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301A -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301A
KR20180117301A KR1020170050226A KR20170050226A KR20180117301A KR 20180117301 A KR20180117301 A KR 20180117301A KR 1020170050226 A KR1020170050226 A KR 1020170050226A KR 20170050226 A KR20170050226 A KR 20170050226A KR 20180117301 A KR20180117301 A KR 2018011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at
water
frame
plant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득
이영표
박재경
Original Assignee
박대득
박재경
이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득, 박재경, 이영표 filed Critical 박대득
Priority to KR1020170050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301A/ko
Publication of KR2018011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공공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고,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에 의해 실내공기를 정화하거나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 기능을 갖도록 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상부 및 하부에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윗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앞면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ㄱ 자 형태의 결합턱이 이면의 상부 및 하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앞면 및 뒤면이 개방되는 수납홀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인공토 및 황토와,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기능을 갖는 천연솜과, 인공토, 황토 및 천연솜을 결속시키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블록형태를 갖도록 프레스 압축성형되어 상기 수납홀더에 교체가능하게 안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용 홀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관통형성하되, 상기 식재용 홀은 입구측으로 흙이 역류되어 상기 저수조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생매트;
상기 프레임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저장되는 물 정체로 인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여과하기 위해 활성탄을 포함하는 저수조;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의 물을 수중펌프에 의해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어 상기 식물의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SM)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통;을 구비하되, 상기 양액 급수통의 희석된 물을 상기 식생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해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the surface of a wall green device using vegetation mat}
본 명세서는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공건물 등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고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에 의해 실내공기를 정화하거나,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 기능을 갖도록 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하루 중 80-90%에 이르는 시간을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거주하게 된다. 이로 인해 건축물에 사용된 합성자재, 또는 제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일 예로서, 포름알데히드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말함)이나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나, 미세먼지에 포함되는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해 거주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는 새집 증후군(new house syndrome)과 아토피성 질환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고, 현재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은 인간의 삶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친환경적 구성, 쾌적성, 실내공기 질 향상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입주인의 경우에도 외부 주거환경보다 실내 주거환경에 대한 친환경적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실내의 공기 질은 기계적 공조장치 외에도 공기청정기, 가습기, 복합기능을 갖는 에어컨 및 환풍기 등으로 조절하고 있으며, 동시에 실내에 실내 조경을 조성함으로서 보다 친환경적인 거주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 식재되는 수목이나 화초 등의 식물은 인체에서 배출되는 탄산가스를 흡수하고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산소를 배출하게 되므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고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실내에 소규모의 정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17471호에 버티칼 가든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관상용 또는 실내공기 정화용 식물을 식재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켜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하고,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 기능을 갖도록 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저수조의 물을 활성탄(제오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음)에 의해 여과처리하고, 관수에 혼합되는 양액에 의해 실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저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식재매트에 식재된 식물에 급수시 양액을 혼합시켜 공급하여 식물 뿌리가 활착되어 활성화되므로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관수 막힘이 방지되어 사후관리가 불필요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식생매트가 가이드레일로부터 착탈되므로 건물 입주인의 기호도, 계절 또는 실내 환경에 따라 부합되도록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 종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도록 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상부 및 하부에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윗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앞면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ㄱ 자 형태의 결합턱이 이면의 상부 및 하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앞면 및 뒤면이 개방되는 수납홀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인공토 및 황토와,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기능을 갖는 천연솜과, 인공토, 황토 및 천연솜을 결속시키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블록형태를 갖도록 프레스 압축성형되어 상기 수납홀더에 교체가능하게 안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용 홀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관통형성하되, 상기 식재용 홀은 입구측으로 흙이 역류되어 상기 저수조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생매트;
