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755A -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755A
KR20170042755A KR1020177007358A KR20177007358A KR20170042755A KR 20170042755 A KR20170042755 A KR 20170042755A KR 1020177007358 A KR1020177007358 A KR 1020177007358A KR 20177007358 A KR20177007358 A KR 20177007358A KR 20170042755 A KR20170042755 A KR 20170042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ntenna plate
receiving antenna
electronic devic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309B1 (ko
Inventor
용리안 쟝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4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무선 충전 방법은,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는 단계(S102)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4)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에 의하면, 무선 충전과정에 있어서, 전자기기를 계속하게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와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은 유선 충전 케이블의 접속 제한을 받음으로 전자기기, 특히 휴대식 전자기기(이동단말, 태블릿PC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발전 전망이 아주 크다.
전자기기측의 무선 충전 수신단과 무선 충전 기기의 발사단이 근거리에서 전기 에너지를 교환할 경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연맹(Wireless Power Consortium, WPC로 약칭)이 발행한 무선 충전 표준Qi, Powermat회사에서 출시한 무선 충전 기술PMA(Power Matters Alliance), 자기 공명 방식의 미국 퀄컴 회사(Qualcomm Incorporated), 한국 삼성회사 및 Powermat회사가 설립한 무선 충전 연맹이 출시한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기술에는 모두 전기 자기 변환 효율 문제가 존재하고 송수신한 에너지 전체를 변환시킬 수 없고 여분의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열량손실 방식으로 소비된다.
이러한 소비를 절감하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기술이 상대적으로 성숙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충전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와이딩은 복수의 동심원을 형성하고 페라이트 기판으로 플랫 보드를 형성한다)와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사이즈가 기본상 일치하여야 하고 그 사이의 거리를 2~4mm내로 제어하는 외, 예를 들어 고정식 또는 자유식의 전형적인 위치 결정 방식을 이용하여야 한다. 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심에 자석 위치결정 무선 충전 수신단과 송신단을 추가하고 후자의 경우 수신단에 다수의 수신 안테나링을 겹쳐서 유효 범위내의 서로다른 점에서 전기 유도량이 기본적으로 “자유로운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위치결정 조치를 취하여도 실제의 기계 가공중의 사이즈 차이 등 원인으로 인하여 전자기기를 충전기의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에 놓으면 충전기의 발사 플레이트가 에너지장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여도 고정된 전자기기의 수신 플레이트가 발사 플레이트의 에너지 변환율이 가장 큰 점에 대응되도록 보장할 수 없고 실제 사용 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이동시켜(실제로는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와 충전기단의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의 위치를 정합시킨다), 효율이 가장 높은 점을 찾아야한다. 사용자가 단시간에 충전을 완성하도록 전자기기의 시스템 계면에도 전자기기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에 충전율이 가장 높은 점을 표시한다. 조절과 충전 시스템의 응답에 모두 일정한 시간이 소요됨으로 사용자의 체험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의 경우, 충전의 발사단과 수신단이 50cm정도의 상대적으로 멀고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에 위치할 수는 있지만, 자기 공명장의 발사단이 다수의 연속 발사 플레이트의 어레이 방식임으로 고정된 전자기기의 수신 플레이트가 한 특정된 발사 플레이트에 대응되어 초고의 에너지 변환율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없고 여전히 소비 요소가 존재한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과정에 이동시켜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에 대하여 아직 유효한 해결첵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충전 기기중의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특정된 위치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인 특정된 영역을 보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인 특정된 영역을 보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특정된 영역에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함이 검측되었을 경우,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제어 명령 및/또는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1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상하방향에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된 회전 횡축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2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좌우방향에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된 회전 종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이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3 제어 명령 및/또는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3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1 피스톤을 이끌어 횡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3 피스톤을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제4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4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2 피스톤을 이끌어 종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4 피스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 효율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가,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중의 적어도 한 경우에,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확정된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전기량이 만충전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충전된 경우, 충전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용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구동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하여 트리거되어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가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의 보류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인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장치가 제1 구동 장치와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베어링기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또는 전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횡축과,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전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또는 베어링기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종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장치가, 제3 구동 장치와 제4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는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을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제3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제4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수단과,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획득한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기존 기술에 있어서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중에 이동시켜 계속하게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와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분이고 본 발명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감지 기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 안테나 위치의 계산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송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밤령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호 충돌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발명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장점은 하기의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명세서중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지고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타 장점은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공개된 구조에 의하여 실현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한다(단계S102).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단계S104),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은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다.
