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307A -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307A
KR20170041307A KR1020150140245A KR20150140245A KR20170041307A KR 20170041307 A KR20170041307 A KR 20170041307A KR 1020150140245 A KR1020150140245 A KR 1020150140245A KR 20150140245 A KR20150140245 A KR 20150140245A KR 20170041307 A KR20170041307 A KR 2017004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ophilic pattern
electrode
layer
light emitt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626B1 (ko
Inventor
김근탁
민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626B1/ko
Priority to US15/133,458 priority patent/US9941336B2/en
Publication of KR2017004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51/0018
    • H01L27/3211
    • H01L27/3246
    • H01L51/5056
    • H01L51/508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례로,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 상기 친액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 주입층과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어,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된다. 이러한 재결합에 의해 여기자(exciton)가 생성되며,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이 발광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 각각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을 노출하도록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며, 이 화소 정의막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애노드 전극 상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 전극이 형성된다. 이 중,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은 잉크젯 프린트 방법 또는 노즐 프린트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가지는 토출 장치를 통해 용액을 화소 정의막의 개구부 내부에 토출시켜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프린트 방법은 원하는 위치에 프린트 하려는 물질을 잉크 방울 형태로 떨어뜨리는 방법이고, 상기 노즐 프린트 방법은 원하는 위치에 프린트 하려는 물질을 원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라인을 따라 용액 형태로 흐르게 하는 방법이다.
한편,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유기 용액을 토출하여 유기층,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을 형성할 때, 기판의 표시 영역뿐 아니라 비표시 영역에도 유기 용액이 토출되어 유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표시 영역, 예를 들어 회로부의 컨택 영역 또는 실링 부재가 형성될 영역에 형성되는 유기층을 없애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상기 별도의 공정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므로 상기 별도의 공정을 생략시키기 위해, 기판의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오픈부와, 비표시 영역을 덮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가림 마스크가 기판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유기 용액을 토출하는 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유기 용액을 토출시 유기 용액이 가림 마스크의 오픈부에서 차단부 방향으로 가까워질 때 관성을 크게 받는다. 이 경우, 유기 용액이 기판 중 가림 마스크의 차단부의 일측 하부에 있는 외곽에서 계속 외측으로 흐를 수 있다. 반면, 유기 용액이 가림 마스크의 차단부에서 오픈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경우, 유기 용액의 기판 중 가림 마스크의 차단부의 일측과 오픈부의 경계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부터 토출된다.
이에 따라, 유기 용액이 기판 상에 토출되어 형성된 유기 용액층들이 끝단들의 위치가 유기 용액이 토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있는 가림 마스크의 차단부 일측을 기준으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용액층들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유기층들의 형상이 상이하여 유기층들 라인별로 발광 특성이 불균일해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 특성을 균일하게 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발광 특성을 균일하게 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 상기 친액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의 폭 각각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에서 사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각각을 따라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에 배치되는 더미 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발광색을 방출하는 상기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 상기 친액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제1 친액 패턴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제2 친액 패턴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친액 패턴 그룹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그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에서 사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각각을 따라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에 배치되는 더미 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친액 패턴 상에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 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을 교번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은 노즐 프린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화소들을 적어도 노출시키는 오픈부와 상기 오픈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가림 마스크를 상기 친액 패턴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토출 장치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공 수송 용액을 상기 친액 패턴 상에 토출시키고 건조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 마스크는 상기 정공 수송 용액의 토출이 상기 가림 마스크의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차단부로 오픈부로 가까워질 때 보다 상기 가림 마스크의 상기 차단부에서 오픈부로 수행되기 시작될 때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정공 수송 용액의 토출이 시작되는 상기 차단부 방향으로 쉬프트 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 따르면, 발광 특성이 균일하게 되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 및 II-I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및 IV-IV'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친액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친액 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는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V-V' 선 및 VI-V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VII-VII' 선 및 VIII-VII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친액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 및 II-I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및 IV-IV'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05), 제1 전극(110), 화소 정의막(120), 정공 주입층(130), 친액 패턴(140), 정공 수송층(150), 발광층(160), 전자 수송층(170), 전자 주입층(180) 및 제2 전극(190)을 포함한다. 각 부재들은 도 2의 Z 방향으로 순차 적층된다.
