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939A - 링 케이스 - Google Patents

링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939A
KR20170042939A KR1020150142166A KR20150142166A KR20170042939A KR 20170042939 A KR20170042939 A KR 20170042939A KR 1020150142166 A KR1020150142166 A KR 1020150142166A KR 20150142166 A KR20150142166 A KR 20150142166A KR 20170042939 A KR20170042939 A KR 2017004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ing
main body
coupling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010B1 (ko
Inventor
박찬홍
Original Assignee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10B1/ko
Priority to US15/003,039 priority patent/US20170104854A1/en
Publication of KR2017004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결합체를 케이스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에 끼워 사용하는 링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링 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링 결합체는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링 케이스의 결합홈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링 케이스의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가 회전시, 상기 양각부가 수용되거나 빠져 나올 수 있는 음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링 케이스 {Ring cas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 결합체를 케이스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링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핸드폰은 스마트 폰 형태로 출시되면서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음성 통화, 동영상 감상, 게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핸드폰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핸드폰은 일반인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아울러 상대적으로 고가의 개인 소지품이다. 고가의 핸드폰에 흠집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개인 사용자들은 핸드폰에 핸드폰 케이스를 씌워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핸드폰을 보호하기 위한 핸드폰 케이스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단순히 젤리와 같은 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핸드폰 케이스가 있으며, 디자인이 화려한 핸드폰 케이스, 다양한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핸드폰 케이스 등 다양한 핸드폰 케이스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에 흠집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폰 케이스를 사용하더라도 핸드폰이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사용자들은 통화를 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등 장시간 핸드폰을 사용한다. 이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실수로 핸드폰을 떨어뜨려 망가 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핸드폰 사용자들은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할 때 핸드폰을 회전하여 가로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핸드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곤 한다.
핸드폰이 미끄러져 떨어질 경우, 핸드폰 내부 고장이나 표시부 등이 고장 나게 되며, 이를 수리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이를 수리하기 위해 소비하는 시간의 낭비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실수로 핸드폰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핸드폰 케이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핸드폰 이외에도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과 같은 태블릿 피씨 등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태블릿 피씨에도 케이스를 씌워 태블릿 피씨의 흠집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지만, 태블릿 피씨가 사용자의 손에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태블릿 피씨의 경우 핸드폰에 비해 크기가 더욱 커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발생하기 쉽다.
핸드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핸드폰 거치대를 구비하여 핸드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 케이스와 별도로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핸드폰 거치대를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 결합체를 케이스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링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 케이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링 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링 결합체는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링 케이스의 링 부재는 베이스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링 케이스의 결합홈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링 케이스의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가 회전시, 상기 양각부가 수용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음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링 케이스의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배면의 상부와 하부가 상기 본체부 배면의 중앙부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부에 링 결합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부에 링결합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링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핸드폰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링 케이스의 링 부재는 베이스에 대해 세워 고정시킨 후, 링 부재를 지면에 세우면 스탠드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 케이스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내부에 음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배면의 상부와 하부가 본체부 배면의 중앙부에 비해 돌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 케이스를 스탠드 거치대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 케이스의 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 케이스의 결합부와 결합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으나,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링 결합체(130)를 케이스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150)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링 케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링 케이스(100)는 본체부(110), 결합홈(120), 링 결합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120)에 상기 링 결합체(130)가 결합된다. 상기 링 결합체(130)는 상기 결합홈(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140)와 상기 베이스(140)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140)에 힌지(151)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부재(15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11)와 상기 안착부(111) 뒷면에 결합되는 보호부(1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착부(111)의 소재는 폴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112)는 폴리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는 일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배면에서 전면을 관통하는 원형 형상의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형상의 구멍은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보호부(112)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원형 형상 구멍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된다. 