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45B1 -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45B1
KR101702445B1 KR1020150011142A KR20150011142A KR101702445B1 KR 101702445 B1 KR101702445 B1 KR 101702445B1 KR 1020150011142 A KR1020150011142 A KR 1020150011142A KR 20150011142 A KR20150011142 A KR 20150011142A KR 101702445 B1 KR101702445 B1 KR 10170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housing
supply
housing pa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038A (ko
Inventor
박청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45B1/ko
Priority to PCT/KR2015/006989 priority patent/WO2016117779A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Abstract

본 발명은 양액을 저장하고,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식물이 삽입되고 상기 식물과 상기 양액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화분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하측으로 배출시키고,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하는 양액 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부에 양액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공급받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수경재배장치는 유리창 또는 벽면 등과 같이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 여유공간이 없어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양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높아졌다 낮아졌다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경재배장치{WATER 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액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시키거나 상하로 변동시키면서 유리창 또는 벽면 등과 같이 햇볕이 잘 드는 장소라면 어디에나 설치가 가능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대도시의 경우에, 사람들의 공동주택 거주 비율은 80 퍼센트를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대도시 공동주택에서는 자연 환경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 최근 대도시 공동주택의 경우에, 자연 환경을 즐길 수 있는 공원이 함께 건설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동주택 내에서도 친환경적인 채소재배와 조경으로 자연미를 느낄 수 있기 위하여 베란다나 실내공간을 활용하는 사례도 있으나, 대체로 여유공간이 부족하여 여의치 않다. 이때 친환경적이면서 여유공간이 별로 필요하지 않고 흙이 없어도 다양한 과채류나 화초를 담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웰빙 열풍으로 인해 친환경 및 유기농 채소에 대한 요구가 많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흙이 불필요한 수경재배 방식을 채택하여, 친환경 채소를 재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리창 또는 벽면 등과 같이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 여유공간이 없어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양액을 저장하고,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식물이 삽입되고 상기 식물과 상기 양액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화분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하측으로 배출시키고,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하는 양액 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부에 양액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공급받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양액이 저장되는 메인 하우징부; 및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화분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부에는 상기 화분부가 삽입되는 화분 삽입구, 및 양액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양액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하면에는 상기 양액 조절부가 삽입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상기 양액이 배출되는 수직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유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부를 통해 상기 양액을 공급받거나 배출시키는 수평 유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양액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액 유입관;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양액 유입관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양액 배출관; 상기 양액 유입관의 상단과 상기 양액 배출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조절 연결관; 및 상기 조절 연결관과 인접하게 상기 양액 유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양액 유입관의 내부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양액 조절부는, 상기 양액 배출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양액 배출관과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 사이를 폐쇄하는 탄성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탄성 패킹부는, 상기 탄성 패킹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탄성 패킹부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유리창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부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행거 지지부들; 상기 행거 지지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행거 바아부; 및 상기 행거 바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리부의 종단부가 삽입가능한 연결홀이 형성된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연결 고리부의 종단부가 삽입가능한 고리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고정부; 및 유리창 또는 벽면에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부가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유리창 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하고, 상기 양액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양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양액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양액을 공급받는 수집 하우징부; 상기 공급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공급 유도부; 상기 공급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급 유도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 하우징부의 양액을 상기 공급 유도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하는 공급 구동부; 및 상기 공급 유도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공급 유도부를 통해 유동하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급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양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공급 유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급 유도부로부터 양액을 공급받고, 하우징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양액을 상기 하우징부로 공급하는 공급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하우징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양액 조절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하우징부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는 하우징부, 화분부, 양액 조절부 및 유도부를 포함하여, 양액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하우징부는 양액을 저장하고, 화분부는 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부에 삽입된다. 이때, 양액 조절부는 하우징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하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특히, 양액 조절부는 양액 유입관, 양액 배출관, 조절 연결관 및 공기 공급관으로 이루어져 양액을 하우징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하우징부에서 양액으로 인한 수위가 설정된 수위이하일 때 공기의 공급을 통해 양액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유도부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부들을 동일한 수위로 유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는 양액이 저장되는 하우징부에서 양액의 수위를 일정한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하여, 하우징부에 결합된 화분부의 식물이 안정적으로 산소와 비료성분과 수분을 번갈아 공급받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는 연결 고리부를 더 포함한다. 연결 고리부는 하우징부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유리창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사이에 하우징부가 위치된 행거 지지부들을 연결하면서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행거 바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는 햇볕이 잘 드는 유리창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흙이 없거나 여유공간이 없어도 원하는 햇볕이 잘 드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의 양액 조절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에서 하우징부가 연결 고리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가 유리창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가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가 행거 지지부들 및 행거 바아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의 양액 조절부(103)가 하우징부(101)에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에서 하우징부(101)가 연결 고리부(105)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가 유리창(1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가 벽면(2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경재배장치(100)가 행거 지지부(107)들 및 행거 바아부(108)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00)는 하우징부(101), 화분부(102), 양액 조절부(103) 및 유도부(104)를 포함하고, 유리창(10)이나 벽면(20)에 설치되어 하우징부(101)의 저장된 양액을 이용하여 화분부(102)에 수용된 식물 즉, 허브, 채소, 화훼 등을 재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하우징부(101)는 양액을 저장하고,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부(101)는 메인 하우징부(111) 및 하우징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부(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양액을 저장한다. 여기서, 양액은 양액 조절부(103)에 의해 설정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부(111)에는 수직 배출구(111a) 및 수평 유도구(111b)가 형성된다.
