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302A -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302A
KR20170043302A KR1020150142893A KR20150142893A KR20170043302A KR 20170043302 A KR20170043302 A KR 20170043302A KR 1020150142893 A KR1020150142893 A KR 1020150142893A KR 20150142893 A KR20150142893 A KR 20150142893A KR 20170043302 A KR20170043302 A KR 20170043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attern
layer
light
coating layer
window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583B1 (ko
Inventor
박일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코팅층,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된 기재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코팅층 사이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이 개재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차광 패턴을 구비하면서도 그에 의한 단차가 없어 다른 부재와의 적층 및 차광 패턴 구현이 보다 용이한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WINDOW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부재의 적층 시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인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를 포함한다.
또한, 최근에는 유리 기판 대신에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종래의 패널보다 더욱 얇고 가벼우며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리(Glass) 기판 상에 터치 센서 패턴 등을 형성하였으나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로 인해 필름 재질로 대체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로, 두께가 증가할수록 패널이 휘어질 시 받는 충격이 커져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각 요소 또한 두께 저감이 핵심 목표이다.
아울러,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터치 센서와 결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용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을 예로 들면, 최외면에 커버 윈도우 기판이 배치되고, 커버 윈도우 기판은 전면에 화상이 표시되고 필요에 따라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는 부분인 표시부와, 이 영상센서의 표시부를 둘러싼 비표시부로 구분된다.
비표시부에는 비표시부 차광 패턴이 형성되어 불투명한 도전성 배선 패턴 및 각종 회로들을 은폐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휴대폰 메이커의 상표나 로고 등을 인쇄하게 된다. 종래에 비표시부는 배선이나 회로를 은폐하는 것이 주목적이었으므로 단순한 색상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56598호에는 열경화성 블랙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2013-56598호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광 패턴을 윈도우 기판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후에 적층되는 광학 필름, 터치 센서의 접합 시에 돌출된 차광 패턴으로 인한 단차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56598호
본 발명은 차광 패턴이 돌출되지 않은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의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하드코팅층,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된 기재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코팅층 사이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이 개재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은 외곽 영역에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와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가 서로 다른,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는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보다 큰,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5. 위 4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과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Ra) 차이는 0.01 내지 100㎛인,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단일 면에서 상기 기재코팅층 및 상기 차광 패턴과 접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7. 위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시인측에 배치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8. 위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9. 위 8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그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 및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2. 캐리어 기판 상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하드코팅층 상에 기재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층으로부터 상기 분리층 및 캐리어 기판을 박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3. 위 12에 있어서, 차광 패턴 형성 시에 노출되는 면에 조도를 부여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4. 위 12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6. 위 15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컬러층 중 상기 차광 패턴과 접하지 않는 층은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7. 위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차광 패턴이 윈도우 필름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 패턴을 구비하면서도 그 표면이 평탄하다. 따라서, 윈도우 필름에 다른 부재를 적층하는 경우 단차 없이 적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차광 패턴을 다른 광학 필름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인측에서 보았을 때 차광 패턴이 편광판보다 앞설 수 있으므로 차광 패턴에서 보다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차광 패턴의 시인측과 반시인측에 조도 차이를 두는 경우 차광 패턴의 시인성과 기재코팅층과의 접합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의 위치의 다른 조도 차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된 기재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코팅층 사이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이 개재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차광 패턴을 구비하면서도 그에 의한 단차가 없어 다른 부재와의 적층 및 차광 패턴 구현이 보다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10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100)은 하드코팅층(10), 차광 패턴(20), 및 기재 코팅층(30)을 구비한다.
