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377A -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377A
KR20170043377A KR1020150143073A KR20150143073A KR20170043377A KR 20170043377 A KR20170043377 A KR 20170043377A KR 1020150143073 A KR1020150143073 A KR 1020150143073A KR 20150143073 A KR20150143073 A KR 20150143073A KR 20170043377 A KR20170043377 A KR 2017004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presentative
app
approval
representative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858B1 (ko
Inventor
김세훈
김지은
신제춘
배서현
채흥식
정지현
조경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국민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4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85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국민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국민카드
Priority to PCT/KR2016/011484 priority patent/WO2017065518A1/ko
Priority to NZ74048616A priority patent/NZ740486A/en
Priority to US15/759,147 priority patent/US20180300712A1/en
Priority to AU2016339621A priority patent/AU2016339621A1/en
Priority to SG11201801528WA priority patent/SG11201801528WA/en
Priority to CN201680052986.4A priority patent/CN108027922A/zh
Priority to JP2018533028A priority patent/JP6883040B2/ja
Priority to EP16855735.3A priority patent/EP3364355A4/en
Publication of KR2017004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858B1/ko
Priority to PH12018501039A priority patent/PH12018501039A1/en
Priority to AU2020202027A priority patent/AU2020202027A1/en
Priority to AU2020104447A priority patent/AU2020104447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2Multiple accounts on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3Monitoring of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앱 또는 웹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고 주결제카드를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고객 단말기; 상기 앱카드를 대표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표준규격의 대표 실물카드; 상기 대표 실물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요청이 이루어지는 승인 네트워크; 및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여 사전설정된 상기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카드사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PAYMENT SYSTEM AND METHOD OF REAL-TYPE REPRESENTIVE CARD CONNECTED WITH AN APP TYPE CARD}
본 발명은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앱 또는 웹을 통해 등록된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를 실시간으로 변환할 수 있고, 앱카드와 연계되어 있는 한 장의 대표 실물카드를 발급받아 결제하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승인처리, 서비스제공 및 실적 적용이 가능한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모바일카드 형태로 유심(USIM) 타입의 모바일카드와 앱(App) 타입의 모바일카드가 이용되고 있다. USIM 타입의 모바일카드는 USIM 내 카드를 발급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이용하는 방식으로 가맹점에 구비되어 있는 결제용 단말기에 USIM모바일카드가 발급된 스마트폰을 접근시키면 결제가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카드발급 절차가 복잡하고, 별도의 결제 단말기가 필요하여 이용가능 가맹점이 제한적이며, 실물카드의 마그네틱이나 IC를 이용하는 기존의 카드결제 방식이 아닌 휴대폰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는 결제방식에 대한 생소함 등의 문제로 기존 실물카드 결제방식을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
App 타입의 모바일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에서 앱(11)을 구동하여, 사전 결제 메시지를 카드사 서버(100)로 통보한 이후 일회성 카드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일회성 카드정보를 NFC, 바코드, QR 코드 형태로 가맹점 단말기(50)에 전달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50)가 일회성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승인요청 메시지를 승인 네트워크(200)를 거쳐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복잡한 카드발급 절차 없이 앱을 통해 간단하게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앱카드 역시 USIM모바일카드처럼 별도의 결제 단말기가 필요하여 이용가능 가맹점이 제한적이고, 바코드, NFC 등을 이용하는 결제방식에 대한 생소함, 결제시마다 앱을 실행하여 결제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이용상의 불편함, 스마트폰 배터리가 소모되어 앱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결제 불가능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오프라인 거래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이용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앱카드와 연계되어 있는 대표 실물카드를 통해 일반적인 신용카드 가맹점 어디에서나 이용 가능하고, 기존 카드고객이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방식으로 작동되면서도, 모바일카드(USIM, 앱카드)의 지향점 중 하나인 다수의 카드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은, 앱 또는 웹을 통해 카드사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고 주결제카드를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고객 단말기; 상기 앱카드를 대표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표준규격의 대표 실물카드; 상기 대표 실물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요청이 이루어지는 승인 네트워크; 및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여 