수직 배출구(111a)는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면에 형성된다. 양액은 수직 배출구(111a)를 통해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수직 배출구(111a)는 경우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수평 유도구(111b)는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다. 양액은 수평 유도구(111b)를 통해 메인 하우징부(11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하우징부(1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유도구(111b)도 경우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부(113)는 메인 하우징부(111)의 상면을 폐쇄하고, 양액 조절부(103)가 메인 하우징부(11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설치된 양액 조절부(103)가 교체될 때에는 메인 하우징부(111)의 상면을 개방한다. 또한, 하우징 커버부(113)에는 화분 삽입구(113a) 및 양액 공급구(113b)가 형성된다. 화분 삽입구(113a)에는 화분부(102)가 삽입되어, 화분부(102)는 하우징부(101)의 하우징 커버부(113)에 결합된다. 또한, 양액은 양액 공급구(113b)를 통해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의 내부에 공급된다.
화분부(102)는 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부(101)의 하우징 커버부(113)에 결합된다. 이때, 화분부(102)가 하우징 커버부(113)의 화분 삽입구(1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식물은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에 저장된 양액과 접촉되어, 재배될 수 있다.
또한, 화분부(102)의 하면에는 화분 개구(102a)들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화분부(102)가 화분 삽입구(1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액은 화분 개구(102a)들을 통해 화분부(102)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고, 식물의 뿌리는 성장하여 화분부(102)를 벗어나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에 진출될 수 있다.
양액 조절부(103)는 하우징부(101)에 수용되어, 하우징부(101)의 저장된 양액을 하측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양액 조절부(103)는 저장부(101)의 내부에서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시키거나 상하로 반복하여 유동시킨다. 또한, 양액 조절부(103)는 양액 유입관(131), 양액 배출관(133), 조절 연결관(135), 공기 공급관(137) 및 탄성 패킹부(139)를 포함한다.
양액 유입관(131)은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양액 배출관(133)은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면을 관통하여 양액 유입관(131)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때, 양액 배출관(133)은 메인 하우징부(111)의 수직 배출구(111a)에 삽입된 상태이다.
조절 연결관(135)은 양액 유입관(131)의 상단과 양액 배출관(133)의 상단을 연결하고, 공기 공급관(137)은 조절 연결관(135)에 인접하면서 양액 유입관(131) 상에 설치되어 양액 유입관(131)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공기는 하우징부(101)의 외부에서 공급되고, 유입된 공기는 양액의 수압을 소멸시킨다. 또한, 양액 유입관(131)에서 공기 공급관(137)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는 위치는 하우징부(101)에서 양액의 설정된 수위를 결정한다. 또한, 공기 공급관(137)의 상단, 즉 공기 유입구는 조절 연결관(135)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야 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양액은 조절 연결관(135)의 상단까지 높아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양액이 하우징부(101)에서 설정된 수위로 저장되어 하우징부(101)에 가득 채워진 상태일 때, 양액은 자체 수압으로 인해 양액 유입관(131)에 유입된다. 이때, 양액 유입관(131)에 유입된 양액은 조절 연결관(135) 및 양액 배출관(133)을 통해 하우징부(101)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양액이 계속하여 배출되어 하우징부(101)에서 양액이 설정된 수위보다 낮아질 수 있다. 즉, 양액의 수위가 공기 공급관(137)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는 위치보다 낮을 때, 공기 공급관(137)은 양액 유입관(131)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양액의 수압이 소멸하여 양액 유입관(131)에서 양액의 이동이 정지되고, 양액은 더 이상 양액 유입관(131)에 유입되지 않고 양액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양액은 하우징부(101)의 내부에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으므로 양액의 수위는 계속하여 증가한다. 이러한 양액의 수위 증가는 양액이 자체 수압으로 인해 양액 유입관(131)에 유입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양액 유입관(131)의 하단은 하우징부(101)의 하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양액이 양액 유입관(131)으로 유입될 때, 식물의 뿌리가 양액과 함게 양액 유입관(131)으로 유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패킹부(139)는 양액 배출관(133)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하우징부(101), 특히 메인 하우징부(111)의 하면을 관통한다. 즉, 탄성 패킹부(139)는 수직 배출구(111a)에 삽입된다. 한편, 탄성 패킹부(139)의 외경은 수직 배출구(111a)의 내경 이상이기에, 탄성 패킹부(139)는 변형되어 수직 배출구(111a)에 삽입되고 수직 배출구(111a)의 내측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탄성 패킹부(139)는 양액 배출관(133)과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 사이를 밀폐한다.