기판(105)은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가 정의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는 n×m(n, m은 자연수)의 매트릭스 형태, 즉 제1 방향(Y) 및 제1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적색을 방출하는 적색 화소, 녹색을 방출하는 녹색 화소, 및 청색을 방출하는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방향(Y)으로 동일한 발광색을 방출하는 화소들(P)이 배열되고, 제2 방향(X)으로 상이한 발광색을 방출하는 화소들(P)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배열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화소(P)는 기판(105) 상에 제1 방향(Y)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행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행 그룹은 제1 행 그룹(P11, P12, ?, P1m) 내지 제n번째 행 그룹(Pn1, Pn2, ?, Pn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P)는 기판(105) 상에 제2 방향(X)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열 그룹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열 그룹은 제1 열 그룹(P11, P21, ..., Pn1) 내지 제n번째 열 그룹(P1m, P2m, ..., Pn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5)은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며, 더미 화소(DP)들을 포함하는 더미 영역(DPA1, DP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PA1, DPA2)은 제1 방향(Y)에서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더미 영역(DPA1)과, 표시 영역(DA)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더미 영역(DP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더미 영역(DPA1)과 제2 더미 영역(DPA2)에 포함되는 더미 화소들(DP)은 제1 방향(Y)에서 표시 영역(DA)의 최외곽 화소들(P)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기판(105)의 비표시 영역(NDA) 중 더미 영역(DPA1, DPA2)과 인접한 외측 영역은 'OA'로 나타낸다.
더미 화소들(DP)은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와 달리,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더미 화소들(DP)은 제1 방향(Y)을 따라 복수의 화소(P)에 유기 용액을 토출시 복수의 화소(P) 중 최외곽 화소들(P)의 근처에서 용매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프린트 방법과 같은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화소(P) 상에 유기 용액을 토출시, 유기 용액이 더미 화소(DP)에도 토출된다. 이 경우, 제1 방향(Y)에서 중앙부의 화소(P)에서 보다 유기 용액의 건조 속도가 빠른 가장 자리부의 화소(P)에 용매 분위기가 형성되어, 가장 자리부의 화소(P)에 토출된 유기 용액의 건조 속도와 중앙부의 화소(P)에 토출된 유기 용액의 건조 속도가 유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방향(Y)을 따라 유기 용액이 토출되고 건조되어 형성된 유기층이 제1 방향(Y)에서 가장 자리부의 화소(P)와 중앙부의 화소(P)에서 균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더미 영역(DPA1)에 포함되는 더미 화소들(DP)은 제2 방향(X)을 따라 배열되며, 제1 행 그룹(P11, P12, ..., P1m)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더미 행 그룹(DP11, DP12, ..., DP1m)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더미 영역(DPA2)에 포함되는 더미 화소(DP)는 제2 방향(X)을 따라 배열되며, 제n번째 행 그룹(Pn1, Pn2, ..., Pnm)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더미 행 그룹(DP21, DP22, ..., DP2m)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열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판(105)은 절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기판은 투명한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 재질의 글라스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기판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절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105)은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다른 구조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조물들의 예로는 배선, 전극, 절연막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105)은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일부의 드레인 전극은 제1 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되는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기판(105) 상에 각 화소(P) 별로 배치된다. 제1 전극(11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인가된 신호를 받아 발광층(160)으로 정공을 제공하는 애노드 전극 또는 전자를 제공하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110)이 애노드 전극인 것으로 예시한다.
