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634A -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634A
KR20170046634A KR1020170052312A KR20170052312A KR20170046634A KR 20170046634 A KR20170046634 A KR 20170046634A KR 1020170052312 A KR1020170052312 A KR 1020170052312A KR 20170052312 A KR20170052312 A KR 20170052312A KR 20170046634 A KR20170046634 A KR 2017004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upper body
forming portion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김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주 filed Critical 김형주
Priority to KR102017005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634A/ko
Publication of KR2017004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는, 상부체와 하부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상부체를 개방하게 되면 배출구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구를 보다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결 유지가 용이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Outlet structure of humidifier}
본 발명은 주변 공기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화된 물이 분무되는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쾌적한 환경과 인체에 유익한 습도를 조성하기 위하여 물을 입자화하거나 수증기로 만들어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이다. 가습기는 건조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가습기 중에는 초음파식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초음파식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물에 진동을 일으키고, 이 진동으로 물 표면에 있던 물 입자들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물표면 위로 튀어나오도록 하여 가습기 밖으로 분무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가습기는 내부에서 형성된 입자화된 물이나 수증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분무시키도록 구성되는데, 통상 배출구는 가습기 본체 또는 뚜껑 중 어느 한쪽에 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멀리까지 원활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긴 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배출구가 긴 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출구의 청소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된다. 가습기는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물을 미립화하여 외부로 분무시켜 이용하는 특성상, 자주 청소하지 않을 경우에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많이 번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호흡기 등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청결한 사용이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가습기는 배출구가 일반적으로 긴 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청결 상태의 확인이 매우 어렵고, 특히 청소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물론 긴 막대나 전용 세척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할 수 있으나 자주 청소해야 하는 관계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129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66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합쳐지는 곳에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체를 개방하게 되면 배출구가 분리되어 배출구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청결 유지가 용이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내부에 수조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내부에서 무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디는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디의 나누어진 부분에 양쪽의 바디가 서로 결합하여 통로를 형성함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는 상기 수조가 구비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체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하부체와 상부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는 오목한 구조의 하배출 형성부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하배출 형성부의 상부를 막아주는 상배출 형성부가 구성되어, 상기 하배출 형성부와 상배출 형성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배출 형성부는 바디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체에는 상기 수조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배출 형성부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배출 형성부는 상기 상부체의 밑부분에서 하부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하배출 형성부와 결합하여 상향 경사진 배출구 구조를 형성토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는 그 밑면에 상기 수조의 상부에 결합되는 분리판이 포함되고, 상기 상배출 형성부는 상기 분리판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의 바깥쪽 끝부분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고, 이와 접하는 상부체의 하부에 수평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내부에 수조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무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할 때 종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는, 상부체와 하부체가 합쳐지는 곳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체와 하부체가 합쳐진 상태에서는 배출구로 이용되고, 상부체를 개방하게 되면 배출구가 분리되어 배출구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습기의 청결 유지가 용이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저수위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고수위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상부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배출구 구조가 도시된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상부체 닫힘 및 열림시 배출구 상태가 도시된 상세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진동부가 도시된 여러 방향의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진동부 낙수 소음 저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외관 사시도, 도 2는 저수위 상태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고수위 상태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상부체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바디를 구성하는 상부체(100)와 하부체(200), 그리고 상기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진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체(100)는 그 내부에 가습기 제어를 위한 전기 회로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고, 팬(110), 힌지부(120), 회동부(130) 및 분리판(140) 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부체(100)는 하부체(2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체(200)에 구비되는 수조(21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수조(210) 내에 저장되는 물(W)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진동부(300)의 진동자(330)를 제어하거나, 수조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11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상부체(100) 또는 하부체(200) 등에 구성된 조작 스위치(미도시됨)를 조작함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공지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전기 회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부체(100)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체(200)에 구성하거나,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에 나누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팬(110)은 수조(210) 내에서 무화된 물방울을 가습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조(2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팬(110)과 연관되어 수조(210) 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필터(미도시됨)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팬(110)은 상부체(100)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습기의 설계 조건 등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체(200)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부(120)는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를 힌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상부체(100)를 하부체(200)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다. 상부체(100)를 하부체(200)로부터 들어 올리면, 상부체(100)에 연결된 진동부(300)도 상부체(100)와 함께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진동부(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수조(210)를 하부체(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부(130)는 진동부(300)를 상부체(100)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진동부(300)는 회동부(130)를 축으로 하여 수조(21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및 도 3 참조). 진동부(300)의 이러한 움직임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회동부(130)에는 가변 저항(미도시됨)이 포함될 수 있다. 가변 저항은 진동부(300)가 회동부(130)로부터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저항치가 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저항치 변화에 따라 진동부(300)의 기울기 또는 진동자(330)의 수위에 따른 높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되므로, 제어부에서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물 보충 시기를 알려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가변 저항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부(300)에 수위 센서 등을 구성하여 수위를 측정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분리판(140)은 상부체(100)의 하부를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부체(100) 내에 구비된 제어부 등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판(140)은 수조(2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수분에 노출된 상태로 이용하게 되므로 청결한 사용을 위해서는 자주 세척하거나 살균하여야 한다. 따라서, 분리판(140)은 상부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척이나 살균이 용이한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내열성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하부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체(200)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21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10)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넓게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하부체(200)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수조(210)를 살균하기 위하여, 수조(210) 내에 물을 채운 후에 수조(210)에 열을 가하여 물을 끓이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수조(210)는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내열성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조(210)의 아래에는 수조(210) 내의 물을 직접 끓이기 위한 발열부(미도시됨)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는 코일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하여 수조(210)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발열부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됨) 등과 연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수조(210)가 하부체(2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하부체(210) 내에 수조 즉, 물 저장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체(200) 또는 수조(210) 상부 일측에는 미립화된 물을 가습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250)가 구성된다.