상기 각 단계에 의하면, 획득한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중에 이동시켜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와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단계S104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충전 기기중의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특정된 위치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에서 특정된 영역을 보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영역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이다.
또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특정된 영역에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함이 검측되었을 경우,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위치의 자유로운 정합 방식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범위내에서의 대략 조사와 정밀 조사의 “2단계식” 좌표 조사 방식을 제공하여 무선 충전 발사 안테나의 위치결정을 정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주로 하기 두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첫번째 상황: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제어 명령 및/또는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1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상하방향엣 평행 이동하도록 회전 횡축을 제어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회전 횡축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2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좌우방향에서 평행 이동하도록 회전 종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 종축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된다.
상기 첫번째 상황의 동작 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아래 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 또는 커버형태로 뒷면 케이스에 소켓된 부품의 케이스(예를 들어, 대형스크린 휴대폰, 태블릿PC 등 제품의 뒷면 케이스 또는 부품으로 사용되는 가죽 케이스 내부의 틀, 아래에서는 전자기기 케이스 또는 부품 케이스라고 함) 내부에 구조 강도와 기기 전체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않는 적절한 면적의 중공 영역을 보류하고 중공 영역의 가장자리에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두개 회전가능한 원통형 축이 설치되고, 횡축(20)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할 수 있고 종축(22)은 고정되었다.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는 모터(1)(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터는 통상의 진동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에 의하여 구동되는 횡축(20)에 걸려져 있고(즉, 안테나 플레이트가 한 베어링기구(24)에 고정되고 베어링기구(24)가 횡축(20)에 감겨져 있다), 횡축(20)의 회전을 통하여 상하방향에서 평행 이동할 수 있으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와 모터(1)는 모두 신축가능한 최대 이동 거리를 만족시킬 수 있는 FPC (28)(Flexible Printed Circuit,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하여 시스템의 전자 시스템에 연결된다. 모터(2)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축(22)과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의 중심축 사이는 전송벨트(30)에 의하여 연결되도 종축이 회전할 경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를 좌우방향에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좌우방향의 평행 이동을 실제로 실현한다.
