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40B1 -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40B1
KR100960340B1 KR1020100013273A KR20100013273A KR100960340B1 KR 100960340 B1 KR100960340 B1 KR 100960340B1 KR 1020100013273 A KR1020100013273 A KR 1020100013273A KR 20100013273 A KR20100013273 A KR 20100013273A KR 100960340 B1 KR100960340 B1 KR 10096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vegetation
pipe
storage space
solu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봉
Original Assignee
장원봉
이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봉, 이희구 filed Critical 장원봉
Priority to KR102010001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생육을 위한 재배장치에 있어서, 다공판이 중간에 걸쳐진 하부는 양액저장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공간 뒤쪽에서 상부로 고정패널이 연결된 받침부; 내부에 식생토를 채워 상기 받침부의 다공판 상에 개별적으로 나란히 붙여 올려놓고 전면에 식생공간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를 덮는 상단덮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에 의해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보충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져, 아파트의 베란다 창이나 벽면에 장식용으로 사용하여 설치공간을 절약하면서 관상용의 꽃이나 섭취용의 작물을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장치{CULTIVATION DEVICE OF PLANT}
본 발명은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받침부에 개별적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에 양액을 점적식(點滴式)으로 공급하여, 상기 식생단위블록 전면의 식생공간을 통해 다양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양액 재배장치를 수직면에 설치하는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생활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의 간단한 화초나 섭취용의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인 화분을 많이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 화분에 물을 주거나 비료를 주기 위한 관리를 일일이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화분이 위치하는 일정한 공간을 집안에서 항상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실내조경의 관점에서 꽃이나 작물을 재배하는 여러 개의 화분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의 다층으로 배치하여 올려놓고 펌프에 의해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형태의 다양한 재배장치를 선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재배하고 있다.
상기 양액재배는 통상 흙을 사용하지 않고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 즉 액비와 같은 비료를 함유한 배양액(이하 '양액'이라고 약칭한다)으로 재배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토양에 구애되지 않고 어디에서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며, 일반적인 노지재배에 비하여 높은 생산성이나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양액재배는 배지의 종류에 따라 공기경 재배, 수경재배 및 고형 배지경 재배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고형 배지경 재배는 자연토양 대신에 모래, 펄라이트, 암면(락울), 자갈, 왕겨, 훈탄 등으로 만들어지는 고형배지(식생토라고도 할 수 있다)로 작물을 지탱하고 양액을 공급하는 재배방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분을 이용한 실내조경의 특징은 실외조경보다 그 규모와 구조의 크기는 작은 만큼 더욱 아기자기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더불어 관상용 식재와 함께 전체적인 조경물 구조를 이루게 되어 식재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산소발생 기능 및 공기정화 기능 등에 의해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거실 등의 내부 인테리어와 자연스런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웰빙(wellbing) 문화의 유행으로 공기정화 기능이 있는 식재와 함께 전체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실내조경의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런데, 실내조경 구조는 주로 화분의 장식적인 디자인에 의존하여 단지 친환경적인 식물을 여러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화분에 심어놓는다는 단순함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실내조경 구조의 무한한 발전 가능성에 비해 실제 사용되는 조경구조의 다양성은 크지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방식으로 여러 개의 화분을 상하좌우 다층으로 배치한 재배장치는 기본적인 화분들의 크기와 무게 때문에 여전히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액저장공간이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상에 배치하는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를 덮는 상단덮개, 상기 식생단위블록에 양액저장공간에 저장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양액저장공간의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진 액자형으로 구성하여 아파트의 베란다 창이나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식생단위블록 전면의 식생공간을 통해 꽃이나 작물을 재배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꽃이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펌프, 타이머, 양액공급관 및, 점적식(點滴式) 노즐로 이루어진 상기 펌핑부에 의해 상기 식생단위블록에 효율적인 양액의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꽃이나 작물의 안정적인 재배를 위해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강공간 내에 양액을 히팅하는 히팅센서와 히터를 설치하거나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전면을 비추는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를 설치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부 