상기 프레임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저장되는 물 정체로 인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여과하기 위해 활성탄을 포함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을 파이프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중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어 상기 식물의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SM)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통;을 구비하되, 상기 양액 급수통의 희석된 물을 상기 식생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해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관상용 또는 실내공기 정화용 식물을 식재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켜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새집 증후군, 아토피성 질환으로부터 입주인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식물의 잎사귀가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유지하게 되므로 인테리어 기능 및 가습 기능(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기능을 발휘하게 됨)을 갖게 되므로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저수조의 물을 활성탄(제오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음)에 의해 여과처리하고 관수에 혼합되어 희석된 양액을 순환시킴에 따라 장시간동안 정체되는 고인물로부터 냄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수조의 물을 식재매트에 식재된 식물에 급수시 양액을 혼합시켜 공급하여 식물 뿌리가 활착되어 활성화되므로 식물이 고사되거나 뿌리가 썩는 것을 최소화하여 식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관수 막힘이 방지되어 사후관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식생매트가 가이드레일로부터 교체가능하게 착탈되므로 건물 입주인의 기호도, 계절에 따라 부합되도록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 종류,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어 경제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에서, 수납홀더에 식생매트를 결합시킨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에서,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수납홀더의 결합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a,b)는 도 1에 도시된 벽면 녹화장치에서,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에 의해 인테리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a,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상부 및 하부에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윗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11)이 앞면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프레임(12);
가이드레일(10,1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ㄱ" 자 형태의 결합턱(13,14)이 이면의 상부 및 하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앞면 및 뒤면이 개방되는 수납홀더(15);
블록형태를 갖도록 프레스에 의해 압축성형되어 수납홀더(15)에 교체가능하게 안착되고, 식물(16)이 식재되는 식재용 홀(17)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관통형성하되, 식재용 홀(17)은 입구측으로 흙 등을 포함하는 오물이 역류되어 저수조(18)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생매트(19);
프레임(12) 하단에 형성되고 식생매트(19)의 식물(16)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저장되는 물 정체로 인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여과하기 위해 활성탄(일 예로서, 제오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음), 또는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박테리아 균 또는 유용미생물(EM;effective microorganism)을 포함하는 저수조(18);
저수조(18)의 물을 파이프(20)를 통해 프레임(12)의 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21);
프레임(12)의 상단에 장착되고, 수중펌프(21)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어 식물(16)의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SM)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통(22);을 구비하되, 양액 급수통(22)의 희석된 물을 식생매트(19)의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23)을 통해 식생매트(19)의 식물(16)에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식생매트(19)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71910호에 게시된 벽면에 부착되는 친환경 식생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식생매트(19)는 식물식재용 홀(17)에 식물(16)이 식생할 수 있도록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인공토(일 예로서, 하이드로 볼, 생명토, 규조토를 혼합시킨 혼합토를 말함) 및 황토 100중량부와, 식생매트(19)의 식물(16)에 노즐(2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기능을 갖는 천연솜 50-65중량부와, 인공토, 황토 및 천연솜을 결속시키는 천연접착제 1.5-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식생매트(19)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실내에서 활동중인 사람의 신발에서 발생되는 냄새 등을 말함)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숯(일 예로서, 활성탄 등을 말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2)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장착되고, 식생매트(19)의 식물(16)에 인공빛을 공급함에 따라 광합성 기능을 발휘하여 식물(16)의 생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430∼46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명등(24)은 온, 오프와 연동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온(on) 구동된 후 오프(off)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머(미 도시됨)와 연동될 수 있다.
프레임(12)의 제일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0,11)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식재용 홀(17)로부터 흘러내리는 흙 등을 포함하는 오물이 저수조(18)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받이(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프레임(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고, 구동시 식물(16)에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송풍기로부터 바람을 식물(16)에 토출시킴에 따라 식생매트(19)가 교체가능하게 배열되는 프레임(12) 주변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건물의 창문을 주로 닫게 되므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a,b)에서와 같이, 공공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2)에 상하방향으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돌출형성된 "ㄴ"자 형태의 가이드레일(10,11)에 이와 대응되게 수납홀더(15) 이면의 상부 및 하측에 돌출형성된 "ㄱ"자 형태의 결합턱(13,14)을 결합시킨다.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에 결합턱(13,14)이 결합된 수납홀더(15)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임의위치에 놓는다. 즉 수납홀더(15)는 프레임(12)에 격자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수납홀더(15)에 안착되는 식생매트(19)는 특허 등록번호 10-1671910호에 게시된 벽면에 부착되는 친환경 식생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생매트(19)를 프레스 압축에 의해 임의의 가로, 세로 및 두께를 갖도록 성형시키되, 수납홀더(15)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블록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기술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납홀더(15)에 안착되는 식생매트(19)에 관통형성된 식재용 홀(17)에 식물(16)을 식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식재용 홀(17)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통형성됨에 따라 식재용 홀(17)의 입구측을 통하여 흙을 포함하는 오물이 역류되어 유출됨에 따라 저수조(18)에 오물이 낙하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매트(19)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식재용 홀(17)로부터 흘러내리는 흙 등을 포함하는 오물을 제일 하단측 식생매트(19)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0,11) 하측으로 설치된 흙받이(25)에 받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생매트(19) 또는 식재용 홀(17)로부터 떨어지는 흙 등의 오물이 저수조(18)로 낙하되어 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식생매트(19)에 발아 후 식생되거나, 또는 식생매트(19)에 식재된 후 식물(16)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프레임(12)의 바닥에 장착된 저수조(18)의 물을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수조(18)의 일측에 설치된 수중펌프(21)를 구동시킴에 따라, 저수조(18)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수중펌프(21)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파이프(20)를 통과시켜 프레임(12) 상단에 장착된 양액 급수통(22)에 퍼올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수중펌프(21)에 의해 저수조(18)로부터 물이 양액 급수통(22)에 퍼올려지게 되므로 양액 급수통(22)에 수용된 양액이 물과 임의비율로 희석된다.
