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419B1 -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 Google Patents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419B1
KR101194419B1 KR1020120054691A KR20120054691A KR101194419B1 KR 101194419 B1 KR101194419 B1 KR 101194419B1 KR 1020120054691 A KR1020120054691 A KR 1020120054691A KR 20120054691 A KR20120054691 A KR 20120054691A KR 101194419 B1 KR101194419 B1 KR 10119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ole
fence
fix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길전
Original Assignee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5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9Wire cables or the like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베란다 바닥콘크리트에 세워 고정된 다수의 고정폴; 상기 고정폴에 끼워지고, 고정폴의 내부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 상기 고정폴에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된 유동로드; 상기 유동로드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의 상단에 걸림되는 구형상의 장식겸 파지봉; 상기 고정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작동공; 상기 작동공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로프끼움홈; 상기 작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드에 고정된 'ㄱ'형상의 파지편;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편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고정폴에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링을 통해 각각 좌,우 최외측 고정폴에 고정되며, 장력이 유지되게 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안전로프; 상기 안전로프의 길이 일부에 끼워지고, 상기 파지편 상면에 거치되는 디센더; 상기 고정폴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디센더에 결속되어 피난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Y밴드, 결속용 카라비너를 포함한 안전장구들이 보관되는 수납박스;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탄성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FENCE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 안전대로 사용되다가 비상시에는 긴급 구난용 와이어 로프로 전환되어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구조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평상시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상황시 사다리를 펴서 외부와 연결되는 탈출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베란다 겸용 사다리가 다수의 공개 문헌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그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에는 난간대의 일측에 비상 사다리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 방향으로 펴서 비상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는 난간대 일측에 비상 사다리가 절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사다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감으로 인하여 잡고 있던 사다리를 놓쳤을 경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추락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난간을 사다리로 변형시 변형된 사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이동시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더욱 더 안전한 대피 기능을 갖는 난간으로 공개특허 제2008-0075583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비상대피시 경황이 없는 상태에서 이를 조작하여 사다리로 전환한다는 것은 시간상, 상황상 많은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어 좀 더 간단하면서 비상시 무의식 중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비상대피용 펜스의 구현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비상시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잡아 당기거나 내리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비상탈출용 와이어가 되도록 하여 피난자가 무의식 중에서도 거의 동물적 혹은 반사적 행동을 통해 탈출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란다 바닥콘크리트에 세워 고정된 다수의 고정폴; 상기 고정폴에 끼워지고, 고정폴의 내부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 상기 고정폴에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된 유동로드; 상기 유동로드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의 상단에 걸림되는 구형상의 장식겸 파지봉; 상기 고정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작동공; 상기 작동공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로프끼움홈; 상기 작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드에 고정된 'ㄱ'형상의 파지편;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편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고정폴에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링을 통해 각각 좌,우 최외측 고정폴에 고정되며, 장력이 유지되게 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안전로프; 상기 안전로프의 길이 일부에 끼워지고, 상기 파지편 상면에 거치되는 디센더; 상기 고정폴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디센더에 결속되어 피난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Y밴드, 결속용 카라비너를 포함한 안전장구들이 보관되는 수납박스;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탄성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용 펜스로 사용되는 안전수단을 비상시 대피용 혹은 탈출용으로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며, 무엇보다도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우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전용구 중 하나로 각각 디센더 및 카라비너를 예시한 샘플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는 고정폴(1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폴(100)은 원통형상의 강체로서,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어 물이나 습기와 접촉되더라도 녹이 슬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폴(100)은 베란다의 바닥콘크리트(C)에 매립설치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폴(100)은 베란다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폴(100)에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도 1과 같은 형태로 안전로프(2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안전로프(200)는 상기 고정폴(100)의 일측면에 덧대어진 형태로 배치 되게 되는데, 거실쪽을 향한 면 상에 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로드(200)의 일단, 바람직하기로는 고정폴(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단부 상에 고정링(210)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210)은 상기 고정폴(100)중 어느 하나에 끼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로프(20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폴(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폴(100)의 하단에는 바닥고정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고정부(110)에는 압축스프링(12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20)은 고정폴(100) 내부에 위치되고, 고정폴(100)에는 유동로드(130)가 끼워지며, 유동로드(130)의 하단에는 걸림구(132)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20)의 타단, 즉 상단이 걸림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유동로드(13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식겸 파지볼(14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로드(130)는 상기 장식겸 파지볼(140)이 고정폴(100)의 상단에 걸려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120)이 약간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압축스프링(120)은 압축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유동로드(130)는 항상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견고히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30)에는 수직하게 'ㄱ' 형상의 파지편(16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편(16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폴(100)의 외주면에는 작동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편(160)은 상기 작동공(15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공(15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로프끼움홈(170)이 형성되며, 안전로프(200)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170)에 걸친 채 상기 파지편(160)에 의해 가려지면서 걸리게 되므로 상기 안전로프(200)가 1차적으로 위치고정되게 되며, 그 상태에서 안전로프(200)의 양단이 당겨져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안전로프(200)는 최종적으로 견실하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안전로프(200)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좌,우 가장 마지막 고정폴(100)에서는 고정폴(100)을 한바퀴 감은 후 안전로프(200)의 수평부를 누르면서 하향 이동한 후 다음 단 로프끼움홈(170)에 끼워지는 형태로 다단 배열된다.
즉, 좌,우 가장 마지막 고정폴(100)에서 대략 'S' 꼬기 방식으로 한번 꼬인 후 다음 단으로 배치됨으로써 충분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펜스로서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비상시 기존에는 주로 안전펜스가 철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통해 탈출하고 싶어도 쉽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안전장구를 착용한 상태로 안전로프(200)를 걷어 내게 되면 안전펜스가 열리면서 탈출하기 쉽도록 탈출로를 구축하게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과 용이성이 확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로프(200)의 길이 일부에는 도 4와 같은 공지된 디센더(Decender)(500)가 상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디센더(500)는 상기 파지편(160)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상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벨크로파스너를 갖춘 밴드로 묶어 두면 좋다.
아울러, 상기 디센더(500)는 등산용구중 하나로서, 도 4와 같은 레버를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디센더(500)가 안전로프(20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혹은 고정되게 되는 공지된 안전장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센더(500)가 미리 안전로프(200)에 끼워진 상태로 상시 대기 중이므로 비상시 디센더(500)를 설치하기 위해 시간을 불필요하게 낭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고정폴(100) 중 어느 하나에는 수납박스(300)가 고정된다.
상기 수납박스(300)는 개폐가능한 수납도어(310)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는 안전장구, 즉 카라비너(Karabiner)(410)가 장착된 Y밴드(400)를 포함한 다수의 보조장구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라비너(410)도 도 5와 같은 공지된 등산용구 중 하나이다.
상기 Y밴드(400)는 비상시 대피자가 Y밴드(400)를 가랑이 사이로 넣은 후 몸통 쪽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3개의 카라비너(410)를 모두 디센더(500)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박스(300)는 일측면에 탄성고정편(320)이 고정되어 있어 이를 고정폴(100)의 외경에 끼워 넣기만 하면 간단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자는 먼저, 수납박스(300)를 열고 Y밴드(400)를 꺼낸 후 디센더(50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장식겸 파지봉(140)을 상부로 잡아 당기게 되면 파지편(160)이 상승되면서 안전로프(200)를 고정하던 외력이 제거되므로 안전로드(200)는 고정폴(10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그 상태에서, 안전로드(200)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 한 후 안전로프(200)를 지상을 향해 던져 배열하고, 이후 디센더(500)와 Y밴드(400)를 이용하여 탈출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로프(200)는 최소한 아파트 5층 높이의 길이를 갖도록 하면 탈출시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100 : 고정폴 110 : 바닥고정부
120 : 압축스프링 130 : 유동로드
140 : 장식겸 파지봉 150 : 작동홈
160 : 파지편 170 : 로프끼움홈
200 : 안전로프 210 : 고정링
300 : 수납박스 310 : 수납도어
320 : 탄성고정편 400 : Y밴드
410 : 카라비너 500 : 디센더

