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07B1 - 커튼 박스 - Google Patents

커튼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07B1
KR101787907B1 KR1020160101439A KR20160101439A KR101787907B1 KR 101787907 B1 KR101787907 B1 KR 101787907B1 KR 1020160101439 A KR1020160101439 A KR 1020160101439A KR 20160101439 A KR20160101439 A KR 20160101439A KR 101787907 B1 KR101787907 B1 KR 10178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tting groove
insertion portion
horizontal panel
curtai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102016010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결로와 변색 등에 강하고 시공속도가 향상된 커튼 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는 건물 천장의 창문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평패널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를 구비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튼 박스 {curtain box}
본 발명은 결로와 변색 등에 강하고 시공속도가 향상된 커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내부 공간인 천정의 창문측 연부에는 커튼을 설치하기 위하여 천정 면보다 약간 위쪽으로 요입된 형태의 커튼 박스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커튼 박스는 목재로 된 것이 있으나, 이는 소재 자체의 가격이 비싸고 설치하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온도나 습도에 민감하여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목재로 인한 단점을 피하기 위하여 금속판재를 임의의 형상으로 절곡된 커튼 박스가 사용된다,
이런 금속판재 절곡체를 사용한 커튼 박스의 시공은 천정 측에 각파이프 등의 고정지지구를 설치한 다음 고정 지지구에 금속판재 절곡체를 용접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 다음 커튼 박스 절곡체의 양단을 마감하기 위하여 철재 마감부재로 양단을 용접하여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재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용접하는 종래의 커튼 박스의 시공은 용접작업시 용접불똥으로 인해 금속판재 절곡체에 도색이 손상되므로 커튼 박스를 설치한 후에 재도색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시공 작업 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용접 시 용접불똥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커튼 박스가 외기에 노출됨으로써 하자발생이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창틀에 인접 설치되기 때문에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되고, 누수로 인한 도배지 탈락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오염 또한 거주자를 불편하게 하고 있다.
더불어, 커튼 박스의 주재료는 합판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내구성에 문제가 많이 대두되었다. 즉 합판 조인트가 다수 발생하여 미관상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뒤틀림,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09395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을 이중으로 겹쳐 제작하고 각 패널 부재들을 끼움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 커튼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 천장의 창문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평패널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를 구비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끼움홈부 내지 제3끼움홈부와 상기 제1삽입부 내지 제3삽입부의 조립시 서로 밀착하는 부위에는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톱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은 합성수지가 압출 또는 사출되어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자외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끼움홈부 내지 제3끼움홈부는 내측에서 출입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패널 일측에는 상기 천장부재의 끝단이 조립되어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 후, 상기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양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양단에 고정된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패널 상부에는 천장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달대에 매달릴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고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 천장의 창문 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평패널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를 구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 방향으로 일면 일부분 개방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제1삽입부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끼움홈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면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제1삽입부가 상기 제1끼움홈부에 조립되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패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이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커튼 박스를 이루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을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고 나사 사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은 서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는 부품에 미세한 톱니들을 구비토록 하여 조립 후에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3) 본 발명은 시공 후, 외부로 보이게 되는 패널 부품들에 자외선 코팅을 시공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변형이나 변색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가 설치된 건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 박스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튼 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박스(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 박스(300)는 건물 천장의 창문(2) 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150)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300)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커튼 박스(300)는 창문(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건물은 콘크리트 구조체(1)로 골격을 이루고 있고, 개방된 부분에 창문(2)이 새시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그 창문 내부, 즉 실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일정거리 아래에 통상 내장재인 석고보드(3)로 마감하고 있는 형태이다. 내장재(3)는 커튼 박스(300) 바로 전까지만 설치되고 그에 연결하여 커튼 박스(300)가 설치된다.
상기 커튼 박스(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커튼 박스(300)를 견고하게 변형을 방지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위 톱니달대(4)가 단열재(1a)를 통과하여 천장 콘크리트 구조물(1)에 박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튼 박스(300)는 창문 상부의 구조물과 상기 톱니달대(4), 그리고 내장재(3)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이다.
상기 커튼 박스(3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수평패널(310), 수직패널(340), 고정부재(320), 그리고 연결부재(330), 사이드 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패널(310)은,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패널(310)은 도 6을 참고하면, 두 개의 패널과 격벽이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단면의 형태가 유지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는 상기 수평패널(310) 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구성요소들도 대부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패널(310)은 두 개의 패널이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사이에 격벽이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은 두 패널이 상하에서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상기 격벽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두 패널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수평패널(3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인 패널과 격벽에는 리브들(31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브(312a)들은 첫 번째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모멘텀이나 토션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패널(310)의 변형방지와 내구성 증대를 가져온다. 상기 리브(312a)들은 두 번째로는 도 2를 참고하면 나사(202)에 의해 조립시 나사산이 박히는 접촉면적을 크게 가져감으로 인해 견고한 체결을 보장한다.
