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151A -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 Google Patents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151A
KR20170047151A KR1020160034595A KR20160034595A KR20170047151A KR 20170047151 A KR20170047151 A KR 20170047151A KR 1020160034595 A KR1020160034595 A KR 1020160034595A KR 20160034595 A KR20160034595 A KR 20160034595A KR 20170047151 A KR20170047151 A KR 2017004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mmp
line
strip
insp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덕
신명섭
안유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4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06Solid-phase rea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2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G01N2333/96427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3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86Metalloendopeptidases (3.4.24)
    • G01N2333/96491Metalloendopeptidases (3.4.24) with definite EC number
    • G01N2333/96494Matrix metalloproteases, e. g. 3.4.24.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4Hyperlipemia or hypolipemia, e.g. dyslipidaemia, obe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8Dental and oral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01N2800/321Arterial hyper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를 투입할 수 있는 시료 투입구(30), 상기 시료 투입구(30)에
투입된 시료가 유동하는 스트립(10), 및 상기 스트립(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
되는 표시창(20)을 포함하는 진단 키트(1)로서, 상기 스트립(10)은, MMP-9를 검출
할 수 있는 제1검사선(11),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제2검사선(12), 및 상기 유동
하는 시료가 상기 제1검사선(11) 및 상기 제2검사선(12)을 지나 도달하는 대조
선(13)을 포함하는 검출 패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사선(11) 및 상기 제2검
사선(12)에서 MMP-9 및 MMP-13이 검출되면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A device for the self-assessment of periodontitis and metabolic syndrome}
본 발명은 분자 생물학적 지표(MMP, matrix metalloproteinase)를 이용하여,
치주질환 및 대사 증후군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대사 증후군은 비만이나 운동부족, 과잉영양 등이 원인이 되어,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및 고혈당증의 다섯 가지 위험
요인 중 3가지 이상을 지니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당뇨병 및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편, 치주질환은 치주조직에 발생하는 병변을 총칭하는 것으로, 충치와 더
불어 구강의 2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병의 원인으로는 흡연, 스트레스, 당
뇨병, 혈액 질환 등에 의한 면역력의 저하 및 치은열구 내 세균 등이 알려져 있
다. 특히,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통증 없이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조기 발견에 어려
움이 있다.
상기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나, 아직까지 두 질환의 공통 위험인자를 이용하여 두 질환
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 및 진단 방법은 알려진 바 없다.
한편, 분석용 스트립을 이용한 각종 진단 및 분석 방법은 시험이 간편하여,
각종 질병의 진단 또는 검사를 비롯하여, 의학, 농업, 축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스트립을 이용한 진단 및 분석 방법에는 면역크로마토
그래피 분석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 물질과 반응하여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반응물질을 포함하는 분석 스트
립(assay strip) 또는 상기 분석 스트립을 플라스틱 케이스에 장착한 디바이스 형
태의 분석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진단 키트는 한 가지
질환에 관한 시약 패드를 내입하여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고(대한민국 등록 실용
신안 제03574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11815호 등), 두 가지 이상의 검사
를 위하여는 여러 개의 진단 키트가 필요하였으며, 그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및 소
요 시간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가지 않고도 손쉽고 간편하게 치
주질환 및 대사증후군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타액 내 존재하는 MMP를 검출함으로써, 두 질환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의 건강 진단 키트는 한 가지 검사만이 가능한 시약 패드를 이용하므로,
하나의 키트로 한 가지의 검사만 가능하였고, 여러 질환의 진단을 위하여는 다수의
진단 키트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의 진단 키트만
으로도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 두 가지 질병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
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료를 투입할
수 있는 시료 투입구(30), 상기 시료 투입구(30)에 투입된 시료가 유동하는 스트
립(10), 및 상기 스트립(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창(20)을 포함하는
진단 키트(1)로서, 상기 스트립(10)은 MMP-9를 검출할 수 있는 제1검사선(11),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제2검사선(12), 및 상기 유동하는 시료가 상기 제1검사
선(11) 및 상기 제2검사선(12)을 지나 도달하는 대조선(13)을 포함하는 검출 패
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사선(11) 및 상기 제2검사선(12)에서 MMP-9 및 MMP-
13이 검출되면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
트(1)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10)은 상기 시료 투입구(30)로 적하된 시료를 수용하는
샘플 패드(15), 상기 시료 내 MMP-9 또는 MMP-13과 결합할 수 있는 항체와 표지 물
질을 포함하는 접합체 패드(16) 및 상기 시료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흡습 패
드(1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검사선(11)은 MMP-9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검사선(12)은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
레스테롤혈증, 또는 고혈당증을 위험 인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료는 타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1)는 타액을 이용한 손쉬운 자가질병검사를 가능
