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208A - 유니트형 난간 - Google Patents

유니트형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208A
KR20170042208A KR1020150183913A KR20150183913A KR20170042208A KR 20170042208 A KR20170042208 A KR 20170042208A KR 1020150183913 A KR1020150183913 A KR 1020150183913A KR 20150183913 A KR20150183913 A KR 20150183913A KR 20170042208 A KR20170042208 A KR 2017004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handrail
rail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4621B1 (ko
Inventor
준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토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토,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토
Publication of KR2017004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89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과제] 1 폭의 폭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 그리고 시공효율 등이 우수한 유니트형 난간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24)가 설치된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상부 프레임(30), 하부 프레임(31) 및 양 측부 프레임(32, 33)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34)가 설치된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힌지 부재(8)를 통해서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1개의 난간 유니트(1)가 구성되며,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며 또한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니트형 난간{HANDRAIL WITH UNIT TYPE}
본 발명은 취급성, 운반 및 반입성, 그리고 시공효율 등에 우수한 유니트형 난간에 관한다.
종래부터 집합주택용 건물의 베란다나 통로에는 스틸,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난간 시공은 시공장소에서 지주를 세워서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상측 가로재 및 하측 가로재를 걸치고, 상하의 가로재에 대해서 세움 부재, 패널 프레임 등을 취부하고, 가로대를 설치하는 수순, 즉 각 부재를 순서대로 설치하여 가는 녹다운(knock down) 방식에 의해 행해졌지만, 근년에는 시공의 생력화(省力化) 등을 생각해서 유니트 방식이 많이 개발·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건물의 베란다나 복도용 콘크리트 슬라브의 외측연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통 모양의 지주를 기둥 다리부를 통해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지주 상단에 가로대를 걸쳐서 고정하며, 이들 각 지주 사이에 걸쳐질 수 있는 횡폭이 단위 길이(L)의 입자(立子)조립체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평면 형상을 어깨 모양으로 굴곡진 연결구의 기부를 고착함과 아울러, 그 연결구의 선단부를 각각 상기 지주에 고정용 나사인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고정하도록 한 시스템 난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지주가 되는 수직 프레임 부재보다도 외형 치수가 작은 매입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지주가 되는 수직 프레임 부재와, 이 수직 프레임 부재의 상면에서부터 횡방향으로 연재하는 제 1 가로대와, 이 제 1 가로대에 대해서 평행해지도록 각각 수직 프레임 부재의 일 측면에서부터 횡방향으로 연재하는 제 2 가로대 및 하측 가로대를 구비하고 있는 난간 유니트를 미리 조립하고, 이것을 난간 설치 현장에 반입하는 공정과, 난간의 설치현장에 설치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취부공을 천설하는 공정과, 반입한 난간 유니트의 매입부재를 상기 취부공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난간의 설치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일본 특개평 8-120872호 공보
일본 특개 2002-201780호 공보
전술한 것처럼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된 난간 유니트를 시공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려는 유니트 공법의 경우는 시공효율을 대폭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니트 공법에서는, 한 폭(1 span)의 난간 유니트 폭 방향 길이(L)는,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 그리고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시공현장에서의 시공효율을 우선한 경우에는 한 폭의 폭 방향 길이(L)가 긴 편이 설치하는 난간 유니트의 개수를 적게 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한 폭의 폭 방향 길이(L)가 길면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 그리고 시공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한 폭의 폭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 시공효율 등이 우수한 유니트형 난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힌지 부재를 통해서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1개의 난간 유니트가 구성되며,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며 또한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형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힌지 부재를 통해서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1개의 난간 유니트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며 또한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 전은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포개지도록 개킨 상태로 함으로써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이 우수하게 되며, 설치 현장에서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를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하는 것으로, 1 폭의 폭 방향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시공효율도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측부 프레임과 동일 길이의 길이부재이며, 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원호 모양 홈을 구비하며,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되며,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유니트형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측부 프레임과 동일 길이의 길이부재이며, 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원호 모양 홈을 구비하고,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되며, 상기 타방측 유니트의 연결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됨으로써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일방측 유니트의 연결측의 측부 프레임과,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측의 측부 프레임은 짜맞춰짐으로써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되는 청구항 1, 2 어느 한 항 기재의 유니트형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 및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관해서, 이들을 서로 짜맞추는 것에 의해서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측부 프레임 형상을 다른 측부 프레임 형상과 동일하게 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의 비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 및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비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은,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경우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이 되고, 다른 난간 유니트와 접속되는 경우는 짜맞춤으로써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이 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유니트형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 및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비연결측의 측부 프레임에 관해서, 다른 난간 유니트를 접속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의 측부 프레임의 단면형상을 변하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경우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으로 하고, 다른 난간 유니트와 접속되는 경우는 짜맞춤으로써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고정된 지지 금물의 기립돌기부를 감합시키기 위해 하방측으로 개구하는 コ자 모양 홈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유니트형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 및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하부 프레임에 관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고정된 지지금물의 L자 모양 돌기를 감합시키기 위해서 하방 측으로 개구한 コ자 모양 홈을 형성하고자 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폭의 폭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핸들링성, 운반 및 반입성, 그리고 시공효율 등에 우수한 유니트형 난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니트형 난간(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으로 바라본 도면(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으로 바라본 도면(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유니트형 난간(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니트형 난간(1)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유니트형 난간(1)의, (A)는 개킴상태도, (B)는 전개상태도이다.