상에 설치되는 식생부를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된 식생파이프로 구성하고, 펌핑부에 의해 상기 식생파이프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며, 상기 식생파이프들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식물생육을 위한 재배장치에 있어서, 다공판이 중간에 설치되어 하부는 양액저장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공간 뒤쪽에서 상부로 고정패널이 연결된 받침부; 내부에 식생토를 채워 상기 받침부의 다공판 상에 개별적으로 나란히 붙여 올려놓고 전면에 식생공간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를 덮는 상단덮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되어 양액을 온도를 감지하고 데워주는 히팅센서와 히터;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에 의해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보충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과 식생단위블록 하부 사이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간격 내에 식생토가 채워지며, 상기 간격 내의 식생토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식생단위블록의 전면 하단 일부는 절개되어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펌핑부는,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상기 펌프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로 이어지는 양액공급관; 및 상기 각 식생단위블록 상부의 양액공급관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점적식(點滴式)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 상기 상단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전면을 비추는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식물생육을 위한 재배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양액저장공간으로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상에서 다단으로 배치되면서 내부에 식생토를 채우고 상면에 상기 식생토가 노출되는 식생공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 바로 위의 파이프에는 하면에 물빠짐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파이프; 상기 식생파이프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양액호스; 상기 식생파이프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식생파이프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에 의해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보충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승강수단은, 식생파이프들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파이프; 상기 식생파이프들의 승강파이프에 삽입하되 상기 승강파이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로프; 상기 식생파이프들 중 최하부에 위치한 식생파이프에 설치된 승강파이프에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로프를 권취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식생파이프들을 승강시키는 모터; 및 상기 식생파이프들의 승강시 인접하는 식생파이프 사이의 최소간격을 설정된 거리로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에 의하면, 아파트의 베란다 창이나 벽면에 설치하므로 상기 베란다 창이나 벽면의 장식은 물론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전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의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꽃이나 작물 전체가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액이 점적식(點滴式)으로 공급되므로 식생단위블록 내의 꽃이나 작물의 성장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관상용의 꽃이나 섭취용의 작물을 실내에서도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일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는, 받침부(1), 식생단위블록(2), 상단덮개(3), 펌핑부(4), 수위센서(5) 및, 컨트롤박스(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는 하부의 양액저장공간(1a)과 상부의 고정패널(1b)로 이루어져, 직사각의 홈 형상으로 된 상기 양액저장공간(1a)의 내의 중간에는 다공판(1c)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액저장공간(1a)의 뒤쪽에서 상부로 고정패널(1b)이 이어져 연결된다.
상기 식생단위블록(2)은 내부에 식생토(2a)를 채워넣은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로 삽입하면서 다공판(1c) 상에 올려놓고 뒤쪽은 고정패널(1b)로 받쳐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며, 이어서 다른 식생단위블록을 계속해서 나란히 붙여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들이 개별적으로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에 삽입되면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식생단위블록(2)들의 전면에는 꽃이나 작물(7a) 등이 식생할 수 있도록 식생토(2a)가 노출되는 식생공간(2b)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식생단위블록(2)은 도면에서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통형 등의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식생공간(2b)의 위치도 도면에서는 상하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나 설치된 식생단위블록(2)의 전체에서 식생공간(2b)들을 볼 때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에 맞추어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식생단위블록(2)의 폭 크기를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의 폭 크기보다 적게 함으로써 식생단위블록(2)의 하단부와 양액저장공간(1a)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간격 내에 식생토(2a)를 채워넣어 다른 꽃이나 작물(7b)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양액의 공급을 위해 상기 식생단위블록(2)의 전면 하단부를 일부 절개하도록 한다.
상기 상단덮개(3)는 여러 개를 나란히 붙여 설치한 식생단위블록(2)들의 상부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덮어 상기 식생단위블록(2)들을 완전히 고정한다.
