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050A -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050A
KR20170041050A KR1020150140509A KR20150140509A KR20170041050A KR 20170041050 A KR20170041050 A KR 20170041050A KR 1020150140509 A KR1020150140509 A KR 1020150140509A KR 20150140509 A KR20150140509 A KR 20150140509A KR 20170041050 A KR20170041050 A KR 2017004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late
water
vertical fram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024B1 (ko
Inventor
남상용
남상우
소창호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02P60/24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삽입결합된 진열플레이트가 상, 하 순환되는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사용에 의한 다육식물의 전시위치 선정 및 다육식물에 조사되는 일조량 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열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하여 화분에 물 공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 우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 하부에 회전구가 설치되고 상, 하부의 회전구를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의 상단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가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체인에 연결지지되어 회전되며 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진열홈이 형성된 진열플레이트와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 안착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화분과 상기 수직프레임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는 수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Apparatus for displaying succulent plant on the wall surface}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삽입결합된 진열플레이트가 상, 하 순환되는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사용에 의한 다육식물의 전시위치 선정 및 다육식물에 조사되는 일조량 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열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하여 화분에 물 공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은 흙ㆍ돌ㆍ물ㆍ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말하는데, 그 구성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물 등이 있다.
그리고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ㆍ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한다.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원은 실외에 많이 설치되는 것으로, 그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 및 공기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벽면에 녹화를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부(112)와 저수공간부(122)를 갖고, 전면을 향해 외부식생공이 형성된 식생하우징(100) 상기 식생하우징(100)의 수납공간부(112)에 수납되고, 공기와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식생공(102)과 연통되도록 내부식생공(202)이 형성된 식생주머니(200) 상기 식생주머니(200) 내부에 식생을 위한 충진되는 식생토양(300) 및 상기 식생하우징(100)의 저수공간부(122)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주머니(200)로 전달하기 위한 물전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식생하우징(100)은, 내부에 수납공간부(112)가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 배수공(116)이 형성되며, 전면은 상기 외부식생공(102)의 하단부 일부가 형성된 하우징몸체(110) 하측과 좌, 우측으로 개방된 걸림공간부(124)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와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부(112)와 상단부에서 연통되는 저수공간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부(12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공이 형성된 하우징걸림부(120),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수납공간부(112)와 하우징걸림부(120)의 저수공간부(122)를 개폐시키고,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전면 상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의해 형성된 외부식생공(102)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부(112) 및 저수공간부(122)와 연통되는 다수의 유입공(132)이 형성된 하우징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벽면에 녹화를 위해 식생포트가 설치되고 있으나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벽면에 설치하므로써 다양한 전시효과를 볼 수 없으며, 고정된 다수의 식생포트에 고르게 일조량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2658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삽입결합된 진열플레이트가 상, 하 순환되는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사용에 의한 다육식물의 전시위치를 선정토록 하며 다육식물에 조사되는 일조량 등의 조절할 수 있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 우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 하부에 회전구가 설치되고 상, 하부의 회전구를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의 상단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가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체인에 연결지지되어 회전되며 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진열홈이 형성된 진열플레이트와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 안착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화분과 상기 수직프레임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수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체인 일측면에는 돌출된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내설되도록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일측 상단에는 결합힌지공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 삽입결합된 화분의 무게에 따라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중심무게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배출되는 상기 수조공간부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수평으로 형성된 배출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는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하부 회전구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진열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실린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외주면에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가 권취된 보호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는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삽입결합된 진열플레이트가 상, 하 순환되는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사용에 의한 다육식물의 전시위치를 선정할 수 있고, 다육식물에 조사되는 일조량 등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하여 화분에 물을 유입시 상기 수직프레임의 걸림돌기에 의해 화분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면 녹화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a는 도 3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b는 도 4a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 9b는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 우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상, 하부에 회전구(22)가 설치되고 상, 하부의 회전구(22)가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 체인(24)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22)의 상단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26)가 설치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에 연결지지되어 회전되며 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진열홈(32)이 