도 7은 유니트형 난간(1)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으로 바라본 도면(저부측 고정 구조)이다.
도 9는 도 7의 IX-IX선으로 바라본 도면(측부 고정 구조)이다.
도 10은 수평방향 지지금물(9)의 설치 요령도이다.
도 11은 가로대(5)의 설치 요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유니트형 난간(1A)에 단독 유니트(4)를 짜맞추는 경우의 요령도이다.
도 13은 유니트형 난간(1A, 1B)끼리 짜맞춰서 2연으로 한 경우의 요령도이다.
도 14는 난간동자(24, 34)의 타측을 나타내는 유니트형 난간(1)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니트형 난간(1)은, 도 1~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내에 난간동자(24)가 설치된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상부 프레임(30), 하부 프레임(31) 및 양 측부 프레임(32, 33)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34)가 설치된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힌지 부재(8)를 통해서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1개의 난간 유니트가 구성된 것이며, 상기 힌지 부재(8)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며 또한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동일 도면에 나타나는 난간은 1개의 유니트형 난간(1)만에 의해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2)는,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24)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 그리고 난간동자(24)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는 경우에는 가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모든 프레스 가공 및 태핑 홀(tapping hole)을 사용한 나사 조립으로 할 수 있으며, 제작공정을 하는 직공의 숙련성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안정된 품질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산화복합피막을 실시함으로써 내후성능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성 및 재도장 등의 러닝 코스트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은, 도 7 및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판부(20a)와, 이 수평판부(20a)의 실외측 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기립벽(20b)과, 상기 수평판부(20a)의 실내측 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기립벽(20c)과, 이 기립벽(20c)의 상단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출판부(20d)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홈 형상의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출판부(20d)는 가로대(5)를 나사로 고정할 때의 볼트 좌면(座面)이 되는 부재이며, 상부 프레임(20)의 상면 측에 가로대(5)가 덮이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출판부(20d)의 하면 측에서부터 나사결합으로 들어간 나사(11)에 의해 가로대(5)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1)은,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판부(21a)와 이 수평판부(20a)의 실외측 단부에서부터 하방으로 이어지는 수하벽(垂下壁: 21b)과 상기 수평판부(21a)이 실내측 단부에서부터 하방으로 이어지는 수하벽(21c)과, 상기 수평판부(21a)의 실내측 단부에서부터 연속하여 하방 측으로 개구하는 コ자 모양 홈을 형성하고 있는 하향 コ자 모양부(21d)로 이루어지는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하향 コ자 모양부(21d)는 후술하는 것처럼 콘크리트 슬라브(F)에 고정된 지지금물(支持金物: 6)의 기립 돌기부를 감합(嵌合)시킴으로써 유니트형 난간(1)을 연직 지지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측부 프레임(22)(비연결측)은,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짜맞추는 것의 의해서 대략 직사각형의 폐합(閉合) 단면을 구성하도록 한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부 프레임(22)은 분할 측부 프레임(22A)과 분할 측부 프레임(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방측의 분할 측부 프레임(22A)은 내방 측면에 좌우 한 쌍의 L자편(22a)에 의해서 난간동자(24)의 단부의 탄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분할 측부 프레임(22B)에 대한 대향면 측으로 개구(22b)를 가지며, 타방측의 분할 측부 프레임(22B)은 분할 측부 프레임(22A)에 대하는 대향면 측으로 한 쌍의 돌기편(22c)을 가지며, 이들 한 쌍의 돌기편(22c)이 상기 분할 측부 프레임(22A)의 개구(22a)의 가장자리에 계합시키도록 하면서 서로 짜맞춤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의 폐합단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분할 측부 프레임(22B)의 외면 측에는 좌우 한 쌍의 L자편(22d)이 설치되며 이 측단부에 수지제 엔드 커버(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23)(연결측)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니트형 난간(3)의 연결측 측부 프레임(33)과 서로 짜맞추는 것에 의해서 대략 직사각형의 폐합단면을 구성하게 한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 부재(8)에 대해 평면 시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부 프레임(23)은, 내방 측면에 좌우 한 쌍의 L자편(23a)에 의해 난간동자(24)의 단부의 탄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유니트형 난간(3)의 연결측 측부 프레임(33)에 대하는 대향면 측의 실내 측에 L자편(23b)이 설치되며, 유니트형 난간(3)의 연결측 측부 프레임(33)에 설치된 L자편(33b)에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프레임(23)의 실외측에는 후술하는 힌지 부재(8)에 계합하는 원호 모양 돌기(2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간동자(24)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횡루버형(Louver type)으로 되며, 상기 측부 프레임(22, 23)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설되어 있다. 