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486A -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486A
KR20170045486A KR1020150145105A KR20150145105A KR20170045486A KR 20170045486 A KR20170045486 A KR 20170045486A KR 1020150145105 A KR1020150145105 A KR 1020150145105A KR 20150145105 A KR20150145105 A KR 20150145105A KR 20170045486 A KR20170045486 A KR 2017004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acking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4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5486A/ko
Publication of KR2017004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제1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테두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하우징, 테두리부에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지지부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하우징지지부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지지하고, 제2체결부재의 체결량에 따라 압축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내부로 수분과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체결부재의 개수를 줄이며 제1하우징에 인쇄회로기판을 조립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에만 제1체결부재가 관통됨에 따라 종래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던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이 단순해지며 패턴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을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에서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130)이 내장되는 제1하우징(110), 제1하우징(110)의 내부로 먼지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하우징(170), 인쇄회로기판(130)을 제1하우징(110)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101), 및 제1하우징(110)에 제2하우징(170)을 결합시키는 제2체결부재(10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30)이 제1하우징(110)에 제1체결부재(101)로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130)을 감싸는 제1하우징(110)이 구비되어 주변 부품과의 충돌 및 먼지와 수분의 접촉을 방지하며 인쇄회로기판(130)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1하우징(110)은 인쇄회로기판(130)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면서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개구된 상측에는 제2하우징(170)이 결합된다.
제2하우징(170)은 제1하우징(110)에 결합시 제2체결부재(102)로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70) 내부로 먼지와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제1체결부재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제1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면적은 패턴 설계를 할 수 없는 면적이 되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이 넓게 구비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재의 개수가 많아 원가가 높아지며 조립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며 먼지와 수분이 틈을 통해 제1하우징 내부로 침투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에만 제1체결부재가 관통됨에 따라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면적을 없애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이 단순해지며 패턴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을 제거하여 먼지와 수분이 틈을 통해 제1하우징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부식도 방지될 수 있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제1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테두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하우징, 테두리부에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지지부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하우징지지부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지지하고, 제2체결부재의 체결량에 따라 압축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에만 제1체결부재가 관통됨에 따라 종래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던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이 단순해지며 패턴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재의 개수가 줄어들어서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을 제거하여 먼지와 수분이 틈을 통해 제1하우징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인쇄회로기판의 부식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부분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하우징에 제2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하우징에 제2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230)이 내장되어 제1체결부재(201)로 고정되며 테두리부(211)가 구비되어 있는 제1하우징(210), 테두리부(211)에 제2체결부재(202)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270),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지지부(253)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하우징지지부(253)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하고, 제2체결부재(202)의 체결량에 따라 압축되는 패킹(250)을 포함한다.
차량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230)은 주변 부품과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제1하우징(210)에 내장되어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230)은 중심부에 제1체결부재(201)가 관통하는 홀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제1하우징(210)은 테두리부(211)가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30)이 내장되며 제1체결부재(201)가 인쇄회로기판(230)을 관통하여 제1하우징(210)의 스크류가 형성된 홈에 결합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30)이 제1하우징(210)에 조립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하우징(210)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215)가 구비되며 지지부(215)에 인쇄회로기판(230)의 하단이 지지된다.
이러한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는 제2하우징(270)이 결합되어 제1하우징(210)의 내부로 수분과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체결부재(202)가 제2하우징(270)을 관통하여 제1하우징(210)에 결합됨에 따라 제2하우징(270)이 제1하우징(210)에 조립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하우징(270)은 제2체결부재(202)의 체결량에 따라 후술할 패킹(250)을 압축시키면서 제1하우징(210)에 결합되며 패킹(250)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해주게된다.
패킹(250)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지지부(253)가 형성되어 하우징지지부(253)는 제2체결부재(202)의 체결량에 따라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사이에서 압축되어 조립되고, 조립된 후에는 하우징지지부(253)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해줌에 따라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내부로 수분과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210)에는 이러한 하우징지지부(2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부(211)에서 단차지는 안착부(213)가 형성되고, 안착부(213)에 하우징지지부(253)가 안착되면서 패킹(250)이 제1하우징(210)에 조립되기가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안착부(213)는 하우징지지부(253)가 조립되어 제2하우징(270)이 하우징지지부(253)를 압축시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테두리부(211)의 안착부(213)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 제2체결부재(202)가 체결되는 나사가 형성된 홈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2체결부재(202)가 테두리부(211)에 체결된다.