형성된 진열플레이트(30)와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안착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체결돌기(42)가 형성된 화분(40)과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는 수조공간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52)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54)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에는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시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결착된 다수의 화분(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한 양의 물이 담수되어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에 물이 담수 되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를 통과하며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삽입결합된 화분(4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응되게 좌, 우측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0)이 지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0)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30)를 회동시키는 구동부(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부(20)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 하부에는 기어형태의 회전구(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구(22)를 서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24)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회전구(22) 상단에는 상기 회전구(22)의 회전을 제어 및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가 구비된 동력전달제어부(2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좌, 우측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부(20)의 체인(24)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30) 양측단이 연결결합되되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삽입결합된 화분(40)이 수직방향으로 지지함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시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삽입결합된 화분(40)이 흔들림 없이 수직된 형태로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 일측면에는 돌출된 힌지축(24-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4-2)이 내설되도록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일측 상단에는 결합힌지공(34)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삽입결합된 화분(40)의 무게에 따라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중심무게추(35)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이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시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에 형성된 힌지축(24-2)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결합힌지공(34)에 삽입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중심을 조절하는 중심무게추(35)를 설치하여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수직방향으로 유지하여 정면으로 화분(40)을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중심무게추(35)는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삽입결합되는 화분(40)의 개수에 따라 용이하게 중심무게추(35)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화분(40)은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파손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상기 화분(40)이 탈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진열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40)의 일측단에는 체결돌기(42)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화분(40)을 진열플레이트(30)에 고정결합 및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분(40)은 다양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사계절에 따라 변화가 적고, 소형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는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회동궤적으로 이동시 상기 진열플레이트(30)에 삽입결합된 화분(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도록 수조공간부(52)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5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화분(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에는 상기 화분(40)에 적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유입하도록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52)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5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40)이 결합된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에 진입시 상기 수조공간부(52)에 형성된 걸림돌기(54)가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이면에 맞닿아 상기 진열플레이트(3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화분(40)에 적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정량의 물이 화분(40)에 공급될 수 있어 상기 진열플레이트(30)를 지지함과 회동시키는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에 걸리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상기 체인(24)의 제품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분(40)에 유입된 물이 적정용량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배출되는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배출돌기(1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하여 상부로 이동시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단에는 형성된 배출돌기(16)에 의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하여 상기 화분(40)에 과공급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화분(40)에 유입된 물이 적정용량을 더욱더 유지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는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3)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의 하부 회전구(22)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프레임(10)에는 상기 감지센서(33)에 따라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진열플레이트(30)를 회동시키는 실린더(6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분(40)에 물이 유입된 후 상부로 이동시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3)가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무게를 감지하여 초과중량이 발생시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실린더(60)가 작동하여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측면을 가압하여 회동시켜 상기 화분(40)에 유입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량의 물을 화분(40)에 공급할 수 있어 상기 구동부(30)의 체인(24)에 하중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60)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1)는 벽면에 고정설치하여 사계절 사용되고 있어 온도에 따라 식물의 생존기간을 유지함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부 외주면에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가 권취된 보호롤러(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는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건물, 옹벽 등의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 우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10)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상, 하부에 회전구(22)가 설치되고 상, 하부의 회전구(22)를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 체인(24)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22)의 상단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26)가 