난간동자(24, 24…)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측부 프레임(22)의 내방측면에 좌우 한 쌍의 L자편(22a)에 의해 형성된 탐입홈과 상기 측부 프레임(23)의 내방측면에 좌우 한 쌍의 L자편(23a)에 의해 형성된 탐입홈에 감입되어 있다. 상기 난간동자(24)는, 상면이 경사서면으로 된 중공단면부재가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하측 반분은 실내 측에 수하핀(垂下핀)을 갖도록 하여 가려지도록 하고, 상측 반분은 수하핀을 갖지 않도록 하여 채광 및 통풍이 좋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난간동자(24)의 설계에 대해서는 유아가 기어오를 수 없는 형상 및 간극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3)은, 상기 힌지 부재(8)를 경계선으로 하여 상기 일방측 유니트형 난간(2)과 선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유니트형 난간(3)의 상부 프레임(30), 하부 프레임(31) 및 양 측부 프레임(32, 33), 난간동자(34)는 각각 상기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2)의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 난간동자(24)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 부재(8)를 경계선으로 하여 선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3)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일방측 유니트형 난간(2)과 상기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3)은 상기 힌지 부재(8)을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한 개의 난간 유니트(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힌지 부재(8)는,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측부 프레임(23, 33)과 같은 길이의 길이부재이며,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원호 모양 홈(4a, 4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측 유니트형 난간(2)의 측부 프레임(23)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23c)가 일방의 원호 모양 홈(4a)에 감입되며, 상기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3)의 측부 프레임(33)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33c)가 타방의 원호 모양 홈(4b)에 감입되며,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도 6(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2)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3)가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니트형 난간(1)의 지지 구조 및 설치 요령>
다음으로 상기 유니트형 난간(1)의 지지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유니트형 난간(1)은, 콘크리트 슬라브(F)에 고정된 연직방향 지지금물(6, 7)과, 양 측부의 콘크리트 벽(W)에 고정된 수평방향 지지금물(9, 1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직방향 지지금물(6, 7)은 콘크리트 슬라브(F)에 고정된 단면 L자 형상의 금물이다. 대표적으로 단부의 상기 연직방향 지지금물(6)에 대해서 도 7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직방향 지지금물(6)은 수평판부(6a)와 기립 돌기부(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판부(6a)는 콘크리트 앵커 볼트(14)에 의해서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 기립 돌기부(6b)는 상기 유니트형 난간(1)의 하부 프레임(21)에 형성된 하향 コ자 모양부(21d)에 감합시킴으로써, 유니트형 난간(1)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연직방향 지지금물(6, 7)은, 도 2 및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양 측부에 상대적으로 소폭의 연직방향 지지금물(6, 6)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큰 폭의 연직방향 지지금물(7)이 설치되어, 합계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요령은 미리 콘크리트 슬라브(F)의 소정 위치에 연직방향 지지금물(6, 7)을 고정해 두고, 상방 측에서부터 유니트형 난간(1)을 떨어트려 삽입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하향 コ자 모양부(21d)를 상기 기립 돌기부(6b)에 감합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9, 10)은 콘크리트 벽(W)에 고정된 브라켓상의 금물이다. 대표적으로 한 쪽의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에 대해서 도 10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수평방향 지지금물(10)은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9)과 반대 모양으로 되어 있다.