다만, 1, 전송벨트(30)는 폐쇄 환형이 아니라 U형이여야 하고 U형의 양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축(22) 또는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측의 중심축의 위치에서 분리되어 고정되고(별도의 기계부품이 필요), 적어도 한 고정 위치에서 감기질 수 있다. 2, 종축(22)측의 전송벨트의 위치에도 기계부품을 추가할 필요가 있고 종축(22)에 소켓(socket)되어 연결되고 횡축(20)의 모터와 함께 고정되며 이로하여 횡축(20)이 평행 이동 시, 소켓도 평행 이동되고 전송벨트(30)와 횡축(20)이 항상 평행 상태를 유지한다. 도 2에는 상기한 추가되는 기계부품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방식의 안테나 플레이트의 두께를 0.45mm(FPC 안테나 0.15mm + 페라이트(ferrite) 0.3mm)로 제어할 수 있고 전송벨트와 두 축이 설치되어 중공 영역의 높이가 일정한 높이를 보장하여야 하고, 중공 영역은 최소 1.05~1.25mm의 높이를 평가하고 중공 영역외의 벽두께를 고려하면 통상의 공정을 통하여 베터리 케이스에서 실현하면 베터리 케이스의 두께가 1.65~1.85mm에 달하고, 새로운 공정을 통하여 두께를 줄이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공 영역의 공기층의 기계 잡음, 시스템 방열 방면에서 존재하는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절감하기 위하여, 기계 잡음을 완화시키고 윤활 작용과 방열 작용을 구비하는 액체를 충전할 수 있고, 이러한 액체로 윤활유, 유압 액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비열 용량이 큰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자체가 전체 에너지를 변환시킬 수 없고 효율 문제가 존재함으로 이로하여 무선 충전이 여분의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켜 열손실을 방열시켜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두번째 상황: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을 설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3 제어 명령 및/또는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3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1 피스톤을 이끌어 횡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3 피스톤을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제4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4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2 피스톤을 이끌어 종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4 피스톤을 제어한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는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종단면도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유압체계의 종단면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와 커버내부의 중공 영역(32)은 바로 위에 위치하고 내부에 유압 액체와 방열 겸용 액체(34)인 엑체가 가득 충전되었고 유압 액체와 방열 겸용 액체(34) 내부에 이동 가능한 무선 충전 안테나 플레이트(36)(즉, 상기 실시예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가 끼워지고(신축폭이 충분한 FPC(28)에 의하여 시스템 전자유닛에 연결된다),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주동 종동 피스톤유닛은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두번째 상황의 동작 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아래 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평면도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 또는 커버내부의 중공 영역(32)의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 외부에 유압 방열 겸용 액체(34)를 충전하고 시스템은 마이크로 유압 시스템을 통하여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도 4중의 피스톤(5)은 상기 실시예중의 제1 피스톤에, 피스톤(4)은 상기 실시예의 제3 피스톤에, 피스톤(1)은 상기 실시예의 제2 피스톤에, 피스톤(3)은 상기 실시예의 제4 피스톤에 대응되고,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 또는 커버가 모두 무선 충전 안테나 영역에 이용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4개 모서리는 일반적으로 안테나가 차지하는 영역 또는 구조 강화에 이용되는 영역이고 4개 모서리 외의 영역에서 유압 체계용 중공 영역을 보류한다. 피스톤(1)과 (3), 피스톤(4)와 (5)는 연동되는 것이고 유압 파스칼(Pascal) 원리(F2/S2=F1/S1=P, 대 피스톤과 소 피스톤의 면적은 각각 S2, S1이고, 피스톤상의 작용력은 각각 F2, F1이며 밀폐된 각 위치의 액체 압력P는 동일하다)에 근거하여 피스톤(3)과 피스톤(4)은 작은 구동력으로 피스톤(1)과 (5)에서 큰 힘을 발생할 수 있고 횡방향과 종방향의 두 방향에서 유압 액체에 포위된 무선 충전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어서 변위시킬 수 있다. 피스톤(2)과 피스톤(6)은 피동부품으로 각각 횡방향과 종방향의 두 방향의 유압 액체에 의하여 밀려지고 흡수된다. 이 방식에 의하면, 보조 기계 구조에 의하여 무선 안테나 플레이트(36)의 좌표를 제약할 필요가 있고, 즉 횡방향 이동과 종방향 이동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횡방향에서 이동할 경우 종방향에서 피스톤은 이동하지 않고 종방향에서 이동할 경우, 횡방향에서 피스톤은 이동하지 않는다. 경사지게 배치할 경우, 중력에 의한 오차에 대하여 시스템에 의하여 중력 센서가 포획한 경사도에 근거하여 좌표 오차를 교정한다.
