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90B1 -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90B1
KR101337090B1 KR1020120098849A KR20120098849A KR101337090B1 KR 101337090 B1 KR101337090 B1 KR 101337090B1 KR 1020120098849 A KR1020120098849 A KR 1020120098849A KR 20120098849 A KR20120098849 A KR 20120098849A KR 101337090 B1 KR101337090 B1 KR 10133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afety
railing
guide fram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12009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시 베란다를 통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이 분리되도록 결합 구성된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난간살로 구성된 안전난간(10)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양측단의 외측에서 상하프레임을 연결하는 레일난간살과, 상기 레일난간살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으로 구성된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Fall-proof safety device attached railings}
본 발명은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시 베란다를 통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이 분리되도록 결합 구성된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난간은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어 난간 밖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방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안전난간은 상하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난간살로 구성되며, 수평 프레임의 경우 양측 벽면에 고정되고, 난간 살의 경우 일정간격마다 베란다 바닥에 삽입고정하여 안전난간의 지지력을 확보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난간은 평상시에는 안전난간으로서의 안전성이 확보되어 낙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으나, 화재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 되었을 경우 탈출을 위해 안전난간을 통해 사다리차로 건너가게 되나, 이때 높은 안전난간의 높이로 인해 사다리차로 쉽게 탑승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안전난간을 넘을 때 난간에 걸려 낙상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안전난간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안전난간을 베란다 난간에서 쉽게 제거하여 비상탈출로가 되는 사다리차의 승강레일을 베란다 난간에 최대한 접안시켜 대피자가 사다리차에 안전하면서도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난간살로 구성된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양 측단에는 위급 상황 시 안전난간(10)이 하강 되어 베란다를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레일난간살(20)이 결합된 안전난간(10)과, 상기 레일난간살(20)이 끼워지도록 "U"자로 절곡되어 레일홈(31)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은 사각관체 형상의 일측면으로 레일홈(31)이 형성되고, 레일홈(31)이 형성된 타측 일면으로 베란다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32)가 형성되며, 레일홈(31)이 형성된 상부에는 레일홈(31)에 끼움되는 레일부(21)가 형성된 레일난간살(20)이 안전결속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레일홈(31)의 하부에는 안전결속수단을 해제하였을 때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안전난간(10)과 결합된 레일난간살(20)의 상부가 걸려 지상으로 낙하되지 않게하는 낙하걸림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난간살(20)은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에 끼워지도록 레일부(21)가 형성되고, 레일부(21)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베란다의 길이에 따라 관체로 형성된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안전난간(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고정공(22a)이 관통 형성된 길이조절파이프(22)가 형성되며, 길이조절파이프(22)가 끼워지는 상,하부 프레임(10a)(10b)에는 다수의 위치고정공(22a) 중에 하나와 일치되는 결합공(26)(36)이 형성되어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탄성편(41)을 갖는 고정핀(40)으로 고정 결합된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란다에 낙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 비상탈출을 안전하게 도모하기 위해 안전난간을 베란다의 바닥 밑으로 하강시킴으로서 탈출로가 되는 베란다를 통해 사다리차에 장애물이 없이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부분확대절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프레임과 레일난간살이 결속구로 결합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홈과 레일난간살의 레일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난간이 하강시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다른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 프레임(10a)(10b)을 