제1 전극(110)은 투명 전극, 반사 전극 또는 반투과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때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이 반사 전극으로 사용될 때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이 반투과 전극으로 사용될 때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얇은 두께로 형성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전극(110)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때는 발광 표시 장치(100)가 발광층(16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제1 전극(110)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 발광형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0)이 반사 전극으로 사용될 때는 발광 표시 장치(100)가 발광층(16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제2 전극(190) 방향으로 방출되는 전면 발광형인 경우일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0)은 제1 전극(110)을 노출하는 개구부(121)를 가지도록 기판(105) 상에 배치되며, 기판(105) 상에 각 화소(P)를 구획한다. 화소 정의막(12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120)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아미드(polyamide;PA), 아크릴 수지 및 페놀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화소 정의막(120)은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120)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공 주입층(130)은 화소 정의막(120)의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전극(110) 상에 형성되되, 화소 정의막(120)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0)은 제1 전극(110)과 정공 수송층(150) 사이의 에너지 장벽을 낮추는 완충층으로써 제1 전극(110)로부터 제공되는 정공이 정공 수송층(150)으로 용이하게 주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 주입층(130)은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polystyrene sulf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공 주입층(130)은 슬릿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친액 패턴(140)은 정공 주입층(130) 상에 배치된다. 친액 패턴(140)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에 대해 화소 정의막(120)보다 친액성을 가지도록, 즉 친액 패턴(140)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이 화소 정의막(120)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보다 작게 하는 친액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액 패턴(140)은 친액 패턴(140)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이 약 10° 이하인 도전성 프라이머(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토출 장치(1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140) 상에 토출할 때 친액 패턴(140)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습윤성이 높아,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제2 방향(X)을 따라 인접한 화소 정의막(120)의 상면으로 퍼지지 않고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140) 상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습윤성이 높다는 의미는 액체가 고체 표면에 넓게 퍼져 접촉되는 정도가 높다는 의미일 수 있다.
친액 패턴(140)은 정공 주입층(130) 상에서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제1 전극들(110)과 화소 정의막(120)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화소들(P)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친액 패턴(140)은 제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142)과,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은 제2 방향(X)에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친액 패턴(1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방향(Y)은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토출시키는 방향일 수 있으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친액 패턴(142) 상에 토출시 제1 방향(Y)에서 마지막 부분일 수 있으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관성을 크게 받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홈(gp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Y)을 따라 이격된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홈(g1)과 제2 홈(g2) 각각은 제2 방향(X)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Y)에서 제1 홈(g1)의 폭(W1)과 제2 홈(g2)의 제2 폭(W2)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g1)과 제2 홈(g2)은 제1 방향(Y)에서 제1 친액 패턴(142)의 일측 단부에 거칠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친액 패턴(142)은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통해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 방향으로 제1 친액 패턴(142) 상에 토출시킬 때, 제1 친액 패턴(142)의 일측 단부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을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으면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복수의 홈(gp1)에 가둘 수 있다.
즉, 제1 친액 패턴(142)은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제1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 방향으로 제1 친액 패턴(142) 상에 토출시킬 때,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통해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에서 받는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으면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복수의 홈(gp1)에 가둘 수 있다. 이로 인해,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원치 않게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계속 퍼지는 것이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친액 패턴(142) 상에 토출시 제1 방향(Y)에서 처음 부분이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관성을 크게 받지 않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의 제1 친액 패턴(142) 상에 토출시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제2 친액 패턴(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한다. 여기서,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2 친액 패턴(144) 상에 토출시 제1 방향(Y)에서 마지막 부분일 수 있으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관성을 크게 받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친액 패턴(144)의 복수의 홈(gp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Y)을 따라 이격된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홈(g1)과 제2 홈(g2) 각각은 제2 방향(X)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g1)과 제2 홈(g2)은 제1 방향(Y)에서 제2 친액 패턴(144)의 일측 단부에 거칠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2 친액 패턴(144)은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통해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 방향으로 제2 친액 패턴(144) 상에 토출시킬 때, 제2 친액 패턴(144)의 일측 단부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을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으면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복수의 홈(gp1)에 가둘 수 있다.