여기서, 중공 영역(32)의 안테나 수신 플레이트(36)(이 플레이트는 신축도가 확보되는 FPC(28)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전자 시스템에 연결되고 평행 이동이 종료된 후, 중심축은 플레이트상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조 기계부품을 통하여 상하 두 방향에서 튀여나와 고정되고 다음 이동을 수행하기 전에 그 고정이 해제된다)에 충전된 액체는 비도전체이여야 하고(윤활 작용이 있는 유압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하여 수신 안테나의 수신 성능에 대한 간섭을 회피한다. 피스톤(1)과 피스톤(3)은 연동되는 것으로 그 사이의 중공 영역에는 액체를 충전할 필요가 없다. 피스톤(3)은 전자기기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 또는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38)(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로 약칭) 부품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하방향에서 평행 이동이 제어된다. 피스톤(2)은 피동 부품(모터 또는 MEMS 제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이고 주로 피스톤(1)의 압출과 흡수와 배합하여 동적으로 방열액체(34)를 토출한다. 또한, 피스톤(2)측에 제어 피스톤(3)과 동일한 동기 동작하는 모터 또는 MEMS 기계 동력 구동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중공 영역의 긴변과 짧은변에 각각 유압 체계를 설치하고(최소 2개를 설치, 그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유압의 제어단은 전자기기의 측면의 두께가 허용하는 영역까지 완곡되고 유압의 추진에는 모터 또는 MEMS 구동을 이용할 수 있고(중공 영역의 두께를 이용하지 않는다), 두께의 감소와 방열의 두 측면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 영역에 가장자리 축, 전송벨트가 설치되지 않고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로 제어하면 중공 영역의 두께를 0.95~1.05mm로 제어할 수 있고 중공 영역의 외측의 벽두께를 합하면 통상의 공정을 통하여 베터리 케이스에서 실현할 경우 베터리 케이스의 두께가 1.45~1.65mm에 달하고 새로운 공정을 통하여 두께를 줄이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술방안에 대한 개선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 효율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중의 적어도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트리거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확정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기량이 만충전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여기서, 만충전된 경우 충전을 정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시,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에 의하면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전자기기의 뒷면 케이스 또는 커버의 중공 영역에 배치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중앙처리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계전동기구 또는 유압기구에 의하여 무선 충전 수신을 자유롭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중공 영역에 방열 또는 유압 겸용 용도의 액체를 충전하여 충전중의 방열을 보조한다.
또한, 자유롭게 위치 결정된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의 중심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온도, 자력 등 센서를 추가할 수 있다. 이 센서는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위치 변환후의 열, 자력 강도, 공진 강도 등 정보를 동적으로 검측하여 중앙처리유닛으로 송신하고, 이로하여 중앙처리유닛은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지정된 시간에 변위시키고 관련되는 지능적 처리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에 의하면, 우선 전자기기(이동단말, 태블릿PC 등)의 케이스 또는 부품 케이스의 내부에 자유롭게 이동하고 자유롭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설치한다. 기존의 스마트 휴대식 전자기기, 특히 5인치 이상의 큰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 태블릿PC 등 제품의 경우, 케이스 면적이 커서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가 자유롭게 이동하고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도록 아주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진일보로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 이 장치의 각 수단을 설명한다.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단”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조합이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되는 장치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수단(50)과,
검측수단(50)에 연결되어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수단(5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은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다.
상기 각 수단의 종합 작용에 의하여, 획득한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중에 이동시켜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와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일보로 무선 충전용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62)에 설치되어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센서(60)와,
센서(60)에 연결되어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구동 장치(66)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64)와,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하여 트리거되어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66)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62)는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의 보류된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영역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이고, 또한 구동 장치는 제1 구동 장치(도 2중의 모터(1)에 대응)와 제2 구동 장치(도 2중의 모터(2)에 대응)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베어링기구(24)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에 연결되고 또는, 전송벨트(30)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에 연결(이 기술방안 역시 도시하지 않음)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횡축(즉, 횡축(20))과,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전송벨트(30)를 통하여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에 연결되며, 또는, 베어링기구(24)를 통하여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26)에 연결(이 기술방안 역시 도시하지 않음)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종축(즉, 종축(22))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타 한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는 제3 구동 장치(도 4중의 피스톤(3)에 대응)와 제4 구동 장치(도 4중의 피스톤(4)에 대응)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제3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제4 구동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는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는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62)에 설치되어(도 7에는 온도 센서(68)와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위치관계를 도시하지 않았다) 제어기(64)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센서(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중의 전자기기의 무선 송전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를 더욱 잘 이해하도록 아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위치 결정된 무선 충전 수신 와이딩 안테나의 원형 중심 위치 또는 안테나 외부의 주변 위치(도 8에는 중심 위치만을 도시)에 자력 결합 또는 공진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온도, 자력 등 센서를 추가한다(대부분의 경우 센서가 충전 효율에 영향을 미침으로 센서로 직접 수신 와이딩 안테나를 커버할 수 없고, 본 발명과 같이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경우, 온도 또는 자력 감지의 단일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하나의 센서로 충분하고 2개 이상은 후보용 또는 기능강화용이다). 이 센서는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전형적인 센서로서 예를 들어 감열식, 전자기 코일 등 유도단자가 있고, 위치가 변환된 후 열, 자기 강도 등 정보를 동적으로 검측하여 후속되는 판단처리를 수행하도록 중앙처리유닛으로 송신한다.