케 하여, 용이한 건강 관리 및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한 번의 검사로 대사
증후군 및 치주 질환을 동시에 진단함으로써,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
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1)를 나타낸 도로서, 진단 키트(1) 및 스
트립(10)이 구분되어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1)는 시료를 투입할 수 있는 시료 투입구(30), 상기 시
료 투입구에 투입된 시료가 유동하는 스트립(10), 및 상기 스트립(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창(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립(10)은 시료가 적하되는 샘플 패드(15), 상기 시료 내 MMP-9 또
는 MMP-13과 결합할 수 있는 항체와 표지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체 패드(16), 제1검
사선(11), 제2검사선(12) 및 대조선(13)을 포함하는 검출 패드(17) 및 시료를 최
종적으로 수용하는 흡습 패드(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시료”는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 여부를 진단하고자 하
는 개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MMP-9 또는 MMP-13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진단 키
트(1)를 이용하여, 그 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 시료를 의미한다. 상기 시료는 특별
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타액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1)
는 타액을 이용하여 특별한 시료 채취 과정 없이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을 동시
에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시료 투입구(30)를 통해 본 발명의 샘플 패드(15)에 적하되며,
적하된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트립(10)을 따라 전개된다. 접합체 패드(16)
에서, 시료 내 MMP-9 및 MMP-13과 결합하는 항체와 표지 물질이 결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체는 제1검사선 및 제2검사선에 고정된 항체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시료 내 MMP-9 및 MMP-13과 결합하지 않고 전개되는 항체 및 표지 물질은 대
조선에서 검출된다.
본 발명의 용어, “MMP-9” 및 “MMP-13”은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일종으로서, 세포 외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세포 증식, 이동, 분화, 세포 사멸 등에 관련되
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1)는 MMP-9 및 MMP-13이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대사 증후군 및 치주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표지 물질”은 육안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
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표지물질로는 금콜로이드(금 입자),
라텍스 입자, 유색 폴리스티렌 미세입자, 효소, 형광성 염료, 전도성 고분자, 발광
물질 또는 자성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합체 패드(16)는 시료 내 MMP-9 또는 MMP-13과 반응하는 항체
및 상기 항체에 결합하는 표지 물질을 포함하는 패드로서, 상기 항체와 상기 표지
물질은 시료가 투입되기 전부터 접합체의 형태 또는 분리된 상태로 접합체 패
드(16)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검사선(11)은 MMP-9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정될 수 있으
며, 본 발명의 제2검사선(12)은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정될 수 있으
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료에 포함된 MMP-9 및 MMP-13은 제1검사선(11)
및 제2검사선(12)의 항체에 의해 각각 포획된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1)는 상기 제1검사선(11) 및 제2검사선(12)에 의해
MMP-9 및 MMP-13 모두 검출되는 경우,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인 것으로 진단한
다.
본 발명의 대조선(13)은 시료 내 MMP-9 또는 MMP-13의 농도와 관계없이 일정
한 신호를 내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MMP-9 또는 MMP-13과 결합하지 않으면서,
시료와 함께 유동하는 표지 물질 또는 표지 물질과 결합한 별도의 물질과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포획할 수 있는 항체를 고정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시료 중 MMP-9 또는 MMP-13의 농도 및 존재 유무와 무관하게 일정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고정시켜 형성한다. 상기 대조선(13)의 신호 유무로부터 시료의 전
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검사선(11), 제2검사선(12) 및 대조선(13)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되
는 항원-항체 반응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검출 패드(17)는 이동상과 시료가 전개되는 매질로서, 이동상과
시료는 검출 패드(17)를 이루는 다공성 막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출 패드(17)에는 상기 제1검사선(11), 상기 제2검사선(12) 및 대조
선(13)이 격리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검출 패드(17)는 니트로셀룰로스 막, 유리섬유 막, 폴리에테를술폰 막,
셀룰로스 막, 나일론 막을 비롯한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말단은
상기 접합체 패드(16)와, 다른 일 말단은 흡습 패드(18)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 패드(18)는 시료가 최종적으로 도달하여 흡수되는 패드이다.
본 발명의 표시창(20)은 검출 패드(17) 상의 제1검사선(11), 제2검사선(12)
및 대조선(13)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또는 센서를 통해 식별 가능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및 모양은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창(20)을 통해 제1검사선(11), 제2검사선(12), 및 대조선(13)의 반
응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대사 증후군 및 치주 질환의 진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단 키트(1)를 이용하여,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을 진단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타액을 시료 투입구(30)에 떨어뜨리고, 시료가 스트립을 따라 흐르
면서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날 동안 잠시 기다린 후, 표시창(20)에 나타나는 대조
선(13)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통해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다.
더 나아가, 제1검사선(11) 및 제2검사선(12)에서 MMP-9 및 MMP-13이 검출됨
에 따라 표지 물질이 발하는 신호가 동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으로 진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
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진단 키트
10: 스트립
11: 제1검사선
12: 제2검사선
13: 대조선
15: 샘플 패드
16: 접합체 패드
17: 검출 패드
18: 흡습 패드
20: 표시창
30: 시료 투입구

