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043A -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043A
KR20170042043A KR1020150141454A KR20150141454A KR20170042043A KR 20170042043 A KR20170042043 A KR 20170042043A KR 1020150141454 A KR1020150141454 A KR 1020150141454A KR 20150141454 A KR20150141454 A KR 20150141454A KR 20170042043 A KR20170042043 A KR 2017004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ating
primer layer
coating layer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196B1 (ko
Inventor
박재경
지영주
배민지
전초현
Original Assignee
삼성교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교역(주) filed Critical 삼성교역(주)
Priority to KR102015014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02G3/346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with coloured effects, i.e. by differential dyeing proces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은 코팅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형성된 한 가닥 이상의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의 외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외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가 피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한 올레핀계 수지를 삼중구조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두루 겸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과 그로 인한 제품{The improved durability eco-friendly coating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yarn and woven fabric and the resultant product}
본 발명은 물질 본연의 특성을 구현하는 원사(yarn)에 다양한 색상과 기능이 부가되게 여타의 혼합물질을 피복시킨 다중구조의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과 그로 인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폴리염화비닐(PVC)을 압출 코팅한 섬유는 탄성이 우수하고 주름이 잘 생기지 않으며, 형태 견지성, 항균성, 다양한 색상적용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품에 , 블라인드, 벽지, 바닥재, 또는 생활용, 데코용, 전자제품용 및 가구용의 섬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PVC 코팅 섬유는 통상적으로 산업용에 적합한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강도 PET 원사에 300 내지 1100 m/min의 코팅속도를 발휘하는 압출 코팅기를 이용하며 난연성, 방염성, 항균성 및 기타 기능성을 부가하여 코팅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4992호"직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리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피에 PVC 등의 고분자 물질과 함께 가소제와 난연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코팅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PVC 코팅 섬유는 난연성, 방염성, 항균성, 인장강도, 신장율 등은 우수하나 압출코팅, 정경 및 직조 시 불량품이 발생할 경우 PET 원사와 PVC 코팅층간 분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전량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은 환경호르몬과 소각 및 가공시에 발생하는 다이옥신, 할로겐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규제에도 저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628호"친환경성 코팅사, 이의 제조방법, 이의 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코어층과 같거나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난연제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코팅사는 코어층과 코팅층이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져 제품을 회수하여 분쇄한 뒤 재압출 컴파운딩을 거칠 경우, 재활용되어 무코어 압출사 또는 기타 산업재 용도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존 PVC 소재를 폴리올레핀으로 대체하는데 있어 문제되는 난연성을 해결하여, 블라인드, 바닥재, 벽지, 생활용품 및 기타 인테리어용으로 활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 코어층의 외면에 코팅층만이 피복됨에 따라 코어층과 코팅층간에 접착력이 낮아 코팅층이 쉽게 박리되어 결국, 내구성의 저하로 불량률이 높고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즉, 개구나 바디침 운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져 원단 및 제품에 불량을 야기함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는 폐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4992호"직물의 제조 방법"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628호"친환경성 코팅사, 이의 제조방법, 이의 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중심사의 외면에 다양한 색상과 기능을 부여하는 동일계 수지 코팅층을 피복함과 함께 이들을 일체화 시키는 동일계 수지 접착층의 삼중구조로 형성하여 전반적인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과 그로 인한 제품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은 코팅사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형성된 한 가닥 이상의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의 외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외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가 피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중심사는 70~90중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10~30중량%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이 첨가된 혼합물을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코팅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실록산(Siloxane),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중심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중심사의 외면에 프라이머층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머층의 외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코팅층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A)단계의 중심사는 70~90중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10~30중량%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이 첨가된 혼합물을 0.2~0.9mm 두께로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B)단계의 프라이머층은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C)단계의 코팅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실록산(Siloxane),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B)단계는 90~130℃의 온도에서 50 내지 300 m/min의 속도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상기 코팅사를 이용하여 직조한 코팅사 원단과 이를 활용한 제품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기 다른 물성에 의한 열수축 퍼징현상을 억제함과 함께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기능을 겸비함은 물론, 중심사와 코팅층의 접착력 강화로 전반적인 내구성과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사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사를 직조한 원단을 나타내는 참고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폴리올레핀계 수지 특성을 구현하는 중심사(10)에 다양한 색상과 기능을 부가하면서 무독성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동일계(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30)을 피복하되, 중심사(10)와 코팅층(30) 사이에 프라이머층(20)을 도포시켜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한 삼중구조의 코팅사와 제조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과 그에 따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중심사(1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부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압출하여 한 가닥 이상 형성할 수가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압출하여 두께 0.2~0.9mm 단일 가닥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중심사(10)는 외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20)과의 접착성이 향상하도록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에틸렌아크릴산을 첨가한 혼합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에틸렌아크릴산의 첨가량이 과하면, 폴리프로필렌이 가진 고유의 물성이 변화되므로 폴리프로필렌 70~90중량%에 에틸렌아크릴산 10~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20)은 에틸렌아크릴산 또는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를 용융시켜 다이스를 통과하는 중심사(10)의 외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중심사(10)에 첨가된 성분과 동일한 에틸렌아크릴산을 도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프라이머층(20)은 외면에 피복되는 코팅층(30)과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준다.
코팅층(30)은 중심사(10)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부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를 용융시켜 다이스를 통과하는 프라이머층(20)의 외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중심사(10)와 동일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코팅층(30)은 폴리프로필렌에 실록산, 에틸렌아크릴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한 혼합물로 코팅할 수도 있다. 실록산은 난연성과 발수성을 부가하면서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고 에틸렌아크릴산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프라이머층(20)과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준다. 이밖에도 할로젠계, 인계, 질소계, 무기계 난연제와 산화 및 대전방지제, UV안정제 그리고 소정 색상을 가진 안료 및 광택제가 첨가될 수가 있다.
한편, 코팅층(30)은 프라이머층(20)의 외면에 2종 이상으로 분할된 상태로 피복되거나 타원형이나 각형으로 피복할 수가 있다. 예컨데, 도 2a처럼 적색안료가 첨가된 제1코팅층(30)은 프라이머층(20)의 일면에 피복되고, 녹색안료가 첨가된 제2코팅층(30)은 타면에 피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코팅사는 다채로운 색상으로 다양한 심미감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2b처럼 다이스의 단면 형상을 변형하여 코팅사의 단면을 각형으로 피복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코팅사를 이용한 원단이나 제품은 조도에 따른 다채로운 질감과 함께 제품에 따라 다양한 촉감을 구현할 수가 있다. 물론, 도 2c처럼 코팅층(30)을 각 면마다 상이한 안료를 각형으로 피복시켜 심미감과 질감 및 촉감을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고 삼중구조의 코팅사가 기존의 이중구조 코팅사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코팅사의 실질적인 효과가 유효함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방법>>
먼저, 본 발명의 코팅사를 조성하는 성분과 함량 및 제조조건에 따른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알아보고자 한다. 내구성은 각각 인장강도와 신도 및 사마찰을 측정하였다. 사(絲)마찰력 측정기는 DAIEI TM200을 이용하여 50cycle로 마찰한 후에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해 보았다.
<원료준비>
프라이머층(20) 코팅층(30) 중량%
비교예1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100%
실시예1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 5980I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100%
실시예2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 5980I 100%
실시예3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PP base Siloxane 50% M/B_MB50-001
90%
10%
실시예4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 5980I
70%
30%
실시예5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_EVA VA8101
PP base Siloxane 50% M/B_MB50-001
40%
60%