같은 도면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9)은 연직판부(9A)와 이 연직판부(9A)의 실외측의 상변에서부터 하부 프레임(20) 측 방향으로 연재하는 수평취부판부(9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취부판부(9B)에는 상부 프레임(20)을 측부 프레임(2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 프레임(20) 방향으로 기다란 장공(9a, 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직판부(9A)에는 콘크리트 앵커 볼트(13)를 위한 통공(9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9)은 미리 유니트형 난간(1)에 설치한 상태에서 시공 현장에 반입하게 해도 좋지만, 현장에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현장에서의 설치 요령은, 도 10(A)에 나타난 것처럼, 상부 프레임(20)을 측부 프레임(2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15, 15)를 일단 떼어내어, 도 10(B)에 나타난 것처럼, 수평방향 지지금물(9)의 수평취부판부(9B)를 소정 위치에 세트했다면, 나사(15, 15)를 원래 상태로 취부하도록 한다. 이때 나사(15)는 견고하게 체결하지 않고 수평방향 지지금물(9)을 상부 프레임(2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게 놓는다. 그리고 유니트형 난간(1)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직방향 지지금물(6~8)에 따라 지지시킨 상태로 한 후에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했다면 상기 수평방향 지지금물(9)의 연직판부(9A)가 콘크리트 벽(W)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킨 다음에 나사(15)를 체결해서 고정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앵커 볼트(13)에 의해서 연직판부(9A)를 콘크리트 벽(W)에 고정한다.
상기 유니트형 난간(1)을 베란다 등에 고정하는 것이 끝났다면, 상부 프레임(20)의 상면에 가로대(5)를 설치하고, 하면 측으로부터 나사(11)를 삽입함으로써 가로대(5)의 고정을 도모하고, 모든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유니트형 난간(1)과 다른 유니트와의 접속>
베란다 폭 치수와의 관계에서, 유니트형 난간(1)은 다른 유니트와 짜맞춰서 결합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 나타난 제1 예는, 1개의 유니트형 난간(1A)과 단독 유니트형 난간(4)을 짜맞춘 난간을 구성한 예이다.
이 경우의 유니트형 난간(1A)은, 전술한 유니트형 난간(1)과 대비하면 난간 전체의 단부가 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32A, 32B)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32)로 하는 점은 같지만, 상기 단독 유니트형 난간(1B)과 접속되는 측의 측부 프레임은 전술한 유니트형 난간(1)의 측부 프레임(22) 내, 한쪽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측부 프레임으로 한 점에서 상이하다.
일방의 단독 유니트형 난간(4)은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상기 유니트형 난간(1)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 22B)끼리를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22)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유니트형 난간(1A)과 접속되는 측의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상기 유니트형 난간(1)에서 사용한 측부 프레임(22) 내, 한쪽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B)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니트형 난간(1A)과 단독 유니트형 난간(4)를 접속할 때, 접속 부분의 측부 프레임은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과 분할형 측부 프레임(22B)으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난 제2 예는, 유니트형 난간(1A, 1B)끼리 연결해서 난간을 구성한 예이다.
이 경우 유니트형 난간(1A)은, 전술한 유니트형 난간(1)과 대비하면,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32A, 32B)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32)로 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상기 단독 유니트형 난간(1B)과 접속되는 측의 측부 프레임은 전술한 유니트형 난간(1)의 측부 프레임(22) 내, 한쪽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측부 프레임으로 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한편 유니트형 난간(1B)은,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전술한 유니트형 난간(1)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 22B)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측부 프레임(22)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유니트형 난간(1A)과 접속되는 측의 측부 프레임에 대해서는 상기 유니트형 난간(1)에서 사용한 측부 프레임(22) 내, 한쪽의 분할형 측부 프레임(22B)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유니트형 난간(1A)과 유니트형 난간(1B)를 접속할 때, 접속 부분의 측부 프레임은 분할형 측부 프레임(22A)과 분할형 측부 프레임(22B)으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형태예>
(1) 상기 형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20), 하부 프레임(21) 및 양 측부 프레임(22, 23)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내의 난간동자(24) 및 상부 프레임(30), 하부 프레임(31) 및 양 측부 프레임(32, 33)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레임조 내의 난간동자(34)로 하여 횡루버형을 채용했지만, 도 14에 나타나 것처럼, 종(縱) 루버형의 난간동자(24, 34)를 해도 좋다.