양액 급수통(22)에서 희석된 물은 양약 급수통(22)에 연결되는 급수파이프(26)와 연통되고, 식생매트(19)의 후방에 위치한 노즐(23)을 통해 낙하된다. 즉 양액 급수통(22)으로부터 낙하되어 노즐(23)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을 희석시킨 물이 식생매트(19)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식생매트(19)를 이루도록 내설된 천연솜(미 도시됨)에 흡착되므로 식생매트(19)의 식재용 홀(17)에 식재된 식물(16)의 뿌리가 천연솜에 흡착된 희석된 물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 사이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납홀더(15)에 안착된 식생매트(19)의 식재용 홀(17)에 식재된 식물(16)에 관리자가 직접 물을 급수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저수조(18)의 물을 식생매트(19)의 식물(16)에 공급시 파이프(20)의 막힘이 방지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수조(18)의 물을 펌핑하는 수중펌프(21) 또는 파이프(20)의 막힘을 점검 또는 수리하는 사후관리(A/S)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액 급수통(22)에 수용되어 저수조(18)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희석된 후 식생매트(19)에 식재된 식물(16)에 공급되는 양액으로 인해 식물(16)의 뿌리가 활착되므로 식물(16)의 잎사귀가 사계절동안 항시 푸르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즉, 식물(16)의 잎이 노랗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양액 급수통(22)에 수용되어 용해되는 양액으로 인해 저수조(18)에 저장되는 물이 정체로 인해 고여 부패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냄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납홀더(15)에 안착된 식생매트(19)에 식재되는 식물(16)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생매트(19)에 식재된 식물(16)이 고사되거나, 또는 계절이 바뀜에 따라 식물(16) 종류를 변경할 경우, 식생매트(19)를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식생매트(19)의 식재용 홀(17)에 식재된 식물(16)을 같은 종류의 새로운 식물로 교체하거나, 또는 식재용 홀(17)에 식재된 식물(16)과 다른 종류의 식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 사이에 결합되는 식생매트(19)의 식물(16)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조합시켜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에 식생매트(19)에 식재된 식물(16)의 종류를 종방향으로 일치시켜 배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가이드레일(10,11)에 A종류의 식물(편의상, 미 도시됨)이 식재된 식생매트(19)를 반복하여 배열하고, 중간의 가이드레일(10,11)에 B종류의 식물(편의상, 미 도시됨)이 식재된 식생매트(19)를 반복하여 배열하며, 상단의 가이드레일(10,11)에 C종류의 식물(편의상, 미 도시됨)이 식재된 식생매트(19)를 반복하여 배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중간 및 상단의 제1칸, 제3칸, 제5칸 및 제7칸에 A종류의 식물(편의상, 미 도시됨)이 식재된 식생매트(19)를 배열하고, 하단, 중간 및 상단의 제2칸, 제4칸 및 제6칸에 B종류의 식물(편의상, 미 도시됨)이 식재된 식생매트(19)를 배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프레임(12)의 가이드레일(10,11)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홀더(15)가 격자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수납홀더(15)에 안착된 식생매트(19)에 식재된 식물(16)에 의해 +자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하거나, 또는 식생매트(19)에 식재된 식물(16)에 의해 문자를 이루도록 다양한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몇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1; 가이드레일
12; 프레임
13,14; 결합턱
15; 수납홀더
16; 식물
17; 식재용 홀
18; 저수조
19; 식생매트
20; 파이프
21; 수중펌프
22; 양액 급수통
23; 노즐
24; 조명등
25; 흙받이
26; 급수파이프

Claims (3)

  1.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상부 및 하부에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윗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앞면에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ㄱ 자 형태의 결합턱이 이면의 상부 및 하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앞면 및 뒤면이 개방되는 수납홀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인공토 및 황토와, 상기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기능을 갖는 천연솜과, 인공토, 황토 및 천연솜을 결속시키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블록형태를 갖도록 프레스 압축성형되어 상기 수납홀더에 교체가능하게 안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용 홀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관통형성하되, 상기 식재용 홀은 입구측으로 흙이 역류되어 상기 저수조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생매트;
