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788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1788A KR20160091788A KR1020150012370A KR20150012370A KR20160091788A KR 20160091788 A KR20160091788 A KR 20160091788A KR 1020150012370 A KR1020150012370 A KR 1020150012370A KR 20150012370 A KR20150012370 A KR 20150012370A KR 20160091788 A KR20160091788 A KR 201600917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inge
- vibrating
- vibrator
- water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물 수용부의 위에서 상기 물 수용부를 커버할 수 있는 상부체,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회전 운동을 위한 축이 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자를 위한 진동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쾌적한 환경과 인체에 유익한 습도를 조성하기 위하여 물을 무화(霧化)시켜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이다. 가습기는 건조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식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수조를 수용하고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가습기 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습기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 상에 수조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공급되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물이 무화되어 미스트가 형성되고, 형성된 미스트는 가습기 외부로 분사된다.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를 장기간 사용하면, 수조, 초음파 진동자 등에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여 가습기로부터 세균이나 곰팡이 등으로 오염된 공기가 분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사실상 유일한 해결책은 사용자가 수조, 초음파 진동자 등을 자주 세척하거나 살균하는 것뿐이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수조는 그 형태 자체가 수조의 가습기 본체 내에의 수용을 돕는 형태(예를 들면, 수조의 하부에만 물 공급을 위한 작은 구멍이 있는 형태 등)였던 까닭에 사용자가 손으로 닦기 어려운 부분이 여러 군데 있었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초음파 진동자는 대부분의 경우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가습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던 까닭에 그 나름대로 세척이나 살균이 어려운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 중 특히 세척과 연관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습기 본체가 아닌 수조의 바닥 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배치되는 초음파식 가습기가 개발되어 사용된 바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가 물을 잘 무화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수면에 가깝게 되도록 하다 보면, 수조에 한 번 물을 담을 때에 적은 양밖에 담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척하기에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닿은 부분을 모두 살균하기에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닿은 부분을 분리하여 살균하기에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 목적을 모두 달성하면서도 제작 단가가 높지 않은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물 수용부의 위에서 상기 물 수용부를 커버할 수 있는 상부체,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회전 운동을 위한 축이 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자를 위한 진동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진동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척하고 살균하기에 용이한 가습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닿은 부분을 분리하여 살균하기에 용이한 가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 목적을 모두 달성하면서도 제작 단가가 높지 않은 가습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와 진동부의 상부 간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적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많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체(100)가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물 수용부, 진동부의 하부 및 분리판을 살균하는 상황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와 진동부의 상부 간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적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많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체(100)가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물 수용부, 진동부의 하부 및 분리판을 살균하는 상황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습기(10)는 상부체(100), 본체(200) 및 진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체(10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가습기용 전기 회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고, 팬(110), 제1 힌지부(120), 제2 힌지부(130) 및 분리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체(100)는 경우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체(200)의 물 수용부(210)의 위에서 그것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체(100)의 전기 회로는 물 수용부(210) 내에 저장되는 물(W)을 무화시키기 위하여 진동부(300)의 진동자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거나 그러한 진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회로는 진동자가 진동하는 경우에 팬(110)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회로의 제어 상태는 상부체(100), 본체(200) 등에 부착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됨)의 조작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기 회로의 이 외의 구성은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전기 회로의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전기 회로는 상부체(1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본체(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팬(110)은 외부 공기가 물 수용부(210) 내에 흡입되도록 하고, 이것이 다시 물 수용부(210) 내에서 발생된 미스트를 포함한 채로 물 수용부(210)의 외부로 (즉, 가습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팬(110)과 연관되어 필터(미도시됨)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물 수용부(210) 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한편, 팬(110)은 상부체(1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본체(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힌지부(120)는 상부체(100)와 본체(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힌지부(120)를 축으로 하여 상부체(100)를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다. 상부체(100)가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체(100)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 진동부(300)도 상부체(100)와 함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진동부(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물 수용부(210)를 본체(200)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제2 힌지부(130)는 상부체(100)와 진동부(300)를 힌지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300)는 제2 힌지부(130)를 축으로 하여 물 수용부(210) 내의 물에서 그 수위에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진동부(300)의 이러한 움직임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제2 힌지부(130)에는 가변 저항(미도시됨)이 포함될 수 있다. 