또한, 탄성 패킹부(139)에는 삽입홈(139a) 및 절개부(139b)가 형성된다. 삽입홈(139a)은 탄성 패킹부(139)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하우징부(101)의 일부에 삽입된다. 즉, 하우징부(101)에서 수직 배출구(111a)의 가장자리에 삽입홈(139a)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탄성 패킹부(139)는 수직 배출구(111a)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양액은 양액 배출관(133)을 통해 배출될 때 양액 배출관(133)과 수직 배출구(111a) 사이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절개부(139b)는 탄성 패킹부(139)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삽입홈(139a)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탄성 패킹부(139)는 절개부(139b)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어, 수직 배출구(11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유도부(104)는 수평 유도구(111b)를 통해 하우징부(101)에 연결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유도부(104)는 하우징부(101)들을 연결할 때 이용된다. 이때, 유도부(104)는 양액을 하우징부(101)의 내부로 공급하기도 하고 하우징부(10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도 한다. 이로 인해, 유도부(104)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의 양액의 수위를 동일하게 한다. 한편, 양액 조절부(103)는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 중에서 상면을 통해 양액이 공급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설치된 하우징부(101)의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하고자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양액 조절부(103)는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더라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에 공급된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00)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설치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수경재배장치(100), 특히, 하우징부(101)를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고리부(105)가 더 포함된다.
연결 고리부(105)는 하우징부(101)에 결합되어,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부(101)가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하우징부(101)는 연결 고리부(105)와 결합되기 위하여, 고리 연결부(115)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고리 연결부(115)는 하우징부(101), 특히 메인 하우징부(11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연결 고리부(105)의 종단부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홀(115a)을 갖는다. 이때, 메인 하우징부(111)의 일면 및 고리 연결부(115)의 일면은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마주한다.
한편,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의 상단부 양측면에 고리 연결홀(111c)이 각각 형성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연결 고리부(105)의 종단부가 고리 연결홀(111c)에 삽입되어, 연결 고리부(105)는 하우징부(101)에 결합된다. 즉, 연결 고리부(105)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의 상태에 따라 하우징부(101)에 대하여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고리부(105)를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부(101)를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 고정부 및 고정 베이스부가 형성된다.
하우징 고정부는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의 일면에 위치된다. 이때, 메인 하우징부(111)의 일면은 유리창(10) 또는 벽면(20)을 마주하고, 유리창 (10) 또는 벽면(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메인 하우징부(111)의 일면은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베이스부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서 하우징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하우징 고정부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우징 고정부가 고정 베이스부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부(101)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 및 고정 베이스부는 예를 들어,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액 공급부(106)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양액 공급부(106)는 하우징부(101)의 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부(101)의 상면 및 하면에 연결된다. 이때, 양액 공급부(106)는 양액 조절부(103)를 통해 하우징부(101)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양액을 공급받고, 하우징부(101)의 상면으로 양액을 공급한다. 즉, 양액 공급부(106)은 양액의 지속적인 순환을 구현한다. 또한, 양액 공급부(106)는 수집 하우징부(161), 공급 유도부(163), 공급 구동부(165) 및 공급 밸브부(167)를 포함한다.