상기 수평패널(310)은, 도 6을 참고하면, 좌측 끝단에는 제1끼움홈부(311)가 구비되고, 우측 끝단에는 제2삽입부(3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끼움홈부(311)는 상기 고정부재(320)의 제1삽입구(322)가 끼워져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끼움홈부(311) 내측면에는 미세한 톱니(311b)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부(322)의 외면에도 미세한 톱니(322b)들이 구비되어 서로 끼워진 다음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끼움홈부(311)의 출입구 부분이 내측보다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삽입부(322)가 상기 제1끼움홈부(311)에 삽입되면 상기 톱니(311b,322b)들이 더욱 밀착되도록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더욱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톱니들은 도 6에서 B에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직패널(34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3)의 끝단이 나사(30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수직패널(340)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수직으로 세워진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수직패널(340)은 두 패널이 좌우에서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상기 격벽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연결하고 있는 형태로 두 패널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수직패널(340) 상부에는, 도 6을 참고하면, 제3끼움홈부(341)가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끼움홈부(341)에는 상기 연결부재(330)의 제2삽입부(332)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끼움홈부(341) 내측에도 전술한 미세한 톱니(341b)들이 구비되어 상기 제3삽입부(332) 외면에 구비된 미세한 톱니(332b)들과 맞물려 조립 후 잘 빠지지 않도록 조력한다.
상기 수직패널(340) 일측에는,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천장부재인 석고보드(3) 끝단이 조립되어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343)를 구비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천장부재(3)는 상기 수평돌출부(343) 하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나사(203)에 의해 체결된다. 그 다음 체결부재(203)가 보이지 않도록 몰딩(5)을 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32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3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322)와, 상기 제1삽입부(311)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1)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3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320)는 도 6을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삽입부(322)와 고정부(3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322)는 상기 수평패널(310)과 같이 두 개의 패널과 격벽에 의해 이중 패널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미세한 톱니(322b)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322a)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부(322)는 상기 제1끼움홈부(311)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고정부(321)는, 도 1을 참고하면,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창틀(2)의 상부에 천장부재나 기타 건물의 일부에 여러 나사(201)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의 제1끼움홈부(311)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312)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331)와, 상기 제2끼움홈부(33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340)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341)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33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끼움홈부(331)에는 제1삽입부(322) 외면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톱니(331b)들이 구비되어 삽입 후에는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3삽입부(332)는 상기 제2끼움홈부(331)에 하부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도 6에서 상기 제2끼움홈부(331)의 출입구에서부터 하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삽입부(312)가 상기 제2끼움홈부(331)에 삽입된 다음에 상기 제2끼움홈부(331)가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간결하게 표현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수평패널(310)과 수직패널(340)이 상기 연결부재(330)에 의해 조립 후, 상기 수평패널(310)과 수직패널(340) 양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평패널(310)과 수직패널(340) 양단에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 패널은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미설치할 수 있고, 합성수지로 압출 또는 사출하는 경우에는 다른 부품들과 함께 동일한 색상으로 압출 또는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패널(310), 수직패널(340), 고정부재(320),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합성수지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금속인 철재질을 절곡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평패널(310)과 수직패널(340) 중에 외관상 노출되는 부분에는 자외선 코팅을 한다. 이렇게 자외선 코팅을 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변색 뒤틀림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합성수지로 압출 또는 사출하기 때문에 백색 등으로 압출 또는 사출하여 도배를 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수평패널(310) 상부에는 천장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된 달대(4)에 매달릴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고리부(110b)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110b)에는 상기 톱니달대(4)에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고리(4a)가 체결되고, 상기 고리(4a)가 상기 고리부(110b)에 일부 걸려 전체적으로 커튼 박스(300)가 매달려 지탱되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300)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20), 수평패널(310), 수직패널(340),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삽입부(322,312,332)들을 끼움홈부(311,331,341)들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서로 연결 및 지지된다.