상기 펌핑부(4)는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설치된 펌프(4a), 상기 펌프(4a)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펌프(4a)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타이머(미도시), 상기 펌프(4a)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단덮개(3) 내를 통과하면서 상기 식생단위블록(2)의 상부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양액공급관(4b) 및, 상기 각 식생단위블록(2)의 상부와 마주보도록 그 위치의 양액공급관(4b)에 각각 연결된 점적식(點滴式) 노즐(4c)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4a)의 입구에는 외부의 양액공급기에서 양액을 공급받는 외부공급관(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액공급기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양액 재배장치(출원번호:10-2009-0107358)에서 사용되는 양액공급기를 이용한다.
상기 수위센서(5)는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단위블록(2)에 공급되는 양액이 꽃이나 작물의 식생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상기 양액저장공간(1a) 내에서 줄어드는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공급관(8)을 통해 상기 양액저장공간(1a)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공급되는 양액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올라가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양액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양액저장공간(1a)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알리는 알람을 별도로 설치하여 수동으로도 양액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6)는 내부에 다양한 제어유닛들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어유닛들에 의해 타이머를 작동시켜 식생단위블록(2)으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프(4a)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시키며, 또한 수위센서(5)가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하며, 펌프(4a) 등을 가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플러그(9)가 연결된다.
상기 상단덮개(3)에는 식생단위블록(2)들의 전면을 비추도록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1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10)는 다양한 파장의 색상으로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소비전력이 낮아 기존의 서치라이트에 비해 효율적이다. 바람직하게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10)는 식물의 광합성을 도와줄 수 있도록 청색의 짧은 파장대의 광을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의 양측면에는 양액공급관(4b)과 컨트롤박스(6)를 각각 덮어 가림으로써 전체적으로 액자와 같은 느낌을 주도록 하는 측면덮개(11a)(11b)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아파트의 베란다 창에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기온이 낮아 양액의 공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히팅센서와 히터를 설치하여 기온이 낮아 양액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히팅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히터로 상기 양액을 데워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리도록 하며, 이에 대한 제어도 물론 컨트롤박스(6) 내의 제어유닛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이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아파트의 베란다 창에는 양쪽으로 연결되는 연결대에 의해 고정하거나 벽면에는 볼트나 못과 같은 것에 걸어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를 설치한 후, 전원플러그(9)로 전원을 입력하여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외부공급관(8)으로부터 일정 수위까지 양액을 펌프(4a)에 의해 공급하면,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펌프(4a)를 가동시켜 양액공급관(4b)과 점적식 노즐(4c)을 통해 상기 식생단위블록(2)의 식생토(2a)에 양액이 방울방울 떨어지도록 점적식(點滴式)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양액에 의해 식생단위블록(2)의 식생공간(2b)에 심은 꽃이나 작물(7a)을 키우게 되고, 키우고 남은 양액은 계속해서 아래로 스며들면서 식생단위블록(2)의 절개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식생단위블록(2)과 양액저장공간(1a) 사이의 식생토(2a)에도 스며들어 그 부분에 심은 꽃이나 작물(7b)도 키우게 됨으로써, 식생단위블록(2)의 전면에서 식생공간(2b)의 적절한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꽃이나 작물(7a)을 키울 수 있게 된다.
꽃이나 식물(7a)(7b)을 키우는데 사용되고 남은 양액은 다공판(1c)을 통해 다시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로 회수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회수되는 양액이 적어 상기 양액저장공간(1a)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위센서(5)의 감지에 의해 필요한 양만큼의 양액을 다시 공급받는다.
