 밀거나 당겨 이동암(34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이동부(350)는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을 정밀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립(10)의 가압정도(intermesh의 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2이동부(360)는 후면커버(312)에 고정되는 몸체부(361)와, 몸체부(361)로부터 제2슬라이딩부재(330) 쪽으로 연장되여 제2슬라이딩부재(330)에 고정되는 신축로드부(362)를 갖춘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이동부(360)는 하우징(310) 내에서 제2슬라이딩부재(330)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이동부(360)가 제2슬라이딩부재(330)를 이동시키면, 제1이동부(350)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330)에 연결된 제1슬라이딩부재(320)도 함께 이동하므로,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2이동부(360)는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의 신속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이동부(360)는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이 대기상태에서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빠르게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필요 시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을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으로부터 빠르게 이격시킬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롤장치(200)를 이용하여 스트립(10)의 반곡을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트립(10)의 제1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는 도 5의 예처럼 상측 제1교정롤(211)과 하측 제1교정롤(212)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위치하여 스트립(10)과 접한 상태에서 반대편의 하측 제2교정롤(214)이 스트립(10)의 제2외면(12)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반곡을 교정할 수 있다.
즉 제1교정롤들(211,212)은 이동장치(300)의 제1이동부(350)가 후퇴한 상태에서 제2이동부(360)의 동작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330)가 전진함으로써 제1교정롤들(211,212)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접하도록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편 상측의 제2교정롤(213)은 이동장치(300)의 제1이동부(350)와 제2이동부(360)가 모두 후퇴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트립(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두 제1교정롤(211,212)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의 제2교정롤(214)은 이동장치(300)의 제2이동부(360)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과 접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제1이동부(350)의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제2외면(12)을 가압하여 스트립(10)에 역으로 반곡을 형성시킴으로써 스트립(10)에 형성된 반곡을 교정한다.
하측 제2교정롤(214)이 스트립(10)을 가압하는 정도(intermesh의 크기)는 강판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아래의 [표 1] 예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두께(mm)
종류
0.4~0.6 0.8 1~1.19 1.2~1.59 1.6~1.99 2.0~2.79 2.8~3.19 3.2~4
EDDQ - 6 5 4 3 2 1 0
DQ,DDQ - 6 5 4 3 2 1 0
DQ - 6 6 4 4 2 1 0
CQ - - 6 5 4 3 2 1
CQ - - - 5 5 3 2 1
위 표의 강판 종류에서 CQ(COMMERCIAL QUALITY)는 일반용 강판, DQ(DRAWING QUALITY)는 가공용 강판, DDQ(DEEP DRAWING QUALITY)는 심가공용 강판, EDDQ(EXTRA DEEP DRAWING QUALITY)는 초심가공용 강판을 의미한다.
위의 경우와 반대로 스트립(10)의 제2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는 도 6의 예처럼 상측 제2교정롤(213)과 하측 제2교정롤(214)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위치하여 스트립(10)과 접한 상태에서 반대편의 상측 제1교정롤(211)이 스트립(10)의 제1외면(11)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반곡을 교정할 수 있다.
즉 제2교정롤들(213,214)은 이동장치(300)의 제1이동부(350)가 후퇴한 상태에서 제2이동부(360)의 동작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330)가 전진함으로써 제2교정롤들(213,214)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접하도록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반대편 하측의 제1교정롤(212)은 이동장치(300)의 제1이동부(350)와 제2이동부(360)가 모두 후퇴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트립(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두 제2교정롤(213,214)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의 제1교정롤(211)은 이동장치(300)의 제2이동부(360)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패스라인(L)과 접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제1이동부(350)의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제1외면(11)을 가압하여 스트립(10)에 역으로 반곡을 형성시킴으로써 스트립에 형성된 반곡을 교정한다.
상측 제1교정롤(211)이 스트립(10)을 가압하는 정도(intermesh의 크기)는 강판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위 [표 1]의 예와 같이 조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압의 정도가 다르게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롤장치(200)는 스트립(10)의 양편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교정롤(211,212)과 복수의 제2교정롤(213,214)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반곡이 형성되도록 조정하여 스트립(10)에 형성된 반곡을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10)에 발생하는 반곡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반곡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롤장치(200)는 이동장치(300)의 제2이동부(360) 동작에 의해 제1 또는 제2교정롤(211~214)이 신속하게 스트립(10)의 패스라인(L)에 접근하거나 이격될 수 있고, 제1이동부(350)의 동작에 의해 스트립(10)의 가압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10)을 교정할 수 있는 상태로 롤장치(200)의 신속한 세팅이 가능하다.
10: 스트립, 100: 도금포트,
200: 롤장치, 210: 싱크롤,
211: 제1교정롤, 212: 제2교정롤,
213: 제3교정롤, 214: 제4교정롤,
300: 이동장치, 310: 하우징,
210: 제1슬라이딩부재, 330: 제2슬라이딩부재,
350: 제1이동부, 360: 제2이동부.