수집 하우징부(161)는 하우징부(101)의 하측에 위치되고 양액 조절부(103)에 연결된다. 즉, 하우징부(101)을 통해 유동된 양액은 최종적으로 양액 조절부(103)를 통해 수집 하우징부(161)에 공급되는 것이다.
공급 유도부(163)는 수집 하우징부(161)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부(101)의 상면에 연결된다. 이때, 공급 유도부(163)는 하우징부(101)의 상면, 즉 하우징 커버부(113)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부(113)에는 양액 공급구(113b)가 형성되기에, 공급 유도부(163)는 양액 공급구(113b)에 삽입된다. 따라서, 공급 유도부(163)는 수집 하우징부(161)로부터 하우징부(101)의 메인 하우징부(111)로 양액을 공급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로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공급 구동부(165)는 수집 하우징부(161)에 수용되어 공급 유도부(163)와 연결된다. 이때, 공급 구동부(165)는 수집 하우징부(161)의 양액을 공급 유도부(163)로 유입시킨다. 이로 인해, 양액은 공급 유도부(163)를 따라 상승 유동하여 하우징부(101)에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 구동부(165)는 펌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101)로부터 배출된 양액이 공급 구동부(165)의 작동을 통해 수집 하우징부(161)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하우징부(101)에 공급된다. 즉, 공급 구동부(165)는 수경재배장치(100)에서 양액의 순환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공급 밸브부(167)는 공급 유도부(163) 상에 위치되어, 공급 유도부(163)를 통해 유동하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한다. 공급 밸브부(167)는 양액 조절부(103)와 조합하여 하우징부(101)에서 양액의 수위를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공급 밸브부(167)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 양액이 소량 즉, 아기 오줌발 정도로 하우징부(101)에 공급되면, 하우징부(101)에서 양액의 수위는 변동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양액 조절부(103)를 통해 배출되는 양보다 적은 수준이지만 하우징부(101)에 공급되는 양액의 유량이 증가하면, 하우징부(101)에서 양액의 수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함으로써, 식물은 산소, 비료 및 수분 등을 번갈아 공급받게 된다. 특히, 식물의 뿌리는 양액의 수위가 낮아질 때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산소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식물은 일반적인 수경재배 때와는 달리 뿌리의 산소부족이 발생하지 않아서 양호하게 성장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0)에 적용되는 경우에, 양액 공급부(106)는 공급 하우징부(169)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공급 하우징부(169)는 하우징부(101)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우징부(101)와 양액 공급부(106)의 공급 유도부(163)를 연결한다. 또한, 공급 하우징부(169)에는 하우징 공급관(169a)이 형성되고, 하우징 공급관(169a)은 하우징부(101)에 연결된다.
양액은 공급 유도부(163)를 통해 공급 하우징부(169)에 공급된다. 공급 하우징부(169)에 공급된 양액은 자체 수압으로 인해 하우징 공급관(169a)을 통해 이웃하는 하우징부(101)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공급 하우징부(169)는 하우징부(101)가 벽면(20)에 설치된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0)이 형성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급 하우징부(169)는 옥상에 설치되면 양액의 자체 수압으로 펌프 없이도 양액을 하우징부(101)에 공급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00)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설치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경재배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지지부(107)들 및 행거 바아부(108)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행거 지지부(107)들은 하우징부(10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고, 행거 바아부(108)는 행거 지지부(107)들을 연결하고 하우징부(101)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행거 지지부(107)들 및 행거 바아부(108)는 조합하여 하우징부(101)가 설치되는 행거로서의 기능을 하여 햇볕에 잘 드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도 용이하다.