물론 이 모든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6) 내에 설치된 제어유닛에 의해 적절히 제어되면서 이루어지며,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10)와 히팅센서 및 히터는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일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는, 받침부(1), 받침양액공급관(36), 식생파이프(22), 펌핑부(4), 승강수단(24), 양액회수호스(23), 수위센서(5) 및, 컨트롤박스(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는 직사각의 홈 형상으로 된 다공판(1c)이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판(1c)의 하부는 양액저장공간(1a)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식생토(2a)를 채워넣어 꽃이나 식물(7a)이 식생하는 식생배지(1b)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판(1c)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 정도의 양액회수공(H)이 형성되어 마개(미도시)와 같은 것으로 막을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받침양액공급관(36)은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받침부(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식생파이프는(22)은 내부에 식생토(2a)를 채워넣은 직경 80㎜ 정도의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받침양액공급관(36)의 상부에서 다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식생파이프(2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식생공간(2b)이 각각 관통된 상기 식생공간(2b)을 통해 꽃이나 다른 작물(7b)들이 식생하게 되며, 상기 식생파이프(22) 상면의 식생공간(2b)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액공급관(4b)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물빠짐관(37)이 일체로 형성되고, 다단으로 배치된 각 식생파이프(22) 중 최하부의 식생파이프(22), 즉 받침양액공급관(36) 바로 위의 식생파이프(22) 하면의 물빠짐관(37)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 정도의 물빠짐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수단(24)은 받침부(1)와 각 식생파이프(2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승강파이프(28)와, 상기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의 승강파이프(28)에 삽입되는 로프(29)와, 상기 받침부(1)에 위치한 식생파이프에 설치된 승강파이프에 상기 로프(29)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와, 상기 로프(29)를 권취하는 회전봉(31)과, 상기 회전봉(31)을 정/역회전시켜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들을 승강시키는 모터(32)와,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의 승강시 인접하는 상기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 사이 및 식생파이프들 사이의 최소 간격을 설정된 거리로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파이프(28)는 식생파이프(22)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받침부(1)의 승강파이프(28)는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는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들의 승강시 상기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 사이 및 식생파이프(22)들의 상하 간격을 최소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승강파이프(28)의 돌출길이, 즉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의 상단에서부터 승강파이프(28)의 상단의 거리만큼 상기 받침부(1)와 식생파이프(22) 사이 및 식생파이프(22)들 사이의 최소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다.
최상부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의 승강파이프(28)에서부터 최하부에 위치한 받침부(1)의 승강파이프(28)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로프(29)는 고정부재(30)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한 받침부(1)의 승강파이프(28)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승강파이프(28)의 내경보다 더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승강파이프(28)의 하단에 장착된다. 로프(29)의 단부는 고정부재(30)에 고정된다. 그리고 로프(29)의 직경은 승강파이프(28)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로프(29)가 승강파이프(28) 내로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32)는 구동축이 회전봉(31)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봉(31)은 볼트(34)에 의해 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된 브래킷(33)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봉(31)의 단부는 벽에 설치된 베어링유니트(3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32)의 정/역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24)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승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32)를 정회전시키면 회전봉(3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봉(31)이 회전되면 로프(29)가 감기면서 최하부에 위치한 받침부(1)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한 받침부(1)의 승강파이프(28)가 그 위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의 승강파이프(28) 하단에 밀착되면 상기 받침부(1) 및 그 위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가 상부로 함께 이동한다.
계속해서 받침부(1) 바로 위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의 승강파이프가 중간부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의 승강파이프 하단에 밀착되면 받침부(1)와 그 위에 위치한 식생파이프(22)들이 함께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하강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32)를 역회전시키면 회전봉(3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겨진 로프(29)를 풀게 되며, 이와 같이 로프(29)가 풀려지면 받침부(1)와 각 식생파이프(22)들은 상승과정과 반대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펌핑부(4)는 받침부(1) 내에 설치되는 펌프(4a), 상기 펌프(4a)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펌프(4a)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타이머(미도시), 상기 펌프(4a)의 출구와 연결되어 연결관(38)을 통해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과 상기 식생파이프(22)의 양액공급관(4b) 사이 및 각 식생파이프(22)의 양액공급관(4b) 사이에 연결되는 양액공급호스(39) 및, 상기 각 식생파이프(22)의 상면에 형성된 식생공간(2b)와 마주보도록 그 위치의 양액공급관(4b) 양쪽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받침양액공급관(36) 양쪽에도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점적식(點滴式) 노즐(4c)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액회수호스(23)는 상기 식생파이프(22)의 물빠짐관(37) 사이를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양액호스(23)를 통해 아래쪽으로 계속해서 양액이 이동하여야 하므로 최하부의 식생파이프를 제외한 다른 식생파이프(22)들은 최소한 양액호스(23)가 연결된 쪽으로 향해 아주 약간이라도 기울어져 있어야 하며, 최하부의 식생파이프의 물빠짐관(37)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빠짐공(22a)을 통해 받침부(1) 위로 양액이 떨어진다.