연결하는 다수의 난간살(11)이 결합되어 구성된 안전난간(10)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양 측단에 결합되어 위급상황시 안전난간(10)이 하강되어 베란다를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난간살(20)과, 상기 레일난간살(20)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난간살(20)은 사각파이프를 요철형으로 절곡하여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에 끼워지도록 레일부(21)가 형성되고, 레일부(21)의 타 측방향으로는 상,하부 프레임(10a)(10b)에 끼움 결합되는 길이가변조절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은 사각파이프를 요홈형으로 절곡하여 레일부(21)가 삽입되는 레일홈(31)이 형성되고, 레일홈(31)의 타측에는 베란다의 벽면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에 끼워진 레일난간살(20)의 레일부(11)는 상단이 안전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고 레일부(11)의 하단에는 안전난간(10)이 지상으로 낙하 되지 않도록 낙하걸림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가변조절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내경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위치고정공(22a)이 관통된 길이조절파이프(22)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양측 단에는 길이조절파이프(22)가 끼워져 길이를 맞춘 후 길이조절파이프(22)를 고정시키기 위해 관통된 결합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공(22a)과 결합공(12)에는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탄성편(41)이 형성된 고정핀(40)이 삽입되어 레일난간살(20)과 안전난간(10)이 길이를 가변하여 베란다에 설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안전결속수단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난간살(20)과 레일부(21)의 상단에 상호 일치되게 관통되어 암나사가 형성된 결속공(24)(34)과, 상기 결속공(34)에 나사체결되도록 일측단에 나사부(51)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나사부(51)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53)가 연결되는 고리연결부(52)가 형성되며, 고리연결부(52)에는 나사부(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단 절곡되며 일단에 고리(53a)가 형성된 회전손잡이(53)로 형성된 결속구(50)가 결합되어 안전난간(10)을 고정시키며, 위급 상황 시 결속구(50)를 신속히 회전 해제하여 안전난간(10)의 낙하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낙하걸림수단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0)과 레일난간살(20)의 상단에서 고정 결합한 안전결속수단을 제거하였을 때 자유낙하되는 안전난간(10)이 지상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레일난간살(20)의 상부 양측에는 레일홈(31)의 양측 벽면을 향해 돌출된 단턱부(23)를 형성하고, 레일홈(31)의 하단 양측벽에는 단턱부(23)가 걸림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33)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결속수단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첨부된 도 7의 실시 예와 같이 유아등의 호기심에 의해 결속구(50)의 풀림이 발생하였을 때 안전난간(10)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안전난간(10)이 낙하되지 않도록 판 형상의 안전핀(54)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이때 안전핀(54)은 결속구(50)의 상측으로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을 관통하는 안전핀결합공(26)(36)이 형성되고, 이 안전핀결합공(26)(36)에 끼움결합되는 안전핀(54)은 가이드 프레임(30)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외력에 의해 안전핀(54)이 쉽게 끊어지도록 하측면에는 ∧형상의 절단홈(55)이 파이프가 절곡되 형성된 레일난간살(20)의 내벽면 양측에 근접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안전결속수단을 제거하였을 때 안전난간의 급속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 양측 벽면에는 안전난간(10)과 결합된 레일난간살(20)이 하강할 때 마찰저항이 발생하도록 저항부재(35)를 접착구성하여 안전난간(10)의 급속한 하강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하강 되는 안전난간을 보다 신속히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을 고정 결합하는 결속구(50)를 나사식 결합이 아닌 핀(56) 결합으로 하되, 상기 핀(56)은 레버(57)와 힌지결합되고, 레버(56)는 상단이 가이드 프레임(30)의 상단에 회동 작동되게 힌지 결합되며, 핀(56)과 힌지 결합된 양단에 작동장홈(56a)이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핀(56)을 신속히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58)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난간(10)은, 베란다의 양측 벽면에 가이드 프레임(30)을 구성하는 고정부(32)를 못 또는 피스 등으로 베란다 외측으로 가이드 프레임(30)이 노출되도록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에는 레일난간살(20)의 일측 상하측에 돌출 형성된 길이조절파이프(22)를 삽입하여 레일난간살(20)을 결합하게 되며, 이후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에 레일난간살(20)의 레일부(21)가 삽입되도록 상,하부 프레임(10a)(10b)에서 레일난간살(20)을 일정간격 빼내어 베란다의 전체 폭에 맞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의 