한편, 복수 개의 하우징부(101)들은 행거 지지부(107)들 및 행거 바아부(108)의 조합으로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부(101)들이 행거 지지부(107)들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 바아부(108)들은 행거 지지부(107)들을 연결하면서 최상측의 하우징부(101)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연결 고리부(105)는 행거 바아부(108)에 연결됨으로써 하우징부(10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연결 고리부(105)는 유리창(10) 또는 벽면(20)에 적용될 때와 달리 하우징부(101)들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경재배장치
101: 하우징부
111: 메인 하우징부
113: 하우징 커버부
102: 화분부
103: 양액 조절부
131: 양액 유입관
133: 양액 배출관
135: 조절 연결관
137: 공기 공급관
139: 탄성 패킹부
139a: 삽입홈
139b: 절개부
104: 유도부
105: 연결 고리부
106: 양액 공급부
161: 수집 하우징부
163: 공급 유도부
165: 공급 구동부
167: 공급 밸브부
169: 공급 하우징부
107: 행거 지지부
108: 행거 바아부

Claims (17)

  1. 양액을 저장하고,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식물이 삽입되고 상기 식물과 상기 양액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화분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하측으로 배출시키고, 양액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하는 양액 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된 양액을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부에 양액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공급받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액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액 유입관;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양액 유입관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양액 배출관;
    상기 양액 유입관의 상단과 상기 양액 배출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조절 연결관; 및
    상기 조절 연결관과 인접하게 상기 양액 유입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양액 유입관의 내부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양액이 저장되는 메인 하우징부; 및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화분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부에는 상기 화분부가 삽입되는 화분 삽입구, 및 양액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양액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하면에는 상기 양액 조절부가 삽입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상기 양액이 배출되는 수직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부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유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부를 통해 상기 양액을 공급받거나 배출시키는 수평 유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조절부는,
    상기 양액 배출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양액 배출관과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 사이를 폐쇄하는 탄성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킹부는,
    상기 탄성 패킹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탄성 패킹부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유리창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부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행거 지지부들;
    상기 행거 지지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행거 바아부; 및
    상기 행거 바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리부의 종단부가 삽입가능한 연결홀이 형성된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연결 고리부의 종단부가 삽입가능한 고리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고정부; 및
    유리창 또는 벽면에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부가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유리창 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하고, 상기 양액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양액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 조절부를 통해 양액을 공급받는 수집 하우징부;
    상기 공급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공급 유도부;
    상기 공급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급 유도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 하우징부의 양액을 상기 공급 유도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에 공급하는 공급 구동부; 및
    상기 공급 유도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공급 유도부를 통해 유동하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급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공급 유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급 유도부로부터 양액을 공급받고, 하우징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양액을 상기 하우징부로 공급하는 공급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하우징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조절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하우징부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KR1020150011142A 2015-01-23 2015-01-23 수경재배장치 KR10170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42A KR101702445B1 (ko) 2015-01-23 2015-01-23 수경재배장치
PCT/KR2015/006989 WO2016117779A1 (ko) 2015-01-23 2015-07-07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42A KR101702445B1 (ko) 2015-01-23 2015-01-23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38A KR20160091038A (ko) 2016-08-02
KR101702445B1 true KR101702445B1 (ko) 2017-02-03

Family

ID=5641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42A KR101702445B1 (ko) 2015-01-23 2015-01-23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2445B1 (ko)
WO (1) WO2016117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69B1 (ko) 2019-02-28 2020-08-19 주식회사 로보게이트 수경 재배 자동화 공정라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575B2 (en) * 2014-05-22 2019-12-10 Aero Development Corp. Modular aeroponic growing column and system
KR200482770Y1 (ko) 2016-09-07 2017-03-03 김요섭 수경 재배 지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97B1 (ko) 2012-11-30 2013-04-03 주식회사 파이프팜 수경재배시스템
KR101479977B1 (ko) 2013-09-26 2015-01-09 에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943U (ko) * 1975-12-19 1977-06-22
KR950005266U (ko) * 1993-08-28 1995-03-20 한태옥 수경재배기
KR200470326Y1 (ko) * 2012-01-19 2013-12-10 현효섭 물 자동 배수기능을 갖는 수경재배기
KR20140122821A (ko) * 2013-04-11 2014-10-21 차준호 수경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97B1 (ko) 2012-11-30 2013-04-03 주식회사 파이프팜 수경재배시스템
KR101479977B1 (ko) 2013-09-26 2015-01-09 에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69B1 (ko) 2019-02-28 2020-08-19 주식회사 로보게이트 수경 재배 자동화 공정라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779A1 (ko) 2016-07-28
KR20160091038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393B2 (en) Assembly for vertical plant array
KR100960340B1 (ko) 식물 재배장치
US5675932A (en) Plant growing system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US20150351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CN201617068U (zh) 一种管道式气雾栽培装置
KR20120007420A (ko)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US20180206421A1 (en) Segregated hydroponic assembly
KR101425187B1 (ko) 입면 녹화 시스템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334723B1 (ko) 식생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20010069510A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101357111B1 (ko) 배양액 공급조건의 조정이 가능한 하부급수 방식의 수경재배장치
US20220330500A1 (en)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KR101869777B1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KR200357431Y1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KR101477721B1 (ko) 실내 식물재배장치
KR200429390Y1 (ko)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