상기 수위센서(5)는 상기 받침부(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파이프(22)에 공급되는 양액이 꽃이나 작물의 식생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 내에서 줄어드는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공급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공급되는 양액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올라가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양액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양액공급기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양액 재배장치(출원번호:10-2009-0107358)에서 사용되는 양액공급기를 이용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알리는 알람을 별도로 설치하여 수동으로도 양액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6)는 내부에 다양한 제어유닛들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어유닛들에 의해 타이머를 작동시켜 식생파이프(22)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프(4a)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시키며, 또한 수위센서(5)가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하며, 펌프(4a)와 승강수단(24) 등을 가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플러그(9)가 연결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아파트의 베란다 창에 본 발명의 식물 재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기온이 낮아 양액의 공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히팅센서와 히터를 설치하여 기온이 낮아 양액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히팅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히터로 상기 양액을 데워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리도록 하며, 이에 대한 제어도 물론 컨트롤박스(6) 내의 제어유닛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의 이용은 승강수단(24)의 이용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식물 재배장치의 이용과 거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펌프(4a)에 의해 받침부(1)의 양액저장공간(1a) 내에 있던 양액이 양액공급호스(39)를 통해 식생파이프(22)의 양액공급관(4b)으로 공급되면, 상기 양액공급관(4b)에 설치된 지는데,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양액의 공급이 식생파이프(22) 사이의 양액의 이동은 양액회수호스(23)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받침부 1a : 양액저장공간
1b : 고정패널 1c : 다공판
2 : 식생단위블록 2a : 식생토
2b : 식생공간 3 : 상단덮개
4 : 펌핑부 4a : 펌프
4b : 양액공급관 4c : 점적식 노즐
5 : 수위센서 6 : 컨트롤박스
9 : 전원플러그 10 :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
11a,11b : 측면덮개 22 : 식생파이프
22a : 물빠짐공 23 : 양액회수호스
24 : 승강수단 28 : 승강파이프
29 : 로프 30 : 고정부재
31 : 회전봉 32 : 모터
33 : 브래킷 34 : 볼트
35 : 베어링유니트 36 : 받침양액공급관
37 : 물빠짐관 38 : 연결관
39 : 양액공급호스 7a,7b : 꽃이나 작물
H : 양액회수공

Claims (9)

  1. 식물생육을 위한 재배장치에 있어서,
    다공판이 중간에 설치되어 하부는 양액저장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액저장공간 뒤쪽에서 상부로 고정패널이 연결된 받침부;
    내부에 식생토를 채워 상기 받침부의 다공판 상에 개별적으로 나란히 붙여 올려놓고 전면에 식생공간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단위블록;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를 덮는 상단덮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되어 양액을 온도를 감지하고 데워주는 히팅센서와 히터;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에 의해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보충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컨트롤박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과 식생단위블록 하부 사이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간격 내에 식생토가 채워지며, 상기 간격 내의 식생토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식생단위블록의 전면 하단 일부는 절개되어 식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상기 펌프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상부로 이어지는 양액공급관; 및
    상기 각 식생단위블록 상부의 양액공급관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점적식(點滴式) 노즐;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단위블록의 전면을 비추는 광합성용 LED 서치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6. 식물생육을 위한 재배장치에 있어서,
    다공판이 중간에 걸쳐진 하부는 양액저장공간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식생배지로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상에 설치된 받침양액공급관;
    상기 받침부 상에서 다단으로 배치되면서 내부에 식생토를 채우고 상면에 상기 식생토가 노출되는 식생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 사이에는 양액공급관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물빠짐관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 바로 위의 파이프의 물빠짐관에는 바닥면에 물빠짐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파이프;