    상기 프레임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저장되는 물 정체로 인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여과하기 위해 활성탄을 포함하는 저수조;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의 물을 수중펌프에 의해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어 상기 식물의 뿌리를 활착화시키기 위한 양액(SM)을 수용하는 양액 급수통;을 구비하되, 상기 양액 급수통의 희석된 물을 상기 식생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해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식생매트의 식물에 인공빛을 공급하기 위한 660∼680㎚파장대의 적색 LED와, 430∼460㎚파장대의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일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재용 홀로부터 흘러내리는 흙이 상기 저수조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받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20170050226A 2017-04-19 2017-04-19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20180117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26A KR20180117301A (ko) 2017-04-19 2017-04-19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26A KR20180117301A (ko) 2017-04-19 2017-04-19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01A true KR20180117301A (ko) 2018-10-29

Family

ID=6410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26A KR20180117301A (ko) 2017-04-19 2017-04-19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3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167A (zh) * 2019-04-28 2019-07-30 武汉市安友科技有限公司 培养基质承载件及其固定组件和应用
KR102102289B1 (ko) * 2019-08-30 2020-04-27 박대득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20200080463A (ko) 2018-12-26 2020-07-07 김도조 스마트 식물 기반 공기청정기 인필시스템
KR102196737B1 (ko) 2020-06-05 2020-12-3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덕트관 청소 기능이 부설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정화시스템
KR20210075645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KR102537574B1 (ko) * 2022-11-21 2023-06-01 박대득 직수 급수방식의 실내 벽면 녹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463A (ko) 2018-12-26 2020-07-07 김도조 스마트 식물 기반 공기청정기 인필시스템
CN110063167A (zh) * 2019-04-28 2019-07-30 武汉市安友科技有限公司 培养基质承载件及其固定组件和应用
KR102102289B1 (ko) * 2019-08-30 2020-04-27 박대득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20210075645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KR102196737B1 (ko) 2020-06-05 2020-12-3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덕트관 청소 기능이 부설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미세먼지 정화시스템
KR102537574B1 (ko) * 2022-11-21 2023-06-01 박대득 직수 급수방식의 실내 벽면 녹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7301A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US9032665B2 (en) Aquaponic vertical garden with integrated air channel for plant-based air filtration
EP2734034B1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EP2441325B1 (en) Environment-friendly automatic percolation irrigation planting device with hermetic liquid
KR101671910B1 (ko) 벽면에 부착되는 친환경 식생매트
CN203015517U (zh) 一种智能led补光室内循环生态种养装置
CN103070062A (zh) 智能led补光室内循环生态种养系统
CN1307795A (zh) 栽培小植物的装置和使用该装置栽培小植物的方法
KR20100039988A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CN204443383U (zh) 室内互惠促生系统
KR20100121042A (ko) 인삼수경재배방법 및 재배장치
KR101146895B1 (ko)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KR20140039412A (ko) 다단재배상을 이용한 유기농 인삼 연속재배시스템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RU2402200C1 (ru) Фитостена с полихроматическими стимуляторам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CN105638424B (zh) 一种家庭多功能生态屋装置
KR101421236B1 (ko) 공기정화용 탁자
CN205694608U (zh) 一种幼苗培育装置
CN210113828U (zh) 一种为家庭园艺专门设计的立体栽培系统
CN103931440B (zh)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JP2004081088A (ja) 自動施肥・灌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