전체 폭에 맞게 안전난간이 설정되면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은 상단에 상호 일치되도록 형성된 결속공(24)(34)으로 나사부(51)가 형성된 결속구(50)로 고정 결합시키며, 레일난간살(20)의 일측 상하단에 형성된 길이조절파이프(22)와 상,하부 프레임(10a)(10b)은 탄성편(41)이 구성된 고정핀(40)으로 위치고정공(22a)과 결합공(12)을 관통하여 안전난간(1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에 설치된 안전난간(10)은 비상시 가이드 프레임(30)과 레일난간살(20)을 고정시킨 결속구(50)를 회전손잡이(53)를 회전시켜 신속히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절곡 되어 형성된 회전손잡이(53)는 고리(53a)가 형성된 일 단을 나사부(51)와 동일 축 선상에 있도록 일치시킨 후 절곡된 타측단을 잡고 쉽고 빠르게 회전시켜 결속구(50)를 이탈시키게 되면, 고정핀(40)으로 고정된 안전난간(10)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될 때 레일난간살(20)의 레일부(21)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23)가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려 바닥으로 낙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 결속구(50)가 결합된 일측으로 안전핀(54)을 결합하였을 경우 결속구(50)를 제거하여도 안전난간(10)의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안전난간(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안전핀(54)의 절단홈(55)이 형성된 부분이 파손되며 안전난간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의 안전핀결합공(26)(36)을 관통한 안전핀(54)은 짧은 길이로 끼워져 있게 되어 안전핀(54)이 쉽게 이탈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30)과 레일난간살(20)의 고정 결합을 핀(56) 결합하였을 경우에는 레버(50)를 구성하는 손잡이(58)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가이드 프레임(30)과 레일난간살(20)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된 핀(56)이 신속히 결합을 해제하게 되어 안전난간(10)을 하강시키기 위한 분리작업을 신속히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안전난간(10)은 레일홈(31)의 벽면에 접착 형성된 저항부재(35)에 마찰력에 의해 하강속도가 감속되어 레일홈(3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3)과, 걸림턱(23)에 걸림되는 레일홈(31)의 걸림턱(33)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파손위험이 방지된다.
10 : 안전난간 10a,10b : 상,하부 프레임
11 : 난간살
20 : 레일난간살 21 : 레일부
22 : 길이조절파이프 22a : 위치고정공
23 : 단턱부
30 : 가이드 프레임 31 : 레일홈
32 : 고정부 33 : 걸림턱
40 : 고정핀 41 : 탄성편
50 : 결속구 51 : 나사부
53 : 회전손잡이 54 : 안전핀
54 : 절단홈

Claims (7)

  1. 상,하부 프레임(10a)(10b)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을 연결하는 다수의 난간살(11)이 결합되어 구성된 안전난간(10)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양 측단에는 위급 상황 시 안전난간(10)이 하강 되어 베란다를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레일난간살(20)이 결합된 안전난간(10)과,
    상기 레일난간살(20)이 끼워지도록 "U"자로 절곡되어 레일홈(31)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은 사각관체 형상의 일측면으로 레일홈(31)이 형성되고, 레일홈(31)이 형성된 타측 일면으로 베란다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32)가 형성되며, 레일홈(31)이 형성된 상부에는 레일홈(31)에 끼움되는 레일부(21)가 형성된 레일난간살(20)이 안전결속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레일홈(31)의 하부에는 안전결속수단을 해제하였을 때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안전난간(10)과 결합된 레일난간살(20)의 상부가 걸려 지상으로 낙하되지 않게하는 낙하걸림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결속수단은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의 상단에 상호 일치되게 관통되어 암나사로 된 결속공(24)(3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공(24)(34)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도록 일측단에 나사부(51)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나사부(51)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하는 회전손잡이(53)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연결부(52)가 형성되며, 고리연결부(52)에는 절곡되어 형성된 일단에 고리(53a)가 결합되는 회전손잡이(53)로 구성된 결속구(50)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난간살(20)은 가이드 프레임(30)의 레일홈(31)에 끼워지도록 레일부(21)가 형성되고, 레일부(21)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베란다의 길이에 따라 관체로 형성된 상,하부 프레임(10a)(10b)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안전난간(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고정공(22a)이 관통 형성된 길이조절파이프(22)가 형성되며, 길이조절파이프(22)가 끼워지는 상,하부 프레임(10a)(10b)에는 다수의 위치고정공(22a) 중에 하나와 일치되는 결합공(26)(36)이 형성되어 끝단에 탄성지지되는 탄성편(41)을 갖는 고정핀(40)으로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걸림수단은