즉, 제2 친액 패턴(144)은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 방향으로 제2 친액 패턴(144) 상에 토출시킬 때, 제1 홈(g1)과 제2 홈(g2)을 통해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받는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으면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복수의 홈(gp1)에 가둘 수 있다. 이로 인해,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원치 않게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계속 퍼지는 것이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2 친액 패턴(144) 상에 토출시 제1 방향(Y)에서 처음 부분이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관성을 크게 받지 않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의 제2 친액 패턴(144) 상에 토출시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친액 패턴(140)은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토출 장치(1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140) 상에 토출할 때, 제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a)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142)과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a)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144)을 통해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와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가 제1 친액 패턴(142)의 일측과 제2 친액 패턴(144)의 일측에서 일치하고 제1 친액 패턴(142)의 타측과 제2 친액 패턴(144)의 타측에서 일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와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가 균일해져, 정공 수송층(150) 중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과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이 균일해질 수 있다.
정공 수송층(150)은 친액 패턴(140) 상에 배치된다. 정공 수송층(150)은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을 따라 컨포말(conformal)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수송층(150)은 제1 친액 패턴(142)의 복수의 홈(gp1)과 제2 친액 패턴(144)의 복수의 홈(gp1)을 매립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150)은 정공 주입층(130)으로부터 친액 패턴(140)을 통해 정공을 제공받는다. 정공 수송층(150)은 정공 주입층(130)으로부터 친액 패턴(140)을 통해 제공받는 정공을 발광층(16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공 수송층(150)은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공 수송층(150)은 박막을 균일하게 형성하는데 유리한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토출 장치(1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140) 상에 토출시키고 건조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160)은 정공 수송층(150) 상에 형성된다. 발광층(160)은 제1 전극(110)에서 제공되는 정공과 제2 전극(190)에서 제공되는 전자를 재결합시켜 광을 방출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층(160)에 정공 및 전자가 제공되면 정공 및 전자가 결합하여 엑시톤을 형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변화면서 광을 방출시킨다. 이러한 발광층(160)은 적색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층, 및 청색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60)은 잉크젯 프린트 방법 또는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하나의 적색 발광 물질을 포함하거나, 호스트와 적색 도펀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색 발광층의 호스트의 예로는 Alq3(tris(8-quinolinorate)aluminum), CBP(4,4'-N,N'-dicarbazol-biphenyl), PVK(ploy(n-vinylcarbazole)), ADN(9,10-Di(naphthyl-2-yl)anthrace), TCTA(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2-yl)benzene), TBADN(3-tert-butyl-9,10-di(naphth-2-yl) anthracene), E3(ter-fluorene), DSA(distyrylar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적색 도펀트로서, PtOEP, Ir(piq)3, Btp2Ir(acac)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은 하나의 녹색 발광 물질을 포함하거나, 호스트와 녹색 도펀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의 호스트로는 상기 적색 발광층의 호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녹색 도펀트로서, Ir(ppy)3, Ir(ppy)2(acac), Ir(mpyp)3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청색 발광층은 하나의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하거나, 호스트와 청색 도펀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의 호스트로는 상기 적색 발광층의 호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 도펀트로서, F2Irpic, (F2ppy)2Ir(tmd), Ir(dfppz)3, ter-fluorene, DPAVBi(4,4'-bis(4-diphenylaminostyryl) biphenyl), TBPe(2,5,8,11-tetra-ti-butyl pherylen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170)은 발광층(160) 상에 배치되며, 제2 전극(190)으로부터 전자 주입층(180)을 통해 전자를 제공받는다. 