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908A -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908A
KR20170046908A KR1020150147097A KR20150147097A KR20170046908A KR 20170046908 A KR20170046908 A KR 20170046908A KR 1020150147097 A KR1020150147097 A KR 1020150147097A KR 20150147097 A KR20150147097 A KR 20150147097A KR 20170046908 A KR20170046908 A KR 2017004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pivoting
fixed
pivot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준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908A/ko
Publication of KR2017004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는: 차륜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와, 디스크에 마찰접촉되는 이너패드와 아우터패드가 구비되는 패드조립체와, 패드조립체를 지지하는 토크멤버와, 토크멤버에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캘리퍼바디를 포함하고, 캘리퍼바디는, 토크멤버와 연결되는 고정바디와, 고정바디에 연결되고,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는 회동바디와, 회동바디의 회동에 의해 패드조립체가 노출되도록 고정바디에 회동바디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DISC BRAKE APPARATUS FOR 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와, 마찰재를 부착하여 디스크를 양쪽으로부터 조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패드조립체와, 패드조립체와 피스톤을 수용하고, 패드조립체를 디스크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차륜의 회전을 구속, 제동시키는 캘리퍼조립체를 포함한다.
캘리퍼조립체는 실린더하우징이 형성된 캘리퍼바디와, 실린더하우징에 내장되는 피스톤과, 차량에 고정되는 토크멤버를 포함한다. 패드조립체는 이너패드와 아우터패드를 포함하여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토크멤버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디스크의 양면과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패드조립체와 같이 캘리퍼에 의해 커버되는 차량 부품을 정비, 교체하기 위해서는, 캘리퍼바디를 토크멤버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캘리퍼바디, 피스톤, 토크멤버를 포함하는 캘리퍼조립체 전체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캘리퍼바디, 토크멤버를 결속하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는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디스크보다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공구를 인입,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여 차량 정비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81797호(2006.05.12.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캘리퍼바디에 의해 커버되는 패드조립체 등의 차량 부품을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는: 차륜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에 마찰접촉되는 이너패드와 아우터패드가 구비되는 패드조립체; 상기 패드조립체를 지지하는 토크멤버; 및 상기 토크멤버에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캘리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캘리퍼바디는, 상기 토크멤버와 연결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는 회동바디; 및 상기 회동바디의 회동에 의해 상기 패드조립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회동바디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디스크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바디는, 상기 차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바디는, 실린더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고, 상기 토크멤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이너패드를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에 압착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실린더하우징이 형성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중 상기 회동바디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와 면접촉되는 회동바디접촉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서 상기 회동바디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접촉부와 접촉된 상기 회동바디가 안착되는 안착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바디는,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며, 상기 고정바디와 연결되는 회동본체부; 상기 회동본체부 중 상기 고정바디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디와 면접촉되는 고정바디접촉부; 및 상기 고정바디접촉부가 상기 고정바디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동바디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회동바디가 설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를 상호 밀착되게 결속하는 회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고정바디 상에 마련되는 제1힌지설치부; 상기 회동바디 상에 상기 제1힌지설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힌지설치부; 상기 제1힌지설치부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2힌지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힌지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구속부는, 상기 고정바디 상에 마련되는 제1홈부; 상기 회동바디 상에 상기 제1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홈부는, 상기 회동바디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의 표면에서 상기 고정바디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홈부는, 상기 고정바디 중 상기 회동바디와의 접촉부 상에 상기 제2홈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는 캘리퍼바디의 회동바디를 회동시키면서 회동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패드조립체 등의 차량 부품을 용이하게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캘리퍼바디나 토크멤버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회동바디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 과정을 거쳐 캘리퍼바디에 의해 커버되는 차량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교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 정비, 검사,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의 회동바디를 회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의 회동바디를 회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는 디스크(10), 패드조립체(20), 토크멤버(30), 캘리퍼바디(40)를 포함한다.
디스크(10)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차륜에 결합되고, 차륜과 함께 회전된다. 디스크(10)의 일측면은 차체의 내부를 향하고, 타측면은 차체의 외부를 향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디스크(10) 중 차체의 내부를 향하는 일측면을 내측면, 차체의 외부를 향하는 타측면을 외측면이라 한다.