사전 설정된 상기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카드사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은, 고객 입장에서 여러 장의 카드를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한 장의 대표 실물카드만 들고 다니면 다양한 상품서비스를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바꿔가면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결제 이용시 보유한 여러 카드를 다양한 결제플랫폼마다 일일이 등록하는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대표 실물카드 한 장만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 전원유무와 관계없이 대표 실물카드로 안정적인 카드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은, 가맹점 및 VAN사 입장에서 기존 카드결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신규 서비스에 대한 종업원 교육필요성이나 거부감이 없고, 별도 결제 단말기 설치 및 개발이 필요하여 특정 가맹점에서만 이용이 가능한 모바일카드(USIM, 앱카드) 결제와 달리 일반적인 카드결제 가맹점에서 기존 카드결제 방식 그대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은, 카드사 입장에서 한 장의 실물카드로 다양한 상품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므로 실물카드 발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카드 자재, 포장, 배송 등 신규 카드발급에 따른 발급 비용 절감 및 발급 프로세스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앱카드 결제 시스템의 결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대사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중 카드사 서버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앱카드 원장 DB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는 앱카드 중 주결제카드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대사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승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대사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승인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발급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이용에 따른 다양한 결제플랫폼 등록 시 기대효과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신용카드" 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등을 지칭할 수 있는 것이며, 굳이 카드 종류나 매체에 그 의미가 한정되지는 않기 때문에 한 장의 대표 실물카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카드 서비스 및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중 카드사 서버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앱카드 원장 DB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의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은 앱 또는 웹을 통해 신용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고 주결제카드를 변경할 수 있는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통해 등록된 앱카드에 연동되는 대표 실물카드(30)와,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 의한 결제 요청시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MS나 IC 칩에서 카드정보를 읽고 가맹점 정보 및 결제 비용 정보를 부가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가맹점 단말기(50)와, 상기 가맹점 단말기(50)로부터 작성된 승인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인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카드사 서버시스템(100)과,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와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을 연결하는 승인 네트워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10)는 모바일 환경에서 결제 가능한 장치, 즉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지만,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10)는 주결제카드의 등록, 설정,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결제에 이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또한, 결제시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 페이지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으며, 비밀번호 누출 등의 위험이 없고, 결제를 위하여 대기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을 통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에 대하여 상기 신용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앱카드로 등록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앱카드 중 하나를 주결제카드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주결제카드로 변경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50)는, 기존 신용카드의 MS(Magnetic Stripe)나 IC 칩을 통해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는 종류이기만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의 대표 실물카드(30)로부터 고객정보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제 인프라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통해 등록된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결제하기 위하여 특별히 앱카드 제휴 가맹점일 필요가 없다.