상기 공간에 의해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 사이에는 이격거리가 발생한다.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 형성된 이격거리가, 상기 원형 형상 구멍의 둘레 주변에서 생긴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20)의 형상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서의 공간이 상기 원형 형상 구멍의 둘레 주변 공간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결합홈(120) 내부 공간은 넓게, 결합홈(120)의 입구는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 사이에 상기 원형 형상 구멍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10)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안착부(111)와 상기 보호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부(110) 내부에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안착부(111) 내에서만 형성 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111) 내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베이스(14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결합체(130)는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 결합체(130)는 베이스(140)와 링 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40)는 상기 결합홈(1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베이스(140)에는 상기 베이스(14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1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41)가 상기 결합홈(120)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결합부(141)의 형상은 상기 결합홈(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0)은 내부 공간은 넓게, 상기 결합홈(120)의 입구는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결합부(141) 끝단 두께가, 상기 결합부(141)가 상기 베이스(140)에서 돌출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41)의 끝단은 상기 결합홈(120)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결합홈(120)의 입구는 상기 결합홈(120) 내부 공간에 비해 좁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41)가 상기 결합홈(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결합홈(120)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형 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기 결합홈(120) 내부를 따라 상기 결합부(141)가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140)가 상기 결합홈(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부(141) 사이에 윤활유 등을 사용하면, 상기 베이스(140)가 상기 결합홈(120)에 대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베이스(14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40)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가 상기 베이스(140)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부(141)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40)에는 상기 베이스(140)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양각부(142)가 형성된다. 도 5의 도면은 상기 베이스(140)를 제거하여,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음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140)가 회전시, 상기 양각부(142)가 수용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음각부(1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40)가 회전시, 상기 양각부(142)가 상기 음각부(113)에 걸려서 상기 베이스(14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상기 베이스(140)의 회전을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140)에 힘을 가한다. 상기 베이스(14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양각부(142)가 상기 음각부(113)를 빠져나오게 되고, 다시 다음 음각부(113)가 있는 곳까지 회전한 후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를 일정한 각도만큼 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양각부(142)가 상기 음각부(113)에 수용되고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상기 음각부(113)가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각부(142)가 상기 음각부(113)에 수용된 후, 상기 양각부(142)에 힘을 가하면 상기 음각부(113)에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상기 양각부(142)가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양각부(142)에 힘을 가하였을 때, 상기 음각부(113)에 탄성 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양각부(142)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각부(142)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음각부(113)는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음각부(113)는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본체부(110)에서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안착부(111)에 상기 음각부(113)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음각부(113)와 상기 양각부(142)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음각부(113) 사이 간격과 상기 복수개의 양각부(142) 사이 간격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링 부재(150)는 상기 베이스(140)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140)에 힌지(151) 결합 되어,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링 부재(150)는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링 부재(150)를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링 부재(15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 부재(15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링 부재(150)의 일측에는 직선부(15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링 형상의 일부를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직선부(152)에는 상기 직선부(152)에서 일정부분 돌출된 돌출부(153)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53)에는 상기 힌지(151)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53)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힌지(151)를 끼우고 상기 힌지(151)를 상기 베이스(140)에 결합시키면, 상기 링 부재(150)는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40)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5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53) 형상을 따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40) 내측면에 형성된 홈은 상기 베이스(140) 외측면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40)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어 절단된 형태가 되고, 상기 절단된 부분에 상기 돌출부(15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3)는 상기 직선부(152)에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직선부(152)에서 사선을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40)에 형성된 홈은 상기 돌출부(153)의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40)의 윗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링 부재(150)를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직선부(152)가 상기 베이스(140)에 걸리면서 상기 직선부(152)가 상기 베이스(140) 윗면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 부재(150)는 수직 각도 이상으로 회동 되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게 된다. 