패드조립체(20)는 디스크(10)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이너패드(21)와 디스크(10)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아우터패드(22)를 포함한다. 이너패드(21)와 아우터패드(22)가 디스크(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마찰접촉되면서 디스크(10)의 회전을 구속시키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차륜을 제동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토크멤버(30)는 패드조립체(20)를 정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토크멤버(30)의 일측부는 디스크(10)의 내측면과 마주하고, 타측부는 디스크(10)의 외측면와 마주한다. 토크멤버(3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이너패드(21)와 아우터패드(22)를 안착시킴으로써, 이너패드(21)와 아우터패드(22)가 디스크(10)의 내측면, 외측면과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캘리퍼바디(40)는 토크멤버(30)에 패드조립체(20)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캘리퍼바디(40)는 고정바디(41), 회동바디(42), 회동연결부(43)를 포함한다.
고정바디(41)는 캘리퍼바디(40) 중 토크멤버(30)와 연결,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41)는 하우징부(411), 체결부(416), 피스톤(417)을 포함한다.
하우징부(411)는 피스톤(417)을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하우징(413)을 구비하여 이너패드(2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부(411) 중 회동바디(42)와 접하는 부분에는 회동연결부(43)의 일부가 형성되어 회동바디(42)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411) 상에는 회동연결부(43)의 제1힌지설치부(432), 제1홈부(43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411)는 고정본체부(412), 회동바디접촉부(414), 안착턱부(415)를 포함한다.
고정본체부(412)는 고정바디(41) 및 하우징부(411)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실린더하우징(413)이 형성된다. 실린더하우징(413)은 이너패드(21)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회동바디접촉부(414)는 회동바디(42)와 면접촉되는 부분으로, 고정본체부(412) 중 회동바디(42)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즉 외측단부 상에 형성된다. 회동바디접촉부(414)는 디스크(10)의 반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착턱부(4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디(42)가 회동바디접촉부(414)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동바디(42)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고정본체부(412) 중 회동바디(42)와 마주하는 외측면부 상에 회동바디(4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착턱부(415)는 회동바디접촉부(414)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즉 도 3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체결부(416)는 볼트(bolt)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토크멤버(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체결부(416)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를 구비하여 하우징부(4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416)를 토크멤버(30)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부(411)를 포함한 캘리퍼바디(40) 전체를 토크멤버(30)에 고정시킬 수 있고, 토그멤버(30)에 대한 체결부(416)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하우징부(411)를 포함한 캘리퍼바디(40) 전체를 토크멤버(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피스톤(417)은 실린더하우징(413)에 내장된다. 피스톤(417)은 실린더하우징(413)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하우징(413)의 내외부로 출몰되고, 실린더하우징(413)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이너패드(21)를 가압하여 디스크(10)에 압착시키게 된다.
회동바디(42)는 고정바디(41)의 외측에서 패드조립체(20)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고정바디(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외측은 차체의 외측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셋팅 상태에서 회동바디(42)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조립체(20)로부터 이격되게 회동시키면, 회동바디(42)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패드조립체(20)가 외부로 노출된다.
고정바디(41)는 디스크(10)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동바디(42)는 차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캘리퍼바디(40)가 디스크(10)의 상부에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차체의 외측에서 회동바디(42)를 상향 회동시키는 경우 패드조립체(20)가 차체의 외측을 향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0)보다 내측으로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인입시킬 필요 없이 차체의 외측에서 고정바디(41)를 용이하게 젖혀 캘리퍼바디(40)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바디(42)는 회동본체부(422), 고정바디접촉부(424), 안착부(425)를 포함한다.
회동본체부(422)는 회동바디(42)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패드조립체(20)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본체부는 이너패드(21)에서 아우터패드(22)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아우터패드(22)의 외측에 위치되는 수평연장부의 단부에서 아우터패드(22)의 외면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한다.
회동본체부(422) 상에는 회동연결부(43)의 제2브라켓(434b)과 체결부재(438)의 헤드부가 각각 체결되는 제2힌지설치부(433)와 제2홈부(437)가 형성되어, 고정바디(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바디접촉부(424)는 고정바디(41)의 회동바디접촉부(414)와 면접촉되는 부분으로, 회동본체부(422) 중 고정바디(41)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즉 내측단부 상에 형성된다. 고정바디접촉부(424)는 회동바디접촉부(414)와 나란한 방향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동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 회동바디접촉부(414)와 면접촉된다.
안착부(425)는 상기와 같이 고정바디접촉부(424)가 회동바디접촉부(414)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바디(41)의 안착턱부(415)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회동본체부(422) 의 저면부에 도 3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턱부(415)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회동바디(42)가 패드조립체(20)측으로 최대로 회동된 초기 셋팅 상태에서, 회동바디(42)는 회동바디접촉부(414)와 고정바디접촉부(424)간의 수직방향 접촉력과 안착턱부(415)와 안착부(425)간의 수평방향 접촉력에 의해, 즉 고정바디(41)와의 다방향 접촉력에 의해 정위치에 설정 각도로 안정되게 지지, 유지될 수 있다.