전자 수송층(170)은 제2 전극(190)으로부터 전자 주입층(180)을 통해 제공받은 전자를 발광층(16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 수송층(170)은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BAlq(aluminum(III)bis(2-methyl-8-hydroxyquinolinato)4-phenylphenolate), Alq3(tris(8-quinolinorate)aluminum), Bebq2(berylliumbis(benzoquinolin-10-olate),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e-2-yl)benzene)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170)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주입층(180)은 전자 수송층(170) 상에 형성되며, 제2 전극(190)으로부터 전자를 제공받는다. 전자 주입층(180)은 전자 수송층(170)과 제2 전극(190) 사이의 에너지 장벽을 낮추는 완충층으로써 제2 전극(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가 전자 수송층(170)으로 용이하게 주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 주입층(180)은 예를 들어, LiF 또는 CsF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주입층(180)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190)은 전자 주입층(180) 상에 형성되며, 발광층(160)으로 전자를 전자를 제공하는 캐소드 전극 또는 정공을 제공하는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190)이 캐소드 전극인 것으로 예시한다. 제2 전극(190)도 제1 전극(110)과 마찬가지로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190)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2 전극(190)의 상부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은 절연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0) 상의 제2 전극(190)과 봉지 기판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봉지 기판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봉지막이 전체 구조물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142)과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144)을 포함하는 친액 패턴(140)을 구비함으로써, 토출 장치(1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140) 상에 토출할 때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제1 방향(Y)에서 더미 화소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와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가 제1 친액 패턴(142)의 일측과 제2 친액 패턴(144)의 일측에서 일치하고 제1 친액 패턴(142)의 타측과 제2 친액 패턴(144)의 타측에서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와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가 균일해져, 정공 수송층(150) 중 제1 친액 패턴(142)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과 제2 친액 패턴(144)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이 균일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15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정공 수송층(150) 상에 형성되는 발광층(16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특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해져, 발광 표시 장치(1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친액 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는 평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2 친액 패턴을 예로 들어 도시되었으나, 제1 친액 패턴도 제2 친액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6은 제2 친액 패턴(144a)의 복수의 홈(gp11)이 제1 홈(g11)과 제2 홈(g12)을 포함하되, 제1 방향(Y)에서 제1 홈(g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홈(g12)의 폭(W12)이 제1 홈(g11)의 폭(W11)의 폭보다 큰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제2 친액 패턴(144a)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받는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7은 제2 친액 패턴(144b)의 복수의 홈(gp21)이 제1 홈들(g21)과 제2 홈들(g22)을 포함하되, 격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1 홈들(g21)은 제2 방향(X)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지며, 제2 홈들(g22)은 제1 방향(Y)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지며 제1 홈들(g21)과 교차한다.
이러한 제2 친액 패턴(144b)도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받는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8은 제2 친액 패턴(144c)의 복수의 홈(gp31)이 제1 홈(g31)과 제2 홈(g32)을 포함하되, 제1 홈(g31)과 제2 홈(g32) 각각이 제1 방향(Y)과 제2 방향(X) 사이에서 사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제2 친액 패턴(144b)도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받는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증가시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V-V' 선 및 VI-V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VII-VII' 선 및 VIII-VIII' 선을 따라 절취되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친액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200)는 도 2의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기판(205) 및 친액 패턴(240)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200)에서는 기판(205) 및 친액 패턴(2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200)는 기판(205), 제1 전극(110), 화소 정의막(120), 정공 주입층(130), 친액 패턴(240), 정공 수송층(150), 발광층(160), 전자 수송층(170), 전자 주입층(180) 및 제2 전극(190)을 포함한다. 각 부재들은 도 10의 Z 방향으로 순차 적층된다.