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은 모든 신용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서버(110)와, 상기 카드 발급서버(110)에 의하여 발급된 신용카드에 대한 가맹점 단말기(50)의 승인요청 메시지 또는 매입요청 메시지가 승인 네트워크(200)를 거쳐 수신되면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카드원장 DB(101), 앱카드원장 DB(103), 승인정보 DB(105),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 및 회원 원장 DB(109)를 참조하여 유효 승인요청인지 여부 판단 및 승인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처리서버(130)와, 상기 업무처리서버(130)의 승인 또는 매입 등의 업무처리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 대하여 응답처리하는 승인서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은 상기 카드 발급서버(110)가 신용카드를 발급하는 경우에 상기 회원원장 DB(109)는 카드회원 관련 정보, 예컨대, 회원번호,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원장 DB(101)는 상기 카드 발급서버(110)가 발급한 신용카드 관련 정보, 예컨대, 카드번호, BIN, 유효기간, CVC, 상품코드, 적용서비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카드원장 DB(103)는 상기 신용카드가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통해 등록된 앱카드의 카드정보, 예컨대 앱카드 등록카드 번호, 주결제카드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정보 DB(105)는 승인번호, 승인일시, 가맹점, 금액, 매입데이터 등 승인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는 승인 요청된 대표 실물카드 정보와 승인시점의 주결제카드인 실제 결제카드 정보와 승인거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은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를 더 포함하여,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승인관련정보, 즉, 대표 실물카드 정보, 실제 결제 처리하는 주결제카드 정보, 승인정보를 매칭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업무처리서버(130)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 의해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서 결제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카드원장 DB(101)를 참조하여 상기 대표 실물카드(30)가 대표카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앱카드원장 DB(103)를 참조하여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 연동하는 주결제카드로 설정된 앱카드가 어느 것인지 확인하며, 상기 승인서버(150)는 상기 업무처리서버(130)에 의해서 확인된 주결제카드를 기준으로 승인 처리하여 상기 승인정보 DB(105)를 구성하여, 상기 주결제카드 기준으로 상기 신용카드의 회원에게 서비스 또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승인서버(150)는 상기 업무처리서버(130)로 하여금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9)를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 대하여 상기 대표카드 번호로 처리 응답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50)로부터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거래취소, 매입요청 등)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9)를 참조하여 실제 결제가 일어난 주결제카드를 찾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승인 네트워크(200)는 가맹점 단말기(50)와 카드사 서버시스템(100) 사이에 승인정보를 전달하는 VAN 서버 등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승인 네트워크(200)는 가맹점 단말기(50)에서 결제 데이터를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 시, 각 카드사를 대행하여 매출 전표를 수집 관리하고, 가맹점 단말기(50)에서 전송된 결제 데이터에서 카드사 정보를 파악하여 결제 데이터를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제공하는 VAN(Value Added Network)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에 의하면, 상기 고객 단말기(10)로 앱 또는 웹(11)을 구동할 필요 없이,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를 이용하여 일반 신용카드 결제와 마찬가지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서부터 승인 네트워크(200) 구간의 승인 프로세스는 대표 실물카드의 고정된 카드번호로 승인이 진행되고, 카드사 내부 상품서비스 및 실적 적용은 승인시점에 고객이 앱 또는 웹을 통해 사전에 지정해 놓은 주결제카드로 처리되며, 승인, 매입, 청구 프로세스 진행 시 실제 카드번호에 대상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실제 카드번호와 대표 실물카드 번호를 매칭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는
BIN, 상품코드 등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임을 특정할 수 있는 대표카드 특정 데이터(31)가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표면 또는 이면에 카드번호 중 일부로 나타내져 있을 수도 있으며, MS 또는 IC 칩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를 특정하기 위하여 BIN (Bank Identification Number)이 이용될 수 있다.
BIN은 카드번호 앞 6자리로 신용카드 브랜드와 신용카드사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대표 실물카드(30)가 카드 발급서버(110)에 의하여 발급되면 상기 카드원장 DB(101)에 상기 대표카드 특정 데이터(31)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카드원장 DB(103)에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을 통하여 등록된 적어도 1 이상의 앱카드(103a, 103b, 103c....)를 나타내는 앱 카드번호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앱 카드(103a, 103b, 103c....)를 주결제 카드로 활성 또는 비활성 시킬 수 있는 활성 또는 비활성 데이터(103A, 103B, 103C)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활성 또는 비활성 데이터(103A, 103B, 103C)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을 실행시켜서 사용자가 주결제카드로 설정 또는 변경하도록 ox 표시 또는 플래그 표시 등 활성 또는 비활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에 의해서 상기 앱카드원장 DB(103)에 시간 표시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번호를 이용하여 일반 카드결제와 동일하게 승인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이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임을 확인하고, 상기 앱카드원장 DB(103)에 활성화되어 있는 주 결제카드로 승인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50)로부터 승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승인요청이 올라왔을 때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 별도로 부여한 BIN(카드번호 앞 6자리), 상품코드와 같은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특정 데이터(31)를 통해 대표카드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앱카드원장 DB(103)를 참조하여 승인 건별로 실제 결제가 일어나는 주결제카드의 카드번호와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번호를 매칭하는 테이블을 구성, 즉 주결제카드의 카드번호를 상기 대표카드번호에 대해서 승인번호, 승인금액, 가맹점명, 승인시간, 승인일과 같이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17)에 저장해 둔다.