회동연결부(43)는 회동바디(42)의 회동에 의해 회동바디(42)에 의해 가려져 패드조립체(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바디(41)에 회동바디(4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연결부(43)는 힌지연결부(431)와 회동구속부(435)를 포함한다.
힌지연결부(431)는 고정바디(41)와 회동바디(42)를 힌지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연결부(431)는 제1힌지설치부(432), 제2힌지설치부(433), 제1브라켓(434a), 제2브라켓(434b), 회동축(434c)을 포함한다.
제1힌지설치부(432)는 판상의 제1브라켓(434a)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고정바디(41)의 상부에 평탄하게 마련된다. 제2힌지설치부(433)는 판상의 제2브라켓(434b)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회동바디(42)의 상부에 평탄하게 마련된다. 제1힌지설치부(432)와 제2힌지설치부(433)는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다.
제1브라켓(434a)은 제1힌지설치부(432)와 안정되게 면접촉될 수 있는 판상의 형태를 가지고, 볼팅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제1힌지설치부(432)에 설치된다. 제2브라켓(434b)은 제2힌지설치부(433)와 안정되게 면접촉될 수 있는 판상의 형태를 가지고, 볼팅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제2힌지설치부(433)에 설치된다.
회동축(434c)은 제1브라켓(434a)의 외측단부에 마련된 축관통홀부와, 제2브라켓(434b)의 내측단부에 마련된 축관통홀부를 연속하여 관통함으로써, 제1브라켓(434a)과 제2브라켓(434b)을 힌지연결한다. 회동축(434c)을 이용해 제1브라켓(434a)과 제2브라켓(434b)을 힌지연결함으로써, 회동바디(42)를 고정바디(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회동구속부(435)는 회동바디(42)가 설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조립체(20)를 커버하는 각도로 초기 셋팅된 상태에서 회동바디(42)와 고정바디(41)를 상호 밀착되게 결속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구속부(435)는 제1홈부(436), 제2홈부(437), 체결부재(438)를 포함한다.
제1홈부(436)는 고정바디(41)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2홈부(437)는 회동바디(42)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고정바디(41)와 회동바디(42)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홈부(436)와 제2홈부(437)는 연통된 홈부를 이루게 된다. 체결부재(438)는 제1홈부(436)와 제2홈부(43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체결부재(438)로서 볼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41)와 회동바디(42)가 밀착된 초기 상태에서 체결부재(438)를 제1홈부(436)와 제2홈부(437)에 체결함으로써 회동바디(42)가 임의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438)를 제1홈부(436)와 제2홈부(437)로부터 분리시키면 회동바디(42)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디(42)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437)는 회동바디(42)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되, 회동바디(42)의 표면에서 고정바디(41)를 향해, 즉 차체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홈부(436)는 고정바디(41)의 회동바디접촉부(414) 상에 제2홈부(437)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호 연속된 상면부를 가지는 고정바디(41)와 회동바디(42)를 체결부재(438)를 이용해 그 상면부측 및 차체의 외측에서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연결부(43)는 고정바디(41)의 회동바디(42)의 중앙부에 힌지연결부(431)가 배치되고, 그 양측에 회동구속부(435)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힌지연결부(431)를 이용해 호 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고정바디(41)와 회동바디(42)의 상부를 안정되게 힌지연결할 수 있고, 전후측 한 쌍의 회동구속부(435)에 의해 고정바디(41)를 회동바디(42)에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패드조립체(20)를 커버하는 캘리퍼바디(40)의 회동바디(42)를 회동시키면서 회동바디(42)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패드조립체(20) 등의 차량 부품을 용이하게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캘리퍼바디(40)나 토크멤버(30)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회동바디(42)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 과정을 거쳐 캘리퍼바디(40)에 의해 커버되는 차량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교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 정비, 검사,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디스크 20 : 패드조립체
21 : 이너패드 22 : 아우터패드
30 : 토크멤버 40 : 캘리퍼바디
41 : 고정바디 42 : 회동바디
43 : 회동연결부 411 : 하우징부
412 : 고정본체부 413 : 실린더하우징
414 : 회동바디접촉부 415 : 안착턱부
416 : 체결부 417 : 피스톤
422 : 회동본체부 424 : 고정바디접촉부
425 : 안착부 431 : 힌지연결부
432 : 제1힌지설치부 433 : 제2힌지설치부
434a : 제1브라켓 434b : 제2브라켓
434c : 회동축 435 : 회동구속부
436 : 제1홈부 437 : 제2홈부
438 : 체결부재

Claims (9)

  1. 차륜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에 마찰접촉되는 이너패드와 아우터패드가 구비되는 패드조립체;
    상기 패드조립체를 지지하는 토크멤버; 및
    상기 토크멤버에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캘리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캘리퍼바디는,
    상기 토크멤버와 연결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는 회동바디; 및