패킹(250)은 내측으로 돌출된 기판지지부(251)가 패킹(25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제2체결부재(202)의 체결량에 따라 제2하우징(270)이 기판지지부(251)를 하측으로 눌러 기판지지부(251)가 인쇄회로기판(23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해주게 된다.
기판지지부(251)는 인쇄회로기판(230)의 가장자리에 오버랩되게 조립됨에 따라 가장자리를 지지해준다.
이에 따라, 패킹(250)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해주는 하우징지지부(253)와 인쇄회로기판(230)과 제2하우징(270) 사이를 지지해주는 기판지지부(251)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내부로 수분과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2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해줌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30)을 제1하우징(210)에 조립고정시키게 된다.
즉, 종래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와 가장자리 모두에 제1체결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제1하우징에 조립고정될 수 있던 것에 반해, 기판지지부(251)가 형성된 패킹(250)이 구비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30)의 가장자리를 패킹(250)이 지지해주어 제1체결부재(201)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던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쇄회로기판(230)의 패턴이 단순해지며 패턴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1하우징(210)에 패킹(250)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패킹(250)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끼임부(255)가 형성되는데 끼임부(255)는 패킹(250)의 기판지지부(251)와 하우징지지부(253) 사이의 하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끼임부(255)는 제1하우징(210)의 내측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에 결합되어 패킹(250)의 조립이 용이해지게 된다.
이러한 끼임부(255)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로 조립되기 용이하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끼임부(255)는 상측이 하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끼임부(255)는 제1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로 조립되기 용이해지며 조립된 후에는 제1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를 지지해줌에 따라 패킹(25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체결부재(201)가 관통하는 인쇄회로기판(230)의 홀과 제1체결부재(201) 사이는 제1체결부재(201)가 홀을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공차를 주게 되는데 공차로 인하여 인쇄회로기판(23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끼임부(255)는 제1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에 결합될수록 점차 수평방향으로 압축되어 제1하우징(210)과 인쇄회로기판(230)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해주어 공차로 인하여 인쇄회로기판(23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250)의 지지력을 높이면서 내구성이 좋아지도록 패킹(250)은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57)가 구비되며 돌출부(457)는 패킹(250)의 상단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2하우징(270)을 지지해준다.
패킹(250)은 제1하우징(210)에 제2하우징(270)이 결합될 때 제2하우징(270)이 돌출부(457)를 압축시키면서 결합되어 돌출부(457)가 제2하우징(270)을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인쇄회로기판(23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하우징(210)의 지지부(215)에 인쇄회로기판(230)이 지지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201)로 조립고정된다.
그다음, 인쇄회로기판(230)이 조립된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 패킹(250)이 조립되는데, 패킹(250)의 끼임부(255)가 제1하우징(210)의 내측면과 인쇄회로기판(230) 사이에 조립되는 동시에 하우징지지부(253)가 안착부(213)에 안착되며 인쇄회로기판(230)의 가장자리에 기판지지부(251)가 오버랩되면서 패킹(250)이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270)이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 조립되면서 패킹(250)을 압축시키게 되고 제2체결부재(202)로 조립고정되는데, 제2체결부재(202)의 체결량에 따라 패킹(250)을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압축된 패킹(250)은 하단의 하우징지지부(253)가 제1하우징(210)을 지지하며 기판지지부(251)가 인쇄회로기판(230)을 지지하고, 상단이 제2하우징(270)을 지지함으로써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내부로의 수분과 먼지의 침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2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해주어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때, 제2하우징(270)이 패킹(250)을 압축시키기 전의 패킹(250)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제2하우징(270)이 패킹(250)을 압축시킨 후의 패킹(250)의 두께보다 높으며, 즉, 제2하우징(270)이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 조립되면서 패킹(250)을 압축시키기 때문에 조립된 후의 패킹(250)의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
또한, 패킹(250)의 기판지지부(251)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인쇄회로기판(230)에서 제2하우징(270)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제2하우징(270)이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 조립되면서 기판지지부(251)의 두께를 줄여 기판지지부(251)가 인쇄회로기판(230)과 제2하우징(270)을 지지해주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패킹(250)의 하우징지지부(253)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제1하우징(210) 또는 안착부(213)에서 제2하우징(270)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제2하우징(270)이 제1하우징(210)의 테두리부(211)에 조립되면서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를 줄여 하우징지지부(253)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을 지지해주게 된다.