다만, 상기 링 부재(15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각도는 수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직선부(152)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140) 윗면을 경사지게 구성하면, 상기 링 부재(150)가 회동하여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 부재(150)를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회동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직선부(152)의 윗면과 측면 사이는 라운드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직선부(152)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140)의 측면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40)와 상기 링 부재(150)의 소재는 내구성 측면에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는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에 비해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 중앙부(116) 두께가 상기 본체부(110) 상부(114)와 하부(115)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는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는 폴리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본체부(110)의 안착부(111)가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까지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보호부(112)가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결합체(130)를 이루고 있는 상기 베이스(140)와 상기 링 부재(150)는 상기 본체부(110) 배면에 돌출되지 않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상기 원형 형상 구멍 내부에 상기 링 결합체(130)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 배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 결합체(130)가 상기 본체부(110) 배면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상기 링 결합체(130)가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링 케이스(100)는 상기 링 부재(150)를 이용하여 스탠드 거치대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150)는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150)를 세워서 고정시킨 후 상기 링 부재(150)를 지면에 세우면, 상기 링 케이스(100)를 스탠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 링 결합체(130)의 회전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링 결합체(13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결합홈(120)에 장착된 상기 결합부(141)가 상기 결합홈(120)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링 결합체(130)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회전이 진행되다가 상기 베이스(14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상기 양각부(142)가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음각부(113)에 걸리게 되면, 회전은 멈추게 된다. 다시 상기 링 결합체(1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양각부(142)는 상기 음각부(113)를 빠져 나오게 되고, 다음 음각부(113)가 있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양각부(142)와 상기 음각부(113)를 통해 상기 링 결합체(130)는 일정한 각도만 회전한 후 멈출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 링 케이스(100)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재(150)를 세우고 사용자가 상기 링 부재(150)에 손가락을 끼워 넣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링 결합체(130)를 이루고 있는 상기 베이스(140)와 상기 링 부재(150)는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링 부재(15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를 가로로 눕혀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링 부재(150)를 회전시켜 손가락을 끼우기 쉬운 방향으로 놓을 수 있다.
상기 링 부재(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150)를 세워서 고정시킨 후, 상기 링 부재(150)를 지면에 세우면 스탠드 거치대가 된다. 상기 링 부재(150)는 회전 가능하므로, 상기 링 부재(150)를 스탠드 거치대로 이용할 때 다양한 각도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세울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는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에 비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는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는 휴대용 전자기기 배면 상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를 폴리 우레탄으로 소재로 하여 돌출시키면 카메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는 폴리 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폴리 카보네이트 소재는 흠집이 많이 발생하는 소재이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를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 보다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에 흠집이 많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폴리 우레탄 소재는 흠짐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이다.) 이외에도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중앙부(116)의 두께는 상기 본체부(110) 배면의 상부(114)와 하부(115)의 두께에 비해 얇아 사용자의 그립감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 링 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이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120)에 상기 베이스(140)가 장착되는 구조는 상기 결합홈(120)에 상기 베이스(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140)의 외경을 상기 원형 형상 구멍의 지름보다 크게하고, 상기 베이스(140)를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가 상기 본체부(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40) 외주면에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141)는 생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결합부(141)는 생략하여 사용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140)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양각부(142)와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음각부(113)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링 부재(25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걸림턱(254)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 부재(250)의 단면을 보면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링 부재(250) 하부에 손가락을 끼우면 상기 링 부재(250) 상부와 하부의 단차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링 부재(250) 상부에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링 부재(25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링 케이스의 결합홈과 베이스 외주면에 마련된 결합부는 결합부가 결합홈에 장착되어 빠지지 않는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부(341)는 베이스(340)의 하부에서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결합홈(32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결합홈(320)은 결합부(341)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320)은 안착부(311)와 보호부(3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베이스에 자석이 마련될 수 있으며, 링 부재는 상기 자석이 붙을 수 있는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링 부재를 세워서 사용한 후 상기 링 부재를 눕힐 때, 상기 자석으로 인해 상기 링 부재를 쉽게 눕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자석의 위치는 상기 베이스 내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표면이 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베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물질은 상기 링 부재 내부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링 부재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링 케이스(100)는 본체부(110), 결합홈(120), 베이스(140)와 링 부재(150)를 포함하는 링 결합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하여 사용될 수 있다.