센서가 획득한 정보, 시스템 전력 소비의 계산 등을 종합하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로 약칭)를 고도로 유호하고 스마트한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측면의 응용개발을 수행할 수 있고 심지어 동적 센서에 근거하여 스마트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할 수 있다.
어레이 전체를 조사하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조사는 시스템이 모터를 구동시켜 수행하고, 특히 베터리로 송전하는 휴대식 전자기기의 경우, 전력 소비에 아주 민감하고 어레이 전체를 조사하는 전력 소비는 아주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대략적인 위치 결정을 수행한 후 정밀한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조사량을 줄이고 발사단 안테나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수신 플레이트의 중심이 이동 가능한 범위에서 좌표 “격자”로 대략 분할하고(단계S902), 예를 들어 열개 이하인 몇개 “격자”로 분할하고 플레이트를 한 “격자”로 이동시켜 자력 조사를 수행한다.
시스템이 플레이트 상면의 자력(코일) 센서가 획득한 자력 강도를 계산한다(단계S904).
어느 한 곳의 자력이 소정의 임계값에 달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S906), YES이면 단계S908로 이행하고 NO이면 단계S910로 이행한다.
어느 한 곳의 자력이 소정의 임계값에 달하였으면, 대략 조사를 정지하고 정밀한 위치 결정 조사를 시작하고 임계값에 달한 점 주위를 더욱 작은 “격자”로 분할하고 플레이트를 한 작은 “격자”로 이동시켜 계속하여 자력 조사를 수행하고(단계S908), 단계S914로 이행한다.
모든 좌표점이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가를 판단하고(단계S910), YES이면 단계S912로 이행하고 NO이면 단계S902로 이행한다.
전부 조사한 결과, 모두 달하지 못하였으면, GUI 인터페이스에 보고하여 사용자에 통지하고(단계S912), 예를 들어 자력 강도의 검측 범위에서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소정의 임계값을 조절하여 진일보로 조사할 것인가를 문의하고 그 차이가 크면 직접 사용자에 조사를 포기하도록 통지한다.
시스템이 작은 “격자”에 근거하여 자력 조사를 수행한 적어도 3개 점의 자력 임계값이 모두 달한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 계산을 수행하여(예를 들어, 자력이 체감되는 원형 교차점의 계산 또는 직접 주파수 추종 계산 등) 무선 충전기의 발사단 와이딩 안테나의 정확한 좌표 위치를 확정한다(단계S914).
전자기기의 프로세서가 모터를 구동시켜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 좌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S916).
전자기기의 프로세서가 자력 감지 데이터로부터 무선 충전 발사 안테나 와이딩 중심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전자기기는 무선 충전기의 충전 플레이트 부근에 배치한 후,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횡방향과 종방향에서 규칙있게 변위시키고 이로하여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상의 전자기 코일은 변위에 따라 자력 강도의 조사를 수행하고 충분한의 자력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자력 강도 정보 어레이에 근거하여 정확한 무선 충전 송신단의 가장 강한 자력점을 획득하여 송신과 수신을 정확하게 대응시킨다.
상기한 바람직한 장치 기술방안에 의하면, 기본적인 무선 충전 기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다(도 10을 참조):
전자기기가 충전원이 무선 충전 접속이고 USB 충전 접속이 아님을 판단하고 무선 충전을 시작한다(단계S1002).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상의 자력 센서의 검측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충전기 발사 안테나의 타입을 식별하고(주로 고정식과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지고 전자의 경우 위치 결정 자석(영구자석유)를 구비함으로 자력 센서는 간단하게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와이딩 코일의 자력 특징과 구분할 수 있다)(단계S1004), 고정식의 무선 충전기로 식별되면 단계S1006로 이행하고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방식의 무선 충전기로 식별되면 단계S1008로 이행한다.