기판(205)은 도 1 및 도 2의 기판(105)과 유사하다. 다만, 기판(205)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P)가 복수의 화소 열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화소 블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화소 블럭은 제1 단위 화소 블럭(UB1) 내지 제t번째 단위 화소 블럭(UBt; t는 2 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화소 블럭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 화소 열 그룹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위 화소 블럭(UB1)에는 제1 화소 열 그룹(P11, P21, ..., Pn1), 제2 열 그룹(P12, P22, ..., Pn2) 및 제3 화소 열 그룹(P13, P23, ..., Pn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위 화소 블럭(UB2)에는 제4 화소 열 그룹(P14 P24, ..., Pn4), 제5 화소 열 그룹(P15, P25, ..., Pn5) 및 제6 화소 열 그룹(P16, P26, ..., Pn6)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화소 블럭에 3개의 화소 열 그룹이 포함되는 것은 토출 장치(20)의 노즐(20a, 20b, 20c)의 개수가 3개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노즐 프린트 방법에 의해 제1 노즐(20a)로부터 제1 단위 블럭(UB1)의 제1 열 그룹(P11, P21, ..., Pn1)에 해당하는 화소(P)에 유기 용액이 토출될 수 있으며, 제2 노즐(20b)로부터 제1 단위 블럭(UB1)의 제2 열 그룹(P12, P22, ..., Pn2)에 해당하는 화소(P)에 용액이 토출될 수 있고, 제3 노즐(20c)로부터 제1 단위 블럭(UB1)의 제3 열 그룹(P13, P23, ..., Pn3)에 해당하는 화소(P)에 유기 용액이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단위 화소 블럭에 포함되는 화소 열 그룹의 개수는 하나의 토출 장치에 포함된 노즐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친액 패턴(240)은 도 2의 친액 패턴(140)과 유사하다. 다만, 친액 패턴(240)은 제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들(242)로 이루어지는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과,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들(244)로 이루어지는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과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은 제2 방향(X)에서 교번되게 배치된다.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과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의 제1 패턴들(242)은 정공 주입층(130) 상에서 제2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242)은 제1 단위 블럭(UB1)의 제1 열 그룹(P11, P21, ..., Pn1), 제2 열 그룹(P12, P22, ..., Pn2) 및 제3 열 그룹(P13, P23, ..., Pn3) 각각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2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2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3)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23)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24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 친액 패턴(242)의 형상 및 역할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친액 패턴(142)의 형상 및 역할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에서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에 포함되는 제1 친액 패턴(242)의 개수는 3개로 도시되었으나, 2개거나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2 친액 패턴 그룹 (244G)의 제2 패턴들(244)은 정공 주입층(130) 상에서 제2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패턴들(244)은 제2 단위 블럭(UB2)의 제4 열 그룹(P14, P24, ..., Pn4), 제5 열 그룹(P15, P25, ..., Pn5) 및 제6 열 그룹(P16, P26, ..., Pn6) 각각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4)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4)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14)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2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5)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5)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15)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2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은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26)의 외측 영역(OA)부터 더미 화소(DP16)의 외측 영역(OA)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DP16)의 외측 영역(OA)에서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24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 친액 패턴(244)의 형상 및 역할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친액 패턴(144)의 형상 및 역할과 유사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에서 제2 친액 패턴 그룹 (244G)에 포함되는 제2 친액 패턴(244)의 개수는 3개로 도시되었으나, 2개거나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제2 친액 패턴 그룹 (244G)에 포함되는 제2 친액 패턴(244)의 개수는 제1 친액 패턴 그룹 (242G)에 포함되는 제1 친액 패턴(242)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200)는 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들(242)을 포함하는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과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들(244)을 포함하는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을 구비하는 친액 패턴(240)을 구비함으로써, 토출 장치(20)가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하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화소들(P)의 친액 패턴(240) 상에 토출할 때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제1 방향(Y)에서 더미 화소의 외측 영역(OA)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와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가장자리부가 제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의 일측과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의 일측에서 일치하고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의 타측과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의 타측에서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와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건조 속도가 균일해져, 정공 수송층(150) 중 제1 친액 패턴 그룹(242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과 제2 친액 패턴 그룹(244G)에 토출되는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부분의 형상이 균일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이 건조되어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15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정공 수송층(150) 상에 형성되는 발광층(16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특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해져, 발광 표시 장치(2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및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22에서는, 도 1의 I-I' 선과 III'-III 선을 따라 절치된 부분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도 1의 P)가 정의되는 기판(105) 상에 각 화소 별로 제1 전극(110)을 형성한다. 