설치된 구동부(20)가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20)의 체인(24)에 연결지지되어 회전되며 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진열홈(32)이 형성된 진열플레이트(30)가 결합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진열홈(32)에는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40)이 상기 화분의 체결돌기(42)에 의해 결합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는 수조공간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52)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54)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건물, 옹벽 등의 외벽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1)는 구동부(20)의 동력제어부(26)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회전구(22)와 체인(24)가 회동하므로써 상기 체인(24)에 연결된 상기 진열플레이트(30)의 회동궤적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수조공간부(52)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걸림돌기(54)에 걸려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회동하므로써 화분(40)에 물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상기 체인(24)에 회동되어 상기 진열플레이트(30)가 전면방향으로 수직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시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육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삽입결합된 진열플레이트가 상, 하 순환되는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되어 사용에 의한 다육식물의 전시위치를 선정할 수 있고, 다육식물에 조사되는 일조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회동궤적을 따라 이동하여 화분에 물을 유입시 상기 수직프레임의 걸림돌기에 의해 화분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10 : 수직프레임 16 : 배출돌기
20 : 구동부 22 : 회전구
24 : 체인 24-2 : 힌지축
26 : 동력제어부
30 : 진열플레이트 32 : 진열홈
33 : 감지센서
34 : 결합힌지공 35 : 중심무게추
40 : 화분 42 : 체결돌기
50 : 베이스 프레임 52 : 수조공간부
54 : 걸림돌기
60 : 실린더 70 : 보호롤러

Claims (5)

  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좌, 우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 하부에 회전구가 설치되고 상, 하부의 회전구를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회전구의 상단에는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제어부가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체인에 연결지지되어 회전되며 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진열홈이 형성된 진열플레이트와;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 안착결합되도록 일측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화분과;
    상기 수직프레임 하부 내측에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는 수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유입되는 상기 수조공간부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체인 일측면에는 돌출된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내설되도록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일측 상단에는 결합힌지공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 삽입결합된 화분의 무게에 따라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중심무게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플레이트가 배출되는 상기 수조공간부 내측 일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수평으로 형성된 배출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진열홈에는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하부 회전구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상기 진열플레이트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진열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실린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외주면에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가 권취된 보호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1020150140509A 2015-10-06 2015-10-06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10178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09A KR101783024B1 (ko) 2015-10-06 2015-10-06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09A KR101783024B1 (ko) 2015-10-06 2015-10-06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50A true KR20170041050A (ko) 2017-04-14
KR101783024B1 KR101783024B1 (ko) 2017-09-28

Family

ID=5857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09A KR101783024B1 (ko) 2015-10-06 2015-10-06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7748A (zh) * 2019-03-20 2019-06-28 福建时创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展览墙
US11617310B1 (en) * 2022-03-07 2023-04-04 Nicol Floral Design LLC Modular flower wa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74B1 (ko) * 2018-11-29 2020-09-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장치
KR102655561B1 (ko) 2021-11-04 2024-04-09 이규상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02B1 (ko) 2012-09-28 2013-05-20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식생포트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47B1 (ko) * 2007-04-19 2008-08-13 주식회사 티에스팜 회전식 재배장치
US20140182197A1 (en) * 2013-01-03 2014-07-03 Fung Gin Da Energy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Rotary type automatic agricultural cultivat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02B1 (ko) 2012-09-28 2013-05-20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식생포트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7748A (zh) * 2019-03-20 2019-06-28 福建时创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展览墙
US11617310B1 (en) * 2022-03-07 2023-04-04 Nicol Floral Design LLC Modular flower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024B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KR101783024B1 (ko)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US5675932A (en) Plant growing system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0960340B1 (ko) 식물 재배장치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CN205671055U (zh) 一种植物栽培架
CN105104158A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JP2007306895A (ja) 植物水耕栽培装置
KR101408932B1 (ko) 디지털 기반의 가전형 식물재배장치
KR101818644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189835B1 (ko) 관상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등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쇼케이스형 농업용 수경재배장치
CN204443485U (zh) 一种自动旋转蜂窝状结构的立体柱式家庭鱼菜共生装置
KR20160095863A (ko) 윈도우 가든
CN105875251A (zh) 一种植物栽培架
KR10127983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50129923A (ko)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KR20210079706A (ko) 식물재배기
KR20110132697A (ko)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CN107306783B (zh) 芽苗菜栽培装置
JP2010017161A (ja) 壁面緑化パネル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KR102436031B1 (ko) 회전식 식물 재배기
CN205912626U (zh) 一种多功能植物种植装置
CN104012343B (zh) 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