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289B1 -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289B1
KR102102289B1 KR1020190107486A KR20190107486A KR102102289B1 KR 102102289 B1 KR102102289 B1 KR 102102289B1 KR 1020190107486 A KR1020190107486 A KR 1020190107486A KR 20190107486 A KR20190107486 A KR 20190107486A KR 102102289 B1 KR102102289 B1 KR 10210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ssage
hole
vegetation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득
이영표
Original Assignee
박대득
이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득, 이영표 filed Critical 박대득
Priority to KR102019010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공공건물 등의 벽면에 부착되어 식물 등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는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평판형태의 고정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임의레벨로 채워지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포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공이 형성되는 임의각도로 경사지는 서포터에 의해 층고를 유지하게 되는 물수반;
상기 고정판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상기 물수반 외측면을 지지하고, 내부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칸막이에 의해 제1통로 및 제2통로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2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단판에 의해 상기 물수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이동통로가 지그재그형태로 반복형성되는 관수 프레임;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또는 430∼460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
상기 관수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희석되어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용기;
상기 관수 프레임으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a wall green device using vegetation pot}
본 명세서는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공건물 등의 벽면에 부착되어 식물 등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실내 미관과 공기정화의 목적으로 벽면 전체에 식물을 가꾸는 벽면 녹화방식, 즉 버티칼 가든이 개발되고 있다. 버티칼 가든은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아 시공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비싸며, 유지관리가 어려워 대부분 홍보용으로 작은 면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또한 버티칼 가든은 식재된 식물의 생육을 위하여 필수적인 급수구조 및 방법이 복잡하고 그 급수구조가 생물의 생육에 접합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8526호에 게시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적층된 판재에 결합지지부재를 설치하고, 결합지지부재에 식생포트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배관을 감싼 발열부를 통해 항시 일정한 온도의 물 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어 동절기에 식물 냉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특허등록 제1468526호의 벽면 녹화시스템은,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켜 공급배관을 통해 식생포트의 식물에 공급하는 물 공급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이를 설치하는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관상용 또는 실내공기 정화용 식물을 벽면의 식생포트에 생육시키므로 실내 장식미를 구현하고, 실내공간의 공기질을 개선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수도전의 물을 식생포트의 식물에 공급 및 저장하는 수중펌프 및 저수조가 불필요하고, 식물에 물을 공급 및 배수시키는 배수시스템을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식생포트의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수반에 임의높이를 초과하여 과다 공급될 경우 하측의 식생포트로 자동 이동(낙수(落水))될 수 있도록 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평판형태의 고정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임의레벨로 채워지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포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공이 형성되는 임의각도로 경사지는 서포터에 의해 층고를 유지하게 되는 물수반;
상기 고정판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상기 물수반 외측면을 지지하고, 내부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칸막이에 의해 제1통로 및 제2통로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2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단판에 의해 상기 물수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이동통로가 지그재그형태로 반복형성되는 관수 프레임;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또는 430∼460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
상기 관수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희석되어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용기;
상기 관수 프레임으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실내 벽면의 식생포트에 식재되는 관상용 또는 실내공기 정화용 식물에 LED조명등의 불빛을 조사시켜 광합성기능으로 생육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실내 장식미를 구현하고,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부의 식생포트로부터 하부의 식생포트에 순차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가습기능(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기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실내공간의 공기질을 개선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수도전의 물을 식생포트의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 사용이 불필요하고,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를 관리 및 청소가 불필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생포트의 식물이 생육하도록 수도전으로부터 물이 물수반에 임의높이를 초과하여 과다 공급될 경우 하측의 식생포트로 자동 이동되도록 하여 배수시스템을 간단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에서, 물수반 및 관수 프레임의 일부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에서, 물수반에 물을 관수 프레임에 의해 공급 및 배출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의 바닥면 관통공에 안착된 물 흡수구(심지)에 의해 물수반에 채워진 물을 흡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는
공공건물 등의 실내 벽면에 장착되고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실내 벽면 등에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고정판(10);
수도전(1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임의레벨로 채워지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식생포트(12)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공(13)이 형성되는 임의각도로 경사지는 서포터(14)에 의해 층고를 유지하게 되는 물수반(15)(일 예로서, 4단 형태로 형성됨);
고정판(10)의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물수반(15) 외측면을 지지하고, 내부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칸막이(16)에 의해 제1통로(17) 및 제2통로(18)로 분할형성되고, 제1,2통로(17,18)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2차단판(19,20) 및 제3,4차단판(39,40)에 의해 물수반(1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이동통로(21;21a,21b,21c,21d)가 지그재그형태로 반복형성되는 관수 프레임(22)(사각형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판(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식생포트(12)의 식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또는 430∼46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23);
관수 프레임(22)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도전(1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희석되어 식생포트(12)의 식물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유용미생물 등의 양액(EM;effective microorganism)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용기(24);
관수 프레임(22)으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集水)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수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전술한 제1통로(17)에 임의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3차단판(19,39)에 의해 제1,3,5물이동통로(21a,21c,21e)가 형성되고, 제2통로(18)에 임의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4차단판(20,40)에 의해 제2,4물이동통로(21b,21d)가 형성된다.