실시예6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PP base Siloxane 50% M/B_MB50-001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_EVA VA8101
50%
40%
10%

실시예7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
PP base Siloxane 50% M/B_MB50-001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 5980I
50%
10%
40%
실험의 동일성을 위해 중심사(10)는 폴리프로필렌을 두께 0.20mm로 압출하여 형성한 것을 이용하고, 프라이머층(20)은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ㄾ 5980I만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코팅층(30)은 Olefine Block copolymer_INFUSEㄾ는 밀도 0.87g/㎤, MI 15(g/10min, 2.16㎏, 190℃), Tg= 95, Tm=120℃이고, PP base Siloxane 50% M/B_MB50-001ㄾ은 Base Polypropylene MI : 12, Siloxane content : 50%이며, Ethylene acrylic acid_PRIMACORㄾ 5980I는 밀도 0.958g/㎤, MI 300(g/10min, 2.16㎏, 190℃), Acrylic Acid : 20.5wt%, Tm=171℃의 특성을 가진 것을 각각 이용하였다.
<압출조건>
압출온도(℃)
Quenching (℃)
Winding speed (m/min)
C1
(℃)
C2
(℃)
Gear
Pump
(℃)
Spinning
block
(℃)
Dies
(℃)
비교예1 코팅층(30) 150 170 169 168 168 25 50
실시예1 프라이머층(20) 125 - 145 150 155 25 200
코팅층(30) 150 170 169 168 168 25 50
실시예2 프라이머층(20) 110 - 145 150 155 25 300
코팅층(30) 130 180 180 180 180 25 300
실시예3 프라이머층(20) 125 - 145 150 155 25 200
코팅층(30) 160 185 190 190 190 25 200
실시예4 프라이머층(20) 125 - 145 150 155 25 200
코팅층(30) 160 185 190 190 190 25 200
실시예5 프라이머층(20) 125 - 145 150 155 25 200
코팅층(30) 150 175 180 180 180 25 200
실시예6 프라이머층(20) 90 110 145 150 155 25 200
코팅층(30) 160 185 190 190 190 25 100
실시예7 프라이머층(20) 125 - 145 150 155 25 300
코팅층(30) 160 185 190 190 190 25 100
각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20)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C1과 C2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다단 히팅챔버이며 C1은 1차챔버로 초기투입온도, C2는 2차챔버로 진행온도이다. 이때, 프라이머층(20)의 작업온도는 중심사와 코팅층(3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머 수지의 열적특성에 의하여 160℃이하에서 실시한다. 실시예1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25℃, C2 125℃, 코팅층(30)은 C1, 150℃, C2 170℃, 실시예2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10℃, C2 110℃, 코팅층(30)은 C1, 130℃, C2 180℃, 실시예3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25℃, C2 125℃, 코팅층(30)은 C1, 160℃, C2 185℃, 실시예4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25℃, C2 125℃, 코팅층(30)은 C1, 160℃, C2 185℃, 실시예5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25℃, C2 125℃, 코팅층(30)은 C1, 150℃, C2 175℃, 실시예6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90℃, C2 110℃, 코팅층(30)은 C1, 160℃, C2 185℃, 실시예7에서 프라이머층(20)은 C1 125℃, C2 125℃, 코팅층(30)은 C1, 160℃, C2 185℃이다.
<실험결과>
인장강도
(CN)
신도
(%)
실험 전 실험 후



