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101A -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101A
KR20170043101A KR1020170027743A KR20170027743A KR20170043101A KR 20170043101 A KR20170043101 A KR 20170043101A KR 1020170027743 A KR1020170027743 A KR 1020170027743A KR 20170027743 A KR20170027743 A KR 20170027743A KR 20170043101 A KR20170043101 A KR 20170043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ayer
voice
word
tex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에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에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에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2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3101A/ko
Publication of KR2017004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된 영어 음성을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의 영어 음성과 상기 텍스트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교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MOBILE ENGLISH EDUCATION METHOD}
본 발명은 영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을 실시간으로 교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영어 회화 학습교재는 인쇄본과 테이프(tape)를 이용한 듣기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발음이 정확한지, 또는 원어민(native speaker)과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를 비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영어 교육 방법은 일방적(one-way)으로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학습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온라인을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은 온라인 강의 시청에 머물러 있을 뿐이고, 실시간 교정을 통한 대화형의 학습 방법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5310호(2009. 02. 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을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교정한 후, 교정 내용을 신속/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 및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과 원어민의 음성을 비교 분석하여 그 비교 분석 결과 및 발음 교정 방안을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신속/용이하게 정확한 발음으로 영어를 습득할 수 있게 하는 발음교정을 이용한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 및 영어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의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입력부, 레퍼런스 단어 및 레퍼런스 음성이 저장된 DB, 상기 사용자의 영어 음성을 상기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영어 음성과 상기 텍스트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하는 저장부,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교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생성하는 교정모듈, 및 상기 교정모듈이 교정한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UI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영어 음성 입력 시 음성 파형이 함께 입력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음성 파형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에 포함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를 단어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는 상기 레퍼런스 음성의 음성 파형이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 및 비연속음절을 판단하는 단어분리부, 상기 연속음절을 일 단어로 판단하여 상기 일 단어의 음성파형을 상기 DB의 음성 파형와 대비하는 음성매칭부, 상기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대응하는 상기 DB의 음성 파형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단어매칭부, 및 상기 선택된 단어를 나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문장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DB는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레퍼런스 단어 및 상기 레퍼런스 음성은 SNS를 통하여 추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는 단어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는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개별단어는 단어, 음성 및 음성 파형이 함께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는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의 음성을 입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단어의 차이 또는 음성의 차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의 차이는 음성 파형의 설정값 범위를 넘는 경우에 차이로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제3 데이터레이어로 저장되고, 상기 제3 데이터레이어는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내지 제3 데이터레이어를 출력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내지 제3 데이터레이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된 영어 음성을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의 영어 음성과 상기 텍스트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교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영어 음성 입력 시 음성 파형이 함께 입력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파형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를 단어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 및 비연속음절을 판단하는 제3-1단계, 상기 연속음절을 일 단어로 판단하여 상기 일 단어의 음성파형을 상기 DB의 음성 파형와 대비하는 제3-2단계, 상기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대응하는 