전술한 고정판(10) 앞면에 장착된 관수 프레임(22)에 지지되는 물수반(15)이 수직방향으로 4개씩, 좌우 방향으로 5개씩이 설치되어 있으나(4×5=20), 벽면 녹화장치가 설치되는 건물의 실내 설치장소 또는 주변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고정판(10)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5개의 물수반(15)을 일체화시켜 수직방향으로 4칸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수도전(11)으로부터의 물을 관수 프레임(22)에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배관(26)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온,오프밸브(27)는
IoT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제어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임의주기로 개폐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물수반(15)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식생포트(12) 하단의 관통공(12a)을 통과하여 식물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천연솜 등으로 이루어지는 물 흡수구(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물 이동통로(21)의 물을 물수반(15)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차단판(19) 및 제2차단판(20)이 형성되는 제1통로(17) 및 제2통로(18)의 일측벽 임의위치에 제1관통공(29) 및 제2관통공(30)을 각각 형성하되, 제1관통공(29) 및 제2관통공(30)에 연통되는 제3관통공(31) 및 제4관통공(32)이 물수반(15)의 일측벽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조명등(23)은 조명등(23)의 온(on), 오프(off)와 연동되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온 구동된 후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머(미 도시됨)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정판(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되고, 구동시 식물에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기(미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식물에 공급시킴에 따라 물수반(15) 주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건물의 창문을 주로 닫게 되므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을 경우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포트(12)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인공토(일 예로서, 하이드로 볼, 생명토, 규조토를 임의비율로 혼합시킨 혼합토를 말함), 황토,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기능을 갖는 천연솜, 인공토, 황토 및 천연솜을 결속시키는 천연녹말분말 등의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토양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3은 관수 프레임(22)으로부터 낙수되는 집수조(25)에 모아지는 물에 포함된 흙, 오물 등의 여과시킨 후 하수구 등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집수조(25)의 출구측에 탈착 및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여과필터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공공건물 등의 실내 벽면에 설치된 고정판(10)의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관수 프레임(22)은 이의 내부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칸막이(16)에 의해 제1통로(17) 및 제2통로(18)로 분할 형성된다.
따라서, 수도전(11)으로부터 수압에 의해 공급되는 수돗물은 물 공급배관(26)을 따라 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양약 급수용기(24)에 이동된다. 이때 물 공급배관(26)에 설치된 온, 오프밸브(27)의 개폐는 IoT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온, 오프밸브(27)의 개폐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조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도전(11)으로부터 수돗물이 양액 급수용기(24)에 이동됨에 따라 양액 급수용기(24)에 수용된 양액이 물과 임의비율로 혼합되어 희석된다.
양액 급수용기(24)에서 희석된 물은 노즐(미 도시됨)을 통해 양액 급수용기(24)와 연통된 관수 프레임(22)의 제1통로(17) 상단에 낙수된다.