    가이드 프레임(30)과 레일난간살(20)의 상단에서 고정 결합한 안전결속수단을 제거하였을 때 자유낙하되는 가이드 프레임(20)과 결합 구성된 안전난간(10)이 지상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레일난간살(20)의 상단 전후 양측으로 단턱부(23)를 형성하고, 레일홈(31)의 하단에 단턱부(23)가 걸리는 걸림턱(3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결속수단은
    결속구(50)가 끼움 결합되는 결속공(24)(34)의 상측으로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을 관통하여 안전핀결합공(26)(36)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결합공(26)(36)에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 안전핀(54)이 삽입되되, 안전핀(54)은 외력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형으로 절단홈(5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50)는 안전난간(10)을 구성하는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의 신속한 결속과 분리를 위해 레일난간살(20)과 가이드 프레임(30)을 핀(56)으로 결합하되,
    상기 핀(56)은 레버(57)와 힌지결합되고, 레버(57)는 상단이 가이드 프레임(30)의 상단에 회동 작동되게 힌지 결합되며, 핀(56)과 힌지 결합된 레버(57)의 양측면에는 작동장홈(56a)이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손잡이(5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98849A 2012-09-06 2012-09-06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KR10133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49A KR101337090B1 (ko) 2012-09-06 2012-09-06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49A KR101337090B1 (ko) 2012-09-06 2012-09-06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090B1 true KR101337090B1 (ko) 2013-12-06

Family

ID=4998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49A KR101337090B1 (ko) 2012-09-06 2012-09-06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621B1 (ko) * 2015-10-08 2018-03-05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토 유니트형 난간
KR102063493B1 (ko) * 2019-07-29 2020-01-08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466881B1 (ko) 2021-12-23 2022-11-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73Y1 (ko) * 1982-01-23 1983-12-06 김준철 베란다 난간의 개방장치
KR100740321B1 (ko) 2007-02-16 2007-07-19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어린이 추락방지용 아파트 베란다 난간 구조
KR100877495B1 (ko) 2008-04-28 2009-01-07 조미동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KR100960150B1 (ko) 2009-11-18 2010-05-27 임번상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73Y1 (ko) * 1982-01-23 1983-12-06 김준철 베란다 난간의 개방장치
KR100740321B1 (ko) 2007-02-16 2007-07-19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어린이 추락방지용 아파트 베란다 난간 구조
KR100877495B1 (ko) 2008-04-28 2009-01-07 조미동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KR100960150B1 (ko) 2009-11-18 2010-05-27 임번상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621B1 (ko) * 2015-10-08 2018-03-05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토 유니트형 난간
KR102063493B1 (ko) * 2019-07-29 2020-01-08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466881B1 (ko) 2021-12-23 2022-11-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842B2 (en) Ladders including rope and pulley system and fall protection device
KR101337090B1 (ko) 추락방지 안전난간 탈부착장치
ES2587943T3 (es) Línea de vida vertical para trabajos en altura
CN210131264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US7766124B2 (en) High rise evacuation system
US20180104519A1 (en) Remote overhead anchor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US8534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101141301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899934B1 (ko)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197519B1 (ko) 완강기
KR101348181B1 (ko)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0599093B1 (ko) 산업용 하강전용 하강기.
KR100923208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CA2943729C (en) Fall arrester and ladder fall prevention system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475244Y1 (ko) 사다리용 안전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