가변 저항은 진동부(300)가 제2 힌지부(130)에서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저항치가 변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의 저항치에 따라 진동부(300)의 기울기 내지 진동부(300) 내의 진동자(도 3의 도면부호 312)의 물 수용부(210) 내에서의 높이(대략 물 수용부(210) 내의 수위와 상응함)를 계산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 회로는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물 보충 시기를 알려 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본체(200) 내지 물 수용부(210)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변 저항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진동부(300)의 수위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분리판(140)은 상부체(100)의 하판을 구성하여, 상부체(100) 내의 전기 회로를 커버하고 이것을 물 수용부(210)에서 발생되는 미스트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판(140)은 미스트에 수시로 노출되므로, 자주 세척/살균이 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분리판(140)은 상부체(100)로부터 분리되어 따로 세척되거나 살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리판(140)은 세척이나 살균이 용이한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내열성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00)는 가습기(10)의 본체로서,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진동자에 의하여 미스트로 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는 물 수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수용부(210)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그 위 부분이 넓게 개방되는 형태를 갖는 한편, 물과의 접촉이 곤란한 전기적인 구성요소 등은 일체 포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 수용부(210)를 손으로 구석구석 세척하거나 통째로 삶을 수 있다. 이 경우, 물 수용부(210)는 필요에 따라 본체(200)로부터 분리되어 빼내어질 수 있다. 물 수용부(210)의 일측에는 미스트 배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이 물 수용부(210) 내의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 수용부(210)를 살균하기 위하여, 물 수용부(210) 내에 물을 채운 후에 물 수용부(210)에 열을 가하여 물을 끓이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물 수용부(210)는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내열성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물 수용부(210)의 아래에는 물 수용부(210) 내의 물을 직접 끓이기 위한 발열부(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는 코일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하여 물 수용부(210)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발열부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됨) 등과 더 협력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만, 물 수용부(210)가 본체(200)로부터 분리되어 다루어질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물 수용부(210)에 물을 담아서 가정용 버너 등으로 끓임으로써 간단하게 물 수용부(210)를 살균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러한 상황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부(210)는 분리판(140)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진동부(300)의 하부(310)와 함께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300)는 물 수용부(210) 내에 저장된 물에 대하여 배치되어, 물을 진동시켜서 무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300)는 하부(310)와 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310)는 물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자(도 3의 도면부호 312)를 포함하거나 수용할 수 있고, 상부(320)는 제2 힌지부(130)에 대하여 결합되어 진동부(300)가 전체적으로 물에 떠 있도록 하는 한편 하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진동부(300)는, 특히 그 하부(310)는, 소정의 위치에 물을 검출하여 물이 더 공급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수위 센서(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회로에 소정의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진동자(312)가 진동하거나 진동 정지를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물이 검출되면 진동자(312)가 진동하도록 하고 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진동자(312)가 진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부체(100)와 진동부(300)의 상부(320)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화살표는 팬(11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와 진동부의 상부 간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300)의 상부(320)는 제2 힌지부(130)를 매개로 하여 상부체(100)의 소정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위와 같은 화살표로 도시되는 외부 공기 유입 경로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진동부(300)가 상부체(100)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이 긴요한데, 제2 힌지부(130) 등의 힌지 결합 부위는 상부체(100)의 분리판(140) 부위와 달리 세척하거나 살균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부위이므로 이를 외부 공기 유입 경로에 두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제2 힌지부(130) 등에의 미스트의 접근을 어느 정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300)는 그 상부(320)의 돌출부(327)가 그 하부(310)의 홈(317)에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따로 떼어내서 살균하기가 번거로운 진동부(300)의 상부(320)에 오목한 곳이 가급적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세척 편의성을 증대시켜 주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상부(320)의 도시된 H1 부분이나 H2 부분 등이 제2 힌지부(130)의 지지에 의하여 항상 물 수용부(210) 내의 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진동부(300)가 상부체(100)에 대하여 제2 힌지부(130)를 매개로 하여 힌지 결합하도록 하고 제2 힌지부(130)가 진동부(30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힌지의 지지 작용이나 힌지에서의 마찰로 인한 진동부(300)에 관한 위 방향 토크 등에 의하여 다소 막도록 함으로써, 진동부(300)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에 잠기는 부분(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진동부(300)의 진동자 수용부(도 3의 도면부호 311))의 크기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진동부(300)의 하부(31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310)는 그 일측에 진동자 수용부(311)와 진동자(31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 수용부(311)는 진동자(312)의 일시적이거나 비일시적인 거치를 위한 것일 수도 있지만, 진동자(312)와 상호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자 수용부(311)는 그 자체가 물에서 소정의 부력을 가질 수 있는 구성(예를 들면, 속이 비어 있는 구성)이나 재료(예를 들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진동자(312)는 종래의 초음파 진동자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진동자(312)는 하부(310)와 상부(320)의 내부의 배선(미도시됨)을 통하여 상부체(100)의 전기 회로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진동하거나 진동 정지할 수 있다.
하부(310)는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단자(3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320)의 하부(31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단자(315)에 대응하는 전기적 연결 수단(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자(315)나 전기적 연결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하부(310) 및 상부(320)의 내부의 배선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부(310)와 상부(320)의 상호 착탈을 위하여, 하부(310)와 상부(320)는 각각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는 부분에 자기력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요철 구조 등과 같은 마찰력에 의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진동부(300)의 하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전기적인 구조로 인하여, 잘 패키징되는 경우, 분리판(140) 등과 마찬가지로 삶아질 수도 있다.