상기 DB의 음성 파형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어를 나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상기 레퍼런스 단어 및 상기 레퍼런스 음성를 SNS를 통하여 추가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 또는 제4단계에서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는 단어별로 구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는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개별단어는 단어, 음성 및 음성 파형이 함께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단어의 차이 또는 음성의 차이이고, 상기 음성의 차이는 음성 파형의 설정값 범위를 넘는 경우에 차이로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제3 데이터레이어로 저장되고, 상기 제3 데이터레이어는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텍스트 전환 기능에 의해 원어민 강사 등의 교정자에게 신속하게 피교정 내용을 송부하도록 하여 영어 학습의 신속한 지도가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제어부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내용, 첨삭자의 입력내용 및 최종 출력내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데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7에서의 최종 출력 내용 및 사용자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1000)은 학습을 위한 사용자단말(100) 및 교정시스템(200)과 서버(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제어부(10), 입력부(20), 화면부(30), DB(40), 저장부(50)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부(20)는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받기 위해 음성을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영어 문장을 교정받기 위해서 텍스트의 입력도 가능하다. 입력된 음성은 추후 교정을 위해 제어부(10)가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때, DB(40)에는 단어 및 음성의 레퍼런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영어 음성을 DB(40)와 대비하여 매칭되는 텍스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의 자동 텍스트 전환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영어 음성과 변환된 텍스트를 저장하는데, 이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후술하는 다른 데이터레이어와 층구조를 갖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최초에 저장된 데이터(음성 및 변환텍스트)가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된다. 화면부는 상기 음성의 파형 또는 제1 데이터레이어 또는 후술하는 다른 데이터레이어에 포함된 텍스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교정시스템(200)은 교정모듈(210), 자동교정모듈(220) 및 UI출력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교정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또는 텍스트를 교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교정모듈(210)은 원어민 강사 등이 상기한 제1 데이터레이어를 보고 교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교정된 결과물로서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형성하도록 교정작업을 수행한다. 교정모듈(210)의 모다 상세한 작용은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교정모듈(220)은 DB(4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의 문법오류를 판단하고, 이에 대해 오류 부분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위드프로세서의 맞춤법 인식 기능과 같이 교정 전 자동으로 텍스트의 오류를 초벌 교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I출력부(230)는 교정모듈(230)이 교정한 제2 데이터레이어와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들 들어, 제1 데이터레이어와 표시된 텍스트가 A+B+C로 이루어지고, 제2 데이터레이어와 표시된 텍스트가 A+B'+C+D로 이루어진 경우에 서로 상이한 B'와 새로 추가된 D에 차이점을 알 수 있도록 색, 기호 등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이러한 교정표시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도록 학습이 가능해지므로 영어 학습의 신속하고 양방향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해 녹음버튼(23)를 선택하고 녹음을 시작(21)하게 된다. 이때, 음성 외의 텍스트 입력을 위해서는 열기버튼(22)을 선택해서 저장된 텍스트를 불러오거나, 자판입력기를 표시하여 별도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음성 입력 시에 음성 파형이 함께 입력될 수 있다. 즉, 개략적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음성 파형(31)을 확인하면서 함께 입력(녹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음성 파형(31) 별도 입력 기능에 의해 후술하는 제어부에서의 텍스트 전환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파형은 상기한 저장부에서 제1 데이터레이어에 함께 저장된다. 즉, 제1 데이터레이어는 변환된 텍스트 및 해당 단어에 매칭되는 음성+음성파형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파형(31)과 대비되는 문장이 자동으로 텍스트로 전환되어 표시(32)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첨삭을 위해 원어민 강사에게 전송(25)하거나, 편집 또는 재작성(26)하거나, 음성을 재생(27)하거나 원어민 강사 측과 통화를 수행하는 기능도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자동 텍스트 전환 기능에 의해 원어민 강사 등의 교정자에게 신속하게 피교정 내용을 송부하도록 하여 영어 학습의 신속한 지도가 가능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제어부(1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영어 음성을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이를 위해 일반제어모듈(11), 단어분리부(12), 음성매칭부(13), 단어매칭부(14), 및 문장완성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10)는 접미어구판단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어분리부(12)는 녹음된 음성의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과 비연속음절을 판단한다. 영어의 경우에 음성은 단어 마다 분리되기도 하지만, 각 단어가 인접하여 연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두 단어 이상이 하나로 발음되기도 한다. 따라서, 단어분리부(12)는 하나로 들이는 음성에서 각 단어의 음성 파형 변화를 감지하여 개별 단어로의 분리를 수행한다.