Claims (6)

  1. 시료를 투입할 수 있는 시료 투입구(30);
    상기 시료 투입구(30)에 투입된 시료가 유동하는 스트립(10); 및
    상기 스트립(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창(20)을 포함하는 진단
    키트(1)로서,
    상기 스트립(10)은,
    MMP-9를 검출할 수 있는 제1검사선(11);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제2검사선(12); 및
    상기 유동하는 시료가 상기 제1검사선(11) 및 상기 제2검사선(12)을 지나 도
    달하는 대조선(13)을 포함하는 검출 패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사선(11) 및 상기 제2검사선(12)에서 MMP-9 및 MMP-13이 모두 검
    출되면 대사 증후군 및 치주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0)은 상기 시료 투입구(30)로 적하된 시료를
    수용하는 샘플 패드(15), 상기 시료 내 MMP-9 또는 MMP-13과 결합할 수 있는 항체
    와 표지물질을 포함하는 접합체 패드(16) 및 상기 시료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흡
    습 패드(1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진단 키트(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사선(11)은 MMP-9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정
    되어 있는 것인, 진단 키트(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사선(12)은 MMP-13을 검출할 수 있는 항체가 고
    정되어 있는 것인, 진단 키트(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혈당증을 위험 인자로 하는 것인, 진단 키트(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타액인 것인, 진단 키트(1).

KR1020160034595A 2015-10-22 2016-03-23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KR20170047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487 2015-10-22
KR20150147487 2015-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151A true KR20170047151A (ko) 2017-05-04

Family

ID=5874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595A KR20170047151A (ko) 2015-10-22 2016-03-23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1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9568A (zh) * 2019-01-15 2019-03-12 西安交通大学 纸基牙周炎检测装置和牙周炎检测方法
KR102535571B1 (ko) * 2022-03-18 2023-05-26 임우진 치주질환 위험성 검사용 치약 포장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9568A (zh) * 2019-01-15 2019-03-12 西安交通大学 纸基牙周炎检测装置和牙周炎检测方法
KR102535571B1 (ko) * 2022-03-18 2023-05-26 임우진 치주질환 위험성 검사용 치약 포장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1269B2 (ja) 唾液試料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ための試験装置および使用方法
TWI220924B (en) Read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lateral flow assays
US9128085B2 (en) Rapid test for glycated albumin in blood
BR112019026016A2 (pt) Sistema de teste universal inovador para análise quantitativa
JP4928257B2 (ja) 凝集に基づくサンプル検査装置
US20150241423A1 (en) Immunoassay using electrochemical detection
BR102014006246A2 (pt) Dispositivo de coleta de amostra em formato de disco giratório
JP2011502260A (ja) 潜血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BR112015028573B1 (pt) Kit de diagnóstico para detectar a presença ou quantidade de um ou mais analitos de teste no interior de uma amostra de teste tomada a partir de uma superfície de pele de um mamífero, e, método para detectar a presença ou quantidade de um ou mais analitos de teste
US2008022720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Occult Blood
WO2013122121A1 (ja) イムノクロマト用検査器具、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JP2021073434A (ja) ミスフォールドタンパク質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6872434A (zh) 一种便携笔式免疫荧光层析检测装置
JP2005345464A (ja) センサ、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WO2005108960A1 (ja) センサ、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AU781034B2 (en)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in color-based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assays
EP3221444B1 (en) Lateral flow assay ratio test
CN107515194A (zh) 一种尿液检测仪及其检测方法
US20090263905A1 (en) Detection test assembl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bstance in a sample
KR20170047151A (ko) 타액 사용 치주질환 및 대사증후군 자가질병 검사기
KR20120086985A (ko)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8357A (ko) 소변으로 임신진단을 위한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CN105891460B (zh) 基于纸芯片的多功能便携式检测装置及其应用和方法
KR101635956B1 (ko) 천공 부재를 구비하는 진단 키트
KR102606867B1 (ko) Covid 진단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