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57Y1 -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57Y1
KR200476557Y1 KR2020140007029U KR20140007029U KR200476557Y1 KR 200476557 Y1 KR200476557 Y1 KR 200476557Y1 KR 2020140007029 U KR2020140007029 U KR 2020140007029U KR 20140007029 U KR20140007029 U KR 20140007029U KR 200476557 Y1 KR200476557 Y1 KR 200476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e
smartphone
back surface
integrally forme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도
Original Assignee
전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도 filed Critical 전상도
Priority to KR2020140007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고무소재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가장자리에 버튼노출공(11)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부(12) 및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13)이 배면 상에 관통된 배면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1)의 측면과 배면을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 및 배면부(14)에는 매끄러운 표면에 보호케이스(10)의 배면 또는 보호케이스(10)를 세워 둘레측을 부착하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배면 및 둘레측으로부터 스마트폰(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직경 5mm~7mm 정도의 원형부착부를 갖고, 상기 원형부착부의 중앙에 연장되어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갖는 흡착빨판(15)이 1.5~2mm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실리콘고무소재로 성형되어 스마트폰을 흠집을 보호하도록 한 보호케이스의 배면부에 소형의 흡착빨판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완화하여 스마트폰의 내외부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 및 특정대상물에 보호케이스를 부착할 수 있어 손으로 쥐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고정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 카메라 촬영에 대한 편의성 제공과 함께 스마트폰의 배면부를 경사지게 하여 대상물에 부착시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시야를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케이스로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Smart phon protection case having cushioning and sticking func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케이스의 외측에 흡착빨판을 다수개 형성시켜 외부충격, 미끄러짐 방지 및 부착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거나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기본적인 전화통화는 물론, 다양한 정보, 게임, 촬영 등을 즐길 수 있는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스마트폰의 형태는 대부분 직사각형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형상, 모양으로 외부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는 강화유리필름을 부착하여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종류에 맞게 출시된 보호케이스를 구입하여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와 배면 측의 카메라부를 제외한 배면을 덮어씌워 외부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타입이거나 디스플레이부를 가릴 수 있는 플립커버형의 보호케이스가 대부분 주류를 이룬다.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타입의 보호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충격완화를 위한 실리콘소재로 성형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맞는 보호케이스를 씌워 사용한다.
한편, 스마트폰의 충격완화를 위해 보호케이스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4899호(2014년 4월 3일 공개, 명칭: 보호케이스 및 제조방법, 이하 이를 '선행기술1'이라 함)에 개시된바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 연결된 측벽을 갖고, 소정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수용 구멍들에 의해 규정된 상호 연결된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며, 소정의 두께를 포함하는 커버, 및 제 1 오목 충격 구역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볼록 충격 구역들을 포함하는 쿠션 인서트로서, 소정의 영역들에 배치된 상기 볼록 충격 구역들은 상기 복수의 수용 구멍들에 대응하고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쿠션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가 상기 전자 기기에 조립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쿠션 인서트를 상기 전자 기기에 합치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상호 연결된 지지 부재들은 상기 제 1 오목 충격 구역들과 맞물리고, 상기 볼록 충격 구역들이 상기 커버의 외면 위로 연장하도록 상기 볼록 충격 구역들은 상기 복수의 수용 구멍들과 맞물리는 형태로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1의 보호케이스는 볼록 충격 구역들이 성형된 규션 인서트를 보호케이스의 내측에 외측으로 노출되어 돌출되는 타입으로 조합하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낙하시 충격완화를 보호케이스의 가장자리 측면 혹은 배면에서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스마트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보호케이스와 별개로 제작되므로 제작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한편, 보호케이스와 관련한 또 다른 성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081호(명칭: 스탠딩 파우치, 이하, 이를 '선행기술2'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PMP 등의 휴대 전자제품을 이용하여 웹서핑이나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액정(디스플레이부)을 전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휴대 전자제품을 손으로 들거나 별도의 거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기기의 외관을 감싸 보호하는 파우치(이하, 보호케이스라 칭함)에 기기를 세울 수 있거나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는 접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보호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를 플립 형태를 구비한 것으로서, 덮개부분에 접힘 기능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또는 