배출구(250)의 구성에 대하여 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구(250)는 하부체(200)와 상부체(100)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배출구(250)는 하부체(200) 또는 상부체(100)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지 않고, 하부체(200)와 상부체(100)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상호 협력함으로써 배출하는 통로를 형성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체(200)의 상부 일측에는 오목한 구조의 하배출 형성부(255)가 구성된다(도 1 등 참조). 그리고, 상기 상부체(100)의 하부 일측에는 하배출 형성부(255)의 상부를 막아주는 상배출 형성부(256)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배출 형성부(255)와 상배출 형성부(256)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2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체(200) 내에 구비된 수조(210)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부체(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분리판(140)도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에, 배출구(250)를 형성하는 하배출 형성부(255)와 상배출 형성부(256)는 수조(210)의 상부 일측(215), 분리판(140)의 하부 일측(145)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250)는 수조(210)의 내부에서 가습기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 경사진 배출구(250)의 구조는 수조(210) 내에서 미립화된 물방울이 가습기 주변으로 멀리 퍼지도록 함과 아울러, 배출구(250) 끝부분에 맺힌 물방울들이 가습기 외측으로 흐르지 않고 수조(210)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하배출 형성부(255)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배출 형성부(256)는 상부체(100) 밑면 즉, 분리판(140)의 밑면에서 하부체(200)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경사면(146)이 형성되어 하배출 형성부(255)와 협력하여 상향 경사진 배출구(250)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배출구(250)의 바깥쪽 끝부분(251)은,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체(200)의 상단부가 'U'자형으로 오목한 구조로 좌우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접하는 상부체(100)의 하단부는 수평 구조 즉, 일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체(100)의 하부 모양이 다른 부분과 같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구(250)의 형태가 하부체(200)에 대부분 형성되고 상부체(100) 쪽에는 거의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의 외관 모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250)가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결합 부분에 형성됨에 따라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부체(100)를 들어 올릴 경우에 배출구(250)를 구성하는 부분이 양쪽으로 분리되어 배출구(250)도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배출구(250)를 보다 용이하게 세척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체(200)와 상부체(100)의 결합 부분에 배출구(250)가 형성된 구조, 즉 바디가 상하로 분리된 구조에 배출구(250)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디가 좌우 또는 경사지게 분리된 다른 형태의 분할 구조에서도 양쪽 바디가 상호 협력하여 배출구(250)를 형성하는 구조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여 배출구(2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언하면, 가습기에서 배출구(250)를 길이 방향인 종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다음, 진동부(300)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진동부(3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수조(210)에 저장된 물에 진동을 일으켜 물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부(300)는 회동부(130)를 통해 상부체(100)에 결합되어 진동부(300)가 전체적으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부(300)가 상부체(100)에 결합되는 부분, 즉 회동부(130)가 위치되는 부분은 팬(11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부(130) 주변은 상부체(100)의 분리판(140) 부위와 달리 세척하거나 살균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므로 이들 연결 구조물을 외부 공기 유입 경로에 위치시킴으로서 팬(110)에 의해 강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회동부(130) 주변에 무화된 수분이 접근하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진동부(300)는 상단부가 상부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 지지대(310)와, 이 진동 지지대(3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진동자(330)가 설치되는 진동자 설치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동자 설치대(310)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진동 지지대(320) 및 낙수소음 저감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자 설치대(320)는 진동 지지대(310)의 끝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 설치대(320)는 물에서 부력을 가질 수 있는 구성(예를 들면, 속이 비어 있는 구성)이나 재료(예를 들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진동자 설치대(32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300)가 상부체(100)에 결합되는 부분, 즉 회동부(130)를 향해 꺾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조(210) 내에 물이 많을 때 부력에 의하여 진동부(300)가 전체적으로 떠오르는 과정에서도 진동자(330)가 물속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자 설치대(320)는 그 중앙부에 진동자(330)가 설치되는데, 진동자(330)는 가습기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설명하지 않고 진동자(330)에 진동판이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한다.