한편, 영어의 경우에는 복수 또는 단수에 따라 명사의 후단이 달라지는 것과 같은 접미어구를 포함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접미어구판단부(16)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어와 결합된 접미어구는 발음상 연속음으로 들리지만 접미어구가 삽입되는 전후에 음성파형의 변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접미어구판단부(16)는 이러한 연속음절 내에서의 음성파형의 변화를 탐지하여 단어의 후단에 접미어구를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성매칭부(13)는 연속음절에서 개별단어로 판단된 음성 파형을 음성 DB와 대비한다. 이때 음성 파형과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 파형이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어매칭부(14)가 상기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 파형과 대응하는 단어를 단어 DB에서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어매칭부(14)는 선택된 단어가 화면부(3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장완성부(15)는 단어매칭부(14)에서 선택된 단어와 접미어구판단부(16)가 판단한 접미어구를 재삽입하여 최종적으로 문장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문장완성부(15)는 완성된 문장은 화면부(30)에서 출력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저장부(4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인데, 저장부는 단어DB(42)와 음성파형을 포함한 음성DB(43) 뿐만 아니라 서버와 연결된 SNS DB(44)가 구비되어 데이타가 누적되는 학습 기능의 DB의 구축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은 제어부가 음성을 단어별로 분할하거나 또는 연속음은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단어별로 분할한 후 전체 문장을 완성하여 텍스트로 변환 출력하게 되므로 이 텍스트를 활용한 신속한 영어 발음 또는 문장 교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입력내용, 첨삭자의 입력내용 및 최종 출력내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최초로 음성을 녹음하고 이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있는 제1 데이터레이어(S1), 교정작업 후 생성되는 제2 데이터레이어(P1), 및 사용자에게 교정 후 전송되는 교정데이터(S2)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음성으로 "What you like the most about English?"라고 음성을 녹음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의 녹음에 따라 텍스트로 변환된 데이터는 제1 데이터레이어(S1)에서 단어별로 w1 내지 w7의 형태로 배치되고, w1 내지 w7에는 텍스트, 음성 및 음성파형이 모두 결합된 형태(텍스트+음성+음성파형)로 이루어진다.
제2 데이터레이어(P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어민 강사 등이 교정 작업 후에 생성된다. 원어민 강사 등은 제1 데이터 레이어(S1)의 오류를 수정해서 음성을 녹음하거나, 제어부가 자동으로 수정한 텍스트에 기반하여 음성을 녹음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2 데이터레이어(P1)는 제1 데이터레이어(S1)를 구성하는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의 음성발음을 입력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당초에 "What you like the most about English?"라는 문장을 녹음했으나, what과 you 사이에 do를 누락하여 녹음한 경우에, 원어민 강사는 교정모듈(교정에디터)에서 do를 삽입하거나 전술한 제어부의 문장완성부가 do를 삽입하여 텍스트를 완성한다. 이후에 이러한 완성된 텍스트의 음성을 원어민 강사가 녹음하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데이터레이어(P1)가 생성된다.
제2 데이터레이어(P1)는 원어민 강사가 녹음한 후 전술한 완성된 텍스트와 결합되어 생성되는데, 각 단어별로 w1', a1, w2', a2, w4', w5', a3, w7'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w1과 w1', w2와 w2'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파형과 원어민 강사의 음성 파형이 설정값 범위 이내로 판정되었으므로 비록 동일하지 않지만 "유사"로 판정되어 같은 문자열(w1,w1' 또는 w2,w2')을 갖는 데이터로 표시된 것이고, a1은 당초에 없던 데이터이므로 기준 문자열(w)과 다른 a라는 문자열을 이용하여 표시된다(원어민 강사가 형성한 음성 파형은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파형과 다르므로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는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와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가짐).