경사진 상태로 각도에 맞게 스탠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케이스타입은 상술한 선행기술1과 같은 충격완화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그 반대로 선행기술1은 선행기술2와 같이 기기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경사지게 세워 보는 사용자로부터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는 시야를 얻기 위한 스탠딩기능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호케이스의 외측에 흡착빨판을 다수개 형성시켜 외부충격, 미끄러짐 방지 및 부착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실리콘고무소재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가장자리에 버튼노출공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부 및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이 배면 상에 관통된 배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측면과 배면을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의 둘레부 및 배면부에는 매끄러운 표면에 보호케이스의 배면 또는 보호케이스를 세워 둘레측을 부착하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배면 및 둘레측으로부터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직경 5mm~7mm 정도의 원형부착부를 갖고, 상기 원형부착부의 중앙에 연장되어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갖는 흡착빨판이 1.5~2mm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부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실리콘고무소재로 성형되어 스마트폰을 흠집을 보호하도록 한 보호케이스의 배면부에 소형의 흡착빨판을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완화하여 스마트폰의 내외부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 및 특정대상물에 보호케이스를 부착할 수 있어 손으로 쥐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고정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 카메라 촬영에 대한 편의성 제공과 함께 스마트폰의 배면부를 경사지게 하여 대상물에 부착시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시야를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케이스로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배면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호케이스를 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보호케이스를 대상물에 횡방향으로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둘레부에 흡착빨판이 더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의 (a),(b)는 도 6에서 보호케이스를 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고무소재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가장자리에 버튼노출공(11)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부(12) 및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13)이 배면 상에 관통된 배면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1)의 측면과 배면을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통상적인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배면부(14)에는 유리 또는 매끄러운 표면에 보호케이스(10)를 부착하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흡착빨판(15)이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흡착빨판(15)은 통상적으로 각종 장식물, 거치대 등을 부착하기 위해 알려져 있는 형상을 갖되, 직경 5mm~7mm 정도의 원형부착부를 갖고, 상기 원형부착부의 중앙에 연장되어 배면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형상이다.
이는 소형으로 형성시키며, 흡착빨판들은 1.5~2mm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도록 한다. 대상물에 대한 부착력을 분산시켜 쉽게 부착되고, 부착상태에서는 대상물로부터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착빨판들(15)의 형성은 보호케이스의 특성상 보호케이스의 배면부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을 제외한 나머지 배면부의 면적에 배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배면부(14)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배면부에 상기 흡착빨판(1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면부(14)의 기울기는 배면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되는 경사각이 15~20도의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에는 흡착빨판(15)이 일체로 다수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보호케이스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에 보호케이스를 세운형태로 부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1)을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와 배면부(14) 내에 삽입시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한다.
스마트폰을 수용한 보호케이스(10)의 외곽측을 사용자가 손으로 쥔 상태에서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이때 흡착빨판(15)으로 하여금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물에 스마트폰(1)을 올려놓게 되면, 보호케이스(10)의 배면부(14)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착빨판(15)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혹은 스마트폰(1)의 자중에 의해 대상물에 일부의 흡착빨판이 가볍게 부착되기 때문에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는 일 예로 차량의 대쉬보드, 책상, 식탁에 스마트폰을 올려놓았을 때 흡착빨판으로 인해 미끄러져 낙하할 수 있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하여 스마트폰의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스마트폰(1)을 장착한 상태에서 보호케이스(10)의 배면부(14)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착빨판(15)을 표면이 매끄러운 유리, 거울 등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통한 동영상 및 DMB를 시청할 수 있다.
좀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의 배면부(14)를 경사지게 형성시킨 것으로서, 경사진 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착빨판(15) 또한 보호케이스(10)에 장착된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상기 흡착판을 대상물에 부착하였을 때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는 기울기를 갖게된다.