즉, 패킹(250)은 기판지지부(251)의 두께가 인쇄회로기판(230)에서 제2하우징(270)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가 제1하우징(210)에서 제2하우징(270)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되어야 인쇄회로기판(230)을 제1하우징(210)에 고정시키면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 내부로 수분과 먼지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패킹(250)의 기판지지부(251)의 두께와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가 같게 형성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지지부(251)의 두께가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제2하우징(270)이 기판지지부(251)의 두께를 더 줄이기 때문에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70)을 더 세게 지지해주어 수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반면, 패킹(250)의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가 기판지지부(251)의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제2하우징(270)이 하우징지지부(253)의 두께를 더 줄이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30)과 제2하우징(270)을 더 세게 지지해주어 인쇄회로기판(230)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에만 제1체결부재가 관통됨에 따라 종래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던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이 단순해지며 패턴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제1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재의 개수가 줄어들어서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을 제거하여 먼지와 수분이 틈을 통해 제1하우징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인쇄회로기판의 부식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제1체결부재 202: 제2체결부재
210: 제1하우징 211: 테두리부
213: 안착부 215: 지지부
230: 인쇄회로기판 250: 패킹
251: 기판지지부 253: 하우징지지부
255: 끼임부 270: 제2하우징
457: 돌출부

Claims (9)

  1.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제1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테두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하우징;
    상기 테두리부에 제2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하우징;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지지부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지지하고, 상기 제2체결부재의 체결량에 따라 압축되는 패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테두리부에서 단차진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상기 하우징지지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내측으로 돌출된 기판지지부가 상기 패킹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제2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임부가 구비되어 상기 끼임부가 상기 제1하우징 내측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단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패킹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제2하우징까지의 거리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KR1020150145105A 2015-10-19 2015-10-19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KR20170045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05A KR20170045486A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05A KR20170045486A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486A true KR20170045486A (ko) 2017-04-27

Family

ID=5870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05A KR20170045486A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54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607A (zh) * 2019-06-11 2019-08-30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022987B1 (ko) * 2019-06-28 2019-09-19 김춘규 도로터널의 화재 알림 방수형 발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607A (zh) * 2019-06-11 2019-08-30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022987B1 (ko) * 2019-06-28 2019-09-19 김춘규 도로터널의 화재 알림 방수형 발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3870B1 (en) Electronic control module having a cover allowing for inspection of right angle press-fit pins
JP3131870U (ja) 電磁妨害遮蔽用のシールド装置
US7986533B2 (en) Shield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EP3313157B1 (en) Waterproof electronic control device
US7147510B2 (en) Socket for installing electronic parts
US20130100620A1 (en) Electr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Contacting With a Connector
US8383961B2 (en) EMI shiel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92201B2 (ja) 電気コネクタ
CN101511153A (zh) 带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外壳和制造电子装置外壳的方法
CN104869796A (zh) 用于屏蔽罩的紧固结构
US20170149124A1 (en) Antenna for motor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KR20170045486A (ko)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US20140118197A1 (en) Communication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antenna and mask
WO2015159339A1 (ja) 筐体
CN106410453B (zh) 一种电路板连接器及电子装置
JP4890400B2 (ja) 電子回路モジュール
US20200137499A1 (en) Speaker assembly
JP6991759B2 (ja) アンテナ装置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277979A1 (en) Waterproof component
US20150264840A1 (en) Electronic device
US7924571B2 (en) Circuit module
US20200266572A1 (en) Receptacle connector
JP2013171620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4777097B2 (ja) 電子回路のシール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