(2) 상기 형태예에서는, 도 13에 2연의 유니트형 난간 구조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3연 또는 그 이상의 연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1A·1B: 유니트형 난간, 2: 일방측 유니트형 난간, 3: 타방측 유니트형 난간, 4: 단독 유니트형 난간, 5: 가로대, 6·7: 연직방향 지지금물, 8: 힌지 금물, 9·10: 수평방향 지지금물, 11·15: 나사, 12: 엔드 커버, 13·14: 콘크리트 앵커 볼트

Claims (5)

  1.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양 측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프레임조 안에 난간동자가 설치된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힌지 부재를 통해서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1개의 난간 유니트가 구성되며,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와 타방측 난간 유니트가 포개지도록 개킴 가능하며 또한 동일 평면상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형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측부 프레임과 동일 길이의 길이부재이며, 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원호 모양 홈을 구비하며,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되며,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에 형성된 원호 모양 돌기가 상기 원호 모양 홈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측부 프레임끼리 연결되어 있는 유니트형 난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유니트의 연결측의 측부 프레임과,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연결측의 측부 프레임은 짜맞춰짐으로써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으로 되는 유니트형 난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난간 유니트의 비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 및 상기 타방측 난간 유니트의 비연결 측의 측부 프레임은, 난간 전체의 단부로 되는 경우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끼리 짜맞춰서 폐합단면을 구성한 측부 프레임이 되고, 다른 난간 유니트와 접속되는 경우는 짜맞춤으로써 폐합단면을 구성하는 분할형 측부 프레임이 되는 유니트형 난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에 고정된 지지 금물(金物)의 기립돌기부를 감합시키기 위해 하방측으로 개구하는 コ자 모양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니트형 난간.
KR1020150183913A 2015-10-08 2015-12-22 유니트형 난간 KR101834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9872 2015-10-08
JP2015199872A JP2017071970A (ja) 2015-10-08 2015-10-08 ユニット型手摺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208A true KR20170042208A (ko) 2017-04-18
KR101834621B1 KR101834621B1 (ko) 2018-03-05

Family

ID=5853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13A KR101834621B1 (ko) 2015-10-08 2015-12-22 유니트형 난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7071970A (ko)
KR (1) KR1018346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57B1 (ko) * 2007-05-28 2008-06-26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KR101201714B1 (ko) * 2012-06-08 2012-11-15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1337090B1 (ko) * 2012-09-06 2013-12-06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621B1 (ko) 2018-03-05
JP2017071970A (ja)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2444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JPH0379511B2 (ko)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90093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RU2266373C1 (ru) Перегородка внутренняя,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и стойка для нее, профили для опорного элемента и стойки
KR101834621B1 (ko) 유니트형 난간
KR101787907B1 (ko) 커튼 박스
KR100842345B1 (ko) 슬래브 마감재용 천정재 구조
GB2573741A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CN210459881U (zh) 一种铝合金装饰线系统
JP5303722B2 (ja) 天井パネル固定装置
JP7074980B2 (ja) ベランダ用間仕切りの取付方法
JP2021092037A (ja) 屋根構造及び屋根の施工方法
EA020089B1 (ru) Модуль зоны межэтаж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системы сплош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балконов и лоджий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его монтажа
CN220504273U (zh) 一种装配式外遮阳装饰结构
CN212836243U (zh) 一种外挂式预制含外窗附框墙板模块、外墙板及房屋建筑
CN110118008B (zh) 一种铝合金装饰线系统
JP6981784B2 (ja) 手摺
JP7135259B2 (ja) 建物の両面外壁構造及び建物の両面外壁の固定方法
JP2009013620A (ja) 間仕切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3001228C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IE20080049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ll and roof cladding
CN108266092B (zh) 门窗结构
JP2005061131A (ja) 引き戸枠
JP2017078320A (ja) レール部材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