이때, 제1통로(17)에 낙수된 물은, 제1물 이동통로(21a;양액 급수용기(24)의 노즐로부터 제1차단판(19)까지의 거리를 말함)를 따라 물수반(15) 중 상단에 위치한 제1물수반(15a)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물이동통로(21a)에 이동된 물은 제1통로(17) 내부의 임의위치에 형성된 제1차단판(19)에 의해 제3물이동통로(21c;제1차단판(19)과 제3차단판(39)까지의 거리를 말함)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1통로(17)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1관통공(29)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1물수반(15a)의 측벽에 형성된 제3관통공(31)을 통해 제1물수반(15a)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액 급수용기(24)로부터 제1통로(17)의 제1물이동통로(21a)에 낙수된 물은 제1관통공(29) 및 제3관통공(3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물수반(15a)에 이동되므로 설정된 임의레벨로 채워진다.
이때, 제1물수반(15a)에 채워진 물이 설정된 임의레벨을 초과할 경우, 제1물수반(15a)의 일측벽 상부에 형성된 제4관통공(32)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2통로(18)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2관통공(30)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1물수반(15a)으로부터 제1물수반(15a)의 제4관통공(32) 및 제2통로(18)의 제2관통공(30)을 차례로 통과하여 오버플로워(over flow)된 물은 제2통로(18)의 제2물이동통로(21b;양액 급수용기(24)의 노즐로부터 제2차단판(20)까지의 거리를 말함)에 이동된다.
제2물이동통로(21b)에 이동된 물은 제2통로(18)에 형성된 제2차단판(20)에 의해 제4물이동통로(21d;제2차단판(20)과 제4차단판(40)까지의 거리를 말함)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2통로(18)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5관통공(35)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2물수반(15b)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6관통공(36)을 통해 제2물수반(15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통로(18)의 제2물이동통로(21b)에 이동된 물은 제5관통공(35) 및 제6관통공(36)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물수반(15b)에 이동되므로 설정된 임의레벨로 채워진다.
이때, 제2물수반(15b)에 채워진 물이 설정된 임의레벨을 초과할 경우, 제2물수반(15b)의 일측벽 상부에 형성된 제7관통공(37)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1통로(17) 측벽에 형성된 제8관통공(38)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2물수반(15b)으로부터 제2물수반(15b)의 제7관통공(37) 및 제1통로(17)의 제8관통공(38)을 차례로 통과하여 오버플로워(over flow)된 물은 제1통로(17)의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된다.
즉, 전술한 양액 급수용기(24)로부터 양액이 희석된 물이 노즐(미 도시됨)을 통해 제1통로(17) 상단에 낙수될 경우, 제1통로(17)의 제1물이동통로(21a) - 제1물수반(15a) - 제2통로(18)의 제2물이동통로(21b) - 제2물수반(15b) - 제1통로(17)의 제3물이동통로(21c)에 차례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된 물은 제3차단판(39)에 의해 제5물이동통로(21e)에 이동하지 못하고, 제1통로(17)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1관통공(29)과, 제1관통공(29)과 연통되도록 제3물수반(15c)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3관통공(31)을 통해 제3물수반(15c)에 이동된다.
이때, 제3물수반(15c)에 채워진 물이 설정된 임의레벨을 초과할 경우, 제3물수반(15c)의 일측벽 상부에 형성된 제4관통공(32)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2통로(18) 측벽에 형성된 제2관통공(30)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3물수반(15c)으로부터 제3물수반(15c)의 제4관통공(32) 및 제2통로(12)의 제2관통공(30)을 차례로 통과하여 오버플로워(over flow)된 물은 제2통로(18)의 제4물이동통로(21d)에 이동된다.
제4물이동통로(21d)에 이동된 물은 제2통로(18)에 형성된 제4차단판(40)에 의해 집수조(25)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2통로(18)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5관통공(35)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4물수반(15d)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6관통공(36)을 통해 제4물수반(15d)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통로(18)의 제4물이동통로(21d)에 이동된 물은 제5관통공(35) 및 제6관통공(36)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4물수반(15d)에 이동되므로 설정된 임의레벨로 채워진다.