전자기기의 프로세서는 자력 감지 데이터로부터 무선 충전 발사 안테나 와이딩의 중심 위치를 계산하고 모터를 구동시켜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 위치(중심에 대응됨)로 이동시켜 충전을 시작하고(단계S1006), 그 후 단계S1010로 이행한다.
전자기기의 프로세서는 자력 전달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방식의 충전기의 한 발사 안테나 코일을 임의로 선택하여 중심점에 대응시키고 위치를 고정하여 충전을 시작하고 타이머를 설정한다(단계S1008).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상의 센서가 온도를 식별하고 또한 자력 강도와 충전 전류값 등을 종합하여 종합 충전 효율을 계산하고(단계S1010), 고정식의 무선 충전기의 경우 단계S1012로 이행하고,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방식의 무선 충전기의 경우 단계S1016로 이행한다.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에 달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S1012), 달하였으면 단계S1024로 이행하고 달하지 않았으면 단계S1014로 이행한다.
만충전 상태인가를 판단하고(단계S1014), NO이면 단계S1010로 이행하고 YES이면 단계S1024로 이행한다.
온도, 효율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고(구체적으로는,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가, 효율이 임계값미만인가)(단계S1016), NO이면 단계S1018로 이행하고 YES이면 단계S1026로 이행한다.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에 달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S1018), YES이면 단계S1020로 이행하고 NO이면 단계S1022로 이행한다.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S1020), YES이면 단계S1024로 이행하고 NO이면 단계S1026로 이행한다.
만충전 상태인가를 판단하고(단계S1022), NO이면 단계S1010로 이행하고 YES이면 단계S1026로 이행한다.
충전을 중지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에 보고하여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S1024). 충전을 중지하는 원인이 다르면 GUI 인터페이스에 서로다른 원인이 표시된다.
수신 안테나가 주동적으로 변위하고(일부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또는 효율이 줄곧 낮은 것을 피면하기 위하여), 변위된 후 충전용 위치로의 정합을 재다시 수행하고 충전을 재다시 시작한다(단계S102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온도와 충전 효율 임계값의 판단에 의하면, 충전중에 일부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효율이 줄곧 낮을 경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가 주동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즉, 충전중에 방열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충전중의 열 집중으로 인한 위험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상기 환경 파라미터는 온도 파라미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을 수신할 경우에 실현하는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자유로운 위치 결정은 WPC/Qi, PMA 등 전자기 유도 무선 충전에 적용되는 외, 자기 공명식(예를 들어, A4WP 규격) 무선 충전기에서도 실용가치가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기기를 충전대에 밀착시킬 필요가 없고 40~50mm의 거리 범위내에서 충전을 실현함으로 무선 충전하는 수신 장치의 전자기기의 방열 문제가 전자기 유도 방식에 비하여 양호하지만 다수의 무선 충전가 동시에 하나의 공동 무선 충전기(무선 충전기의 발사단이 연속적인 다수의 단일 발사유닛으로 구성됨)의 전기 에너지를 수신할 경우 일반적으로 대응되는 기존의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가 모두 고정식임으로 자가적응적으로 수신 위치를 조절하여 최대 충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발사유닛에 접합될 수 없음으로 지속적인 충전 효율 측면에서 여전히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 과정에 계속하게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방열을 보조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수단 또는 각 단계를 범용 계산장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고 단일 계산장치에 집중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계산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포시킬수 있고, 또한 계산장치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실현할 수 도 있으므로, 기억장치에 기억하여 계산장치에 실행시킬 수 있고, 때로는 여기서 설명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도시한 또는 설명한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 집적회로 수단으로 만들거나 또는 그중의 다수의 수단 또는 단계를 하나의 집적회로 수단으로 만들어 실현할 수 도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산업실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에 의하면, 획득한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전자기기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기존기술에서 충전하려는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과정에 계속하게 조절하여야 함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사용자 체험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테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고 무선 충전중의 전자기기와 무선 송전 기기와의 정합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Claims (16)

  1.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충전 기기중의 발사 안테나 플레이트의 중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특정된 위치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인 특정된 영역을 보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상기 중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특정된 영역에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함이 검측되었을 경우, 제1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제2회 영역 분할을 수행한 후의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1 제어 명령 및/또는 제2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1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상하방향에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된 회전 횡축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2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이끌어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서 좌우방향에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된 회전 종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이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3 제어 명령 및/또는 제4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3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1 피스톤을 이끌어 횡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3 피스톤을 제어하고, 및/또는 상기 제4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제4 구동 장치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2 피스톤을 이끌어 종방향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밀도록 상기 제4 피스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 효율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가,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중의 적어도 한 경우에,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제1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회수가 제1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충전 효율이 제2 소정 임계값 미만인 회수가 제2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확정된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전기량이 만충전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충전된 경우, 충전을 정지하는 방법.