< 하드코팅층 >
하드코팅층(10)은 윈도우 필름(100)에 필요한 강도 및 경도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코팅층(10)은 단일 면에서 차광 패턴(20) 및 기재코팅층(30)과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광 패턴(20)의 조도가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보다 우수한 차광 패턴(20)의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하드코팅층(10)이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10)은 당분야에 공지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광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경화형 관능기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분자 내에 갖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노머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예들 들면, 단관능 및/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분자 중에 1~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 에테르(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 우레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올리고 에폭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생성물; 및 모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가령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하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광중합성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2종의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화물의 스크래치 내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고, 하드코팅층의 탄성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의 생성물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아크릴산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성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작업성 및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드코팅층의 저장 탄성률, 수축력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성 모노머에 대한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가 10:1 내지 1:10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에 대한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하드코팅층의 저장 탄성률이 감소하거나 수축력이 증가하여 경도 및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컬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코팅층의 탄성률이 감소하여 굽힘시 코팅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도포성이 저하되고, 표면 레벨링이 부족하여 외관 특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중합 개시제는 화학 구조 또는 분자 결합 에너지 차이에 의한 분자의 분해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제1형 개시제와 수소탈환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하는 제2형 개시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형 개시제와 제2형 개시제는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제1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l-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 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류; 아실포시핀옥사이드류; 티타노센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제2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익에시드, 벤조일벤조익에시드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 2-크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나 밀착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이면, 경화 수축에 의해 접착력 불량, 크랙, 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기재 필름에 코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표면 마찰계수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면코팅성 향상용 첨가제 중 코팅층 경화 후 표면 슬립성이 높은 첨가제를 이용한다. 첨가제의 예를 들면, BYK-306, BYK-307, BYK-310, BYK-313, BYK-333, BYK-371, BYK-377, BYK-378, BYK-3440, BYK-UV3500, BYK-3550, BYK-UV3570, TEGO Glide 100, TEGO Glide 450, TEGO Glide B1484, TEGO Glide 420, TEGO Glide 482, TEGO Glide 410, TEGO Glide 41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제가 표면에 충분히 분포되지 않아 표면 마찰계수의 저하가 어려울 수 있으며, 1중량부 초과이면 다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침강이 발생하거나 성능 대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슬립성이 높은 첨가제 이외에 레벨링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도막의 평활성 및 코팅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레벨링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아크릴 고분자계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사용가능한 레벨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와이케이 케미사의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377, BYK-378, 대구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사의 FC-4430, FC-4432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을 차단 또는 흡수하여, 경화된 하드코팅층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분해, 변색, 부스러짐을 방지하는 성분이다.
자외선 안정제는 작용 기구에 따라 구분되는 흡수제, 소광제(Quenchers),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등; 또 화학 구조에 따라 구분되는 페닐 살리실레이트(Phenyl Salicylates, 흡수제), 벤조페논(Benzophenone, 흡수제),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흡수제), 니켈유도체(소광제), 라디칼 스캐빈저(Radical Scaveng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 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1차 열 안정제인 폴리페놀계, 2차 열 안정제인 포스파이트계, 락톤계 열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차광 패턴>
차광 패턴(20)은 윈도우 필름(100)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아닌, 비표시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차광 패턴(20)에 의해 불투명한 도전성 배선 패턴 및 각종 회로들을 은폐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휴대폰 메이커의 상표나 로고 등이 인쇄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심미감을 부가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 패턴(20)은 하드코팅층(10)과 기재코팅층(30) 사이에 개재되며,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차광 패턴(20)이 하드코팅층(10)과 기재코팅층(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차광 패턴이 윈도우 필름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이 내재된 윈도우 필름은 비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는 차광 패턴을 가지면서도 그 외면이 평탄하므로, 다른 부재들과의 접합 시에 종래 윈도우 필름이 가졌던 차광 패턴에 의한 단차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차광 패턴(20)이 하드코팅층(10)과 기재코팅층(30) 사이에 개재되므로, 다른 광학 필름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인측에서 보았을 때 차광 패턴이 편광판보다 시인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차광 패턴에서 보다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차광 패턴(20)은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20)은 기재코팅층(30)의 단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코팅층(10)의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여 균일한 차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 패턴(20)은 하드코팅층(10)과 접하는 면의 조도와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패턴(20)의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는 하드코팅층(10)과 접하는 면의 조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하드코팅층(10) 측이 시인측에 배치되면, 차광 패턴(20) 중 조도가 낮은 면이 시인측으로 위치하고 조도가 높은 면이 반시인측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시인측에서는 깨끗한 표면의 차광 패턴을 시인하게 되므로 차광 패턴에 구현된 여러 패턴 및 디자인적 요소의 시인성이 우수하게 되고, 반시인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로 인한 앵커링 효과에 의해 기재코팅층(30)과의 밀착력이 우수해진다. 이 때, 차광 패턴(20)과 접하는 기재코팅층(30)의 면도 차광 패턴(20)의 표면에 대응하여 같은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차광 패턴(20)의 하드코팅층(10)과 접하는 면과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Ra)는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가 더 큰 경우를 전제로 서로 독립적으로 0.001 내지 150㎛ 중 어느 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광 패턴의 하드코팅층(10)과 접하는 면과 기재코팅층(30)과 접하는 면의 조도(Ra) 차이는 0.0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조도 또는 조도 차이를 갖는 경우 차광 패턴의 시인성 및 기재코팅층과의 밀착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기재코팅층>
기재코팅층(30)은 차광 패턴(20)이 구비되는 단차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광 패턴(2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코팅층(30)은 윈도우 필름(100)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비표시부로 정의되는 외곽 영역에 단차부를 구비한다. 단차부는 하드코팅층(10)에서 기재코팅층(30) 측의 면에 형성된다. 단차부에는 차광 패턴(20)이 구비된다.
기재코팅층(30)은 당분야에서 기재층 또는 기재필름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에폭시이미드(polyepoxyimid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가 더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편광자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필름형 편광자, 또는 고분자 수지 및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용액을 직접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 편광자일 수 있다.