이때, 제4물수반(15d)에 채워진 물이 설정된 임의레벨을 초과할 경우, 제4물수반(15d)의 일측벽 상부에 형성된 제7관통공(37)과 이와 연통되도록 제1통로(17) 측벽에 형성된 제8관통공(38)이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4물수반(15d)으로부터 제4물수반(15d)의 제7관통공(37) 및 제1통로(17)의 제8관통공(38)을 차례로 통과하여 오버플로워(over flow)된 물은 제1통로(17)의 제5물이동통로(21e)에 이동된다. 제5물이동통로(21e)에 이동된 물은 집수조(25)로 낙수된다.
즉, 전술한 제1통로(17)의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된 물은 제3물수반(15c) - 제2통로(18)의 제4물이동통로(21d) - 제4물수반(15d) - 제1통로(17)의 제5물이동통로(21e)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집수조(25)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2물수반(15b)으로부터 오버플로워된 물이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된 후 제1통로(17)의 제3차단판(39)에 의해 제5물이동통로(21e)에 이동하지 못하고, 서로 연통된 제1관통공(29) 및 제3관통공(31)을 통해 제3물수반(15c)으로 이동하고, 제3물수반(15c)으로부터 오버플로워된 물이 제4물이동통로(21d)에 이동하고, 서로 연통된 제5관통공(35) 및 제6관통공(36)에 의해 제4물수반(15d)으로 이동하고, 제4물수반(15d)으로부터 서로 연통된 제7관통공(37) 및 제8관통공(38)에 의해 오버플로워된 물이 제5물이동통로(21e)에 이동되는 구성은,
전술한 양액 급수용기(24)로부터 제1물이동통로(21a)에 이동된 물이 제1차단판(19)에 의해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하지 못하고, 서로 연통된 제1관통공(29) 및 제2관통공(30)을 통해 제1물수반(15a)에 이동되고, 제1물수반(15a)으로부터 서로 연통된 제3,4관통공(31,32)을 통해 오버플로워된 물이 제2물이동통로(21b)에 이동되고, 제2물이동통로(21b)에 이동된 물이 제2차단판(20)에 의해 제4물이동통로(21d)에 이동하지 못하고, 서로 연통된 제5,6관통공(35,36)을 통해 제2물수반(15b)으로 이동되며, 제2물수반(15b)으로부터 서로 연통된 제7,8관통공(37,38)을 통해 제3물이동통로(21c)에 이동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관수 프레임(22)의 제1통로(17) 측벽에 형성된 제1관통공(29)을 통해 상단의 물수반(15a)에 물이 유입되어 임의레벨로 채워질 경우, 식생포트(12)의 바닥면 관통공(12a)에 안착된 천연솜 등으로 이루어진 물 흡수구(28)(심지역할을 함)에 의해 물을 흡수하여 식물 뿌리에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공공건물 등의 실내 벽면에 고정된 고정판(10)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된 관수 프레임(22)에 물수반(15)을 수직방향으로 장착하되, 물수반(15)에 생육되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물 공급용 및 배수용 배관 및 수중펌프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원가비용이 줄어들고 물을 관리하는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물수반(15)의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이동통로(21)가 내부에 형성된 관수 프레임(22)을 활용함에 따라 벽면 녹화장치의 외형사이즈를 소형화 및 컴팩트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정판
11; 수도전
12; 식생포트
12a; 관통공
13; 안착공
14; 서포터
15; 물수반
16; 칸막이
17; 제1통로
18; 제2통로
19; 제1차단판
20; 제2차단판
21; 물 이동통로
22; 관수 프레임
23; 조명등
24; 양액 급수용기
25; 집수조
26; 물 공급배관
27; 온,오프밸브
28; 물 흡수구
29; 제1관통공
30; 제2관통공
31; 제3관통공
32; 제4관통공
33; 여과필터
39; 제3차단판
40; 제4차단판

Claims (4)

  1. 평판형태의 고정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임의레벨로 채워지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식생포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공이 형성되는 임의각도로 경사지는 서포터에 의해 층고를 유지하게 되는 물수반;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또는 430∼46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
    상기 고정판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반복형성되는 상기 물수반 외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물수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 프레임;
    상기 관수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희석되어 상기 식생포트의 식물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용기;
    상기 관수 프레임으로부터 낙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수조;
    상기 물수반으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포트 하단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식물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천연솜으로 이루어지는 물 흡수구;를 포함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수 프레임은
    내부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칸막이에 의해 제1통로 및 제2통로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2통로에 상하 방향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2차단판 및 제3,4차단판에 의해 상기 물수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이동통로를 지그재그형태로 반복형성하되,