Claims (7)

  1. 도금포트 내에 설치된 싱크롤;
    상기 싱크롤을 거쳐 상기 도금포트 상방으로 배출되는 스트립의 제1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1교정롤;
    스트립의 제2외면 쪽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과 교호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교정롤;
    스트립의 반곡 교정을 위해 상기 제1교정롤들과 상기 제2교정롤들을 스트립의 패스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스트립의 제1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 중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가 스트립의 제2외면을 가압하고,
    스트립의 제2방향 반곡을 교정할 때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제1교정롤 중 상기 복수의 제2교정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가 스트립의 제1외면을 가압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장치는
    상기 도금포트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동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슬라이딩부재 및 제2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의 축에 연결된 이동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을 이동시켜 스트립의 가압정도를 조정하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에 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교정롤이 스트립의 패스라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KR1020140024835A 2014-03-03 2014-03-03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KR10156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35A KR101569141B1 (ko) 2014-03-03 2014-03-03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35A KR101569141B1 (ko) 2014-03-03 2014-03-03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409A KR20150103409A (ko) 2015-09-11
KR101569141B1 true KR101569141B1 (ko) 2015-11-13

Family

ID=5424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35A KR101569141B1 (ko) 2014-03-03 2014-03-03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83B1 (ko) 2021-09-09 2023-02-16 케이엘이엔지 주식회사 롤러용 초음파 세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0448B8 (zh) * 2018-08-08 2020-07-07 合肥东方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锌钢板自动精确加工系统
CN108914033B (zh) * 2018-08-08 2020-02-14 湖南恒力通电气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钢板镀锌生产线及该生产线的镀锌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1659A (ja) * 2009-11-27 2011-06-09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めっき金属帯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1659A (ja) * 2009-11-27 2011-06-09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めっき金属帯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83B1 (ko) 2021-09-09 2023-02-16 케이엘이엔지 주식회사 롤러용 초음파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409A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141B1 (ko)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KR101641679B1 (ko) 롤테이프 자동절단장치
JP2015066665A (ja) 回転式打抜機
CN102575342A (zh) 用于柔性基板的位置控制器
KR101204494B1 (ko) 마그네슘 열간 압연 방법 및 마그네슘 열간 압연 장치
EP2578405B1 (en) Film transfer apparatus
US20180229520A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for rail unit
CN210682666U (zh) 膜布上料装置
JP5000458B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CN213445413U (zh) 一种用于柔性卷帘涂覆的纠偏装置
KR200483721Y1 (ko) 가구용 패널 자동 공급 장치
US20220234322A1 (en) Folder-gluer
CN105234192A (zh) 一种铝板冷轧进料装置
KR20150134450A (ko) 스트립 안내 장치
US8187158B2 (en) Paper folding station
KR101343444B1 (ko) 롤러를 이용한 원단의 좌우장력 자동 균형 맞춤장치
KR20120021038A (ko) 시트폴딩장치
CN209024884U (zh) 一种相纸涂布上料装置
CN105364484A (zh) 一种钢管卷材自动切割机
CN201989349U (zh) 缓冲袋折边机构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KR101837577B1 (ko) 레벨러의 롤 자국 제거장치
KR101703899B1 (ko) 무텐션 평판 합지기
CN210824732U (zh) 覆膜张紧机构
KR101559451B1 (ko)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