이는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부를 기울어진 상태로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위치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보호케이스(10)를 수직되는 벽면에 대해 부착하였을 때 동영상을 사용자가 보기 편안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으며, 첨부된 도 5는 보호케이스(10)를 가로방향으로 대상물에 부착하였을 때 사용자가 위치한 자리에서 좌측이나 우측을 바라보는 시야에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동영상 화면을 일반 TV와 같은 비율로 편안하게 바라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참고로 스마트폰에서 동영상, 게임 등은 스마트폰을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킴에 따라 내부에 적용된 기울기 센서에 의해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보호케이스의 부착방향에 따라 스마트폰의 뷰(view)가 결정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10)는 상기와 같이 배면부(14)에 형성된 흡착빨판(15) 외에도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에 더 형성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도 7의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책상 위 유리판 등과 같은 대상물의 상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보호케이스(10)를 부착 고정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굳이 잡고 있지 않고도 스마트폰(1)을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하여 세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한 스마트폰장착 및 조정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예보다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흡착빨판(15)은 성형은 연질형태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에 형성된 흡착빨판 중 어느 한 변의 둘레부에 형성된 흡착빨판을 경사진 유리, 즉, 자동차의 실내측에서 전방유리에 부착하여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호케이스(10)에 적용된 흡착빨판(15)은 스마트폰(1)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바닥에 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흡착빨판이 먼저 바닥에 닿게 되는데, 이때 흡착빨판은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탄력작용으로서 충격에 의한 스마트폰의 내외부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 10 : 보호케이스
11: 버튼노출공 12: 둘레부
13: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 14: 배면부
15: 흡착빨판

Claims (3)

  1. 실리콘고무소재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가장자리에 버튼노출공(11)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부(12) 및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부 노출공(13)이 배면 상에 관통된 배면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마트폰(1)의 측면과 배면을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둘레부(12) 및 배면부(14)에는 매끄러운 표면에 보호케이스(10)의 배면 또는 보호케이스(10)를 세워 둘레측을 부착하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배면 및 둘레측으로부터 스마트폰(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직경 5mm~7mm 정도의 원형부착부를 갖고, 상기 원형부착부의 중앙에 연장되어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갖는 흡착빨판(15)이 1.5~2mm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배면부(14)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3. 삭제
KR2020140007029U 2014-09-26 2014-09-26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76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029U KR200476557Y1 (ko) 2014-09-26 2014-09-26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029U KR200476557Y1 (ko) 2014-09-26 2014-09-26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557Y1 true KR200476557Y1 (ko) 2015-03-10

Family

ID=5304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029U KR200476557Y1 (ko) 2014-09-26 2014-09-26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403B1 (ko) * 2015-03-24 2016-07-01 오지석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용 원판형 단말기보호케이스판과 원판형 덧판의 제조장치
KR20210015065A (ko) 2019-07-31 2021-02-10 김윤성 운전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운전자, 보행자,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보호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64B1 (ko) * 2011-10-07 2012-01-05 주식회사 위드핀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KR101197680B1 (ko) * 2011-07-22 2012-11-05 (주)중앙티앤씨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001060U (ko) * 2012-08-07 2014-02-19 주식회사 아이디아이피 휴대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80B1 (ko) * 2011-07-22 2012-11-05 (주)중앙티앤씨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102464B1 (ko) * 2011-10-07 2012-01-05 주식회사 위드핀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KR20140001060U (ko) * 2012-08-07 2014-02-19 주식회사 아이디아이피 휴대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403B1 (ko) * 2015-03-24 2016-07-01 오지석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케이스용 원판형 단말기보호케이스판과 원판형 덧판의 제조장치
KR20210015065A (ko) 2019-07-31 2021-02-10 김윤성 운전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운전자, 보행자,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US9326587B2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US9145913B2 (en) Holder for helmet
US8887910B2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US11083263B2 (en) Cellular device case having a built-in mount
US20120261288A1 (en) Device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component
US20110192510A1 (en) Protective casing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20243110A1 (en) Display Magnification and Protection Device
US20120262854A1 (en) Protective ca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6000770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00082758A (ko)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US20140339130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76557Y1 (ko)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US9833685B2 (en) Interchangeable image exhibit system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0444219Y1 (ko) 밀림방지부재를 갖는 이동기기 케이스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102464B1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JP3163103U (ja) 携帯端末機器用スタンド
CN212696049U (zh) 一种多功能全包式手机保护套
KR20180000148U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부착된 부착물 고정구와 그를 이용한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