필름형 편광자는 당분야에 공지된 필름형 편광자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색성 물질이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일 수 있다.
편광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로는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일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물질을 혼합하고 막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는 그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통상적으로 x좌표를 감지하는 전극 패턴과 y좌표를 감지하는 전극 패턴의 2종류의 감지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은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기재코팅층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박막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터치되는 지점의 X 좌표 및 Y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투명 기판에 접촉되면, 제1 감지 패턴, 제2 감지 패턴 및 위치 검출라인을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X 및 Y 입력처리회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감지 패턴은 기재코팅층측 면 상에 형성되며, 터치되는 지점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각 패턴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전기적으로 절연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지만 다른 하나는 섬(island) 형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전극(브릿지 전극)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패턴이 섬 형태의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감지 패턴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브릿지 전극은 섬 형태로 분리된 제1 감지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2 감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브릿지 전극은 제2 감지 패턴과는 다른 층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통상적으로 절연막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인데, 섬 형태로 분리된 제1 감지 패턴을 제2 감지 패턴과는 전기적으로 차단되면서도 브릿지 전극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절연층에 콘택홀을 형성한 후에, 별도의 브릿지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터치 감지 전극의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감지 패턴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투명 소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금속와이어, 금속 메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와이어 또는 금속 메쉬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은(Ag), 금,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티타늄, 텔레늄,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 및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와 터치 센서의 적층 순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 터치 센서의 순서로 적층되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와 터치 센서는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편광자는 그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윈도우 필름은 당분야에 공지된 구성들과 조합되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등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특히, 기재 필름이 고분자 필름인 경우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고, 터치 센서와 조합되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캐리어 기판(200) 상에 분리층(40)을 형성한다(a).
분리층(40)은 하드코팅층(10)과의 분리를 위해 형성되는 층이다.
분리층(40)은 고분자 유기막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폴리아믹산(polyamic acid)계 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계 고분자,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고분자, 폴리스타일렌(polystylene)계 고분자,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계 고분자,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계 고분자,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계 고분자,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리층(40)의 두께는 0.05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기판(200)은 공정 중에 쉽게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적정 강도를 제공하며 열이나 화학 처리에 영향이 거의 없는 재료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석영, 실리콘 웨이퍼, 서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분리층(40)은 캐리어 기판(200) 상에 전술한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포는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 공정 및 필요에 따라 건조 공정을 거쳐 분리층(4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층(40) 상에 하드코팅층(10)을 형성한다(b).
하드코팅층(10)은 분리층(40) 상에 전술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포는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 공정 및 필요에 따라 건조 공정을 거쳐 하드코팅층(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드코팅층(10)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20)을 형성한다(c).
차광 패턴은 당분야에 공지된 차광 패턴 형성용 조성물을 하드코팅층(10) 상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차광 패턴 형성 시에 노출되는 면에 조도를 부여하는 처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조도를 부여하는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차광 패턴에 몰드 등을 사용하고 힘을 가하는 물리적인 방법, 또는 차광 패턴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를 필요한 휘발도에 따라 채택하여 용매의 휘발도를 조절하거나, 조성물 도포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용매의 증발 정도를 조절하는 화학적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조도를 부여하는 처리가 수행되면, 차광 패턴(20) 중 하드코팅층(10)과 접하는 면은 조도를 부여하는 처리가 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조도를 가질 수 있고, 차광 패턴(20) 중 기재코팅층(30)과 접하지 않는 면은 노출되어 있으므로 조도 부여 처리가 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차광 패턴(20)이 형성된 하드코팅층(10) 상에 기재코팅층(30)을 형성한다(d).
기재코팅층(30)은 예를 들면 기재코팅층(30)을 이루는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기재코팅층(30)은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 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화 공정을 거쳐 기재코팅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공정을 거쳐 기재코팅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재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코팅층(30)은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하드코팅층(10) 상에 도포하고 경화 또는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포는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이 때,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코팅층(10) 및 차광 패턴(20)을 모두 덥도록 도포되어 그 표면이 평탄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기재코팅층(20)은 하드코팅층(10)으로부터 돌출된 차광 패턴(20)에 의해 단차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차광 패턴(20)이 조도 부여 처리가 된 경우에는, 그에 맞닿는 기재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도 차광 패턴(20)의 표면에 대응하는 조도를 갖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재코팅층(30)이 형성된 하드코팅층(10)으로부터 상기 분리층(40) 및 캐리어 기판(200)을 박리하여, 본 발명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e).