    상기 받침부와 식생파이프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공급하면서 받침양액공급관과 상기 식생파이프의 양액공급관 내로 양액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식생파이프의 물빠짐관 사이를 서로 연결해 주는 양액회수호스;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펌핑부와 수위센서에 의해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로 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보충해주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컨트롤박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받침부와 식생파이프들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파이프;
    상기 받침부와 식생파이프들의 승강파이프에 삽입하되 상기 승강파이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로프;
    상기 받침부에 위치한 식생파이프에 설치된 승강파이프에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로프를 권취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받침부와 식생파이프들을 승강시키는 모터; 및
    상기 식생파이프들의 승강시 인접하는 식생파이프 사이의 최소간격을 설정된 거리로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된 펌프;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상기 펌프의 출구와 연결되어 연결관을 통해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과 받임양액공급관 및 각 식생파이프의 양액공급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양액공급호스; 및
    상기 받침양액공급관과 양액공급관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점적식(點滴式) 노즐;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양액저장공간 내에 설치되어 양액을 온도를 감지하고 데워주는 히팅센서와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장치.
KR1020100013273A 2010-02-12 2010-02-12 식물 재배장치 KR10096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73A KR100960340B1 (ko) 2010-02-12 2010-02-12 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73A KR100960340B1 (ko) 2010-02-12 2010-02-12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340B1 true KR100960340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273A KR100960340B1 (ko) 2010-02-12 2010-02-12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4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087A2 (ko) * 2010-08-29 2012-03-08 Koo Ja Sun 친환경 벽체와 담장.
KR101121067B1 (ko) * 2011-04-04 2012-03-16 이상우 엘이디 조명을 이용한 식물재배기
KR101210188B1 (ko) * 2010-11-15 2012-12-10 대림산업 주식회사 식물 생육환경 조성 구조가 매립 구축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KR101316013B1 (ko) * 2011-07-22 2013-10-10 강현철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WI422323B (zh) * 2010-07-08 2014-01-11 Chi Chung Chen 栽培裝置及其栽培給水模組
CN103548644A (zh) * 2013-10-29 2014-02-05 青岛天玺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垂直绿化装置及其自动水循环系统
CN103960116A (zh) * 2013-01-31 2014-08-06 邹文强 一种使用led灯促进水培植物生长的花盆
KR101564837B1 (ko) 2014-04-04 2015-10-30 김진문 실내 벽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WO2016117884A1 (ko) * 2015-01-19 2016-07-28 기승철 수직걸이 식생장치
KR101747947B1 (ko) * 2014-12-24 2017-06-1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융합형 조립식 식물공장 시스템
KR20170119000A (ko) * 2016-04-15 2017-10-26 주식회사 숲안 벽면 설치형 식물재배장치
KR20170125783A (ko) * 2017-11-06 2017-11-15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WO2020232272A1 (en) * 2019-05-14 2020-11-19 Local Urban Vegetables, Lllp Aeroponic systems and components
KR20210051938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설그린 온도 유지 기능을 갖는 플랜터를 활용한 외부 벽면녹화 시스템
KR102365653B1 (ko) * 2021-09-24 2022-02-23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수직형 수경 식물 재배 장치
KR20220064209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제로패스 화병 꽃다발 생육 스마트 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461Y1 (ko) 1997-08-25 1999-09-15 김영광 양액재배시 급액 조절을 위한 수분 트레이
KR200360160Y1 (ko) * 2004-06-08 2004-08-25 임선호 양액재배장치
JP2004329060A (ja) 2003-05-02 2004-11-25 Masaki Ueno 縦型養液栽培装置
KR20060058072A (ko) * 2006-05-03 2006-05-29 백수곤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461Y1 (ko) 1997-08-25 1999-09-15 김영광 양액재배시 급액 조절을 위한 수분 트레이
JP2004329060A (ja) 2003-05-02 2004-11-25 Masaki Ueno 縦型養液栽培装置
KR200360160Y1 (ko) * 2004-06-08 2004-08-25 임선호 양액재배장치
KR20060058072A (ko) * 2006-05-03 2006-05-29 백수곤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2323B (zh) * 2010-07-08 2014-01-11 Chi Chung Chen 栽培裝置及其栽培給水模組
WO2012030087A2 (ko) * 2010-08-29 2012-03-08 Koo Ja Sun 친환경 벽체와 담장.