    상기 회동바디의 회동에 의해 상기 패드조립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바디에 상기 회동바디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디스크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바디는, 상기 차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실린더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고, 상기 토크멤버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이너패드를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에 압착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실린더하우징이 형성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 중 상기 회동바디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와 면접촉되는 회동바디접촉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에서 상기 회동바디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접촉부와 접촉된 상기 회동바디가 안착되는 안착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디는,
    상기 패드조립체를 커버하며, 상기 고정바디와 연결되는 회동본체부;
    상기 회동본체부 중 상기 고정바디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디와 면접촉되는 고정바디접촉부; 및
    상기 고정바디접촉부가 상기 고정바디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동바디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회동바디가 설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를 상호 밀착되게 결속하는 회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고정바디 상에 마련되는 제1힌지설치부;
    상기 회동바디 상에 상기 제1힌지설치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힌지설치부;
    상기 제1힌지설치부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2힌지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힌지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속부는,
    상기 고정바디 상에 마련되는 제1홈부;
    상기 회동바디 상에 상기 제1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는, 상기 회동바디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바디의 표면에서 상기 고정바디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홈부는, 상기 고정바디 중 상기 회동바디와의 접촉부 상에 상기 제2홈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KR1020150147097A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KR20170046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97A KR20170046908A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97A KR20170046908A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08A true KR20170046908A (ko) 2017-05-04

Family

ID=5874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97A KR20170046908A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9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1259U1 (de) 2019-11-14 2020-03-18 Hyundai Mobis Co., Ltd. Bremsbelag für eine Bremsvorrichtung
KR20220156320A (ko) 2021-05-18 2022-11-25 황윤길 브레이크 패드 장착 누락 검사기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패드 누락검사방법
KR20230026045A (ko) * 2021-08-17 2023-0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시스템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US11629764B2 (en) 2019-12-06 2023-04-18 Hyundai Mobis Co., Ltd. Caliper brake pad spring and brak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1259U1 (de) 2019-11-14 2020-03-18 Hyundai Mobis Co., Ltd. Bremsbelag für eine Bremsvorrichtung
US11300167B2 (en) 2019-11-14 2022-04-12 Hyundai Mobis Co., Ltd. Brake pad for brake apparatus
US11629764B2 (en) 2019-12-06 2023-04-18 Hyundai Mobis Co., Ltd. Caliper brake pad spring and brake device
KR20220156320A (ko) 2021-05-18 2022-11-25 황윤길 브레이크 패드 장착 누락 검사기와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패드 누락검사방법
KR20230026045A (ko) * 2021-08-17 2023-0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시스템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6908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US7849982B1 (en) Garnish plate mounting structure
JP2006519698A5 (ko)
CN110836228A (zh) 鼓式制动器装置
TW201242834A (en) Cable disk brake with brake pad clearance adjustment mechanism
JP707584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326012A (ja) 駐車ブレーキ組立体
US4350229A (en) Disc brake having a slidably supported caliper
JPH0261656B2 (ko)
JP5623905B2 (ja) ブレーキキャリパの駐車装置、ブレーキキャリパ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6917703B2 (ja) 作業車の制動装置
JPS6238033Y2 (ko)
JP2020530094A (ja) キャリパー作動型ホイールエンドスフィアブレーキ
KR20130020045A (ko) 차량용 제동장치
JP7429605B2 (ja) ブレーキキャリパ装置
JP2000337409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ハンガーピン取付構造
KR100691841B1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JPS5817133Y2 (ja) 自動車用デイスクブレ−キのパツドの振動防止装置
JP2016132305A (ja) 鞍乗り型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136749B2 (ja) ブレーキ装置
JPS5829308Y2 (ja) 二輪車用デイスクブレ−キにおける固定摩擦パツドの取付装置
JP379287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850893B1 (ko) 브레이크호스 어셈블리의 와셔 코킹장치
KR20180065406A (ko) 차량용 제동장치
JP2009297797A (ja) 組立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ナックル組立体とダンパ組立体の組付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