비교예1



2,610



14.7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실시예1



2,558



15.4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시예2


2,426


20.3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시예3


2,765


18.6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예4


2,296


12.66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실시예5



2,656



14.54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실시예6



2,789



17.2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실시예7



2,536



14.92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실험결과 비교예1은 2,610CN의 인장강도와 14.72% 신도를 가지며 실시예1 내지 8은 2,000~3,500CN 인장강도와 15~25% 신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실시예1 내지 7은 코팅층(30)의 박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예1은 코팅층(30)이 심각하게 박리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즉, 프라이머층(30)으로 인하여 중심사(10)와 코팅층(30)간에 접착력이 향상되어 실시예들이 비교예1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때, 실시예1 내지 실시예7 중 실시예2가 가장 우수한 반면에 실시예7은 일부 코팅층(30) 부분에 변형이 관찰되었다. 즉, 실시예7은 코팅층(30)에 함유하는 에틸렌아크릴산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비춰볼 때 코팅층(30)을 이루는 성분들의 혼합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코팅사는 5g/d~30g/d의 수준의 강도와 신장율 10%이상의 물성을 가진다. 이러한 코팅사는 도 4처럼 컬러와 데니어별로 조합하여 평직, 능직, 주자직의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다양한 변화조직의 형식이 가능하며 워터젯, 레피어, 자카드 직기를 이용하여 제직이 가능하다.
제직설계에 있어 코팅사의 컬러조합에 따른 경사의 배열, 위사의 배열, 교차배열이 가능하며 코팅사를 기본으로 나일론,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및 DTY, ATY사, 원착사 등과 교직하여 제직하고 컬러배열에 따라 블라인드 효과부터 카페트, 바닥재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제직설계가 끝나고 생산할 조직이 설정되면 원단폭과 직기의 규격을 고려하여 경사준비를 하게 된다. 경사준비는 논드럼식 정경기를 사용하여 측장로울러 축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권취속도 및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코팅사의 신축특성을 고려하여 고장력을 부여하되 경사간의 간격과 밀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크릴에 투입되는 콘과 정경본수를 고려하여 모슴수(정경필라수)를 도출하게 된다.
이때, 모슴수(정수)=정경본수ㆇcreel본수, 앞바디폭=성폭ㆇ모듬수, 정경바디 인입수 = creel수ㆇ모슴폭ㅧ바디밀도이며, 총 생산량은 보빈권량ㅧ9,000/데니어(실굵기)ㆇ0.9144ㆇ(1+연축)ㆇ모슴수ㆇ정경loss이다. 위의 제직설계예시를 기준으로 총 본수 7,800본, 성폭 58인치, 앞바디매수 12매, 크릴수 780크릴, 보빈권량 225g, 1,000데니어, 연축 5%, 정경로스 3%일 때를 가정하면, 모슴수는 10모슴(7800/780), 앞바디폭은 5.8인치(58/10), 총 바디매수는 69.6(5.8*12), 인입수는 11.2(780/69.6), 총 생산량은 204.76yd이다.
정경투입량이 결정되고 코팅사가 공급되어 정경공정이 진행되면 크릴에서부터 정경 바디살에 이어지는 부분의 텐션은 2.5g~5g 내외로 조절하며 앞 바디를 지나갈 경우에 발생하는 코팅부 이탈을 막기 위하여 앞 바디에 윤할제를 처리한다. 제직공정은 제직설계표에 따라 개구운동과 위입운동, 바디침 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장치를 조절하며 워터젯의 경우 노즐은 60/30부터 90/60까지 범위내의 노즐로 위입을 시키며 rpm은 400~800, 에어젯의 경우 노즐압력은 주압력 1.8~4.2, 보조압력은 1.2~4.5, rpm은 400부터 800까지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다.
1차적으로 완성된 코팅사 원단은 후 가공 공정 없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다 넓은 활용을 위하여 기본적은 열시레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열시레 공정은 가열된 롤러식 방법과 열풍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하며 온도범위는 40~80℃범위, 이속은 10~60m/min으로 진행한다. 이때, 코팅사 표면의 다양한 이펙트(effect)를 위하여 엠보싱 처리 및 압력을 가하는데 압력범위는 5~30kg범위에서 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중심사
20: 프라이머층
30: 코팅층