중요하게는, 진동자 수용부(3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310)로부터 진동부(300)가 상부체(100)에 대하여 결합하는 위치(즉, 제2 힌지부(130)의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물 수용부(210) 내에 물이 많을 때에 부력에 의하여 진동부(300)가 전체적으로 떠오르는 과정에서 진동자(312)가 물 위로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훨씬 더 유리할 수 있다(진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 진동자(312)는 물 속에 잠겨 있어야만 하고, 진동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진동자(312)는 물 속에 잠겨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적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물 수용부 내에 물이 많은 경우의 진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부(210) 내에 물이 적거나 많은 경우 중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300)의 하부(310)의 특수한 구조로 인하여 진동자 수용부(311)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진동자(312)가 물을 무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체(100)가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상부체(100)를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리면, 상부체(100)에 연결되어 있는 진동부(300) 역시 본체(200)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 수용부(210)에 물을 공급하거나 물 수용부(210)를 세척하거나 살균할 때에 진동부(300)를 번거롭게 분리하여야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특징은 사용자가 좀 더 쉽게 물 수용부(210)를 본체(200)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빼내거나 다룰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보장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진동부(300)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힌지부(130)가 상부체(200)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2 힌지부(13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면에 의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힌지부는 상부체가 아닌 본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힌지부는 본체와 진동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는, 상체부의 움직임으로부터 독립되어, 본체에 포함되는 제2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 수용부 내의 물에서 그 수위에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힌지부가 본체의 외벽 중 상체부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이 없는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의 외벽에 배치되는 제2 힌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동부는 제2 힌지부부터 연장되어 본체의 내부(즉, 물 수용부)로 진입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체 또는 상부체에는 진동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소정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힌지부가 본체의 내벽 중 물 수용부(210)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이 없는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물 수용부는 제2 힌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면, 제1 힌지부를 위한 홈을 포함하는 구성)이나 재료(예를 들면, 신축성 있는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가 상부체나 본체가 아닌 다른 곳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및 물 수용부(도 8의 수조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는 진동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부는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된 상부체나 상부체의 회전 운동을 위한 힌지부가 없이도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대신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본체 및 물 수용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는 도 8에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외부 공기 유입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힌지부의 힌지 결합 부위는 세척하거나 살균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부위이므로, 이를 외부 공기 유입 경로에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힌지부에의 미스트의 접근을 어느 정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부체
200: 본체
300: 진동부
200: 본체
300: 진동부
Claims (11)
-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물 수용부의 위에서 상기 물 수용부를 커버할 수 있는 상부체,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회전 운동을 위한 축이 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본체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자를 위한 진동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수용부는 상기 진동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힌지부의 방향을 향하여 꺾인 형태를 갖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기 물 수용부 내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에 배치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진동부가 상기 제2 힌지부에서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저항치가 변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대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는 상기 진동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는 상호 착탈될 수 있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부의 아래에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상부체에 포함되고, 상기 상부체와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본체에 포함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가습기. -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물 수용부 내의 물을 무화시킬 수 있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진동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물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가습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에 배치되는 가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2370A KR20160091788A (ko) | 2015-01-26 | 2015-01-26 |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2370A KR20160091788A (ko) | 2015-01-26 | 2015-01-26 | 가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788A true KR20160091788A (ko) | 2016-08-03 |
Family
ID=5670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2370A KR20160091788A (ko) | 2015-01-26 | 2015-01-26 |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178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82241A (zh) * | 2019-06-13 | 2020-12-15 | 深圳市联创电器实业有限公司 | 一种易清洗加湿器 |
EP3722688A4 (en) * | 2017-12-04 | 2021-08-25 | Kankyo Co., Ltd. | ULTRASONIC HUMIDIFIER |
-
2015
- 2015-01-26 KR KR1020150012370A patent/KR201600917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22688A4 (en) * | 2017-12-04 | 2021-08-25 | Kankyo Co., Ltd. | ULTRASONIC HUMIDIFIER |
CN112082241A (zh) * | 2019-06-13 | 2020-12-15 | 深圳市联创电器实业有限公司 | 一种易清洗加湿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7339B1 (ko) | 가습기 | |
JP6887679B2 (ja) | 噴霧装置 | |
KR20060104920A (ko) | 세정 기능이 있는 미산성수 분무기 | |
JP5868474B1 (ja) |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 |
JP7018549B2 (ja) | シェービング装置及び洗浄装置を備えたシェービングシステム | |
JP2014057952A (ja) | 霧発生装置 | |
JP2015204910A (ja) | 洗濯機 | |
KR20160083171A (ko) |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 | |
KR20160091788A (ko) | 가습기 | |
KR20110010728U (ko) | 가습기 | |
JP2005137641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2013141538A (ja) | 洗濯機及び電気機器 | |
KR20200086972A (ko) | 가습기 | |
KR200413541Y1 (ko) | 배수통 세척기 | |
JP6192629B2 (ja) | 洗浄装置 | |
JP6262572B2 (ja) | ミスト発生装置 | |
KR102550581B1 (ko) | 가습청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5946013B2 (ja) | 電子機器 | |
KR20190001129A (ko)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00086971A (ko) |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 |
KR20120005293A (ko) | 미세가습기능을 구비한 사이클론 가습기 | |
JP2006187660A (ja) | 手乾燥装置 | |
KR20170046634A (ko) | 가습기의 배출구 구조 | |
KR102036616B1 (ko) | 가습모듈 | |
KR102401943B1 (ko) | 스마트폰 소독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