    상기 물 이동통로의 물을 상기 물수반에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의 일측벽 임의위치에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물수반의 일측벽 하부 및 상부에 제3관통공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전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관수 프레임에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배관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온,오프밸브는
    IoT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제어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임의주기로 개폐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7486A 2019-08-30 2019-08-30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210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86A KR102102289B1 (ko) 2019-08-30 2019-08-30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86A KR102102289B1 (ko) 2019-08-30 2019-08-30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89B1 true KR102102289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86A KR102102289B1 (ko) 2019-08-30 2019-08-30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2271A (zh) * 2020-06-12 2020-09-11 谢文杰 一种建筑室内绿化柱
KR102184486B1 (ko) * 2020-05-06 2020-11-3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옹벽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701Y1 (ko) * 2000-11-01 2001-04-16 조병상 점적식 거리미화용 화분
KR101157087B1 (ko) * 2010-05-14 2012-06-21 전형기 조립식 받침상자가 구비된 간편 육묘기
KR20140090724A (ko) * 2012-12-26 2014-07-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재배용 자동관수시스템
KR20160118529A (ko) * 2015-04-02 2016-10-12 정희창 벽면 정원
KR20180117301A (ko) * 2017-04-19 2018-10-29 박대득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1954259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배양액 모듈 및 스마트 식물 재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701Y1 (ko) * 2000-11-01 2001-04-16 조병상 점적식 거리미화용 화분
KR101157087B1 (ko) * 2010-05-14 2012-06-21 전형기 조립식 받침상자가 구비된 간편 육묘기
KR20140090724A (ko) * 2012-12-26 2014-07-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재배용 자동관수시스템
KR20160118529A (ko) * 2015-04-02 2016-10-12 정희창 벽면 정원
KR20180117301A (ko) * 2017-04-19 2018-10-29 박대득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1954259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배양액 모듈 및 스마트 식물 재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86B1 (ko) * 2020-05-06 2020-11-3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옹벽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
CN111642271A (zh) * 2020-06-12 2020-09-11 谢文杰 一种建筑室内绿化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US11178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034513B1 (ko) 수경재배장치
KR101074329B1 (ko) 벽면 녹화와 공기정화를 위한 건물 외벽 버티칼 가든 박스 및 그 시공 방법
KR100960340B1 (ko) 식물 재배장치
CN105104158A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CN205018017U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JP2012170462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KR102102289B1 (ko)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JP2000069858A (ja) 植物の温室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102555542B1 (ko) 이끼생육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KR102577141B1 (ko)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KR101259674B1 (ko)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429350B1 (ko) 다단재배상을 이용한 유기농 인삼 연속재배시스템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RU2402200C1 (ru) Фитостена с полихроматическими стимуляторам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JP2004073003A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この植物栽培ユニット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
KR101421236B1 (ko) 공기정화용 탁자
CN108534281A (zh) 一种免日常维护绿窗供水通风系统及方法
CN114027058A (zh) 一种建筑绿化植物种植器及建筑绿化植物种植系统
CN207011419U (zh) 一种仿地气植物多植株盘根定植植物墙
TWM573565U (zh) Water-free planting equipment
CN221554413U (zh) 一种鱼与植物共生系统及电视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