Claims (10)

  1. 코팅사에 있어서: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형성된 한 가닥 이상의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의 외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외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가 피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사는 70~90중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10~30중량%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이 첨가된 혼합물을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실록산(Siloxane),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
  5.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중심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중심사(10)의 외면에 프라이머층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머층의 외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수지로 코팅층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중심사는 70~90중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10~30중량%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이 첨가된 혼합물을 0.2~0.9mm 두께로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프라이머층은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코팅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실록산(Siloxane), 에틸렌아크릴산(Ethylene Acrylic Acid),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90~160℃의 온도에서 50 내지 300 m/min의 속도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10. 제1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코팅사를 이용하여 직조한 코팅사 원단과 이를 활용한 제품.
KR1020150141454A 2015-10-08 2015-10-08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KR10176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54A KR101761196B1 (ko) 2015-10-08 2015-10-08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54A KR101761196B1 (ko) 2015-10-08 2015-10-08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043A true KR20170042043A (ko) 2017-04-18
KR101761196B1 KR101761196B1 (ko) 2017-07-25

Family

ID=5870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454A KR101761196B1 (ko) 2015-10-08 2015-10-08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53B1 (ko) * 2019-03-14 2020-08-13 다이텍연구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코팅을 활용한 아웃도어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87B1 (ko) 2020-07-10 2021-01-28 김재관 토목건축 구조물 보강 탄소섬유시트 제직용 바인드사 제조장치
KR20240008019A (ko) 2022-07-11 2024-01-18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코팅사의 코어편심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3850A (en) * 1995-03-24 1996-11-12 Alliedsignal Inc. Abrasion resistant quasi monofilament and sheathing composition
US5985193A (en) 1996-03-29 1999-11-16 Fiberco., Inc. Process of making polypropylene fibers
US6670035B2 (en) * 2002-04-05 2003-12-30 Arteva North America S.A.R.L. Binder fiber and nonwoven web
KR101286628B1 (ko) * 2011-08-25 2013-07-22 주식회사 알켄즈 친환경성 코팅사, 이의 제조방법, 이의 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53B1 (ko) * 2019-03-14 2020-08-13 다이텍연구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코팅을 활용한 아웃도어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196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0251B (zh) 一种tpe网布的制备方法
CN101343837B (zh) 环保型阻燃网布
CN101994164B (zh) 一种高强度、环保型的特斯林面料的生产方法
CN102230248B (zh) 一种用于编织tpe网布的tpe纱线
CN101994165B (zh) 一种高强度、环保型的特斯林绞丝
KR10176119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KR101913812B1 (ko) 폴리올레핀계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0167A (ko)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JP4890477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繊維及び繊維製品
KR101699131B1 (ko) 실리콘 코팅사,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제직물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
WO2018034160A1 (ja)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からなる仮撚加工糸
KR101635001B1 (ko) 유/무기 복합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3652B1 (ko) 내광성이 우수한 차양막용 폴리에스테르난연원단의 제조방법
JP2002242085A (ja) 編織組織が透視可能な光輝性複合膜材
JP2019127679A (ja)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芯鞘型複合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構造体
JP3682713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7749B1 (ko) 고신축성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051069A (ko) 폴리프로필렌 이형단면 원착사를 이용한 내광성이 우수한 차양막용 직물의 제조방법
JP5329285B2 (ja) 擬似藺草の製造方法
KR101810166B1 (ko) 자동차시트용 논코팅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시트
KR20160141007A (ko) 복합난연섬유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직물 및 직물제품
JP7389004B2 (ja) 可撓性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性製品
JP6704706B2 (ja) ユニフォーム衣料用難燃防水性布帛
JP2020084390A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を含む繊維及び複合繊維
EP1644573B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wning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