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17)를 통해 이후 승인건과 관련하여 이벤트(거래취소, 매입요청 등)가 발생할 경우 처리할 실제 결제카드를 찾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실제 결제카드의 프로모션, 서비스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맹점 및 VAN사가 승인 네트워크(200)에서 이용하는 정보는 대표 실물카드 번호(승인, 매입 동일한 정보 이용)이며, 카드사에서는 대표 실물카드 번호와 실제 결제카드 번호를 이용하여 승인 및 매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에 적어도 1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와 혜택을 제공하는 앱카드(103a, 103b, 103c...)를 연동시켜 주결제카드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장의 카드를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한 장의 대표 실물카드만 들고 다니면 다양한 상품서비스를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바꿔가면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대표 실물카드(30)로 결제하면, 플래그 표시가 되어 있는 주결제카드로 처리되며, 예를 들어 해당 주결제카드가 5% 청구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을 이용하더라도 5% 청구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는 앱카드 중 주결제카드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대사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승인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대사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승인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발급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는 앱카드 중 주결제카드 변경은, 카드별 특화 서비스 또는 혜택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현장에서 또는 사전에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 사이에서 앱 또는 웹(11)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11)을 실행시켜 주결제카드 변경 메뉴를 통해 주결제카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에 대해 전송할 수 있다(S01).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상기 업무처리서버(130)와 상기 앱카드 원장 DB(103) 사이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카드(103a, 103b, 103c...)의 활성 또는 비활성 데이터(103A, 103B, 103C...)가 온오프되어 주결제카드로 변경되는 대사가 이루어진다 (S02).
이 때,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통신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11) 화면상에 주결제카드의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03).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방법은 주결제카드를 변경하는 경우에만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이용하므로, 이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또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배터리가 소모된 경우에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승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카드 결제방법과 마찬가지로 카드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30)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 대해 결제가 요청되면(S1-1), 가맹점 단말기(50), VAN 사 등의 상기 승인 네트워크(200)와 카드사 서버시스템(100) 사이에서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번호 등으로 카드승인 요청이 이루어진다 (S1-2).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BIN 등의 대표카드 특정 데이터(31)를 이용하여 대표카드 여부를 확인하고(S1-3), 상기 앱카드원장 DB(103)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앱카드(103a, 103b, 103c....)중 활성 또는 비활성 데이터(103A, 103B, 103C...)를 통해 주결제카드가 어느 것인지 확인한다(S1-4).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는 실제 결제가 일어나도록 활성화된 주결제카드로 승인처리 후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를 구성한다(S1-5). 이와 같이 주결제카드로 승인처리 하기 때문에, 실제 결제카드인 주결제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적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승인서버(150)는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 구성 시 상기 승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50)에 대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정보로 승인 응답한다(S1-6).
이와 같이,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50) 또는 VAN 등은 상기 승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대표 실물카드(30)의 카드정보로 매출전표 매입을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에 대해서 요청할 수 있다(S1-7).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의 업무처리서버(130)는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를 참조하여 실제 결제가 이루어진 주결제카드의 카드번호 및 승인거래를 확인하고 실제 결제가 이루어진 주결제카드 기준으로 매입을 처리하며(S1-8), 상기 가맹점 단말기(50) 또는 VAN 등의 승인 네트워크(200)에 대해서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30) 기준으로 응답한다.
도 6a는 가맹점 단말기(50) 등의 승인 네트워크(200)와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 사이에서 승인요청 및 응답이 이루어지는 카드번호와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10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카드번호가 다름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승인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대표카드로 카드승인 요청이 있으면, 대표 실물카드 여부를 확인하고 일반카드인 경우에는 일반카드 승인절차에 따르며, 대표카드인 경우에 대표카드에 매칭된 주결제카드를 확인하고, 주결제카드로 승인처리하고, 상기 대표카드 매칭 승인 DB를 구성하며, 상기 대표 실물카드 번호로 승인 응답을 전송한다.