제1 전극(110)은 기판(105) 상에 투명 전극 물질 또는 반사 물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 상에 각 화소(도 1의 P)를 구획하며 제1 전극(110)을 노출하는 개구부(121)를 갖는 화소 정의막(120)을 형성한다. 화소 정의막(120)은 제1 전극(110)을 덮도록 기판(105)의 전면(全面)에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절연 물질을 증착하고, 증착된 절연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0) 상에 정공 주입층(130)을 형성한다. 정공 주입층(130)은 슬릿 코팅 등을 이용해 제1 전극(110)뿐 아니라 화소 정의막(12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면, 정공 주입층(130) 상에서 제1 방향(Y)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제1 전극들(110)과 화소 정의막(120)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화소들(P)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제1 친액 패턴(142)와 제2 친액 패턴(144)을 포함하는 친액 패턴(140)을 형성한다.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은 제2 방향(X)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되, 제1 친액 패턴(142)은 제1 방향(Y))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2 친액 패턴(144)은 제1 방향(Y))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은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에 대해 화소 정의막(120)보다 친액성을 가지도록, 즉 제1 친액 패턴(142)과 제2 친액 패턴(144)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이 화소 정의막(120)에 대한 정공 수송 용액(도 17의 150a)의 접촉각보다 작게 하는 도전성 프라이머(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친액 패턴(140) 상에 정공 수송층(150)을 형성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액 패턴(140) 상에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토출 장치(10)로 정공 수송 용액(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으로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과,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으로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더미 화소(DP2m)의 외측 영역(OA)까지 토출시킨다. 이때, 친액 패턴(140)과 토출 장치(10) 사이에는 가림 마스크(M)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가림 마스크(M)가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용 기판(105)이 형성될 영역과, 또다른 발광 표시 장치용 기판(105a)가 형성될 영역을 포함하는 모 패널에 적용되는 것이 예시되었다.
이러한 가림 마스크(M)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5) 중 표시 영역(도 1의 DA)의 복수의 화소(도 1의 P)를 적어도 노출하는 오픈부(OP)와, 오픈부(OP)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단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 마스크(M)는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수송층(150)과 발광층(160)을 기판(105) 중 표시 영역(도 1의 DA)의 복수의 화소(도 1의 P)에 형성시킬 때 정공 수송 용액과 발광 용액이 기판(105) 중 표시 영역(도 1의 DA)의 복수의 화소(도 1의 P)의 외측으로 흘러 회로부의 컨택 영역 또는 실링 부재가 형성될 영역에 유기층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기판(105) 중 표시 영역(도 1의 DA)의 복수의 화소(도 1의 P)의 화소 외측에 흘러 형성되는 유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토출 장치(10)로 정공 수송 용액(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예를 들어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으로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시 가림 마스크(M)의 차단부(BP)와 가까워지는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정공 수송 용액(150a)이 관성을 크게 받는다. 이에 따라,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정공 수송 용액(150a)의 관성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친액 패턴(144)의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gp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정공 수송 용액(150a)이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에서 더 이상 외측으로 흘러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토출 장치(10)로 정공 수송 용액(150a)을 제1 방향(Y)을 따라 예를 들어 더미 화소(DP11)의 외측에서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시, 정공 수송 용액(150a)의 토출이 가림 마스크(M)의 오픈부(OP)에서 차단부(BP)로 가까워질 때 보다 가림 마스크(M)의 차단부(BP)에서 오픈부(OP)로 수행되기 시작할 때 가림 마스크(M)가 오픈부(OP)에서 정공 수송 용액(150a)의 토출이 시작되는 차단부(BP) 방향으로 쉬프트 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림 마스크(M)가 제1 방향(Y)에서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으로 쉬프트 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정공 수송 용액(150a)을 가림 마스크(M)의 차단부(BP)에 간섭 없이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시켜,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되어 형성되는 가장자리부와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되어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일치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이후, 친액 패턴(140) 상에 토출된 정공 수송 용액(150a)을 건조시키면, 도 19와 같이 균일한 정공 수송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정공 수송층(150) 상에 발광층(16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 수송층(150) 상에 노즐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토출 장치(11)로 발광 용액(160a)을 제1 방향(Y)을 따라 더미 화소(DP11)의 외측 영역(OA)으로부터 더미 화소(DP21)의 외측 영역(OA)과, 더미 화소(DP22)의 외측 영역(OA)으로부터 더미 화소(DP12)의 외측 영역(OA)으로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더미 화소(DP2m)의 외측 영역(OA)까지 토출시킨다. 이때, 정공 수송층(150)과 토출 장치(11) 사이에는 가림 마스크(M)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160)의 형성 방식은 정공 수송층(150)의 형성 방식과 동일하다.