다음, 진동 지지대(310)는 긴 봉 형태에서 2번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회동부(130)와 연결되는 커넥팅부(311)와, 이 커넥팅부(31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이어지고 일부가 진동자(330)의 직상방을 지나는 경사 지지부(313)와, 이 경사 지지부(313)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진동자 설치대(320)가 연결되는 하측 연결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넥팅부(311)는 그 중간 부분(C)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동 지지대(310)가 회동부(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진동부(300)를 상부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진동부(300)를 분리하여,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부의 수리, 교체 등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커넥팅부(311)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에, 분리 부분에는 진동자(330) 등을 제어하거나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커넥팅 회로가 구성된다. 커넥팅 회로 구성은 단자가 상호 접속되는 구조를 이용한 통상적인 전기 회로 접속 구조를 적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면 예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사 지지부(313)는 진동자(330)에 의해 물 입자들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물표면 위로 튀어나올 때 부딪히도록 하여(도면에서 'R' 부분) 낙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경사 지지부(313)가 진동자(330)의 직상방 즉, 맞은편을 지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튀어 올라온 물방울이 부딪힌 후에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진동 전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 지지부(313)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소음 저감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도 11 등을 참조하여, 낙수소음 저감구조물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진동 지지대(310)의 경사 지지부(313)와 하측 연결부(315), 그리고 여기에 연결된 진동자 설치대(320)가 대략 'U'자형 구조로 배치되게 구성된다. 특히 진동자 설치대(320)에 대하여 그 맞은편에 위치된 경사 지지부(313)는 진동자(330)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물이 수면 위로 튀어 올라올 때 물방울들이 부딪힐 수 있도록 위치되고, 경사 지지부(313)가 진동 설치부(320)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물방울이 부딪히는 힘이 분산됨과 아울러, 부딪힌 물방울들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 내려 낙수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경사 지지부(313)가 봉형 구조로 형성되어 물방울들이 부딪혀 낙수 소음을 저감하도록 구성된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지지부(313)에 낙수소음 저감구조물을 별도로 형성하거나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사 지지부(313)의 일부분을 봉형 구조에서 판형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에는 판형 구조에 의해 물방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낙수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지지부(313)에 낙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튀어 오른 물방울들이 부딪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경사 지지부(313)는 반드시 진동자(330)의 맞은편을 지나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고, 경사 지지부(313) 또는 그 주변 구조물에 지지되게 하여 튀어 오른 물방울들이 부딪혀 낙수 소음이 저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부체 110 : 팬
120 : 힌지부 130 : 회동부
140 : 분리판 200 : 하부체
210 : 수조 250 : 배출구
255 : 하배출 형성부 256 : 상배출 형성부
300 : 진동부 310 : 진동 지지대
311 : 커넥팅부 313 : 경사 지지부
315 : 하측 연결부 320 : 진동자 설치대
330 : 진동자

Claims (6)

  1. 내부에 수조를 갖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조를 커버하는 상부체; 상기 수조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상부체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회동부;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를 힌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을 무화시킬수 있도록 상기 진동부의 진동자를 제어하거나 상기 수조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를 통해 내부에서 무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는 오목한 구조의 하배출 형성부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하배출 형성부의 상부를 막아주는 상배출 형성부가 구성되어, 상기 하배출 형성부와 상기 상배출 형성부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회동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하부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상부체에 연결된 상기 진동부도 상기 상부체와 함께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배출 형성부는 상기 하부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에는 상기 수조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배출 형성부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청구항 2 또는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배출 형성부는 상기 상부체의 밑부분에서 하부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하배출 형성부와 결합하여 상향 경사진 배출구 구조를 형성토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를 상기 수조 내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판이 포함되고,
    상기 상배출 형성부는 상기 분리판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바깥쪽 끝부분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고, 이와 접하는 상부체의 하부에 수평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70052312A 2017-04-24 2017-04-24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KR20170046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12A KR20170046634A (ko) 2017-04-24 2017-04-24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12A KR20170046634A (ko) 2017-04-24 2017-04-24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436A Division KR20160136990A (ko) 2015-05-22 2015-05-22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634A true KR20170046634A (ko) 2017-05-02

Family

ID=5874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312A KR20170046634A (ko) 2017-04-24 2017-04-24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6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4127U (ja) 加湿器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KR20160083171A (ko)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
EP2980495B1 (en) Humidifier
JP2017145982A (ja) 超音波霧化装置
JP6960679B2 (ja) 加湿器
JP6467597B1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KR20170067344A (ko) 수직분무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170046634A (ko)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KR100784315B1 (ko) 가습기
KR20160136990A (ko)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KR102313376B1 (ko) 가열식 간편세척 가습기
JP2002364890A (ja) ミストの発生装置
KR101293556B1 (ko) 미세가습기능을 구비한 사이클론 가습기
KR20180032023A (ko)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KR20170068298A (ko) 스틱 필터형 가습기
KR20160136991A (ko) 가습기의 소음 저감 구조
KR200477962Y1 (ko) 초음파 가습기
KR20160091788A (ko) 가습기
KR20036138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CN208859772U (zh) 具有降噪功能的香薰机
JPS598768Y2 (ja) 超音波霧化装置
KR200408809Y1 (ko) 회전 가능한 분무 노즐을 갖는 가습기
JP2008104917A (ja) 超音波霧化装置
KR200217648Y1 (ko) 가향 또는 음공기 발생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