상기 대표 실물카드 번호로 매출전표 매입요청을 진행하며 이 때 대표 실물카드 여부를 확인하여 대표 실물카드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카드 매입절차를 진행하지만, 대표 실물카드(30)인 경우에는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107)로 실제 결제카드를 확인하여 실제 결제카드 기준으로 매입, 청구,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제,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발급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일반카드를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대표 실물카드를 동시 신청할 지 여부를 문의하고(S210), 대표카드를 동시에 신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카드만 신청하는 절차로 진행할 수 있다(S225).
한편, 일반카드와 동시에 대표카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발급자격을 심사하고(S230), 심사통과 여부를 판단한다(S240). 카드 발급자격을 갖추지 못하여 심사를 통과하지 경우, 발급을 거절할 수 있다(S245). 카드 발급자격을 갖추어 상기 심사를 통과한 경우에는 카드정보를 생성한다(S250).
이후 대표 실물카드가 제작되고(S260), 회원에게 배송되어(S270), 카드 사용 등록(S280)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대표 실물카드만 단독으로 신청하는 경우에 앱카드로 등록될 유효카드가 존재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20), 앱카드로 등록될 유효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면(S325), 대표카드로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일반카드와 동시에 신청하도록 안내하며(S330), 유효카드가 존재하면(S315), 발급자격을 심사하고(S230), 심사통과 여부를 판단하는(S240) 단계를 진행하여 이후 일반 카드 발급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앱카드 등록 및 주결제카드 설정은 대표 실물카드 발급과 별도의 이벤트로 진행되며, 고객이 앱 또는 웹(11)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는 경우 앱카드원장 DB(103)가 생성되며, 주결제카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결제카드 설정정보는 앱 또는 웹(11)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 발급서버(110)를 통해서 발급된 대표 실물카드(30)를 이용하면, 오프라인에서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현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이용에 따른 다양한 결제플랫폼 등록 시 기대효과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결제 등록 시, 일반카드의 경우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용할 카드의 카드정보를 입력해서 해당 이용카드를 결제플랫폼에 각각 등록하여야 하며 결제 시점마다 결제할 카드를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카드 연동 실물 결제카드를 이용하면 결제 플랫폼마다 하나의 대표 실물카드만 등록하며, 보유카드가 추가되어도 일일이 등록할 필요 없이 고객 단말기(10)의 앱 또는 웹을 통해 앱카드 주결제카드를 바꾸는 것만으로 추가된 카드의 온라인 결제등록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
1 :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 시스템
10 : 고객 단말기 11 : 앱 또는 웹
30 : 대표 실물카드 50 : 가맹점 단말기    
100 : 카드사 서버시스템
101 : 카드원장 DB     103 : 앱카드원장 DB
107 :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  110 : 카드 발급서버
130 : 업무처리서버    150 : 승인서버
200 : 승인 네트워크

Claims (12)

  1. 앱 또는 웹을 통해 카드사 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고 주결제카드를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고객 단말기; 상기 앱카드를 대표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표준규격의 대표 실물카드; 상기 대표 실물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요청이 이루어지는 승인 네트워크;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여 사전 설정된 상기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카드사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카드는 고객 보유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등록이 가능하며, 상기 주결제카드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로 결제시 승인 및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 할 기준카드로 등록된 앱카드 중 하나로 선택 및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앱카드 원장DB는 등록된 앱카드 및 주결제카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상기 대표 실물카드에 대응하는 승인처리 시점의 상기 주결제카드와, 상기 승인내역으로 이루어지는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은 상기 고객 보유카드와 상기 대표 실물카드를 발급하는 발급서버와, 상기 앱카드 원장 DB의 앱카드 및 주결제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를 구성하는 업무처리서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은 상기 승인 네트워크에 대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를 기준으로 승인 요청에 응답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 내에서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는 상기 주결제카드로 승인 또는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승인서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는 앱카드 연동 실물카드임을 나타내기 위한 대표카드 특성 데이터를 카드정보에 포함하고 있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카드 특성 데이터는 BIN, 상품코드, 다른 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 결제시스템.