기재코팅층(30)이 형성된 하드코팅층(10)으로부터 상기 분리층(40) 및 캐리어 기판(200)을 박리하는 방법은 당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도 5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층(40) 상에 하드코팅층(10)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 메이커의 상표나 로고 등을 인쇄할 수 있고, 심미감을 부가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도 5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드코팅층(10)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컬러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층(50)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 메이커의 상표나 로고에 색상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컬러층(5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컬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 건조시켜 컬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도 5의 (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층(50)이 형성된 하드코팅층(10) 상에 차광 패턴(20)을 형성하고, 도 5의 (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패턴(20)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컬러층(50) 중 상기 차광 패턴(20)과 접하지 않는 층은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층(50) 중 상기 차광 패턴(20)과 접하지 않는 층을 식각하는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00: 윈도우 필름
10: 하드코팅층
20: 차광 패턴
30: 기재코팅층
40: 분리층
50: 컬러층
200: 캐리어 기판

Claims (17)

  1. 하드코팅층,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된 기재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코팅층 사이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이 개재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은 외곽 영역에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와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가 서로 다른,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는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보다 큰,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상기 기재코팅층과 접하는 면과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하는 면의 조도(Ra) 차이는 0.01 내지 100㎛인,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단일 면에서 상기 기재코팅층 및 상기 차광 패턴과 접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시인측에 배치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그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코팅층측 면에 편광자 및 터치 센서가 더 적층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
  12. 캐리어 기판 상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의 외곽 영역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하드코팅층 상에 기재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층으로부터 상기 분리층 및 캐리어 기판을 박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차광 패턴 형성 시에 노출되는 면에 조도를 부여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컬러층 중 상기 차광 패턴과 접하지 않는 층은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차광 패턴 내재형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50142893A 2015-10-13 2015-10-13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6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93A KR102368583B1 (ko) 2015-10-13 2015-10-13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93A KR102368583B1 (ko) 2015-10-13 2015-10-13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02A true KR20170043302A (ko) 2017-04-21
KR102368583B1 KR102368583B1 (ko) 2022-02-25

Family

ID=5870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893A KR102368583B1 (ko) 2015-10-13 2015-10-13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4515A (zh) * 2018-04-28 2018-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22168A (ko) * 2018-08-22 2020-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20204430A1 (ko) * 2019-03-29 2020-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867980A (zh) * 2018-10-12 2021-05-2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91871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6598A (ko)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블랙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KR20130081753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of가 적용된 터치윈도우 및 보호필름
KR20130127658A (ko) * 2012-05-15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of가 적용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이 구비된 터치윈도우
US20140049699A1 (en) * 2012-08-17 2014-02-20 Chunghwa Picture Tubes, Ltd. Polarizing plate, touch liquid crystal panel and touch display
KR20140057836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6584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모듈의 베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터치스크린 모듈용 베젤
KR20150009310A (ko) * 2013-07-16 2015-01-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용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087494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91871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6598A (ko)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블랙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KR20130081753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of가 적용된 터치윈도우 및 보호필름
KR20130127658A (ko) * 2012-05-15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of가 적용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이 구비된 터치윈도우
US20140049699A1 (en) * 2012-08-17 2014-02-20 Chunghwa Picture Tubes, Ltd. Polarizing plate, touch liquid crystal panel and touch display
KR20140057836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6584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모듈의 베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터치스크린 모듈용 베젤
KR20150009310A (ko) * 2013-07-16 2015-01-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용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087494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4515A (zh) * 2018-04-28 2018-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9205862A1 (zh) * 2018-04-28 2019-10-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594515B (zh) * 2018-04-28 2020-08-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402550B2 (en) 2018-04-28 2022-08-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polarizing cover plate having hard coating with ink-filled groov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22168A (ko) * 2018-08-22 2020-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2867980A (zh) * 2018-10-12 2021-05-2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其制造方法
WO2020204430A1 (ko) * 2019-03-29 2020-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746058A (zh) * 2019-03-29 2020-10-09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装饰膜、具备其的窗膜和窗口层压体及装饰膜的制造方法
JP2022528242A (ja) * 2019-03-29 2022-06-0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デコフィルム、これを有するウィンドウフィルム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83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2523B (zh) 窗膜及其製備方法
KR102188336B1 (ko) 펜 입력 디바이스용 투명 적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0512575A (ja) 偏光層及びタッチセンサ一体型光学積層体、並びに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2110256B1 (ko) 터치 센서용 도전 시트, 터치 센서용 적층체, 터치 센서, 터치 패널
KR20170103644A (ko) 하드코팅필름
US9523880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43302A (ko)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091406A (ja) 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US11760898B2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CN107151470A (zh) 硬质涂布组合物
US20190337273A1 (en) Transparent stack structure
US20210382206A1 (en) Flexible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4903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ouch sensor
KR20180083171A (ko)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23024498A (ja) 前面板、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395527B2 (ja) 前面板、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29361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122579B1 (ko) 터치 센서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1023B1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096281A1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50099460A (ko) 터치 패널
US11613658B2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1912583B1 (ko) 필름 터치 센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20210094266A1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220149521A (ko) 전면판,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