  10. 무선 충전용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와,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구동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하여 트리거되어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가 상기 전자기기의 뒷면 또는 보호커버의 보류된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인 특정된 영역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제1 구동 장치와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베어링기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또는 전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횡축과,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전송벨트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또는 베어링기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종축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제3 구동 장치와 제4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특정된 영역내에 설치되는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과, 제3 피스톤과, 제4 피스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제1 위치와 제2 피스톤의 제2 위치는 서로 수직되고, 상기 제3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4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은 연동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제3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제4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2 피스톤과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 사이에 모두 유압 액체가 충전되는 전자기기.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의 온도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6. 무선 충전 기기가 발사하는 환경 파라미터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수단과,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내의 수신 안테나 플레이트를 특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이 기타 위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효율보다 높은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KR1020177007358A 2014-08-20 2014-10-20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257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12529.4 2014-08-20
CN201410412529.4A CN104201738B (zh) 2014-08-20 2014-08-20 电子设备的无线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
PCT/CN2014/088973 WO2015117371A1 (zh) 2014-08-20 2014-10-20 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755A true KR20170042755A (ko) 2017-04-19
KR102257309B1 KR102257309B1 (ko) 2021-05-27

Family

ID=5208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58A KR102257309B1 (ko) 2014-08-20 2014-10-20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32038B2 (ko)
EP (1) EP3197012B1 (ko)
JP (1) JP6441463B2 (ko)
KR (1) KR102257309B1 (ko)
CN (1) CN104201738B (ko)
ES (1) ES2741311T3 (ko)
WO (1) WO20151173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43A1 (ko) * 2018-04-26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자동 정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048B2 (en) * 2014-04-24 2019-10-22 WiSilica Inc. Secured and sealed portable wireless data storage system
JP6312031B2 (ja) * 2015-04-02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方法
CN104901402A (zh) * 2015-06-03 2015-09-09 北京有感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方法
TWI574483B (zh) * 2015-09-21 2017-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裝置、無線充電盒及其無線充電方法
CN107465239B (zh) * 2017-09-29 2021-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充电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33465B (zh) * 2017-12-19 2021-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控制方法、柔性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19743A (zh) * 2017-12-22 2018-04-17 谭晓云 一种无线充电器的电源寻位模块
JP7063002B2 (ja) 2018-02-23 2022-05-09 株式会社Ihi コイル装置
US10868356B1 (en) * 2019-09-06 2020-12-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extended antenna grounding rings
CN110611378B (zh) * 2019-10-30 2021-05-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充电方法及设备
CN112838629A (zh) * 2019-11-22 2021-05-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N113555978B (zh) * 2020-04-23 2022-10-2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放偏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121590B1 (en) * 2020-09-04 2021-09-14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communications
CN114256903A (zh) * 2020-09-25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方法
CN114498959A (zh) * 2020-11-12 2022-05-13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无线电能传输装置的异物检测方法和装置
CN112636483B (zh) * 2020-12-09 2023-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CN112600970A (zh) * 2020-12-10 2021-04-02 贵州黄豆科技有限公司 手机关机测试仪
CN113612296B (zh) * 2021-08-20 2024-01-09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活塞温度无线测量的二级无线充电装置和方法