100...링 케이스 110...본체부
111...안착부 112...보호부
113...음각부 120...결합홈
130...링 결합체 140...베이스
141...결합부 142...양각부
150...링 부재 151...힌지
254...걸림턱

Claims (10)

  1.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링 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링 결합체는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링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가 회전시, 상기 양각부가 수용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음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 부재의 소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뒷면에 결합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소재는 폴리 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보호부의 소재는 폴리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링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배면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본체부 배면의 중앙부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배면의 상부와 하부의 소재는 폴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케이스.
KR1020150142166A 2015-10-12 2015-10-12 링 케이스 KR101735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66A KR101735010B1 (ko) 2015-10-12 2015-10-12 링 케이스
US15/003,039 US20170104854A1 (en) 2015-10-12 2016-01-21 Ring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66A KR101735010B1 (ko) 2015-10-12 2015-10-12 링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39A true KR20170042939A (ko) 2017-04-20
KR101735010B1 KR101735010B1 (ko) 2017-05-12

Family

ID=5849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66A KR101735010B1 (ko) 2015-10-12 2015-10-12 링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04854A1 (ko)
KR (1) KR101735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44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8918S1 (en) * 2015-12-30 2018-01-30 Jinshou Wei Intelligent communication terminal
US20180248580A1 (en) * 2017-02-28 2018-08-30 Robert EDMAN Cell phone case
USD855048S1 (en) * 2017-05-15 2019-07-30 Spigen Korea Co., Ltd. Stand for electronic device
USD858501S1 (en) * 2017-08-16 2019-09-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KR101957480B1 (ko) *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USD952623S1 (en) 2017-11-06 2022-05-24 Securegrip, Llc Phone case
USD902194S1 (en) * 2017-12-29 2020-11-17 Robert Gordon Industries, Ltd. Combined card holder and ring support for a portable device
CN110049170B (zh) * 2018-01-16 2021-05-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壳
TWD193595S (zh) 2018-03-08 2018-10-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套
TWI663501B (zh) * 2018-03-08 2019-06-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殼體
KR200488626Y1 (ko) 2018-09-20 2019-02-28 김진우 로터리 휴대폰 케이스
USD915390S1 (en) 2018-11-01 2021-04-06 ESI Cases & Accessories Movable platform for portable device holder
USD871389S1 (en) 2018-10-23 2019-12-31 ESI Cases & Accessories Movable portable device holder
US11190035B2 (en) * 2018-12-21 2021-11-30 Adeeb SOBH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D938949S1 (en) 2019-03-18 2021-12-21 Securegrip, Llc Phone attachment
USD926748S1 (en) 2019-06-14 2021-08-03 Nlu Products, L.L.C. Wristband connector for mobile device
KR200490616Y1 (ko) * 2019-09-19 2019-12-06 김진우 스마트 휴대폰 케이스
KR200493233Y1 (ko) * 2020-02-14 2021-02-24 주식회사 지비스텔라 거치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13746046U (zh) * 2020-08-25 2021-07-2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指环扣及电子设备
US11265035B1 (en) * 2021-02-08 2022-03-01 Ping Zhang Mobile devic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9283B1 (en) * 2014-06-16 2015-06-02 Spigen Korea Co., Ltd.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37576B1 (ko) 2015-02-16 2015-07-20 최성훈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US9467190B1 (en) * 2015-04-23 2016-10-11 Connor Sport Court International, Llc Mobile electronic device cove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44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04854A1 (en) 2017-04-13
KR101735010B1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US20200288832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US10361742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10694835B2 (en)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750844B2 (en)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JP3206201U (ja) 保護ケース
US8490789B2 (en) Device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component
WO2011152584A1 (ko) 태블릿pc용 케이스
EP2717660A1 (en) Back-face protection cover for tablet terminal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US9077436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9287917B1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with convenience features
US20120262854A1 (en) Protective ca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100082758A (ko)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JP6265910B2 (ja) 携帯型電子機器用筐体保護ケース
KR200476557Y1 (ko)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60010778A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716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KR101769904B1 (ko)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케이스
US20120012579A1 (en) Device cover
US20170079392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CN207166573U (zh) 防撞抗震防刮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