Claims (1)

  1. 베란다 바닥콘크리트(C)에 세워 고정된 다수의 고정폴(100);
    상기 고정폴(100)에 끼워지고, 고정폴(100)의 내부 바닥에 하단이 고정된 압축스프링(120);
    상기 고정폴(100)에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120)의 상단이 고정된 유동로드(130);
    상기 유동로드(130)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100)의 상단에 걸림되는 구형상의 장식겸 파지봉(140);
    상기 고정폴(1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작동공(150);
    상기 작동공(15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형성된 로프끼움홈(170);
    상기 작동공(150)을 통과하여 상기 유동로드(130)에 고정된 'ㄱ'형상의 파지편(160);
    외주면 일부가 상기 로프끼움홈(1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편(16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고정폴(100)에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링(210)을 통해 각각 좌,우 최외측 고정폴(100)에 고정되며, 장력이 유지되게 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안전로프(200);
    상기 안전로프(200)의 길이 일부에 끼워지고, 상기 파지편(160) 상면에 거치되는 디센더(500);
    상기 고정폴(10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디센더(500)에 결속되어 피난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Y밴드(400), 결속용 카라비너(410)를 포함한 안전장구들이 보관되는 수납박스(300);
    상기 수납박스(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폴(100)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속되는 탄성고정편(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20120054691A 2012-05-23 2012-05-23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19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1A KR101194419B1 (ko) 2012-05-23 2012-05-23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1A KR101194419B1 (ko) 2012-05-23 2012-05-23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419B1 true KR101194419B1 (ko) 2012-10-25

Family

ID=4728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691A KR101194419B1 (ko) 2012-05-23 2012-05-23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34B1 (ko) 2018-05-10 2018-09-19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928975B1 (ko) 2018-09-11 2018-12-13 주식회사 이도산업 로프타입 펜스의 장력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33B1 (ko) 2005-11-14 2006-06-26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101009538B1 (ko)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KR101085465B1 (ko) 2011-08-08 2011-11-2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도로의 난간 안전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33B1 (ko) 2005-11-14 2006-06-26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101009538B1 (ko)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KR101085465B1 (ko) 2011-08-08 2011-11-2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도로의 난간 안전 설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34B1 (ko) 2018-05-10 2018-09-19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928975B1 (ko) 2018-09-11 2018-12-13 주식회사 이도산업 로프타입 펜스의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03801012A (zh) 一种楼房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194419B1 (ko) 비상 대피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US20040262083A1 (en) Safety device for escaping from building
KR101899934B1 (ko)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CN102247662A (zh) 紧急逃生用脱险装置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CN203001714U (zh) 一种建筑
CN203001722U (zh) 一种建筑的逃生系统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80075583A (ko)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CN203154633U (zh) 一种楼房
CN208838905U (zh) 一种楼房火灾逃生装置
CN2812989Y (zh) 独立式逃生缓降装置
KR101944474B1 (ko)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CN203001713U (zh) 一种楼房
CN203001720U (zh) 一种楼房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JP2009077962A (ja) 緊急避難器具
KR20110028027A (ko)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