CN113783635B (zh) * 2021-09-01 2023-07-04 深圳市倍力奇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手机无线充电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4655040B (zh) * 2022-03-04 2024-06-1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自动充电的方法、汽车及停车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12A (ja) * 1994-07-20 1996-0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両の非接触集電装置
JP2013135572A (ja) * 2011-12-27 2013-07-08 Toyota Motor Corp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4064375A (ja) * 2012-09-20 2014-04-10 Sharp Corp 端末載置台、および端末位置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8693B2 (ja) * 2007-09-26 2011-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構造物
WO2009041058A1 (ja) * 2007-09-27 2009-04-02 Panasonic Corporation 電子機器、充電器、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2010246348A (ja) 2009-04-09 2010-10-28 Fujitsu Ten Ltd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JP2010288431A (ja) * 2009-06-15 2010-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
CN102782985B (zh) * 2010-03-31 2015-05-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充电系统
JP2012065484A (ja) * 2010-09-17 2012-03-29 Tamura Seisakusho Co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9197093B2 (en) * 2010-12-24 2015-1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ntact charging system, non-contact charging method, non-contact charging type vehicle, and non-contact charging management apparatus
US20120319644A1 (en) * 2011-06-15 2012-12-20 Chih-Kuei Hu Contactless charging system
JP2013090352A (ja) 2011-10-13 2013-05-13 Toko Inc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WO2013077340A1 (ja) * 2011-11-25 2013-05-30 株式会社Ihi 移動車両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938288B2 (ja) * 2012-07-19 2016-06-22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無線給電装置
JP2015195633A (ja) 2012-08-23 2015-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TW201411979A (zh) 2012-09-13 2014-03-16 Wistron Corp 無線充電系統
US20150372529A1 (en) * 2012-09-25 2015-12-24 Nokia Corporation Power loss detection for wireless charging
JP6162941B2 (ja) * 2012-10-30 2017-07-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保持装置、及び、保持方法
JP2014165967A (ja) 2013-02-22 2014-09-08 Toko Inc 送電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12A (ja) * 1994-07-20 1996-0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両の非接触集電装置
JP2013135572A (ja) * 2011-12-27 2013-07-08 Toyota Motor Corp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4064375A (ja) * 2012-09-20 2014-04-10 Sharp Corp 端末載置台、および端末位置検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43A1 (ko) * 2018-04-26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자동 정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1463B2 (ja) 2018-12-19
KR102257309B1 (ko) 2021-05-27
EP3197012B1 (en) 2019-05-15
JP2017524331A (ja) 2017-08-24
EP3197012A1 (en) 2017-07-26
CN104201738A (zh) 2014-12-10
US10432038B2 (en) 2019-10-01
WO2015117371A1 (zh) 2015-08-13
EP3197012A4 (en) 2017-08-23
ES2741311T3 (es) 2020-02-10
CN104201738B (zh) 2017-01-11
US20170237278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309B1 (ko) 전자기기 및 그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680568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코일 위치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2736B1 (ko) 이동체를 이용한 전력 및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40206384A1 (en)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apparatus
US20140167676A1 (en) Battery pack having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battery pack
CN104701928A (zh) 无线充电装置
US11462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il position
US20230077596A1 (en) Self-alignment for wireless charging
KR20120117262A (ko) 코일의 위치 정렬이 가능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EP3093959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power receiver
US20150001967A1 (en) Power feeding unit and power feeding system
JP2016111791A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740924B1 (ko) 휴대용 무선 듀얼 충전 배터리 팩
KR20170131994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EP3832838B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wireless charging base
CN106340970A (zh) 无线充电装置
EP3503348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9937514A (zh) 用于无线电能传输的包含选择/侦测(ping)两阶段的多线圈系统和方法
KR20210048816A (ko) 차량 배터리 충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22084706A (ja) 複数の受信装置を介した無線電力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
CN115228042A (zh) 为鞋垫供电的跑步机及鞋垫的控制系统
CN105914811B (zh) 无线充电的方法及装置
KR2018003601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04737B2 (en) Universal wireless charging surface
CN109066862A (zh) 充电装置及充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