또한, a2, a3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파형과 원어민 강사의 음성 파형이 설정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자열인 a문자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성한 것이다. 즉, 제2 데이터레이어와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단어의 차이 또는 음성(파형)의 차이에 기반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어민 강사의 교정 후 생성되는 제2 데이터레이어에서는 a1, a2 및 a3가 교정이 완료된 데이터로 확정된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교정데이터(S2)에는 a1, a2 및 a3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교정이 수행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7에서의 데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했던 제1 데이터 레이어를 참조부호 L1으로 표시했으며, 제2 데이터 레이어를 참조부호 L2로 표시했다. 그런데, 전술한 교정데이터(S2)에서는 a1, a2 및 a3가 하이라이트되어 있었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하이라이트 부분을 제3 데이터레이어(L3)로 형성한다. 즉, 제3 데이터레이어(L3)는 교정을 통해 제2 데이터레이어와 제1 데이터레이어가 차이 나는 부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형성하고, 이에 다양한 교정 기호(u1,u2,u3)를 로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역할을 UI출력부가 수행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은 도 7에서의 최종 교정 내용 및 사용자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교정되어 추가된 문자 교정기호(u1) 또는 발음이 틀린 음성 교정기호(u2,u3)가 표시된 텍스트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각 단어를 선택(터치)하여 실제 음성을 청취하거나 상세한 추가 코멘트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9에서는 최종 교정 내용만을 확인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제1 데이터레이어 내지 제3 데이터레이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최초 데이타, 교정 데이터, 또는 차이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열람 청취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단계(S110), 입력된 영어 음성을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영어 음성과 텍스트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하는 단계 (S120),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교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S130), 및 제2 데이터레이어와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사용자에게 교정 결과물을 제공하는 단계(S14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한편, 각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은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 기반으로 신속히 교정하여 이를 확인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모바일 학습 시스템
100: 사용자단말
10: 제어부
20: 입력부
30: 화면부
40: DB
50: 저장부
60: 통신모듈
200: 교정시스템
210: 교정모듈
220: 자동교정모듈
230: UI출력부
1: 서버

Claims (1)

  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어 음성을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된 영어 음성을 DB와 대비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의 영어 음성과 상기 텍스트를 제1 데이터레이어로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교정하여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상에 제2 데이터레이어를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와의 차이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영어 음성 입력 시 음성 파형이 함께 입력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파형을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를 단어별로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 및 비연속음절을 판단하는 제3-1단계, 상기 연속음절을 일 단어로 판단하여 상기 일 단어의 음성파형을 상기 DB의 음성 파형와 대비하는 제3-2단계, 상기 일 단어의 음성파형과 대응하는 상기 DB의 음성 파형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어를 나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3단계 또는 제4단계에서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는 단어별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는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 및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를 구성하는 개별단어는 단어, 음성 및 음성 파형이 함께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5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단어의 차이 또는 음성의 차이이고, 상기 음성의 차이는 음성 파형의 설정값 범위를 넘는 경우에 차이로 산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제1 데이터레이어와의 차이는 제3 데이터레이어로 저장되고, 상기 제3 데이터레이어는 상기 제2 데이터레이어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KR1020170027743A 2017-03-03 2017-03-03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KR20170043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43A KR20170043101A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43A KR20170043101A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082A Division KR20160137783A (ko) 2015-05-21 2015-05-21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 및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781A Division KR20180012233A (ko) 2017-12-19 2017-12-19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101A true KR20170043101A (ko) 2017-04-20

Family

ID=5870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43A KR20170043101A (ko) 2017-03-03 2017-03-03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3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801A (ko) 2018-01-18 2019-08-12 최성호 동영상을 활용한 전화 외국어 교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801A (ko) 2018-01-18 2019-08-12 최성호 동영상을 활용한 전화 외국어 교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tically evaluating and aiding a person learning a new language
JP5756555B1 (ja) 発話評価装置、発話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72769B2 (ja) 理解支援システム、理解支援サーバ、理解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1275A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KR101819459B1 (ko)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지원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 및 장치
KR102043419B1 (ko) 아동언어학습을 위한 음성인식 기반 학습 시스템 및 학습방법
JP2001159865A (ja) 対話型語学指導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267082B (zh) 按语言最小单元自动切换音视频的播放控制方法及系统
KR101992370B1 (ko) 말하기 학습방법 및 학습시스템
CN110263334A (zh) 一种辅助外语学习的方法和可读存储介质
Cheng Unfamiliar accented English negatively affects EFL listening comprehension: It helps to be a more able accent mimic
KR20180012233A (ko)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KR20170043101A (ko)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KR20080097619A (ko) 상호 대화식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9497A (ko)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60137783A (ko) 모바일 영어 학습 시스템 및 모바일 영어 학습 방법
KR20140075994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Wald Concurrent collaborative captioning
KR20110064964A (ko) 지능형 언어 학습 및 발음교정 시스템
TWI760856B (zh) 慣用錯誤語法學習矯正系統及方法
KR20140082127A (ko) 단어의 어원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2019079026A (ja) 音声学習システム、および音声学習方法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