  7. 앱카드와 연동하는 대표 실물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시스템은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대표카드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 실물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앱카드 원장 DB를 통해 결제 처리할 주결제카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실물카드, 상기 대표 실물카드에 연동하는 주결제카드 및 승인번호를 이용하여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승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에 승인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은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승인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통해 상기 주결제카드 변경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앱카드 원장DB의 주결제카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앱 또는 웹을 통해 변경된 주결제카드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카드 변경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시스템은 상기 대표 실물카드와 연동하는 상기 주결제카드의 카드번호로 승인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대표 실물카드 정보와 상기 승인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표카드 승인정보 매칭 DB를 통해 매입 처리할 상기 주결제카드 및 승인거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결제카드로 매입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대표카드 특성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실물카드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카드 연동 대표 실물카드의 결제방법.
KR1020150143073A 2015-10-13 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175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73A KR101755858B1 (ko) 2015-10-13 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EP16855735.3A EP3364355A4 (en) 2015-10-13 2016-10-13 APP-MAP-LINKED REPRESENTATIVE MAP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FOR
US15/759,147 US20180300712A1 (en) 2015-10-13 2016-10-13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of
AU2016339621A AU2016339621A1 (en) 2015-10-13 2016-10-13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for
SG11201801528WA SG11201801528WA (en) 2015-10-13 2016-10-13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of
CN201680052986.4A CN108027922A (zh) 2015-10-13 2016-10-13 应用卡关联代表卡、其结算系统及结算方法
PCT/KR2016/011484 WO2017065518A1 (ko) 2015-10-13 2016-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NZ74048616A NZ740486A (en) 2015-10-13 2016-10-13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for
JP2018533028A JP6883040B2 (ja) 2015-10-13 2016-10-13 代表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代表カードの決済処理方法
PH12018501039A PH12018501039A1 (en) 2015-10-13 2018-05-15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for
AU2020202027A AU2020202027A1 (en) 2015-10-13 2020-03-20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of
AU2020104447A AU2020104447A4 (en) 2015-10-13 2020-03-20 App card-linked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073A KR101755858B1 (ko) 2015-10-13 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77A true KR20170043377A (ko) 2017-04-21
KR101755858B1 KR101755858B1 (ko) 2017-07-07

Family

ID=5851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073A KR101755858B1 (ko) 2015-10-13 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300712A1 (ko)
EP (1) EP3364355A4 (ko)
JP (1) JP6883040B2 (ko)
KR (1) KR101755858B1 (ko)
CN (1) CN108027922A (ko)
AU (3) AU2016339621A1 (ko)
NZ (1) NZ740486A (ko)
PH (1) PH12018501039A1 (ko)
SG (1) SG11201801528WA (ko)
WO (1) WO201706551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11B1 (ko) * 2018-04-27 2019-02-12 김승훈 지역정보를 이용하는 카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6273A (ko) * 2018-07-10 2020-01-20 치-유안 오 다수의 거래 카드를 통합한 다목적 재충전 카드
WO2020032482A1 (ko) * 2018-08-09 2020-02-13 주식회사 센스톤 공카드를 이용한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3263A (ko) * 2019-06-14 2020-12-23 신현학 가맹점 주도의 결제솔루션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US11379837B2 (en) 2019-02-08 2022-07-05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vice by using chip unique value-based virtual code
US11468423B2 (en) 2019-02-08 2022-10-11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server,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wearable device-based financial transa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33057A1 (en) * 2018-04-27 2019-10-31 Jeremie Miller Systems and methods implementing an independent device-based sub-network of a distributed ledger network
WO2020195414A1 (ja) * 2019-03-25 2020-10-01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20078825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픤디 카드 연동을 이용한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7134325B1 (ja) 2021-12-23 2022-09-09 PayPay株式会社 電子決済システム、決済管理装置、カード、電子決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770A (ko) * 2002-08-17 2004-02-25 송현종 카드/계좌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05316992A (ja) * 2004-04-02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間の連携処理を行うセキュアデバイスと携帯端末