이때, 상기 커튼 박스(300)는 상기 고정부재(310)가 창틀(2)의 건물 일부에 나사(201)들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재(310)는 상기 톱니달대(4)에 고리(4a) 및 고리부(110b)를 매개로 매달리도록 지지되며, 상기 수직부재(340)는 수평돌출부(343)가 천정부재(3) 상부에 위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공시, 끼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나사를 적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커튼 박스(300)를 완전히 천장에 시공한 다음, 커튼레일(150)을 복수개의 나사(202)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패널(310)에 박아 고정한 것을 볼 수 있다. 커튼레일(150) 외에도 커튼 봉의 경우에도 커튼 봉을 거는 걸대를 양단 또는 중앙에 각각 나사를 이용하여 수평패널에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하고 커튼이나 봉을 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은 가변으로 길이조절을 하기 위해 절단해서 끼울 수 있다. 즉 현장에서 요구하는 가변치수에 대응하여 적절히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주로 내측 치수가 180(수평) X 150mm(수직), 150 X 100mm, 120 X 100mm 등 다양한 커튼 박스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에는 치수 조절을 위하여 금형을 여러 벌 준비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커튼 박스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패널을 커팅하여 치수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튼 박스의 단면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박스는 건물 천장의 창문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수평패널(310')과, 상기 수평패널(310')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수직패널(340)과, 상기 수평패널(310')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20')와, 상기 수평패널(310')의 제1끼움홈부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340)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를 구비한 연결부재(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패널(310')의 제1끼움홈부(311')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322') 방향으로 일면 일부분 개방되어 걸림턱(311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20')의 제1삽입부(322')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끼움홈부(3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면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제1삽입부(322')가 상기 제1끼움홈부(311')에 조립되면 상기 제1삽입부(322')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311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패널(3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20')는 철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다른 점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합성수지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구성요소들을 제조하는데, 특히 고정부재(320')만을 철재로 제조한 경우이다. 철재를 절곡하여 고정부재를 만들게 되기 때문에 그 단면 또는 측면 형태가 도 8과 같이 이루어지고, 특히 걸림턱(311a')에 제1삽입부(322') 끝단이 걸리도록 되어 조립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즉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3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부(322')를 상기 제1끼움홈부(311')에 끼운 다음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제1삽입부(322') 끝단이 상기 걸림턱(311a')에 걸려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매우 조립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건물 콘크리트 구조물
2 : 창틀 3 : 석고보드
4 : 톱니달대 5 : 몰딩
300 : 커튼 박스 310 : 수평패널
311 : 제1끼움홈부 312 : 제2삽입부
320 : 고정부재 321 : 고정부
322 : 제1삽입부 330 : 연결부재
331 : 제2끼움홈부 332 : 제3삽입부
340 : 수직패널 341 : 제3끼움홈부
343 : 수평돌출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건물 천장의 창문측에 인접하여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커튼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커튼 박스에 있어서,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격된 평행한 두 개의 패널과 상기 두 개의 패널 사이에 패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져 실내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수직패널;
    상기 수평패널 일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 반대 끝단인 제2삽입부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패널에 구비된 제3끼움홈부에 삽입되는 제3삽입부를 구비한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패널의 제1끼움홈부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 방향으로 일면 일부분 개방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제1삽입부는 단면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끼움홈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면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제1삽입부가 상기 제1끼움홈부에 조립되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금속이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박스.
KR1020160101439A 2016-08-09 2016-08-09 커튼 박스 KR10178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39A KR101787907B1 (ko) 2016-08-09 2016-08-09 커튼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39A KR101787907B1 (ko) 2016-08-09 2016-08-09 커튼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907B1 true KR101787907B1 (ko) 2017-10-19

Family

ID=6029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39A KR101787907B1 (ko) 2016-08-09 2016-08-09 커튼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03B1 (ko) * 2020-02-06 2021-07-26 상명엔프라(주) 커튼 박스
KR102296231B1 (ko) 2020-04-06 2021-08-30 우미란 커튼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49B1 (ko) * 2009-06-30 2010-01-29 김명호 조립식 커튼 박스
KR101346573B1 (ko) * 2012-07-10 2014-01-06 김종화 커튼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49B1 (ko) * 2009-06-30 2010-01-29 김명호 조립식 커튼 박스
KR101346573B1 (ko) * 2012-07-10 2014-01-06 김종화 커튼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03B1 (ko) * 2020-02-06 2021-07-26 상명엔프라(주) 커튼 박스
KR102296231B1 (ko) 2020-04-06 2021-08-30 우미란 커튼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350B1 (en) Exterior window and door trim
KR101208967B1 (ko)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US20190136549A1 (en) Stop bead for panel-based siding,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787907B1 (ko) 커튼 박스
US20110203210A1 (en) Profile-bending means for frame to be pocketed
KR20110065744A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KR101139778B1 (ko) 패널지지용 커튼월의 스페이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0093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JP201411868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外装材の取付け構造
WO2015146475A1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US20220389754A1 (en) Sill for watertight building opening assembly extension
KR100656091B1 (ko) 중공 단면을 갖는 천장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몰딩재설치공법
GB2466854A (en) Lintel with improved thermal efficiency
JP200922178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建物
KR101792059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KR101557151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KR102283881B1 (ko) 버드 스크린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7277352B2 (ja) 建造物の2重壁構造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RU21297U1 (ru) Перегородка офисная
JP7170985B2 (ja) ベランダ用間仕切り
RU2413060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профиль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7007877B2 (ja) 軒天板の見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