이후, 정공 수송층(150) 상에 토출된 발광 용액(160a)을 건조시키면, 도 21과 같이 균일한 발광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2를 참조하면, 발광층(160) 상에 전자 수송층(170), 전자 주입층(180) 및 제2 전극(190)을 형성한다. 전자 수송층(170), 전자 주입층(180) 및 제2 전극(190)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2 전극(190)의 상부에 봉지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2 전극(190)과 봉지 기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을 배치하는 것과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발광 표시 장치 105, 205: 기판
110: 제1 전극 120: 화소 정의막
130: 정공 주입층 140, 240: 친액 패턴
142, 242: 제1 친액 패턴 144, 244: 제2 친액 패턴
150: 정공 수송층 160: 발광층
170: 전자 수송층 180: 전자 주입층
190: 제2 전극

Claims (20)

  1.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
    상기 친액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의 폭 각각은 동일한 발광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발광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격자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에서 사선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각각을 따라 컨포말하게 형성되는 발광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에 배치되는 더미 화소들을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발광색을 방출하는 상기 화소들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0.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
    상기 친액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제1 친액 패턴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제2 친액 패턴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친액 패턴 그룹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그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일직선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격자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사이에서 사선 형상을 가지는 발광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2 친액 패턴 각각을 따라 컨포말하게 형성되는 발광 표시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에 배치되는 더미 화소들을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발광색을 방출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7.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 별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 화소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방향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들의 외측 영역까지 연장되는 친액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친액 패턴 상에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 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친액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일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친액 패턴과 상기 제1 방향에서 타측 단부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제2 친액 패턴을 교번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발광층은 노즐 프린트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화소들을 적어도 노출시키는 오픈부와 상기 오픈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가림 마스크를 상기 친액 패턴의 상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토출 장치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정공 수송 용액을 상기 친액 패턴 상에 토출시키고 건조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마스크는 상기 정공 수송 용액의 토출이 상기 가림 마스크의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차단부로 오픈부로 가까워질 때 보다 상기 가림 마스크의 상기 차단부에서 오픈부로 수행되기 시작될 때 상기 오픈부에서 상기 정공 수송 용액의 토출이 시작되는 상기 차단부 방향으로 쉬프트 되도록 이동되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140245A 2015-10-06 2015-10-06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45A KR102431626B1 (ko) 2015-10-06 2015-10-06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5/133,458 US9941336B2 (en) 2015-10-06 2016-04-20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45A KR102431626B1 (ko) 2015-10-06 2015-10-06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307A true KR20170041307A (ko) 2017-04-17
KR102431626B1 KR102431626B1 (ko) 2022-08-11

Family

ID=5844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245A KR102431626B1 (ko) 2015-10-06 2015-10-06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41336B2 (ko)
KR (1) KR102431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0600A (zh) * 2019-12-31 2021-07-1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45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9659451A (zh) * 2019-01-29 2019-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1668381B (zh) * 2020-06-19 2023-0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864101A (zh) * 2020-07-06 2020-10-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3130803B (zh) * 2021-03-29 2023-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背板、显示装置以及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6601A1 (en) * 2013-04-15 2014-10-16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4172B2 (en) 2006-03-02 2012-02-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contained layers and devices made with same
KR101997571B1 (ko) * 2012-10-08 2019-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1978B1 (ko) * 2014-08-22 2020-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5519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202B1 (ko) * 2015-06-29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6601A1 (en) * 2013-04-15 2014-10-16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40124069A (ko) * 2013-04-15 2014-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0600A (zh) * 2019-12-31 2021-07-1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130600B (zh) * 2019-12-31 2024-05-10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1336B2 (en) 2018-04-10
US20170098687A1 (en) 2017-04-06
KR102431626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626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7490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248035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13938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1180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64922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57596B1 (ko)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81978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13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7825A (ko)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KR102368768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2337319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35575A1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