AU2007354267A1 (en) * 2006-11-22 2008-12-04 John K. Bona Point0f sale transaction device with magnetic stripe emulator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0861390B1 (ko) * 2007-09-07 2008-10-01 박수민 최적카드 추천을 위한 인공지능 결제 시스템과 이를 위한결제 장치 및 통합카드 결제 단말기
CN101458795A (zh) * 2007-12-14 2009-06-17 哈瑞克思信息科技公司 对移动卡使用离线交易批准模式的支付处理系统及其方法
JP2011065199A (ja) * 2009-09-15 2011-03-31 Nec Engineering Ltd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システム
KR20120014447A (ko) * 2010-08-09 2012-02-17 마승민 대표카드, 가상카드를 이용한 카드 사용 내지 결제 방법
KR20140097832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카드를 물리적 카드로 생성 및 만료하는 장치
US9092767B1 (en) * 2013-03-04 2015-07-28 Google Inc. Selecting a preferred payment instrument
WO2014174345A1 (en) * 2013-04-23 2014-10-30 Thimmana Ramesh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and offline financial transactions
KR20150002067A (ko) * 2013-06-28 2015-01-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앱 형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단말 및 서버
EP3061055A4 (en) * 2013-10-22 2017-06-07 Square, Inc. Proxy for multiple payment mechanism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11B1 (ko) * 2018-04-27 2019-02-12 김승훈 지역정보를 이용하는 카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6273A (ko) * 2018-07-10 2020-01-20 치-유안 오 다수의 거래 카드를 통합한 다목적 재충전 카드
WO2020032482A1 (ko) * 2018-08-09 2020-02-13 주식회사 센스톤 공카드를 이용한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8255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센스톤 공카드를 이용한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1392931B2 (en) 2018-08-09 2022-07-19 SSenSt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transaction using empty card
US11816657B2 (en) 2018-08-09 2023-11-14 SSenSt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transaction using empty card
US11379837B2 (en) 2019-02-08 2022-07-05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vice by using chip unique value-based virtual code
US11468423B2 (en) 2019-02-08 2022-10-11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server,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wearable device-based financial transaction
US11783313B2 (en) 2019-02-08 2023-10-10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server,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wearable device-based financial transaction
US11887118B2 (en) 2019-02-08 2024-01-30 SSenStone Inc.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vice by using chip unique value-based virtual code
KR20200143263A (ko) * 2019-06-14 2020-12-23 신현학 가맹점 주도의 결제솔루션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4355A1 (en) 2018-08-22
US20180300712A1 (en) 2018-10-18
JP2018528561A (ja) 2018-09-27
PH12018501039A1 (en) 2019-01-28
CN108027922A (zh) 2018-05-11
AU2020104447A4 (en) 2021-09-30
SG11201801528WA (en) 2018-04-27
NZ740486A (en) 2019-09-27
JP6883040B2 (ja) 2021-06-02
KR101755858B1 (ko) 2017-07-07
AU2020202027A1 (en) 2020-04-09
EP3364355A4 (en) 2019-04-24
AU2016339621A1 (en) 2018-03-29
WO2017065518A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858B1 (ko)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JP6228214B2 (ja) 近距離取引においてクーポンを処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9243169B2 (en) Authorization system with split messaging
US8204825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payments
US201700689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less payments at a merchant
US201600124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e-paid multicards
CA2835516C (en) Point-of-sale system using prepaid/gift card network
US20140108123A1 (en) User defined point-of-sale coupons and payments
KR20130000072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5115B1 (ko)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339661B1 (ko) Nfc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KR102149865B1 (ko) 영수증 생성 방법 및 영수증 생성 시스템
KR20170099346A (ko) 다국 통화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150135147A (ko) 외국인 전용 카지노 유통 선불 카드 구매 및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48291A (ko) 서비스 제공 장치, 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20126521A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取引管理方法、およ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
JP2019527895A (ja) セキュアな取引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044600A (ko) 웹기반 밴 결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KR20060095934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UA31268U (uk) Cпосіб здійснення платежів за товари або послуги із застосуванням знижок
EA024496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покупок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реализации программ лояльности
KR20060095935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KR20060097698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