WO2012030087A3 (ko) * 2010-08-29 2012-05-03 Koo Ja Sun 친환경 벽체와 담장.
KR101210188B1 (ko) * 2010-11-15 2012-12-10 대림산업 주식회사 식물 생육환경 조성 구조가 매립 구축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KR101121067B1 (ko) * 2011-04-04 2012-03-16 이상우 엘이디 조명을 이용한 식물재배기
KR101316013B1 (ko) * 2011-07-22 2013-10-10 강현철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CN103960116A (zh) * 2013-01-31 2014-08-06 邹文强 一种使用led灯促进水培植物生长的花盆
CN103548644A (zh) * 2013-10-29 2014-02-05 青岛天玺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垂直绿化装置及其自动水循环系统
KR101564837B1 (ko) 2014-04-04 2015-10-30 김진문 실내 벽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KR101747947B1 (ko) * 2014-12-24 2017-06-1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 융합형 조립식 식물공장 시스템
WO2016117884A1 (ko) * 2015-01-19 2016-07-28 기승철 수직걸이 식생장치
KR20170119000A (ko) * 2016-04-15 2017-10-26 주식회사 숲안 벽면 설치형 식물재배장치
KR101940697B1 (ko) * 2016-04-15 2019-04-11 주식회사 숲안 벽면 설치형 식물재배장치
KR20170125783A (ko) * 2017-11-06 2017-11-15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2137860B1 (ko) * 2017-11-06 2020-08-13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WO2020232272A1 (en) * 2019-05-14 2020-11-19 Local Urban Vegetables, Lllp Aeroponic systems and components
KR20210051938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설그린 온도 유지 기능을 갖는 플랜터를 활용한 외부 벽면녹화 시스템
KR102268649B1 (ko) * 2019-10-31 2021-06-23 주식회사 한설그린 온도 유지 기능을 갖는 플랜터를 활용한 외부 벽면녹화 시스템
KR20220064209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제로패스 화병 꽃다발 생육 스마트 스틱
KR102512659B1 (ko) * 2020-11-11 2023-03-22 주식회사 제로패스 화병 꽃다발 생육 스마트 스틱
KR102365653B1 (ko) * 2021-09-24 2022-02-23 농업회사법인(주)이노그린팜 수직형 수경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340B1 (ko) 식물 재배장치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CN103929945A (zh) 用于植物生长的设备和生长装置
WO1996008960A1 (en) Plant growing system
KR100594637B1 (ko) 자동 관수 다단 수경장치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WO2011056029A2 (ko) 양액 재배장치
CN106998657B (zh) 多段迭层用的装饰盆单元
KR101425187B1 (ko) 입면 녹화 시스템
CN203152261U (zh) 具有墙体水培绿化功能的鱼缸
KR20140105977A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US20130025196A1 (en) System for displaying plants
US11723318B2 (en) Indoor plant-growing system
KR101270267B1 (ko) 이동식 화단.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KR102102289B1 (ko)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2320687B1 (ko) 식물재배를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시스템을 갖춘 관상용 파티션구조물
KR100448873B1 (ko) 가정용 식물재배용 선반케이스
RU156472U1 (ru) Фитомодуль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и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зеленения
KR200493876Y1 (ko) 천정 녹화 시스템
KR20130137918A (ko) 수직 적층형 화분
KR101477721B1 (ko) 실내 식물재배장치
KR100538042B1 (ko) 실내 조경용 바닥환경 조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